KR101540576B1 -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576B1
KR101540576B1 KR1020080092874A KR20080092874A KR101540576B1 KR 101540576 B1 KR101540576 B1 KR 101540576B1 KR 1020080092874 A KR1020080092874 A KR 1020080092874A KR 20080092874 A KR20080092874 A KR 20080092874A KR 101540576 B1 KR101540576 B1 KR 10154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ke
dropping
supply
so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828A (ko
Inventor
지삼웅
일 김
김황
Original Assignee
농업법인우리생명 (주)
일 김
비알티에스(주)
(주)유니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법인우리생명 (주), 일 김, 비알티에스(주), (주)유니온테크 filed Critical 농업법인우리생명 (주)
Priority to KR102008009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5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나 연못 등에 수용된 형태를 갖는 수질을 개선하여 정화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 등의 고형물 형태로 제작하여서 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이하 이를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흙공"이라 통칭한다)을 상기 호수나 연못(이하 이를 호수라 통칭한다)내 적재 적소에 투여하되 그 투여된 위치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호수 등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투여 분포도를 갖도록 하고, 아울러 흙공의 투여 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인력난 해소, 고른 분포에 의한 흙공 투여로 호수의 수질 상태를 현저하게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후방측에 모터 및 휀, 방향타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부구체와 상기 부구체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흙공 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흙공 공급장치는 흙공을 수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 저면측으로부터 다수개 이격 구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단부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흙공을 호수 내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와 다수의 가이드부 선단측으로 흙공을 각각 낱개씩 공급하기 위한 간헐공급부로 이루어진 공지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헐공급부는 상기 공급부의 측단부 하단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면측에 흙공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을 갖는 공급플레이트가 실린더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안착 된 흙공을 상기 가이드부측으로 낱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가이드부는 공급부 양측 하단에 부채 모양과 같이 활개되는 다수개의 형태를 이루고 상방을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최하단측 낙하구의 일측면을 개방하고, 단부측을 실린더 동작에 의해 상기 낙하구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회동되며 개폐되도록 하는 집게형태의 상하부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가이드부 최하단측 낙하구를 상하 차폐하기 제1차단플레이트와 제2차단플레이트를 각각 하나의 흙공이 위치될 정도의 거리로 이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2차단플레이트를 제1,2실린더에 의해 상호 반복 교차 차폐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낙하구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발사관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발사관 후방측에 제3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흙공을 안착하도록 하는 안착대가 상기 로드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공, 호주 정화 처리 장치, 낙하부, 간헐공급부, 중앙제어반

Description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THE LAKE APPARATUS FOR PURIFYING USE OF CLAY-SOLID MATTER LOADED WITH MICROORGANISM}
본 발명은 호수나 연못 등에 수용된 형태를 갖는 수질을 개선하여 정화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 등의 고형물 형태로 제작하여서 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이하 이를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흙공"이라 통칭한다)을 상기 호수나 연못(이하 이를 호수라 통칭한다)내 적재 적소에 투여하되 그 투여된 위치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호수 등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투여 분포도를 갖도록 하고, 아울러 흙공의 투여 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인력난 해소, 고른 분포에 의한 흙공 투여로 호수의 수질 상태를 현저하게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수나 연못, 특히 생태 호수 등과 같은 경우 물이 항상 깨끗하게 정화된 상 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가 제대로 유지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예컨데 적정 기간 동안 호수 내 부유물질 등의 발생에 의해 수질의 오염 정도가 심각할 경우 해당 호수의 생태계 파괴는 물론이거니와 주변 환경 또한 크게 악화 될 수 있어 주기적인 수질 정화 처리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호수 등의 수질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호수의 수면 표면으로 떠오르는 부유물을 걷어 내거나 또는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 하는 정도에 불과하였고, 정체된 물이 시간 경과에 따라 썩어 가거나 바닥면에 여러 형태의 물질이 침전되어 발생 되는 오염 상태를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 840548 호인 호수 또는 연못의 수질 정화를 위한 시설물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설물은 호수 저면 바닥 특히 경사가 형성되는 범위내와 비탈면과 계곡을 이루는 바닥에서 봉우리 부위에 휀 구동장치를 갖는 시설물을 설치하고, 풍차 등의 수단과 용존산소 공급수단 등을 구비하여 호수내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토록 하여 호수내 물의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한 호수내 수질 정화 장치 또는 시스템, 시설물 등은 호수 주연부와 바닥, 경사면, 봉우리부 등에 다수의 시설물이 설치되어야 하고 아울러 풍차 등의 수단이 별도로 설치 구비되어야 하는 등, 그 실시에 있어서 상당한 설치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용존 산소 공급만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큰 호수의 수질 정화 처리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는 달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을 고형화한 후(이를 당업계에서는 흙공이라 통칭하고 있다) 이를 호수 내에 투입하여 호수의 수질을 정화처리하는데 흙공의 투여 개수가 상당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인력에 의해 모두 처리한다는 것은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그 효율성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직접 흙공을 호수 가장자리에서 투척하더라도 호수 중앙지점에는 흙공이 도달되지 못하므로 호수 전지역에 고르게 흙공이 분포되며 투척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수질 정화 효율 또한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물론, 작업자가 부구체나 배 등을 이용하여 흙공을 투여할 수 있으나 흙공을 수시로 본선이나 호수 주변에 수용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작업자가 타고 있는 부구체 또는 배 등으로 일정량 선적하여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호수 전체에 걸쳐 흙공을 투여하는 그 작업시간은 상당하게 소요될 수 밖에 없으며, 흙공 투여 지역의 정확한 분별이 어렵고, 밀집되어 투여되는 범위와 밀집도가 떨어지는 범위가 상존하게 되므로, 흙공이 과다하게 투여된 범위 내에서는 수질 정화 효과 보다는 오히려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고형체의 흙공을 이용하여 호수 내 수질을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흙공이 호수 내 전 범위에 걸쳐 고르게 분포 투여될 수 있도록 하여, 수질 정화 효율성과 흙공 투여 작업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흙공의 투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그 데이터값을 중앙제어실에 송신하여 관측 모니터에서 호수의 전방위적 흙공 투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흙공의 고른 분포에 의한 투여에 의해 흙공 자체로 인한 침전물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호수 전체에 걸친 수질의 양호한 정화 효율을 얻도록 하는데 또한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후방측에 모터 및 휀, 방향타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부구체와 상기 부구체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흙공 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흙공 공급장치는 흙공을 수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 저면측으로부터 다수개 이격 구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단부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흙공을 호수 내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와 다수의 가이드부 선단측으로 흙공을 각각 낱개씩 공급하기 위한 간헐공급부로 이루어진 공지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헐공급부는 상기 공급부의 측단부 하단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면측에 흙공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을 갖는 공급플레이트가 실린더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안착 된 흙공을 상기 가이드부측으로 낱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가이드부는 공급부 양측 하단에 부채 모양과 같이 활개되는 다수개의 형태를 이루고 상방을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최하단측 낙하구의 일측면을 개방하고, 단부측을 실린더 동작에 의해 상기 낙하구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회동되며 개폐되도록 하는 집게형태의 상하부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가이드부 최하단측 낙하구를 상하 차폐하기 제1차단플레이트와 제2차단플레이트를 각각 하나의 흙공이 위치될 정도의 거리로 이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2차단플레이트를 제1,2실린더에 의해 상호 반복 교차 차폐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와,
상기 낙하부는 상기 낙하구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발사관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발사관 후방측에 제3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흙공을 안착하도록 하는 안착대가 상기 로드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범위를 갖는 호수나 연못 등에 수용되어 있는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이의 수질 정화 처리를 위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흙공을 호수의 전 범위에 걸쳐 고르게 분포 투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수 내 물의 수질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흙공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에 의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흙공을 투여하는 것과는 달리 정확한 위치상에 정확한 양의 투여가 가능함은 물론 투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통신의 하나인 GPS(400)를 이용하여 부구체의 이 동 경로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부구체가 이동되며 투여되는 흙공의 투여 위치를 실시간 추적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다량의 흙공이 과다하게 투여되어 호수 내 물의 수질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흙공 투여 시기 및 일정, 용량 등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 작업 및 유지 보수 비용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이용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호수 내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 중의 하나로 흙공을 이용하되 그 흙공의 효율적 투여 장치를 제공하는바, 호수의 수면상에 부유되어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부구체(100)와, 상기 부구체(100) 상면에 고정되어 흙공(10)을 호수의 일정 위치상에 낙하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흙공 공급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구체(100)는 단위편으로 되는 것을 다수개 연결 고정할 수 있으며, 후단측에는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휀(112)을 구비하여 전진 이송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부구체(10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타(113)를 구성한다.
상기 방향타(113)는 후술하게 되는 중앙제어반(300)에 의해, 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중앙제어반(300)에서 최초 부구체(100)의 이 송경로 궤적을 셋팅하게 되면 그 셋팅 된 데이터 값에 따라 부구체(100)의 방향타(113)를 선회시켜 원하는 경로로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방식에 의한 제어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흙공 공급장치(200)는 흙공(10)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10)와 상기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흙공(10)을 개별적으로 나누어 가이딩되며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220)와, 상기 가이드부(220) 최종 단부측에 다다른 흙공(10)을 호수측으로 투여되도록 하는 낙하부(230)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210)와 가이드부(220)가 접하는 위치상에 흙공(10)을 하나씩 개별 가이드 공급하는 간헐공급부(2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흙공(10)은 통상 제작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데 이러한 흙덩어리의 고형체는 진흙미생물 군집인바, 유출되는 저수지, 토양, 대기와 기타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은 주로, 쥬글로아에(zoogloae), 스파에로틸루스(sphaerotilus),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박테르(nitrobacter), 히포메크로비움(hyphomecrobium), 카울로박테르(caulobacter), 비델로비브리오(bdelovibrio), 스도모나스(pseudomonas) 등을 포함한다. 이는 호수나 연못에의 공생체들과 유사하다.
이러한 미생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흙덩어리 고형체 즉 흙공(10)을 공급 하기 위한 공급부(2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흙공을 수용하기 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단측으로는 각각 가이드부(220)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흙공(10)을 하나씩 낱개로 가이딩되며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210)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 도 2에서 보듯이, 흙공(10)이 원할히 후술하게 되는 가이드부(220)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부(210) 내부 저면측은 테이퍼지는 형태를 취하여 그 단부측으로 배출구(211)를 형성하여 흙공(10)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여 후술하게 되는 가이드부(220)측으로 간헐공급부(240)에 의해 낱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210)의 양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는 이러한 가이드부(220)는 공급부(210) 양측 하단에서 마치 부채 모양과 같이 활개 되는 다수개의 형태를 이루고 각각의 개별 가이드부(220) 끝단측으로는 낙하부(230)가 연결되어 부구체(100)가 설정된 낙하 지역에 도달하면 각각의 낙하부(230)에 위치되어 있는 흙공(10)이 각각 낙하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20) 선단측과 공급부(210) 사이에는 간헐공급부(240)를 구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흙공(10)을 각각의 가이드부(220)측으로 낱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간헐공급부(240)는 호퍼 형태로 무수한 흙공(10)이 수용되어 있는 공급부(210)에서 하나씩 낱개로 흙공(10)을 상기 가이드부(220) 선단측에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부(210)의 측단부 하단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면측에 흙공(10)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243)을 갖는 공급플레이트(242)가 실린더(241)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플레이트(242)의 안착홈(243)에 안착 된 흙공(10)을 전술한 가이드부(220)측으로 낱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간헐공급부(2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부(210) 하단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가이드부(220)의 개수에 따라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부(210)에 수용되어 있는 흙공(10)을 상기한 각각의 간헐공급부(240)에 의해 공급받아 부구체(100) 외곽으로 흙공(10)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가이드부(220)는 상방이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고 그 가이드부(22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후 인출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호수 내부로 흙공(10)의 투여 작업시는 부구체(100) 외곽으로 가이드부(2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인출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공급부(210) 측으로 가이드부(220)가 근접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220)는 좌우로 이격 조정되도록 하여, 흙공(10)이 호수내 투여되어질 때 측면으로 투여되는 흙공(10)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220) 최단부측에는 낙하부(230)에서 흙공(10)이 호수측으로의 용이한 낙하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절곡 되는 형태의 낙하 구(220a)를 형성한다.
상기 낙하부(230)는 상기한 가이드부(220)의 전단측에 위치되어, 호수 내부로 흙공(10)을 투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 3에 의한 파지형 낙하방식과 도 6에 의한 폐쇄형 낙하방식 및 도 7 등에 의한 발사형 낙하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흙공(10)을 호수 내부로 투여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낙하부(230)의 구성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며, 이와 유사한 기술적 개념에 의할 경우 동일한 기술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데, 도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231)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는 파지형낙하플레이트(232)를 구비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기한 파지형낙하플레이트(232)는 상부측플레이트(232a)와 하부측플레이트(232b)가 마치 집게 형상과 같이 벌려진 상태를 갖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20)의 단부측을 도 3a에서 보듯이 하부측플레이트(232b)가 막고 있는 형태에서 실린더(231)의 동작에 따라 파지형낙하플레이트(232)가 회동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측플레이트(232b)가 하방측으로 위치 변경되며 동시에 상부측플레이트(232a)가 가이드부(220)의 단부측을 막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측플레이트(232b)에 안착 되어 있던 흙공(10)은 낙하되어 호수내로 투입되고, 상부측플레이트(232a)에 의해 타 흙공(10)이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측플레이트(232a)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가이드 부(220)의 최단부측 낙하구(220a) 일측면 즉 실린더(231) 방향의 일면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방되는 낙하구(220a)에 의해 상기 실린더(231)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파지형낙하플레이트(232)의 상부측플레이트(232a)가 간섭없이 낙하구(220a)의 단부측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231)의 반복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220)에 정렬되어 있는 흙공(10)은 순차적으로 호수내로 낙하 투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부(23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20)의 낙하구(220a)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을 상하로 각각 이격시켜 구비하여 순차적 작동에 의해 흙공(10)이 호수내로 자유낙하되도록 하였다.
예컨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하구(220a) 상하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제1차단플레이트(233)와 제2차단플레이트(234)를 각각 하나의 흙공(10)이 위치될 정도의 거리로 이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2차단플레이트(233,234)를 상호 반복 교차 차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220)를 따라 유도되는 흙공(10)이 가이드부(220)의 최단부측에 이르러 낙하구(220a)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6에서의 제2실린더(231b)에 의해 제2차단플레이트(234)는 낙하구(230) 하단부를 막고 있는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차단플레이트(234) 상면으로 흙공(10)이 안착되어 있고 그 해당 흙공(10) 상방 으로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단플레이트(233)가 관통되어 낙하구(220a)가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2차단플레이트(234)가 제2실린더(231b)에 의해 후진되면, 낙하구(220a)에서 제1,2차단플레이트(233,234)에 의해 지지 되고 있던 하나의 흙공(10)이 호수내로 투여된다.
그런 다음, 제2차단플레이트(234)가 제2실린더(231b)의 동작에 의해 전진 이송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차단플레이트(233)는 뒤로 후퇴 이송 되어져, 상기 제1차단플레이트(233) 상면에 안착 된 상태에 있던 타 흙공(10)이 낙하 되며 상기 제2차단플레이트(234) 상면에 안착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차단플레이트(234)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제2차단플레이트(234) 개방에 의해 호수측으로 흙공(10)이 낙하 된 후 제2차단플레이트(234)가 전진 이송하게 된다.
제1차단플레이트(233)가 제1실린더(231a)의 동작에 의해 뒤로 후퇴 이송하게 되면 상기 제1차단플레이트(233) 상면에 위치되어 있는 또 다른 흙공(10)이 낙하 되어 낙하구(220a) 최하단부를 막고 있는 제2차단플레이트(234) 상면에 안착 되고, 아울러 제1차단플레이트(233)는 재차 전진 이송되어, 낙하구(220a)에서의 마지막 흙공(10)은 제1,2차단플레이트(233,234)에 의해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 후 앞서 설명한 수순에 의해 제2차단플레이트(234) 개방에 따라, 호수측으로 낙하 유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낙하부(2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예컨데 발사형 낙하방식을 채택한 예시도이다.
도 7에 의한 발사형 낙하방식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제1,2차단플레이트(233,234)를 적용하되, 그 제2차단플레이트(234)의 개방에 의해 낙하 되는 흙공(10)이 곧바로 호수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발사장치에 장전된 후 제3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흙공(10)이 발사되도록 하여, 흙공(10)을 부구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거리로 쏘아 올려 호수내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발사형낙하방식은, 상기 낙하구(220a) 하단부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발사관(235)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발사관(235) 후방측에 제3실린더(231c)를 구비하되 상기 제3실린더(231c)의 로드(L)와 연결되어 흙공(10)을 안착하도록 하는 안착대(236)가 상기 로드(L)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동작과 같이 제2차단플레이트(234)의 개방에 의해 낙하 되는 흙공(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는 발사관(235)으로 유입되는데, 그 유입되는 흙공(1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실린더(231c)의 로드(L) 단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발사관(235) 내부로 유입되어 있는 안착대(236)에 안착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사관(235) 내부로 유입되어 안착대(236)에 흙공(10)이 안착되면, 제3실린더(231c)의 동작에 따라 로드(L)가 뒤로 후퇴된 후 순간적인 전진 이송에 의해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안착대(236)에 안착된 흙공(10)이 발사관(235) 의 안내를 받으며 발사되어, 부구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상으로 흙공(10)이 날아가, 호수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사관(235)을 다수개 구비하여 각 발사관(235)으로부터 발사되는 흙공(10)의 발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발사관(235)을 다수 형성하고 각 발사관(235)의 실린더 유압을 조절하여 발사관(235)으로부터 발사되는 흙공(10)의 발사 거리를 서로 달리하도록 하므로서, 호수내에 투입되는 지점을 각각 달리하도록 할 수 있어, 다연발에 의해 흙공(10)이 호수의 적절한 위치로 투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부구체(100)는 일정 면적을 갖는 호수를 따라 이동되며 흙공(10)을 투여하게 되는데, 흙공(10)의 투여 위치 및 수량 등을 정확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부구체(100)와 중앙제어반(300)의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반(300)에서 부구체(100)의 이송 경로를 실시간 파악하고, 이송 경로를 따라 호수내에 투여되는 흙공(10)의 위치 및 수량 등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호수 내 물의 정화 처리에 가장 적합한 조건에 따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앙제어반(300)에서 부구체(100)의 위치 제어를 위해 무선 조정 및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GPS(400)를 이용하여 부구체(100)의 이송 경로를 제어함과 동시에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부구체(100)의 흙공공급장치(200)를 통해 흙공(10)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하며, 흙공(10)의 투입 수량과 위치는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를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되어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데, 중앙제어반(300)에서 부구체(100) 출발시 설계된 흙공(10) 투여 위치 및 부구체(100)의 이송경로 등을 송신하여 부구체(100)에 프로그램 로딩 시킨 후, 무선 통신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부구체(100)의 출발지점부터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궤적이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에 디스플레이되는데, 부구체(100)가 이동되면서 주어진 설정값에 의한 신호에 따라 흙공공급장치(200)에서의 낙하부(230)에서 흙공(10)이 호수내로 투여되는 지점을 신호로 인가하여, 상기 단말기(310)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부구체(100)의 이송경로와 흙공(10)의 투여 위치가 점 형태로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 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현재 작업중인 흙공(10) 투여 효율 등을 연산,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데이터는 자동 백업 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부구체(100)에는 별도의 초음파장치, 탁도측정장치, 오염도측정장치, 검사용 센서,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중앙제어반(300)에서 실시간 수신되는 부구체(100)에서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호수의 탁도, 오염도 등의 실시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 호수내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흙공을 이용한 정화 처리 방법 및 그 작업 수순 및 작동 관계 등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 등은 중앙제어반(300)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셋팅 된 설정값을 운항 되는 부구체(100)에 로딩하여, 부구체(100)가 호수내에서의 운행 궤적 및 운항 중 흙공(10)을 투여할 위치 등의 값이 입력되도록 하고, 부구체(100)의 현 운항되는 위치 및 흙공(10)의 투여 위치는 실시간 GPS 시스템을 통해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부구체(100)에 구비되는 흙공공급장치(200)의 공급부(210)내 수용되어 있는 흙공(10)은 하단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배출구(211)를 통과하는 흙공(10)을 각각의 간헐공급부(240)을 통해 다수개 배열 배치되는 가이드부(220)를 따라 가이딩 되며 낱개 공급되고, 각각의 가이드부(220)를 통해 낱개 공급되는 흙공(10)은, 상기 각 가이드부(220)의 최종단부측으로 이어지는 낙하구(220a)를 통해 배출되는 흙공(10)을 전술한 낙하부(230)에 의해 호수내로 투여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낙하부(230)를 통해 호수 내로 흙공(10)이 투여되는 지점은 이미, 중앙제어반(300)에 의해 프로그램 셋팅 된 내용에 따라 부구체(100)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정해진 낙하지점에서 흙공(10)의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낙하부(230)의 구성들을 이루는 실린더(231)의 작동은 중앙제어반(300)에서의 신호 인가에 따라 연동되도록 하여, 부구체(100)가 일정거리 이송된 후 프로그래밍된 위치의 좌표상에 이르게 되면, 해당 좌표에 부구체(100)가 정지된 후 흙공공급장치(200)에서 각각의 가이드부(220)를 따라 가이딩되는 흙공(10)들이 낙하부(230)를 통해 호수내로 투입되고, 투입이 완료되면 재차 부구체(100)는 흙공(10)이 투입될 위치의 좌표로 이송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구체(100)를 통해 투입되는 흙공(10)의 투입 위치에 해당되는 좌표와, 부구체(100)의 이송경로 등은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를 통해 실시간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중앙서버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부구체(100)만을 이용하여 호수내에 흙공(10)이 투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측에 모선으로 되는 부구체(100)와, 그 후방측에 연결되어 종속되는 부선 또는 자선으로 되는 부구체(100)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모선으로 되는 부구체(100) 양측으로는 다수개의 발사관(235)을 각각 형성하여 흙공(10)이 호수내로 발사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부선 또는 자선으로 되는 부구체(100) 후방측으로는 흙공(10)이 본 발명에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기재되는 각 구성을 갖는 낙하 수단에 의해 호수내에 낙하 투입되도록 하여, 호수내 물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에서의 각 낙하수단을 유효 적절하게 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주로 흙공(10)을 이용하여 호수내에 투입하므로서, 호수의 물을 정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흙공(10)에 국한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컨데, 흙공(10)의 소재가 되는 각 미생물을 액상으로 하여 호수내에 직접 살포 처리하여 호수내의 오염된 물의 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미생물을 포함하는 액상의 내용물을 부구체(100)에 설치되는 탱크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탱크로부터 연결되는 다수개의 호스를 이용하되 상기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은 적절한 압력에 의해 배출되어 상기 호스 단부측의 노즐을 통해 호수의 저면에 쌓여있는 슬러지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분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분사 압력에 의해 호스가 회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 단부측에 무게 제공 수단을 채택하여 호스의 노즐로부터 액상 미생물 배출시 발생되는 반대 압력에 의해 호스가 튕기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호스의 노즐이 항상 호수 저면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한 무게중심유지수단을 채택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액상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호수의 오염된 물의 정화가 가능함은 물론, 호스로부터 액상의 미생물이 배출되는 지점 및 그 배출 위치 등은 앞서 서술 한 바와 같이 중앙제어반(300)을 통해 제어 되도록 하고, 위성통신수단인 GPS를 이용하여 그 부구체의 위치 및 액상 미생물이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지점, 배출량 등이 실시간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미생물을 투입하여 얻는 데이터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흙공을 투입하여 얻는 데이터 즉, 흙공 및 액상 미생물의 투여 위치, 부구체의 이동경로, 흙공 및 액상 미생물의 투여량 등이 중앙제어반(300)의 단말기(3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후, 선택 메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보고서 형식에 의해 출력하여 문서 보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채택되는 호수 정화 처리장치를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개괄적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흙공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의 단부측으로 이어지는 낙하부의 일예시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흙공공급장치에서, 공급부의 배출구측으로 낙하되는 흙공을 상기의 가이드부측으로 간헐 공급하기 위한 간헐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흙공공급장치에서 가이드부의 연장 인출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가이드부의 단부측으로 공급되는 흙공을 호수 등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가이드부의 단부측으로 공급되는 흙공을 호수 등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부가 발사형태를 갖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선단측에 모 부구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 부구체 후단으로 각각 연결되는 자 부구체를 이용하여, 호수내에 흙공을 투여할 수 있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호수정화처리 방법의 개괄적 블럭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흙공 100; 부구체
111; 모터 112; 휀
113; 방향타 200; 흙공공급장치
210; 공급부 211; 배출구
220; 가이드부 220a; 낙하구
230; 낙하부 231; 실린더
232; 파지형낙하플레이트 232a; 상부측플레이트
232b; 하부측플레이트 233; 제1차단플레이트
234; 제2차단플레이트 235; 발사관
S; 스프링 236; 안착대
240; 간헐공급부 241; 실린더
242; 공급플레이트 243; 안착홈
244; 링크 300; 중앙제어반
310; 단말기 400; GPS

Claims (9)

  1. 후방측에 모터(111) 및 휀(112), 방향타(113)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부구체(100)와 상기 부구체(100)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흙공 공급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흙공 공급장치(200)는 흙공(10)을 수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10)와 상기 공급부(210) 저면측으로부터 다수개 이격 구성되는 가이드부(220)와 상기 가이드부(220) 단부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흙공(10)을 호수 내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210)와 다수의 가이드부(220) 선단측으로 흙공(10)을 각각 낱개씩 공급하기 위한 간헐공급부(240)로 이루어진 공지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헐공급부(240)는 상기 공급부(210)의 측단부 하단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면측에 흙공(10)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243)을 갖는 공급플레이트(242)가 실린더(241)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플레이트(242)의 안착홈(243)에 안착 된 흙공(10)을 상기 가이드부(220)측으로 낱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0)는 공급부(210) 양측 하단에 부채 모양과 같이 활개되는 다수개의 형태를 이루고 상방을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230)는 상기 가이드부(220)의 최하단측 낙하구(220a)의 일측면을 개방하고, 단부측을 실린더(231) 동작에 의해 상기 낙하구(220a)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회동되며 개폐되도록 하는 집게형태의 상하부측플레이트(232a,232b)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230)는 상기 가이드부(220) 최하단측 낙하구(220a)를 상하 차폐하기 제1차단플레이트(233)와 제2차단플레이트(234)를 각각 하나의 흙공(10)이 위치될 정도의 거리로 이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2차단플레이트(233,234)를 제1,2실린더(231a,231b)에 의해 상호 반복 교차 차폐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230)는 상기 낙하구(220a)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발사관(235)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발사관(235) 후방측에 제3실린더(231c)를 구비하되 상기 제3실린더(231c)의 로드(L)와 연결되어 흙공(10)을 안착하도록 하는 안착대(236)가 상기 로드(L)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9. 삭제
KR1020080092874A 2008-09-22 2008-09-22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KR10154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74A KR101540576B1 (ko) 2008-09-22 2008-09-22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74A KR101540576B1 (ko) 2008-09-22 2008-09-22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828A KR20100033828A (ko) 2010-03-31
KR101540576B1 true KR101540576B1 (ko) 2015-07-30

Family

ID=4218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74A KR101540576B1 (ko) 2008-09-22 2008-09-22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1170A (zh) * 2018-07-27 2018-11-30 金强 使用含有微生物土球的湖水净化处理装置以及方法
CN108911169A (zh) * 2018-07-27 2018-11-30 金强 一种湖水净化处理装置以及方法
CN110773469A (zh) * 2019-11-05 2020-02-11 熊妲妮 一种肺活量测试呼气罩的自动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094A (ja) * 1996-11-26 1998-06-09 Ube Ind Ltd 湖沼水質浄化改善処理船
KR20020029287A (ko) * 2000-10-12 2002-04-18 정운익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오니흡입제거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2003251393A (ja) * 2002-03-01 2003-09-09 Nishimatsu Constr Co Ltd 栄養塩類の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KR100699326B1 (ko) * 2006-09-14 2007-03-26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정수장치 및 그 정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094A (ja) * 1996-11-26 1998-06-09 Ube Ind Ltd 湖沼水質浄化改善処理船
KR20020029287A (ko) * 2000-10-12 2002-04-18 정운익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오니흡입제거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2003251393A (ja) * 2002-03-01 2003-09-09 Nishimatsu Constr Co Ltd 栄養塩類の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KR100699326B1 (ko) * 2006-09-14 2007-03-26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정수장치 및 그 정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828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796B1 (ko) 일체형 사료 공급 및 교반 장치
KR101540576B1 (ko) 미생물을 포함하는 흙으로 된 고형체를 이용한 호수 정화 처리 장치
EP0044382B1 (de) Schwimmende Wasserreinigungseinrichtung
US6338220B1 (en) Eradication of mosquitoes
GB237398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pigs
AT399439B (de) Verfahren und anlage zur dosierten flüssigfutterausgabe
CN108910990B (zh) 河道水污染应急加药系统及其使用方法
EP0379121B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Dekontaminierung von Schadstoffe enthaltendem Erdreich,Schlämmen, Bauschutt oder dergleichen
JP2019170243A (ja) 農薬供給機
CN108911169A (zh) 一种湖水净化处理装置以及方法
EP0676136A1 (de) Flüssigfütterungsanlage
CN210538212U (zh) 一种活体浮游动物分级投喂鲥鱼苗装置
EP0054018B1 (de) Kohlenstaubtank mit einrichtung zum dosierten austragen, insbesondere kleiner kohlenstaubmengen
DE10010781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üttern von Tieren
CH69942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alzsole.
CN111499132A (zh) 一种猪的排泄物的有氧发酵和厌氧发酵处理的养猪装置
RU26082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и аэрации очищенных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в стокоприемную камеру
CN215355326U (zh) 一种城市绿化用土壤修复装置
KR20140003750A (ko) 발전소용 저탄장 장치
CN108640244A (zh) 一种可称重的药剂自动进料装置
CN211445096U (zh) 一种有机废水处理用加药装置
CN220694146U (zh) 一种水产养殖饲料投放装置
KR101637222B1 (ko)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DE10061012A1 (de) Filter und Verfahren zur Flüssigkeitsfiltration
DD151032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wertung von guelle aus industriemaessigen tierproduktionsanl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