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443B1 -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443B1
KR101540443B1 KR1020140029706A KR20140029706A KR101540443B1 KR 101540443 B1 KR101540443 B1 KR 101540443B1 KR 1020140029706 A KR1020140029706 A KR 1020140029706A KR 20140029706 A KR20140029706 A KR 20140029706A KR 101540443 B1 KR101540443 B1 KR 10154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upply
pipe
air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Abstract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는, 일단이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서비스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연결배관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통하여 연결배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유닛, 연결배관에 연결되어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배관을 통해 연결배관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밸브와, 배출배관에 연결되어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공급밸브 및 배출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Auxiliary compressed 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 등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시설물이나 구조물, 또는 기계장치 등을 제작하는 데 여러 가지 작업공구가 사용된다. 작업공구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스로 동력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인력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고난도의 기계적인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작업공구는 작업의 목적,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제공된다.
한편, 작업공구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리적인 구동력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구동력은 전기력이나 밀폐된 유로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유체의 압력을 직선운동이나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유압식 동력전달구조가 채용된 공구는, 간단한 구조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고도의 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 등에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유압식 공구는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이 적절한 크기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 성능이 저하되며, 최적 상태로 운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유압공구는, 중앙의 압력탱크로부터 분기되어 작업위치까지 연장되는 서비스배관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어, 개별적인 압력 조절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작업장 내에서 서로 동시 다발적으로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압력이 큰 폭으로 변동하므로, 공구 내에 별도의 레귤레이터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압력을 원하는 크기로 조정 또는 보정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76497호, (2008.08.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구 등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는, 일단이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서비스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유닛;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연결배관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컴프레서 유닛이 제공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공구로 공급하는 설정공급압력 이상으로 유지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개방하며, 상기 배출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의 압력을 상기 설정공급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압이 상기 설정공급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회전하는 공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모터는 상기 설정공급압력에 대응하는 일정한 토크 레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 일 측에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공압모터 일 측에 상기 공압모터의 토크값을 측정하는 토크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 상기 컴프레서 유닛, 상기 공급배관, 상기 배출배관,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서비스배관과 상기 공구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가능한 독립된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서비스배관의 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는, 공구 등으로 공급되는 고압 공기의 압력을 조정 또는 보정하여 이를 원하는 설정공급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를 활용하여 유압식, 특히, 공압식 공구나 장치의 성능을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몸체 부분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작동에 따른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압력 조절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몸체 부분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서비스배관(10)과 공구(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110), 연결배관(110)에 연결된 공급배관(120)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유닛(200), 연결배관(110)과 연결되어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130), 및 공급배관(120)과 배출배관(130)에 각각 형성되는 공급밸브(121)와 배출밸브(131)를 포함한다.
이 때, 공급밸브(121)는 상기 컴프레서 유닛(200)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110)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반대로 배출밸브(131)는 연결배관(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는 별도의 컴프레서 유닛(200)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되,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로 유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공구(2)에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압 조정/보정 작업은 최초에 서비스배관(10)을 통해 제공된 압축공기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컴프레서 유닛(200)과 공급배관(120)을 통해 압축공기를 부가하거나, 또는 배출배관(130)을 통해 압축공기를 일부 배출하는 방식으로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배관(10)으로 제공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비해 크게 변동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압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연결배관(110)은 일단이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서비스배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구(2)에 연결된다. 따라서, 최초에 서비스배관(10)을 통해 제공된 공기는 연결배관(110)을 통과한 후 공구(2)에 제공된다. 연결배관(110)은 공구(2)와 결합되는 몸체(10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제어밸브(111)가 형성되어 공구(2)로 공급되는 공기를 최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결배관(110)은 서비스배관(10)과 공구(2) 사이를 연결하되, 서비스배관(10)의 일단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공구(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배관(110)은 반드시 서비스배관(10)과 독립된 관재를 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서비스배관(10)과 일체로 이루어져 연결부위에서 서비스배관(10)의 단부와 그 일부가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연결배관(110)과 연결되는 서비스배관(10)은 작업장 전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탱크(11)로부터 연장된 것일 수 있으며, 공급탱크(1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헤더 또는 디스트리뷰터 등을 거쳐 서로 다른 장소로 각각 분기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배관(10)에 서로 다른 공구(2)를 연결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배관(10)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컴프레서 유닛(200)은 일 측에 흡기구(201)가 형성되고, 흡기구(201)와 연결된 피스톤식 또는 베인식 압축펌프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서 유닛(200)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여 자체적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압축공기는 컴프레서 유닛(200)과 연결배관(1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배관(120)을 통해 연결배관(110)으로 주입될 수 있다. 특히, 컴프레서 유닛(200)은 작업자가 휴대 가능한 포터블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프레서 유닛(200)과 연결배관(110) 사이에는 각각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배관 즉, 공급배관(120)과 배출배관(130)이 연결된다. 공급배관(120)은 컴프레서 유닛(200)의 출력 측과 연결배관(110)의 일 측을 연결하여 컴프레서 유닛(200)이 생성한 압축공기를 연결배관(110)으로 주입하며, 배출배관(130)은 연결배관(110)의 타 측에 연결되어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배관(130)의 나머지 단부는 예를 들어, 컴프레서 유닛(200)에 마련된 배기소음기(202)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급배관(120)과 배출배관(130) 각각에는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 각각에는 압력센서(도 2의 114 참조)와 연결된 센싱라인(122, 132)이 형성되어 압력센서(114)가 측정한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량이 조절될 수 있다. 센싱라인(122, 132)은 예를 들어, 압력센서(114)가 측정한 압력에 따라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전기배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작동유체를 수송하는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측정한 압력값에 따라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즉,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는 연결배관(110) 내부로 수송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대응하여 각각 개폐되며, 이를 통해 컴프레서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배관(110)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나, 반대로 연결배관(110)으로부터 배출배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변동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유기적, 능동적으로 조정하고, 압축공기를 설정된 공급압력으로 조정하여 공구(2)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공구(2)는 연결배관(110)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결배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회전하는 공압모터(21)와 공압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공압모터(21)는 연결배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대응하여 일정한 토크 범위를 형성하되, 공압모터(21) 일 측에 형성된 조절밸브(21c)를 제어하여 유입관(21a) 및 유출관(21b) 사이의 공기 유동량을 변화시키고, 공압모터(21)의 회전력 즉, 토크를 원하는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2)가 서비스배관(1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동하여 일정한 토크 범위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즉, 공구(2)는 일정한 토크를 설정하여 볼트 등을 회전 결합하는 토크 렌치 등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서비스배관(10) 등으로 직접 압축공기를 제공받는 경우, 공기압의 변동으로 인해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토크 범위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는 이와 같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공구(2)에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구(2)의 토크값을 원하는 범위 내의 특정 토크값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공구(2)는 이와 같은 회전식 공구(2)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들어, 에어 건과 같은 공기 압력으로 작동하는 방식의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연결배관(110)과 컴프레서 유닛(200), 공급배관(120)과 배출배관(130), 그리고 공급배관(120)과 배출배관(130)에 각각 형성되는 공급밸브(121)와 배출밸브(131)는, 서비스배관(10)과 공구(2)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가능한 독립된 하우징(미도시) 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서비스배관(10)과 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공구(2) 사이에 필요 적절하게 결합되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몸체(100)는 이러한 공구(2)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결배관(110)이 수용된다. 연결배관(110) 일 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2)로 공급되는 공기를 최종 제어하는 제어밸브(111)가 형성되며, 또 다른 일 측에는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4)가 형성된다. 제어밸브(111)는 몸체(100) 일 측에 형성되는 제어스위치(112)와 연결되어 개방 또는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한편, 필요한 경우 몸체(100)는 공구(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몸체(100)는 연결배관(110) 및 그 외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이를 공구(2)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공구(2)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00)에는 상기 압력센서(114)와 연결된 압력게이지(115)가 부착되어 작업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공구(2)에는 전술한 공압모터(21)와 연결된 토크센서(24), 및 토크센서(24)와 연결된 토크게이지(2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를 이용하여 토크값과 공구(2)로 제공되는 공기압을 동시에 확인하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작동에 따른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의 압력 조절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배관(10)으로부터 제공된 압축공기는 최초에 연결배관(110)으로 공급되되, 제어밸브(도 2의 111 참조)에 의해 차단되어 공구(2)로 공급되지 않는 준비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는 모두 폐쇄상태이고, 컴프레서 유닛(200)도 구동이 중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120)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공하고, 일차적으로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 때, 컴프레서 유닛(200)을 구동하여 연결배관(110)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되, 컴프레서 유닛(200)이 제공하는 공기의 압력은 공구(2)로 공급하는 설정공급압력 즉, 공구(2)가 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목표 압력값 이상으로 유지한다. 공급밸브(121)는 컴프레서 유닛(200)으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일차적으로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밸브(131)를 열고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압이 공구(2)로 공급 가능한 설정공급압력이 될 때까지 조절한다. 이 때 전술한 압력게이지(115)를 통해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이 설정공급압력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과정은 압력 설정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이에 공급압력을 설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압력센서(114)가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압력 설정부에 제공하고, 압력 설정부가 이에 대응하여 전술한 센싱라인(122, 132)을 통해 제어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압력센서(114)로부터 직접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공급밸브(121) 및 배출밸브(131)를 유기적으로 개폐하고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에 따라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변화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현하면 도 7의 (a) 또는 도 7의 (b)와 같다. 즉,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은 최초에 서비스배관(10)을 통해 제공된 초기압력(A) 주위에서 요동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111)가 폐쇄되어 압축공기가 공구(2)로 공급되는 것을 막고 준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후, 컴프레서 유닛(200)이 구동되고, 공급밸브(121)가 개방되는 시점(t1)에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압을 일정 수준이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변동을 최소화하고 상대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수준으로 압력을 유지한 상태(시점 t2 에서 t3사이)에서, 배출밸브(131)의 개폐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압력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배출밸브(131)가 개방되는 시점(t3) 으로부터 연결배관(110) 내부의 공기 압력이 하강하여, 공구(2)에 공급 가능한 설정공급압력(B)에 도달하게 된다.
설정공급압력(B)에 도달한 연결배관(110) 내부는 공급배관(120)을 통해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한편, 배출배관(130)을 통해 그 일부가 배출되면서 일종의 동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시점(t4)이후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제어밸브(111)를 개방하고, 설정공급압력(B)에 도달한 압축공기를 공구(2)에 주입하여, 공구(2)를 최적의 상태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압력 조절과정은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공급압력(B)이 상기 초기압력(A)보다 높은 경우, 또는 초기압력(A)보다 낮은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즉, 설정공급압력(B)이 서비스배관(10)을 통해 제공된 압축공기의 초기압력(A)보다 높은 경우, 도 7의 (a)와 같이 상대적으로 압력 상승폭을(시점t1에서 t2사이)크게 하고, 압력 하강폭(시점t3에서 t2사이)을 작게 함으로써 설정공급압력(B)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설정공급압력(B)이 서비스배관(10)을 통해 제공된 압축공기의 초기압력(A)보다 낮은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상대적으로 압력 상승폭을(시점t1에서 t2사이)작게 하고, 압력 하강폭(시점t3에서 t2사이)을 크게 함으로써 역시 설정공급압력(B)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필요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 유닛(200)의 구동을 중지하고 공급밸브(121)는 폐쇄한 채, 배출밸브(131)만을 개방하여 연결배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상승 없이 서비스배관(10)으로부터 제공된 초기압력(A)을 직접 제어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설정공급압력(B)까지 도달하는 시간(t1에서 t2사이)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설정공급압력(B)이 초기압력(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컴프레서 유닛(200)이 과열되어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이러한 압력조절방식을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배관(10)에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적절한 크기의 압력으로 공구(2)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공구(2)를 최적의 상태로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은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2: 공구
10: 서비스배관 11: 공급탱크
21: 공압모터 21a: 유입관
21b: 유출관 21c: 조절밸브
22: 회전부 23: 조절레버
24: 토크센서 25: 토크게이지
100: 몸체 110: 연결배관
111: 제어밸브 112: 제어스위치
114: 압력센서 115: 압력게이지
120: 공급배관 121: 공급밸브
122, 132: 센싱라인 130: 배출배관
131: 배출밸브 200: 컴프레서 유닛
201: 흡기구 202: 배기소음기

Claims (7)

  1. 일단이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서비스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유닛;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연결배관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유닛이 제공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공구로 공급하는 설정공급압력 이상으로 유지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개방하며, 상기 배출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의 압력을 상기 설정공급압력으로 조정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압이 상기 설정공급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공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회전하는 공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모터는 상기 설정공급압력에 대응하는 일정한 토크 레인지를 형성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 일 측에 상기 연결배관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공압모터 일 측에 상기 공압모터의 토크값을 측정하는 토크센서가 형성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 상기 컴프레서 유닛, 상기 공급배관, 상기 배출배관, 상기 공급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서비스배관과 상기 공구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가능한 독립된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서비스배관의 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로 결합되는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KR1020140029706A 2014-03-13 2014-03-13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KR10154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06A KR101540443B1 (ko) 2014-03-13 2014-03-13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06A KR101540443B1 (ko) 2014-03-13 2014-03-13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443B1 true KR101540443B1 (ko) 2015-07-30

Family

ID=5387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706A KR101540443B1 (ko) 2014-03-13 2014-03-13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4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815A (ko) * 1997-04-23 1998-11-16 이우복 공압구동시스템의 비상시 예비공압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815A (ko) * 1997-04-23 1998-11-16 이우복 공압구동시스템의 비상시 예비공압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285B2 (ja) 動作制御手段を備えた空気圧式衝撃レンチ
JP6676046B2 (ja) 空気圧衝撃レンチ用の動力制御装置
US10514029B2 (en) Air inlet control for air compressor
WO2017110120A1 (ja) 空圧システム運転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1901540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ir compressor with electric inlet valve control
SE0303555D0 (sv) Method for governing the operation of a pneumatic impulse wrench and a power screw joint tightening tool system
KR101540443B1 (ko) 압축공기 보조공급장치
WO2007122092A3 (de) Druckregler für gasförmige medien
US10502213B2 (en) Electronically-controlled compressed air system
US8845300B2 (en) Compressor freeze up prevention in cold weather
RU2010117349A (ru) Регуляторы,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ы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101109540B1 (ko) 토크 가변 기능이 구비된 기어박스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크 가변 방법
US20180312260A1 (en) Configurable high rate closed loop smart valve control
KR101231924B1 (ko) 분리형 공기구동식 밸브용 포지셔너장치
US7207174B2 (en) Apparatus for use with pneumatic device
US11142888B2 (en) Hydraulic machine
DK1616997T3 (da) Hydraulisk styreindretning
KR20150142105A (ko) 엔진용 흡기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9174B1 (ko) 압축 공기 장치를 제어하는 압축 공기 장치 제어 방법, 컨트롤러 및 이 압축 공기 장치 제어 방법을 채용하는 압축공기 장치
JP4967694B2 (ja) エアコンプレッサのエアタンク容量切替機構
US10670023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valve
KR101746532B1 (ko) 2단 속도 제어 유압 시스템
US20180100362A1 (en) Electronically-Controlled Compressed Air System
JP6804475B2 (ja) 出力制御手段付きの空気圧インパルスレンチ
JPH10118954A (ja) ボルト締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