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260B1 - 트림 최적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림 최적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260B1
KR101540260B1 KR1020130118405A KR20130118405A KR101540260B1 KR 101540260 B1 KR101540260 B1 KR 101540260B1 KR 1020130118405 A KR1020130118405 A KR 1020130118405A KR 20130118405 A KR20130118405 A KR 20130118405A KR 101540260 B1 KR101540260 B1 KR 10154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planned
unit
map
fuel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962A (ko
Inventor
김용성
박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2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트림 최적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은 선박의 알피엠(RPM), 선수 흘수(Fwd draft), 선미 흘수(Aft draft) 및 연료소비량(FOC)을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수량을 산출하는 배수량 산출부;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측정부의 측정값과 배수량 산출부의 산출값을 수집하고, 알피엠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생성부;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을 입력하도록 제공된 입력부; 제 1 데이타를 기초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 및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림 최적화 시스템{Trim Optimization System}
본 발명은 트림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추진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트림최적화이다. 트림이란 선수 흘수와 선미흘수의 차를 의미하는데, 이 트림을 조절하여 추진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4%정도의 FOC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적용되고 있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Trim Optimization System)의 경우 대부분 선박의 모델 데이타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종래 트림 최적화 시스템은 실제 선박에 정확한 최적화 트림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30626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 선박에 정확한 최적화 트림을 제공하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트림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상기 선박의 알피엠(RPM), 선수 흘수(Fwd draft), 선미 흘수(Aft draft) 및 연료소비량(FOC)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수량을 산출하는 배수량 산출부; 상기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배수량 산출부의 산출값을 수집하고, 알피엠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생성부;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을 입력하도록 제공된 입력부; 상기 제 1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계획 알피엠 및 상기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 및 상기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흘수-연료소비량 맵은,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는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선미 흘수를 나타내며, 상기 X축 값과 상기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연료소비량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선속을 측정하고, 상기 데이타 생성부는, 알피엠 및 선속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선속에 대한 제 2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제 2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계획 알피엠 범위 및 상기 계획 배수량 범위에 따른 흘수-선속 맵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흘수-선속 맵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흘수-선속 맵은,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는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선미 흘수를 나타내며, 상기 X축 값 및 상기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연료소비량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계획 선속 범위를 입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흘수-선속 맵에 상기 계획 선속을 만족하는 제 1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흘수-연료소비량 맵에 상기 제 1 영역과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사용하여 최적화 트림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에 정확한 최적화 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선박을 소정 기간 운용하는 과정에서 선박의 알피엠의 빈도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배수량 별로 순차적으로 배열한 그림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흘수-선속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에 제 2 영역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림 최적화 시스템(100)은 측정부(110), 배수량 산출부(120), 데이타 생성부(130), 입력부(140), 맵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트림 최적화 시스템(100)은 선박에 탑재되어 선박에 최적화된 트림을 제공한다.
측정부(110)는 선박의 알피엠(RPM), 선수 흘수(Fwd draft), 선미 흘수(Aft draft) 및 연료소비량(FOC)을 측정한다. 측정부(110)는 알피엠 측정부(미도시) 및 흘수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알피엠 측정부는 박용 기관의 알피엠을 측정한다. 알피엠 측정부는 예컨대 박용 기관과 연결된 메인 샤프트에 장착된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흘수 측정부는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를 측정한다. 흘수 측정부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선저에 구멍을 내고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수압으로 흘수를 추정하거나, 선저 혹은 선측면에 구멍을 내고 파이프라인을 연결시키고 파이프 내부에 플로터(floater)를 적용하여 흘수를 측정하거나, 선저 혹은 선측면에 구멍을 내고 파이프라인을 연결시키고 초음파를 이용하는 흘수를 측정한다.
측정부(110)는 연료소비량을 측정하는 연료소비량 측정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연료소비량 측정장치는 예컨대 주로 터빈식/전자식/초음파식의 체적유량계와 코리올리(Coriolis)식/열선식의 질량유량계와 같은 유량계를 포함한다.
배수량 산출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수량(Displacement)을 산출한다. 배수량 산출부(120)는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흘수-체적 데이타 베이스에 대입하여 이에 대응하는 체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체적에 해수 밀도를 곱하여 배수량을 산출한다.
데이타 생성부(130)는,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측정부(110)의 측정값과 배수량 산출부(120)의 산출값을 수집하고, 알피엠(RPM)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를 생성한다.
예컨대, 선박을 6개월 또는 그 이상의 오랜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측정부(110)는 실시간으로 알피엠,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을 측정한다. 측정부(110)의 측정값은 데이타 생성부(130)에서 수집된다. 데이타 생성부(130)는 수집된 측정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 예컨대 1시간 간격으로 평균을 내고, 평균값들을 모아 알피엠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를 생성한다.
입력부(140)는 유저가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을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입력부(140)는 예컨대, 키보드 또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은 선박의 운용을 위해 계획 중인 알피엠 및 배수량을 의미한다.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은 특정 값을 가지거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은 70 RPM 및 135k MT이거나 60-80 RPM 및 130k-140k MT일 수 있다.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은 선박을 운용하는 선주사에서 결정되어 최적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선박의 유저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선박을 소정 기간 운용하는 과정에서 선박의 알피엠의 빈도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은 소정 기간 동안 크게 저속, 중속, 고속 알피엠 구간에서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략적으로 저속 구간은 40-57 RPM, 중속 구간은 57-83 RPM, 고속 구간은 83-103 RPM으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그래프를 제공한 선박의 경우, 입력부(140)에 입력되는 계획 알피엠은 저속, 중속, 고속 구간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알피엠 구간의 범위는 선사의 정책에 따라, 그리고 선박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박이 항구에 입항하게 되면 선사는 계획 배수량을 전달하는데, 여기서 계획 배수량은 화물선적계획과 동일한 개념이다. 선사의 플래너(Planner)는 각 선박의 설계배수량과 실코자 하는 화물량, 그리고 선박의 스테빌리티(stability)를 고려하여 어디에 얼마만큼의 화물을 실을지 계획을 하며 이 계획에 따라 계획 배수량이 결정된다.
맵 생성부(150)는 데이타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 1 데이타를 기초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한다. 맵 생성부(150)는 데이타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 1 데이타 중에서 입력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타를 기초로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흘수-연료소비량 맵은 X축은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Y축은 선미 흘수를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X축은 선미 흘수, Y축은 선수 흘수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흘수-연료소비량 맵에서 X축 값과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연료소비량이 표시된다. 흘수-연료소비량 맵의 연료소비량은 색깔 또는 명함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소비량이 크면 해당 영역이 진한 색깔 또는 낮은 명도로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흘수-연료소비량 맵의 연료소비량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소비량이 크면 해당 영역은 큰 숫자로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배수량 별로 순차적으로 배열한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맵 생성부(150)는 도 3에 도시된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배수량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계획 배수량이 각각 100k-110k MT, 110k-120k MT, 120k-130k MT, 130k-140k MT일 때 맵 생성부(150)는 도 4와 같은 각 계획 배수량 별로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한다.
맵 생성부(150)는 도 4와 같은 배수량 별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알피엠 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계획 알피엠이 도 2와 같이 저속, 중속, 고속 구간일 때, 맵 생성부(150)는 각 구간 별로 도 4와 같은 배수량 별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배수량 산출부(120), 데이타 생성부(130), 맵 생성부(150)는 마이컴(M)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맵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도 3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은 출력부(160)에서 출력된다. 출력부(160)는 예컨대 모니터 또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유저는 출력부(160)에서 출력된 도 3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보고 최적의 트림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3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에서 연료소비량이 가장 낮은 영역은 명도가 가장 높은 흰색으로 표시된 영역이다. 유저는 연료소비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되는 영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박이 해당 영역의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를 갖도록 트림을 조정한다. 이 경우,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서 연료 소비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화된 트림으로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림 최적화 시스템(200)은 측정부(210), 배수량 산출부(220), 데이타 생성부(230), 입력부(240), 맵 생성부(250) 및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트림 최적화 시스템(200)은 선박에 탑재되어 선박에 최적화된 트림을 제공한다.
측정부(210)는 선박의 알피엠(RPM), 선수 흘수(Fwd draft), 선미 흘수(Aft draft) 및 연료소비량(FOC)을 측정한다. 측정부(210)는 알피엠 측정부(미도시), 흘수 측정부(미도시) 및 연료소비량 측정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나아가 측정부(210)는 선속을 측정한다. 측정부(210)는 선박의 속도를 측정하는 지피에스(GPS)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량 산출부(220)는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수량(Displacement)을 산출한다.
데이타 생성부(230)는,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측정부(210)의 측정값과 배수량 산출부(220)의 산출값을 수집하고, 알피엠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 및 알피엠 및 선속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선속에 대한 제 2 데이타를 생성한다. 제 2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 1 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입력부(240)는 유저가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을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맵 생성부(250)는 데이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 1 데이타를 기초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한다. 맵 생성부(250)는 데이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 1 데이타 중에서 입력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타를 기초로 도 3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한다.
나아가 맵 생성부(250)는 데이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 2 데이타를 기초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선속 맵을 생성한다. 맵 생성부(250)는 데이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 2 데이타 중에서 입력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선속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타를 기초로 흘수-선속 맵을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흘수-선속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흘수-선속 맵은 X축은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Y축은 선미 흘수를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X축은 선미 흘수 Y축은 선수 흘수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흘수-선속 맵에서 X축 값과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선속이 표시된다. 흘수-선속 맵의 선속은 색깔 또는 명함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선속이 크면 해당 영역이 진한 색깔 또는 낮은 명도로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흘수-선속 맵의 선속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선속이 크면 해양 영역은 큰 숫자로 표시된다.
도 6과 같은 흘수-선속 맵은 알피엠 및 배수량 별로 여러 개 생성될 수 있다.
배수량 산출부(220), 데이타 생성부(230), 맵 생성부(250)는 마이컴(M)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맵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도 3 및 도 6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 및 흘수-선속 맵은 출력부(260)에서 출력된다. 유저는 출력부(260)에서 출력된 흘수-연료소비량 맵 및 흘수-선속 맵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트림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3과 같은 흘수-연료소비량 맵에서 연료소비량이 낮은 영역 중 도 6과 같은 흘수-선속 맵에서 유저가 원하는 선속을 갖는 영역과 일치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트림을 조정한다. 이 경우,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 조건에서 연료소비량 뿐만 아니라 선속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트림으로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계획 선속 범위를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계획 선속은 선박의 운용을 위해 계획 중인 선속을 의미한다. 계획 선속은 특정 값을 가지거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계획 선속은 16.5 kont 이거나 16-17 knot일 수 있다.
계획 선속은 계획 알피엠과 선박의 사양에서 정의된 알피엠-선속 커브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엔진의 상태와 해상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선박의 추진성능이 외력 조건과 엔진의 성능저하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에 기인한다.
유저가 입력부(240)를 통해 계획 선속을 입력하면, 맵 생성부(250)는 흘수-선속 맵에 도6과 같이 입력된 계획 선속을 만족하는 제 1 영역(A1)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영역(A1)이 표시된 흘수-선속 맵은 출력부(260)에 의해 출력되고, 유저는 출력된 흘수-선속 맵을 통해 계획 선속을 만족하는 영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맵 생성부(250)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에 도 6의 흘수-선속 맵의 제 1 영역(A1)과 대응하는 제 2 영역(A2)을 도 7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흘수-연료소비량 맵에 제 2 영역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제 2 영역(A2)이 표시된 흘수-연료소비량 맵은 출력부(260)에 의해 출력되고, 유저는 계획 선속이 표시된 제 2 영역(A2) 안에서 연료소비량이 최소인 영역을 선택하고 선박이 해당 영역의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를 갖도록 트림을 조정한다. 이 경우,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 및 계획 선속에서 연료소비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화된 트림을 신속하고 쉽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림 최적화 시스템(100, 200)은 소정의 기간 동안 선박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타를 근거로 최적의 트림을 도출할 수 있어 선박에 정확한 최적화 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트림 최적화 시스템 110, 210 : 측정부
120, 220 : 배수량 산출부 130, 230 : 데이타 생성부
140, 240 : 입력부 150, 250 : 맵 생성부
160, 260 : 출력부

Claims (6)

  1. 선박의 트림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의 알피엠(RPM), 선수 흘수(Fwd draft), 선미 흘수(Aft draft) 및 연료소비량(FOC)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선수 흘수 및 선미 흘수에 대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수량을 산출하는 배수량 산출부;
    상기 선박을 소정의 기간 동안 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배수량 산출부의 산출값을 수집하고, 알피엠 및 배수량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연료소비량에 대한 제 1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생성부; 및
    상기 제 1 데이타를 기초로, 입력된 계획 알피엠 및 계획 배수량에 대응하는 흘수-연료소비량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선속을 측정하고,
    상기 데이타 생성부는,
    알피엠 및 선속에 따른 선수 흘수, 선미 흘수 및 선속에 대한 제 2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제 2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계획 알피엠 및 상기 계획 배수량에 따른 흘수-선속 맵을 생성하고, 상기 흘수-선속 맵에 입력된 계획 선속을 만족하는 제 1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흘수-연료소비량 맵에 상기 제 1 영역과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표시하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연료소비량 맵은,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는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선미 흘수를 나타내며,
    상기 X축 값과 상기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연료소비량이 표시되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선속 맵은,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는 선수 흘수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선미 흘수를 나타내며,
    상기 X축 값 및 상기 Y축 값이 교차하는 영역에 연료소비량이 표시되는, 트림 최적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18405A 2013-10-04 2013-10-04 트림 최적화 시스템 KR10154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5A KR101540260B1 (ko) 2013-10-04 2013-10-04 트림 최적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5A KR101540260B1 (ko) 2013-10-04 2013-10-04 트림 최적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2A KR20150039962A (ko) 2015-04-14
KR101540260B1 true KR101540260B1 (ko) 2015-07-29

Family

ID=5303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405A KR101540260B1 (ko) 2013-10-04 2013-10-04 트림 최적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1399B (zh) * 2021-08-05 2024-04-26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船舶吃水及海水密度测量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JP2005306265A (ja) * 2004-04-23 2005-11-04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航海システム
KR101297596B1 (ko) * 2013-02-26 2013-08-19 주식회사 텍크마린 선박의 운항자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JP2005306265A (ja) * 2004-04-23 2005-11-04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航海システム
KR101297596B1 (ko) * 2013-02-26 2013-08-19 주식회사 텍크마린 선박의 운항자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fan Petursson, 'Predicting Optimal Trim Configuration of Marine Vessels with respect to Fuel Usage', Iceland 대학 박사학위 논문, 2009.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2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 Three-Dimensional Dijkstra's algorithm for multi-objective ship voyage optimization
Simonsen et al. EFD and CFD for KCS heaving and pitching in regular head waves
EP3330171A2 (en) Apparatus for predicting a power consumption of a maritime vessel
Liu et al. Impacts of the rudder profile on manoeuvring performance of ships
JP2015526778A (ja) シップの性能を予測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Lang et al. A semi-empirical model for ship speed loss prediction at head sea and its validation by full-scale measurements
US112925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operation of vessel
JP7378151B2 (ja) 船舶の実海域推進性能評価方法、実海域推進性能評価プログラム、及び実海域推進性能評価システム
JP2020158072A (ja) データ同化による船舶性能推定方法及び船舶性能推定システム
JP7114228B2 (ja) 船舶性能解析システム
Dalheim et al. Uncertainty in the real-time estimation of ship speed through water
JP6189278B2 (ja) 主機負荷配分算出装置及び主機負荷配分算出方法
JP6970545B2 (ja) 船舶性能解析システムおよび船舶性能解析方法
KR101540260B1 (ko) 트림 최적화 시스템
EP2093552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peller efficiency on board of a ship
KR102052814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JP7460090B2 (ja) 船舶の主機モニタリング方法、主機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主機状態予測システム、及び運航状況予測システム
JP7189764B2 (ja) 船舶性能推定装置及び船舶性能推定プログラム
JP5699246B1 (ja) 配船支援装置、配船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846896B2 (ja) 船舶の推進性能の解析
JP6282753B2 (ja) 推定値算出装置、推定値算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249974B1 (ko) 연료소비율 산출 시스템 및 방법
Lim et al. Holistic energy mapping methodology for reduced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Indiaryanto et al. Design and Hydrodynamic Model Test of Mini Submarine Propeller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Cavitation
KR20220112875A (ko) 디지털 트윈 선박 통합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