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65B1 -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65B1
KR101540065B1 KR1020140057690A KR20140057690A KR101540065B1 KR 101540065 B1 KR101540065 B1 KR 101540065B1 KR 1020140057690 A KR1020140057690 A KR 1020140057690A KR 20140057690 A KR20140057690 A KR 20140057690A KR 101540065 B1 KR101540065 B1 KR 10154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junction box
groove portion
cell module
cell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공
노정환
강칠세
Original Assignee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65B1/ko
Priority to PCT/KR2014/005513 priority patent/WO20151745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정션 박스;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전선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집전(集電)하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다방향 배치되되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MULTI-LATERAL LIGHTING SYSTEM FOR GENERATING SOLAR POWER WITH HIGH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 면적 공간이 매우 적은 해상 환경에 특화된 다면 채광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평판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육지와 같이 고정된 장소와 충분한 넓은 면적에서 일정한 수광 각도와 채광 포획이 유지될 때 높은 발전 효율을 갖는다. 그러나, 발전 면적 공간이 없는 해상 환경에서는 태양의 위치, 바람 및 파도의 세기 등의 기상 변화에 따른 영향 및 롤링과 피칭, 회전에 따른 채광 각도 상실 영향으로 인해 기존 단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효율이 발전 용량 설비의 연평균 약 60% 극감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해상 환경에서의 거센 바람, 파도 등의 충격에 매우 약한 구조로 설계되어 그 내구성과 안정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6684 (2011.03.2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전 면적 공간이 매우 적은 해상 환경에서 기존 태양광 발전 시스템보다 500% 이상 고효율 발전 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분한 소비 전력, 발전 전력 확보와 안정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분한 발전 전력 확보로 시스템 수행을 극대화시켜 축전지 수명을 500% 이상 늘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정션 박스;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전선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집전(集電)하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다방향 배치되되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정션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 1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정션 박스의 제 1 홈부와 상기 정션 박스와 인접한 정션 박스의 제 2 홈부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 상기 제 2 홈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3 홈부가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정션 박스의 제 3 홈부와 상기 정션 박스와 인접한 정션 박스의 제 3 홈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에는 제 4 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 2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제 4 홈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 3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홈부와 상기 제 3 돌출부 사이에는, 패킹 재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재료는, 고무, 합성 수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일면에는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내측 방향으로 제 4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4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 5 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에서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한 태양 전지 모듈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전류를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부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전선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단자; 및 상기 도전성 단자 사이에서 상기 전선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로 보내거나 외부 조명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는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각각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집전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 및 상기 정션 박스는, 등부표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횡 프레임 및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횡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횡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을 상기 태양 전지 모듈과 연결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제 1 횡 프레임과 상기 제 2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종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바람, 해수 및 빗물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태양 전지 표면의 온도를 내려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를 통해 정션 박스를 완벽하게 밀폐시킴으로써, 해상 환경에서 전선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버를 통해 인접한 정션 박스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션 박스의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션 박스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전한 전기 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태양 전지 모듈이 배치되기 전 상태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8의 정션 박스,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8의 정션 박스,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의 정션 박스,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2)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태양광 전지 모듈이 배치되기 전 상태의 프레임(206)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태양 전지 모듈(102),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 축전부(106), 제어부(108), 차단부(110)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 모듈(102)은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202)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 모듈(102)은 예를 들어, 16개의 태양 전지(202)를 포함하며, 이들 태양 전지(202)는 태양 전지 모듈(102)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태양 전지(202) 각각은 전선(204)을 통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태양 전지(202)는 태양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플렉시블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결정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형 크기의 태양 전지(202) 복수 개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바람, 해수 등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크기의 태양 전지(202)를 사용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102)을 최대한 곡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개별 태양 전지(202)의 크기는 예를 들어, 52mm × 52㎜ 일 수 있으며, 개별 태양 전지 모듈(102)의 크기는 예를 들어, 65mm × 878㎜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태양 전지(202) 및 태양 전지 모듈(102)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102)은 축전부(108) 등의 상태에 따라 DC 16V, DC 24V, DC 48V 세 종류의 발전 전압을 선택하는 가변형 태양 전지 모듈(102)일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102)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다방향 배치되되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사이에 빈 공간(S)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202)는 온도가 1℃ 오를 때마다 출력이 0.5% 감소한다. 또한, 바다 등의 해상 환경에서는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 구조물(태양 전지 모듈(102), 태양 전지(204), 프레임(206) 등)에 파손이 발생하기가 쉽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 해수 및 빗물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사이에 빈 공간(S)이 형성되도록 태양 전지 모듈(102)을 배치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모듈(102)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360도 어느 각도에서도 태양광을 수집할 수 있도록 배치되되, 인접한 태양 전지 모듈(102) 사이에 빈 공간(S)이 형성되어 해수 및 빗물이 잘 빠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통풍 구조는 바람 및 파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며 태양 전지(202) 표면의 온도를 내려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경우 육지에서 발전 전력이 약 160W × 3.6 = 576 W 이며, 발전 면적 공간이 매우 적은 해상 환경에서는 발전 전력이 약 약 160W × 3.6 × 0.4(효율) = 230.4W 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의 경우, 태양 전지 모듈(102)이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약 360W × 3.6 = 1,296 W 의 발전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102)은 등부표(15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모듈(102)은 다방향 구조로 형성되므로, 등부표(150)가 해수에 의해 롤링 및 피칭하더라도 태양의 이동 궤적에 따른 일조 수광면과 채광 각도를 상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양의 이동 궤적에 관계 없이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6)은 복수 개의 횡 프레임(206-1, 206-2) 및 종 프레임(20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횡 프레임(206-1)은 태양 전지 모듈(102)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이며, 제 2 횡 프레임(206-2)은 태양 전지 모듈(102)의 타측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 1 횡 프레임(206-1)의 직경은 제 2 횡 프레임(206-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 전지 모듈(10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술한 빈 공간(S)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제 2 횡 프레임(206-2)의 내부에는 전선(204)이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횡 프레임(206-2)은 내부에 전선(204)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전선(204)을 태양 전지 모듈(102)과 연결시키는 배출구(4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204)은 배출구(408)를 통해 태양 전지 모듈(10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선(204)이 제 2 횡 프레임(206-2)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해수, 파도, 바람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종 프레임(206-3)은 횡 프레임(206-1, 206-2)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종 프레임(206-3)은 제 1 횡 프레임(206-1)과 제 2 횡 프레임(206-2)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8개의 종 프레임(206-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종 프레임(206-3)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횡 프레임(206-1, 206-2) 및 종 프레임(206-3)은 내식성, 내부식성, 내충격성 등이 좋은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는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집전(集電)한다.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각각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집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은 그룹핑되어 전선(204)을 통해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우측 4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의 그룹은 우측의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연결되며, 좌측 4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의 그룹은 좌측의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48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이 6개씩 8개 그룹으로 이루어져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룹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102) 각각은 전선(204)을 통해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각각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집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108)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전한 전기 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중 특정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발전이 미비하거나 발전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정상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집전하여 에너지 수집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에는 블로킹 다이오드가 접속할 수 있다. 블로킹 다이오드(미도시)는 축전부(106)로의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모듈(102)의 후면 또는 정션 박스(40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로킹 다이오드는 다병렬 회로에서 각 회로간 순환 전력을 차단시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접속할 수 있다.
축전부(106)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부(106)는 예를 들어, 12V/100AH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축전부(106)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축전부(106)의 용량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전부(106)는 다양한 크기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104)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축전부(106)로 보내거나 외부 조명부(152)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52)는 예를 들어, 등명기의 LED일 수 있다. 즉, 제어부(108)는 축전부(106)의 전기 에너지를 필요에 따라 충전 및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8)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8)는 48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중 우측 24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축전지(106)로 보내고 나머지 좌측 24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조명부(152)로 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8)는 특정 태양 전지 모듈(102)의 전기 에너지만을 조명부(152)로 보낼 수도 있다.
제어부(108)는 예를 들어,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MPPT 방식이란 최대 전력점 추적 제어 방식으로서, 내장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최대 발전 전력 포인트를 계산한 후 이를 계속 추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80W의 태양 전지(202)에서 셀 온도가 25℃, DC 18V 전압을 발생하고 있을 때 4.45A의 전류가 흐른다고 가정하자. 종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방식에 따르면, 태양 전지(202)에 과도한 전력 소모의 축전지를 접속하였을 때 태양 전지(202)의 동작점은 축전지 전압과 거의 동일한 DC 12V가 되며 4.45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태양 전지(202)의 동작 전압은 본래의 최대 전력점 전압 DC 18V가 아니고 이보다 훨씬 낮은 DC 12V에 고정되므로 12V × 4.45A = 53W의 출력 전력만이 축전지에 충전되어 많은 손실을 보게 된다. 그러나, MPPT 제어 방식의 경우 태양 전지(202)의 높은 전압에도 불구하고 손실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MPPT 방식에 의해 얻은 최대 전력, 예를 들어, 80W는 스위칭 DC-DC 변환 장치(미도시)로 보내지며, 이때의 입력 전압은 축전부(108) 전압보다 약간 높은 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전력은 예를 들어, 80W로 보존되며 전류는 6.67A로 증폭된다. 2.22A(6.67-4.45)의 충전 전력 증폭량과 관련하여, 12V × 2.22A = 27W의 전력이 전류의 변환된 형태로 보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PPT 제어 방식에 의해 태양광 충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차단부(110)는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과방전 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52)로 보내지는 방전 전압이 15V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부(110)는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전압으로 인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11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차단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축전부(106)로의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 다이오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블로킹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모듈(102)의 후면 또는 정션 박스(40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로킹 다이오드는 다병렬 회로에서 각 회로간 순환 전력을 차단시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2)을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2)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모듈 사이의 빈 공간(S)에는 정션 박스(402)가 형성될 수 있다. 정션 박스(402)는 태양 전지(202)와 연결되는 전선(204)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복수 개 형성된다. 관통홀을 통과한 전선(204)은 배출구(408)를 통해 제 2 횡 프레임(206-2)의 내부로 연결된다. 이때, 제 1 커버(404)는 정션 박스(402)의 제 1 면과 결합되어 제 1 면을 밀폐시키며, 제 2 커버(406)는 정션 박스(402)의 제 2 면과 결합되어 제 2 면을 밀폐시킨다. 이에 따라, 정션 박스(402) 내부의 전선(204)은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204)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션 박스(402)는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의 상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4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은 도 6에 표시된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서 태양 전지 모듈(102)의 전면(태양광을 수광하는 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은 도 6에 표시된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서 태양 전지 모듈(102)의 후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과 동일한 방향의 일면에는 태양 전지(202)와 연결되는 전선(204)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606)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전선(204)은 관통홀(606)을 통과하여 각 태양 전지 모듈(102)의 태양 전지(202)와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606)에 인입된 전선(204)은 태양 전지 모듈(102)과 연결된 후 관통홀(606)을 통해 다시 인출되며, 인출된 전선(204)은 인접한 정션 박스(402)의 관통홀(606)에 인입된다.
한편, 정션 박스(402)는 관통홀(606) 입구에서 전선(204)과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한 태양 전지 모듈(102)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전선(204)의 전류를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바이패스부(6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608)는 복수 개의 관통홀(606)을 관통하는 전선(204)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단자(608-1), 및 도전성 단자(608-1) 사이에서 전선(204)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60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태양 전지 모듈(102)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발전이 어려운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608-2)는 도전성 단자(608-1)를 통해 전선(204)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이상이 발생한 태양 전지 모듈(102)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전선(204)의 전류는 바이패스부(608)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태양 전지 모듈(102)을 건너뛰고 인접한 다른 태양 전지 모듈(102)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중 특정 태양 전지 모듈(102)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발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태양 전지 모듈(102)에서 정상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집전하여 에너지 수집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608-2)는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모듈(102)에 역전압이 걸렸을 때 태양 전지 모듈(102)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류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402)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402)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8의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406)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에는 제 1 홈부(702), 제 2 홈부(704), 제 3 홈부(706) 및 제 5 홈부(7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에는 제 4 홈부(7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홈부(702) 내지 제 5 홈부(710)는 제 1 커버(404), 제 2 커버(406) 또는 태양 전지 모듈(102)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커버(404)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2) 사이의 빈 공간(S)에서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인접한 정션 박스(402)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에는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태양 전지 모듈(10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는 예를 들어,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정션 박스(402)가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경우, 일 정션 박스(402)의 제 1 홈부(702)는 인접한 다른 정션 박스(402)의 제 2 홈부(704)와 가까워지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커버(404)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80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802) 중 하나는 정션 박스(402)의 제 1 홈부(70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인접한 정션 박스(402)의 제 2 홈부(70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접한 복수 개의 정션 박스(402) 각각이 별도의 접착제 없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802)는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802),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는 제 1 돌출부(802)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돌출부(802)가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에 삽입될수록 제 1 커버(404)가 점차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3 홈부(706)가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커버(404)의 내측면에는 정션 박스(402)의 제 3 홈부(706)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돌출부(8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홈부(706) 각각은, 복수 개의 정션 박스(402)가 서로 인접함에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돌출부(804)는 복수 개의 인접한 정션 박스(402)의 제 3 홈부(706)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한 정션 박스(402)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제 3 홈부(706)는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정션 박스(402)들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홈부(702) 내지 제 3 홈부(706) 및 제 1 돌출부(802) 내지 제 2 돌출부(804) 간의 결합으로 인해, 제 1 커버(404)는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을 완벽하게 밀폐시킴과 동시에 인접한 정션 박스(402)를 견고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아닌 끼움 방식을 통해 인접한 정션 박스(402) 각각을 결합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정션 박스(402)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태양 전지 모듈(102)의 개수에 따라 정션 박스(402)의 개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정션 박스(402)를 결합시키는 경우보다 훨씬 간편하며,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여기서 도시된 제 1 홈부(702) 내지 제 3 홈부(706) 및 제 1 돌출부(802) 내지 제 2 돌출부(804)의 형상 및 형성 위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들 형상 및 형성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커버(406)는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을 밀폐시킨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에는 제 4 홈부(708)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 4 홈부(808)는 예를 들어,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와 수직한 방향(또는 제 2 횡 프레임(206-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커버(406)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 3 돌출부(80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돌출부(806)는 제 4 홈부(708)에 삽입될 수 있다. 제 3 돌출부(806)는 제 4 홈부(708)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4 홈부(808)가 제 1 홈부(702) 및 제 2 홈부(704)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정션 박스(402)는 제 2 커버(406)에 의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 3 돌출부(806)와 제 4 홈부(708) 사이에는 패킹 재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킹 재료는 예를 들어, 고무, 합성 수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돌출부(806)와 제 4 홈부(708) 사이에 패킹 재료가 형성됨으로써, 제 3 돌출부(806)가 제 4 홈부(708)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제 3 돌출부(806)와 제 4 홈부(708)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커버(406)가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과 정션 박스(402)의 내측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태양 전지 모듈(102)의 일면(후면)에는 태양 전지 모듈(102)의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 4 돌출부(808)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4 돌출부(808)는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모듈(102)의 일면 가장자리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 4 돌출부(808)는 정션 박스(40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5 홈부(71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제 4 돌출부(808) 및 제 5 홈부(710)는 제 4 돌출부(808)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돌출부(808)가 제 5 홈부(710)에 삽입될수록 태양 전지 모듈(102)이 점차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제 4 돌출부(808)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4 돌출부(808)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는 제 4 돌출부(808)가 태양 전지 모듈(102)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4 돌출부(808)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션 박스(402)는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폐 구조는 정션 박스(402)의 방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상 환경에서 이러한 밀폐 구조는 전선(204)의 산화를 방지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는 끼움 방식으로 정션 박스(402)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람 및 파도에 의한 충격을 견딜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부 및 홈부에 의해 정션 박스(402)가 밀폐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2) 및 정션 박스(402)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며 안정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션 박스(402)와 제 1 커버(404)의 사이 및 정션 박스(402)와 제 2 커버(406)의 사이에 접착제를 부착하여 그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정션 박스(402), 제 1 커버(404) 및 제 2 커버(406)는 태양 전지 모듈(102)의 타측부에서 빈 공간(S)을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으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2 : 태양 전지 모듈
104 :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
106 : 축전부
108 : 제어부
110 : 차단부
150 : 등부표
152 : 조명부
202 : 태양 전지
204 : 전선
206 : 프레임
206-1, 206-2 : 횡 프레임
206-3 : 종 프레임
402 : 정션 박스
404 : 제 1 커버
406 : 제 2 커버
408 : 배출구
606 : 관통홀
608 : 바이패스부
608-1 : 도전성 단자
608-2 : 바이패스 다이오드
702 : 제 1 홈부
704 : 제 2 홈부
706 : 제 3 홈부
708 : 제 4 홈부
710 : 제 5 홈부
802 : 제 1 돌출부
804 : 제 2 돌출부
806 : 제 3 돌출부
808 : 제 4 돌출부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정션 박스;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전선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집전(集電)하는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다방향 배치되되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제 1 커버가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정션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정션 박스의 제 1 홈부와 상기 정션 박스와 인접한 정션 박스의 제 2 홈부에 각각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 상기 제 2 홈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3 홈부가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정션 박스의 제 3 홈부와 상기 정션 박스와 인접한 정션 박스의 제 3 홈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돌출부가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을 밀폐시키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내측면에는 제 4 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 2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제 4 홈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 3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홈부와 상기 제 3 돌출부 사이에는, 패킹 재료가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킹 재료는, 고무, 합성 수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일면에는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내측 방향으로 제 4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정션 박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4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 5 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에서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한 태양 전지 모듈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전류를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전선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단자; 및
    상기 도전성 단자 사이에서 상기 전선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에서 집전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로 보내거나 외부 조명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다병렬 수집 및 블로킹 다이오드 접속부는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 각각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집전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 및 상기 정션 박스는, 등부표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횡 프레임 및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횡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2 횡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을 상기 태양 전지 모듈과 연결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 프레임과 상기 제 2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종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40057690A 2014-05-14 2014-05-14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4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90A KR101540065B1 (ko) 2014-05-14 2014-05-14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PCT/KR2014/005513 WO2015174574A1 (ko) 2014-05-14 2014-06-23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90A KR101540065B1 (ko) 2014-05-14 2014-05-14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065B1 true KR101540065B1 (ko) 2015-07-28

Family

ID=5387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90A KR101540065B1 (ko) 2014-05-14 2014-05-14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0065B1 (ko)
WO (1) WO201517457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38B1 (ko) * 2008-11-17 2012-02-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구비한 차양장치
KR101116995B1 (ko) * 2010-09-01 2012-03-07 오대국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1088A (ko) * 2011-04-26 2012-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KR20130015079A (ko) * 2011-08-02 2013-02-13 오명공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 및 무소음 풍력터빈 발전 동력구동 반잠수정 수상펜션요트와 정박계류장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039U (ko) * 2010-08-04 2012-02-14 이동헌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38B1 (ko) * 2008-11-17 2012-02-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구비한 차양장치
KR101116995B1 (ko) * 2010-09-01 2012-03-07 오대국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1088A (ko) * 2011-04-26 2012-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KR20130015079A (ko) * 2011-08-02 2013-02-13 오명공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 및 무소음 풍력터빈 발전 동력구동 반잠수정 수상펜션요트와 정박계류장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4574A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573B2 (en) Photovoltaic module
US10033327B2 (en)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with 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US8887453B2 (en) Supporting structure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US20160301360A1 (en) Photovoltaic module
US20110181233A1 (en) Solar cell power supply device and rechargeable battery solar charging method
US20020066539A1 (en) Sun shield for vehicles
EP0332004A2 (en) Light-rechargeable battery
EP2355291A2 (en) Modular electric power system with a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170331425A1 (en) Portable photovoltaic system
KR101078772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JP2000089841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704588B1 (ko)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JPH0951118A (ja) シート状太陽電池
KR102643801B1 (ko) 태양광 모듈, 트렁크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시스템
KR101540065B1 (ko)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8482246B2 (en) Customized shading devices including photovoltaic properties
WO2014006461A1 (en) An ac solar panel system
JP2015522215A (ja) バイパスダイオードがない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0742165B2 (en) Bypass mechanisms for energy generation systems
JP2017127173A (ja) 蓄電装置
KR102237579B1 (ko) 창호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의 설치공법
KR101788013B1 (ko) 태양광 모듈
GB2453606A (en) Solar power source
CN106998094A (zh) 一种高效太阳能储能装置
US11264945B2 (en) Verta solar su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