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088A - 태양광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088A
KR20120121088A KR1020110038842A KR20110038842A KR20120121088A KR 20120121088 A KR20120121088 A KR 20120121088A KR 1020110038842 A KR1020110038842 A KR 1020110038842A KR 20110038842 A KR20110038842 A KR 20110038842A KR 20120121088 A KR20120121088 A KR 2012012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junction box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376B1 (ko
Inventor
문현록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76B1/ko
Priority to EP12002926.9A priority patent/EP2518775B1/en
Priority to US13/455,731 priority patent/US9000714B2/en
Publication of KR2012012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088A/ko
Priority to US14/642,714 priority patent/US95775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module bus-b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bypass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와,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과 정션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정션 박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정션 박스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된 정션 박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한편,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가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며, 태양광 모듈은 태양전지가 생산한 전기를 모으는 정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모듈 내에서 정션 박스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된 정션 박스 내에 직류 전원 레벨 변환을 수행하는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와,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과 정션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정션 박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와, 정션 박스에 부착되어, 정션 박스와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태양전지 모듈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와, 정션 박스와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되어, 플레이트와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방열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션 박스에 형성된 개구부와 풀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태양광 모듈 내에서 정션 박스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션 박스와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의 개구부와 태양전지 모듈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태양광 모듈 내에서 정션 박스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션 박스 내에 직류 전원 레벨 변환을 수행하는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경우, 태양광 모듈에서 레벨 변화된 직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컨버터부 내의 회로 소자 소손시, 결합부재에 의한 착탈 구조로 인해, 정션 박스이 용이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통해, 정션 박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방열부재를 통해, 정션 박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2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Ⅰ-Ⅰ'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I-I'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I-I'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구성의 일예이다.
도 13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 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다른예이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파워 옵티마이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의 일예이며, 도 3은 도 1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 정션 박스(200), 태양전지 모듈(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태양전지 모듈(100)과 정션 박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과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복수의 태양전지(130)의 하면과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40), 제1 밀봉재(1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기판(110) 및 제2 밀봉재(14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면 기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130)는, 태양전지(130)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등일 수 있다.
태양전지(130)는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과 수광면의 반대측인 이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130)는, 제1 도전형의 실리콘 기판과,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에 접촉하는 전면전극과, 상기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태양전지(130)는,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태양 전지(130)는, 리본(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본(133)은, 태양전지(130)의 수광면 상에 형성된 전면 전극과, 인접한 다른 태양전지(130)의 이면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집전 전극에 접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리본(133)이 2줄로 형성되고, 이 리본(133)에 의해, 태양전지(130)가 일렬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스트링(140)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6개의 스트링(140a,140b,140c,140d,140e,140f)이 형성되고, 각 스트링은 10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각 태양전지 스트링은, 버스 리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145a,145c,145e)에 의해, 각각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과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이,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과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이,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과 제6 태양전지 스트링(140f)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145b,145d)에 의해, 각각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과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이,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과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 버스 리본(145b,145d), 및 제4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은, 각각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정션 박스(200) 내의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Dd)와의 접속된다. 도면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태양전지 모듈(100) 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한다.
후면 기판(110)은, 백시트로서,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며, TPT(Tedlar/PET/Tedlar)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서는 후면 기판(110)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태양전지 모듈(100)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110) 상에는 제1 밀봉재(120)가 후면 기판(110)과 동일한 크기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밀봉재(120) 상에는 복수의 태양전지(130)가 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40)는, 태양전지(130) 상에 위치하여 제1 밀봉재(120)와 라미네이션(Lamination)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40)는, 태양전지의 각 요소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40)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 (Ethylene Vinyl Acetate;EVA) 필름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전면 기판(160)은, 태양광을 투과하도록 제2 밀봉재(140) 상에 위치하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태양전지(130)를 보호하기 위해 강화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태양광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철분이 적게 들어간 저철분 강화유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상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류 전원의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도 13의 10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스트링들 간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200)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도 13의 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도 13의 10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200)는, 적어도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와, dc/dc 컨버터부(도 13의 10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도 14 또는 도 15의 태양광 시스템과 같이, 각 태양 전지 모듈(100)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션 박스(200) 내의 회로 소자가 증가함에 따라, 회로 소자의 일부 소손이 발생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형성된 태양광 모듈(5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정션 박스(200)와 태양전지 모듈(1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정션 박스(200)와 태양전지 모듈(100)이 용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한편, 정션 박스(200) 내의, 회로 소자들의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해, 정션 박스 내부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수분 침투 방지용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정션 박스(200)에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술한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정션 박스 내의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Dd)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정션 박스(200)의 동작시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Dd) 등으로부터 고열이 발생하는데, 발생된 열은 정션 박스(200)가 부착된 위치에 배열된 특정의 태양전지(130)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과 정션 박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정션 박스(160)의 일 측면에는, 전력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2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을 A-A'를 따라 절취하면, 도 4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후면 기판(110) 상에,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는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300)의 단부(테두리)와 태양전지 모듈(100)의 접촉면이 접착부재(213)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접착부재(213)가 플레이트(300)와 태양전지 모듈(100) 사이에 도포되어, 접착부재(213)와 태양전지 모듈(100)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접착부재(213)로,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를 플레이트(300)에 부착시키기 위해, 플레이트(300)의 단면적은, 정션 박스(200)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되도록, 정션 박스(200), 특히 정션 박스(200)의 하면(207)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개구부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된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위치가, 정션 박스(200)의 하면에 4개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그 개수의 가변도 가능하다.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는, 도면과 같이,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결합홈에 대해, 도면 번호로 명시하지 않았으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단부가, 플레이트(300)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4의 플레이트(300)는, 정션 박스(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를 플레이트(300)와, 결합시킴으로써, 정션 박스(200)와 플레이트(3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2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을 A-A'를 따라 절취하면, 도 5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후면 기판(110) 상에, 방열부재(400),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와 비교하여, 태양전지 모듈(100)과 플레이트(300) 사이에 방열부재(400)가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방열 부재(400)의 단면적은, 플레이트(300)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전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방열부재(400)는 열 전도도가 좋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레이트(300)의 단부(테두리)와 방열부재(400)의 접촉면이 접착부재(213)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접착부재(213)가 플레이트(300)와 방열부재(400) 사이에 도포되어, 접착부재(213)와 태양전지 모듈(100)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접착부재(213)가 방열부재(400)와 태양전지 모듈(100) 사이에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와 플레이트(300)를 결합시킴으로써, 정션 박스(200)를 플레이트(3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과 달리, 복수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되도록, 정션 박스(200)의 하면(207)에 형성되는 개구부 외에, 플레이트(300)에도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은, 방열부재(4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은, 도 2의 태양광 모듈과 달리, 정션 박스(200)의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 태양전지 모듈(100)의 일면에 위치하는 정션 박스(200), 정션 박스(200)애 부착되어, 태양전지 모듈(100)과 정션 박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00), 및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태양전지 모듈(10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과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Ⅰ-Ⅰ'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6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을 I-I'를 따라 절취하면, 도 7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후면 기판(110) 상에,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션 박스(200)의 바닥면과 플레이트(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부착시키기 위해, 플레이트(300)의 단면적은, 정션 박스(200)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되도록, 플레이트(300)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개구부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된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위치가, 정션 박스(200)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그 개수의 가변도 가능하다.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는, 도면과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결합홈에 대해, 도면 번호로 명시하지 않았으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단부가, 태양전지 모듈(100) 중 후면 기판(110)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100)은, 결합홈이, 도면과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중 후면 기판(110)에만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태양 전지(1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7의 플레이트(300)는, 정션 박스(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에 부착된 플레이트(300)를 태양전지 모듈(100)과, 결합시킴으로써, 정션 박스(200)와 플레이트(3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I-I'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을 I-I'를 따라 절취하면, 도 8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후면 기판(110) 상에, 방열부재(400),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와 비교하여, 태양전지 모듈(100)과 플레이트(300) 사이에 방열부재(400)가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면, 복수의 결합부재(350a,350b,350c,350d)가 결합되도록, 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 외에, 방열부재(400)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부재(4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의 위치는, 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방열 부재(400)의 단면적은, 플레이트(300)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전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방열부재(400)는 열 전도도가 좋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와 같이, 도 8은,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단부가, 태양전지 모듈(100) 중 후면 기판(110)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태양 전지(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에 부착된 플레이트(300) 및 플레이트에(300)에 부착된 방열부재(400)를, 태양전지 모듈(100)과, 결합시킴으로써, 정션 박스(200), 플레이트(300), 방열부재(4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6의 태양광 모듈 배면을 I-I'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을 I-I'를 따라 절취하면, 도 9과 같이,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후면 기판(110) 상에, 방열부재(400), 플레이트(300), 및 정션 박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와 비교하여, 결합부재(350a,350b,350c,350d)의 단부가, 태양전지 모듈(100) 중 방열부재(400)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결합홈이 태양전지 모듈(100)의 후면 기판(100)이 아닌, 방열부재(400)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방열부재(400)와 태양전지 모듈(100), 특히 태양전지 모듈(100)의 후면 기판(100)은, 접착제의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도 9의 구조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100) 자체에 결합홈이 생기지 않으므로, 태양 전지(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결합부재(350a,350b,350c,350d)를 이용하여, 정션 박스(200)에 부착된 플레이트(3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부착된 방열부재(400)와, 결합시킴으로써, 정션 박스(200), 플레이트(300)를 태양전지 모듈(1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0 및 도 11의 태양광 모듈(50)은, 도 1 내지 도 6의 태양광 모듈(50)과 유사하나, 버스 리본의 위치 및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이, 도 1 내지 도 6의 태양광 모듈(50)과 정반대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245a,245c,245e)에 의해, 각각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과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이,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과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이,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과 제6 태양전지 스트링(140f)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245b,245d)에 의해, 각각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과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이,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과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 버스 리본(245b,245d), 및 제4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은, 각각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235a,235b,235c,23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235a,235b,235c,235d)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정션 박스(200) 내의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Dd)와의 접속된다. 도면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235a,235b,235c,235d)이, 태양전지 모듈(100) 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정션 박스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양단부 중 도전성 라인이 연장되는 단부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235a,235b,235c,235d)이,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므로,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라인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므로,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라인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구성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6개의 태양전지 스트링(140a,140b,140c,140d,140e,140f)에 대응하여,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가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제1 태양전지 스트링과, 제1 버스 리본(145a)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또는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대략 0.6V의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의 애노드 전극의 전위에 비해 캐소드 전극의 전위가 대략 12V(=0.6V*20)가량 더 높게 된다. 즉,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바이패스가 아닌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의 어느 태양 전지에서, 음영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하여, 핫 스팟(hot spot)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한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대략 0.6V의 전압이 아닌, 역전압(대략 -15V)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의 애노드 전극의 전위가 캐소드 전극에 비해 대략 15V 정도 더 높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 내의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정션 박스(200)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일부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역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해당 태양전지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핫 스팟 영역을 제외하고, 생성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바이패스 다이오드(Db)는, 제1 버스 리본(145a)과 제2 버스 리본(145b) 사이에 접속되어,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 또는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 및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
다음, 제3 바이패스 다이오드(Dc)는, 제1 태양전지 스트링과, 제1 버스 리본(145a)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또는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1 태양전지 스트링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
한편, 도 12와 달리, 6개의 태양전지 스트링에 대응하여, 6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3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 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정션 박스(20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부(1010), dc/dc 컨버터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커패시터부(1020), 및 인버터부(1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션 박스(200)가 인버터부(1040)를 제외하고, 바이패스 다이오드부(1010), 커패시터부(1020), 및 dc/dc 컨버터부(1030)를 포함하는 경우, 정션 박스(200)는,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이때, 정션 박스(200)가 파워 옵티마이징(power optimizing)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정션 박스(200)는, 파워 옵티마이저라 명명될 수 있다. 파워 옵티마이징에 대해서는,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정션 박스(200)가 인버터부(1040)까지 포함하는 경우, 정션 박스(200)는, 교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정션 박스(200)는, 마이크로 인버터(micro inverter)라 명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부(1010)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에 각각 대응하는 a 노드 , b 노드, c 노드, d 노드의 각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를 포함한다.
정상동작시, 60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대략 36V(0.6V * 60)일 수 있다. 한편,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가 바이패스 동작을 하는 경우, 60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대략 24V(0.6V * 40)일 수 있다.
커패시터부(102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커패시터(Ca,Cb,Cc)가 병렬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나, 직렬 접속되거나, 직병렬 혼합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dc/dc 컨버터부(1030)는, 커패시터부(102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스위칭 소자(S1)의 턴 온 타이밍 및 변압기(T)의 권선비를 이용한, 플라이 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dc 레벨의 승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 소자(S1)의 턴 온 타이밍 제어를 위한, 컨버터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 외, 커패시터부(1020)에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미도시), 커패시터부(1020)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된 전류 및 전압은, 컨버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되어, 스위칭 소자(S1)의 턴 온 타이밍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S1)의 턴 온 타이밍에 의해, 후술하는 각 태양전지 모듈의 파워 옵티마이징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1030)는, 도면의 플라이백 컨버터외에,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등이 가능하며,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Cascaded Buck-Boost Converter 등)도 가능하다.
인버터부(1040)는,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도면에서는, 풀 브릿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를 예시한다. 즉,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부(104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이 출력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드(grid)의 교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략 60Hz)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dc/dc 컨버터부(1030)와 인버터부(1040) 사이에, 레벨 변환된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부(미도시)를 더 포할 수 있다. 커패시터부(미도시)는, 상술한 커패시터부(1020)와 유사하게, 복수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4의 태양광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을 구비한다. 각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은,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션 박스(200a, 200b, ...,200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정션 박스(200a, 200b, ...,200n)를, 마이크로 인버터라 할 수 있으며, 각 정션 박스(200a, 200b, ...,200n)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은 계통(grid)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 내지 도 9의 정션 박스(200)의 결합 구조는, 도 14의 마이크로 인버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다른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4의 태양광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을 구비한다. 각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션 박스(1200a, 1200b, ...,1200n)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태양광 모듈듈(50a, 50b, ...,50n)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1210)가 더 구비되게 된다. 이때의, 정션 박스(1200a, 1200b, ...,1200n)는, 직류 전원을 효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파워 옵티 마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 내지 도 9의 정션 박스(200)의 결합 구조는, 도 15의 파워 옵티마이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파워 옵티마이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a를 참조하면, 파워 옵티마이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면과 같이,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도면과 같이 직렬 접속된 상태에서, 일부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핫 스팟이 발생하여,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1310)도,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총 980W의 전력만을 공급하게 된다.
다음, 도 16b를 참조하여, 파워 옵티마이징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일부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핫 스팟이 발생하여,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 해당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다른 태양전지 모듈(1310)에서 공급되는 전류와 동일하도록, 해당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낮춘다. 이에 따라, 핫 스팟이 발생한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는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하게 되나,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1310)에서는, 전력 손실이 없게(예를 들어, 100W 전력 공급) 된다. 따라서, 총 1340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 옵티마이징에 따르면, 다른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맞추어, 핫 스팟이 발생하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태양전지 모듈은, 다른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치 또는 전압치를 입력받아, 해당 태양전지 모듈 내의 전압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 내지 도 9의 정션 박스(200)의 결합 구조는, 도 16b의 파워 옵티마이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정션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정션 박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상기 제1 면의 면적보다 더 큰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접촉면을 덮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와 상기 방열부재의 접촉면을 덮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밀봉재와 제2 밀봉재;
    상기 제1 밀봉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후면 기판; 및
    상기 제2 밀봉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면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의 면적이, 상기 플레이트의 면적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중 일부가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태양전지 스트링에 접속된 버스 리본; 및
    상기 버스 리본과 상기 정션 박스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성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양단부 중 상기 도전성 라인이 연장되는 단부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중 역방향 전압이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5.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
    상기 정션 박스에 부착되어,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밀봉재와 제2 밀봉재;
    상기 제1 밀봉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후면 기판; 및
    상기 제2 밀봉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면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중 상기 후면 기판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19.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
    상기 정션 박스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방열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KR1020110038842A 2011-04-26 2011-04-26 태양광 모듈 KR10182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42A KR101820376B1 (ko) 2011-04-26 2011-04-26 태양광 모듈
EP12002926.9A EP2518775B1 (en) 2011-04-26 2012-04-25 Photovoltaic module
US13/455,731 US9000714B2 (en) 2011-04-26 2012-04-25 Photovoltaic module
US14/642,714 US9577573B2 (en) 2011-04-26 2015-03-09 Photovoltaic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42A KR101820376B1 (ko) 2011-04-26 2011-04-26 태양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088A true KR20120121088A (ko) 2012-11-05
KR101820376B1 KR101820376B1 (ko) 2018-01-19

Family

ID=4612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842A KR101820376B1 (ko) 2011-04-26 2011-04-26 태양광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000714B2 (ko)
EP (1) EP2518775B1 (ko)
KR (1) KR101820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65B1 (ko) * 2014-05-14 2015-07-28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415B2 (en) 2007-12-05 2020-06-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11881814B2 (en) 2005-12-05 2024-01-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8618692B2 (en) 2007-12-04 2013-12-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11735910B2 (en) 2006-12-06 2023-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473250B2 (en) 2006-12-06 2013-06-25 Solaredge, Ltd.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013472B2 (en) 2006-12-06 2011-09-06 Solaredge, Ltd. Method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using DC power sources
US11569659B2 (en) 2006-12-06 2023-01-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296650B2 (en) 2006-12-06 2022-04-0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8319483B2 (en) 2007-08-06 2012-11-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gital average input current control in power converter
US9088178B2 (en) 2006-12-06 2015-07-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963369B2 (en) 2007-12-04 2015-02-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855231B2 (en) 2006-12-06 2023-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319471B2 (en) 2006-12-06 2012-11-27 Solaredge, Ltd. Battery power delivery module
US11728768B2 (en) 2006-12-06 2023-08-15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8947194B2 (en) 2009-05-26 2015-02-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heft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1888387B2 (en) 2006-12-06 2024-0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mechanisms, wake up and shutdown methods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309832B2 (en) 2006-12-06 2022-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112379B2 (en) 2006-12-06 2015-08-18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9130401B2 (en) 2006-12-06 2015-09-08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384243B2 (en) 2007-12-04 2013-0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816535B2 (en) 2007-10-10 2014-08-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687112B2 (en) 2006-12-06 2023-06-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264947B2 (en) 2007-12-05 2022-03-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CN105244905B (zh) 2007-12-05 2019-05-21 太阳能安吉有限公司 分布式电力装置中的安全机构、醒来和关闭方法
WO2009072076A2 (en) 2007-12-05 2009-06-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urrent sensing on a mosfet
US8289742B2 (en) 2007-12-05 2012-10-16 Solaredge Ltd. Parallel connected inverters
EP2722979B1 (en) 2008-03-24 2022-1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witch mode converter including auxiliary commutation circuit for achieving zero current switching
EP2294669B8 (en) 2008-05-05 2016-12-0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power combiner
AT12058U1 (de) * 2010-04-27 2011-09-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kontaktieren eines photovoltaischen moduls mit einem anschlussgehäuse sowie system bestehend aus einem photovoltaischen modul und einem anschlussgehäuse
US10673229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GB2485527B (en) 2010-11-09 2012-12-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673222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230310B2 (en) 2016-04-05 2019-03-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GB2486408A (en) 2010-12-09 2012-06-2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connection of a string carrying direct current
GB2483317B (en) 2011-01-12 2012-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erially connected inverters
KR101820376B1 (ko) * 2011-04-26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US8570005B2 (en) 2011-09-12 2013-10-2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link circuit
GB2498365A (en) 2012-01-11 2013-07-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module
GB2498790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sing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US9853565B2 (en) 2012-01-30 2017-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zed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1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GB2499991A (en) 2012-03-05 2013-09-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C link circuit for photovoltaic array
US10115841B2 (en) * 2012-06-04 2018-10-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Integrate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US9548619B2 (en) 2013-03-14 2017-01-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epleting energy
EP2779251B1 (en) 2013-03-15 2019-02-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Bypass mechanism
WO2015098203A1 (ja) * 2013-12-27 2015-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9735699B2 (en) 2014-01-15 2017-08-15 Lg Electronics Inc. Integral inverter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150249426A1 (en) * 2014-02-28 2015-09-03 David Okawa Photovoltaic module junction box
US11811360B2 (en) 2014-03-28 2023-11-07 Maxeon Solar Pte. Ltd. High voltage solar modules
US20150296636A1 (en) * 2014-04-11 2015-10-15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solar power system
WO2016065241A1 (en) 2014-10-24 2016-04-28 Enphase Energy, Inc. Parallel battery system
USD781228S1 (en) * 2016-01-04 2017-03-14 Ascent Solar Technologies, Inc. Pocket-sized photovoltaic-based fully integrated portable power system
US10599113B2 (en) 2016-03-03 2020-03-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rder of power devices in power generation systems
US11081608B2 (en) 2016-03-03 2021-08-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rder of power devices in power generation systems
CN107153212B (zh) 2016-03-03 2023-07-28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用于映射发电设施的方法
US11018623B2 (en) 2016-04-05 2021-05-2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US11177663B2 (en) 2016-04-05 2021-11-16 Solaredge Technologies Ltd. Chain of power devices
US10312855B2 (en) * 2016-05-31 2019-06-04 Ironridge, Inc. Bracket mount for securing micro-inverters and power optimizers to solar panel arrays
US10812016B2 (en) * 2018-12-20 2020-10-20 Hall Labs Llc Electrical and mechanical roof underlayment for solar shingles with air gap
WO2020181342A1 (pt) * 2019-03-14 2020-09-17 Maré Brasil Energia E Equipamentos Ltda Caixa de junção otimizad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185A (ja) 2001-05-30 2003-02-21 Canon Inc 電力変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起電力素子モジュール並びに発電装置
US20120181973A1 (en) * 2003-08-29 2012-07-19 Robert Lyden Solar array resembling natural foliage including mean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WO2010002960A1 (en) * 2008-07-01 2010-01-07 Satcon Technology Corporation Photovoltaic dc/dc micro-converter
ATE497613T1 (de) * 2008-11-07 2011-02-15 Fraunhofer Ges Forschung Steuerschaltung für einen gleichstrom-gleichstrom-wandler
EP2273561A1 (en) 2009-07-09 2011-01-12 OJA-Services Thermally mounting electronics to a photovoltaic panel
JP5295042B2 (ja) * 2009-08-25 2013-09-18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558102B2 (en) 2009-09-11 2013-10-15 Miasole Rotatable junction box for a solar module
US8462518B2 (en) * 2009-10-12 2013-06-11 Solarbridge Technologies, Inc. Power inverter docking system for photovoltaic modules
KR101166020B1 (ko) * 2010-05-31 2012-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접촉 충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386259A (zh) * 2010-09-02 2012-03-21 国琏电子(上海)有限公司 接线盒
KR101820376B1 (ko) * 2011-04-26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65B1 (ko) * 2014-05-14 2015-07-28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5174574A1 (ko) * 2014-05-14 2015-11-19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다면 채광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4264A1 (en) 2012-11-01
US20150180407A1 (en) 2015-06-25
EP2518775A3 (en) 2013-10-30
US9577573B2 (en) 2017-02-21
US9000714B2 (en) 2015-04-07
EP2518775B1 (en) 2019-03-20
EP2518775A2 (en) 2012-10-31
KR101820376B1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376B1 (ko) 태양광 모듈
KR101796045B1 (ko) 태양광 모듈
EP2621075B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KR101321550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KR101732984B1 (ko) 태양광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2000062B1 (ko) 태양광 모듈
KR20120140023A (ko) 태양광 모듈
KR101879782B1 (ko) 태양광 모듈
KR101954194B1 (ko)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
KR101824983B1 (ko) 태양광 모듈, 태양광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832229B1 (ko) 태양광 모듈
KR101788013B1 (ko) 태양광 모듈
KR101893816B1 (ko) 태양광 모듈
KR101959302B1 (ko)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
KR101906196B1 (ko) 태양광 모듈
KR101954195B1 (ko)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
KR20120127955A (ko) 태양광 모듈
KR20130137926A (ko) 태양광 모듈
KR20120129112A (ko) 태양광 및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
KR101989092B1 (ko) 태양광 모듈
KR20120134810A (ko) 태양광 모듈
KR20130019987A (ko) 태양광 열 복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