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66B1 -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66B1
KR101539666B1 KR1020130131084A KR20130131084A KR101539666B1 KR 101539666 B1 KR101539666 B1 KR 101539666B1 KR 1020130131084 A KR1020130131084 A KR 1020130131084A KR 20130131084 A KR20130131084 A KR 20130131084A KR 101539666 B1 KR101539666 B1 KR 10153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irtual
golf
gesture means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909A (ko
Inventor
임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Priority to KR102013013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63F13/573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using trajectories of game objects, e.g. of a golf ball according to the point of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간단히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타격 특성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타격 특성들에 근거하여 물리 법칙에 입각하여 운동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정확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게임이나 골프에 관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서의 골프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GOLF SIMULATION METHOD THROUGH MOBILE TERMINAL,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O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GOLF SIMULA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소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 또는 사용자의 골프 실력 향상이나 골프 경기에 도움을 주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스마트 폰과 같은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과 자이로 센서나 3축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탑재한 다기능의 모바일 단말기가 보급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골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 모바일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골프 게임의 경우 게임상에서의 볼에 대한 타격과 타격된 볼이 비행하는 것에 대한 구현이 정확한 타격 특성의 설정 및 이에 따른 물리 법칙에 입각한 정확한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게임상에서 이루어지는 골프 샷 및 이에 대한 결과가 현실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느낌을 주기 때문에 게임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간단히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타격 특성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타격 특성들에 근거하여 물리 법칙에 입각하여 운동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정확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게임이나 골프에 관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서의 골프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단일 터치만을 인식하는 단일 터치 모드 및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 터치를 각각 인식하는 멀티 터치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단일 터치 모드 및 멀티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해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드래깅으로 가상의 골프 클럽을 백스윙 조작후 터치 해제함으로써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럽 드래깅 모드와, 상기 가상의 볼을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깅 조작으로 직접 타격하도록 하는 방식의 볼 타격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클럽 드래깅 모드 및 볼 타격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거리 또는 드래그 속도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 포인트 결정을 위한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그 시점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 및 상기 접촉 해제 시점에 결정된 스핀 포인트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을 포함하는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 및 가상의 클럽헤드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둘 이상의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그 시점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양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거나, 타격 특성에 대한 볼의 물리적 특성을 산출하는 미리 설정된 계산식에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 정보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설정된 타격 모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 준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골프 클럽에 제스처 수단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타격 조작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골프 클럽에 제스처 수단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스처 수단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볼이 시뮬레이션 되는 물리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가상 환경에서의 골프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의 볼 또는 상기 가상의 볼 및 가상의 클럽헤드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는 타격 영상 모드 및 상기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 영상 모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1 화면뷰 모드와, 상기 타격 영상 모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동시에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 화면뷰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뷰 모드에 따라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볼 또는 상기 가상의 볼 및 가상의 클럽헤드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및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의 해제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는 클럽헤드의 속도,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클럽 패스 및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가상의 클럽헤드의 상태에 대응하는 페이스 앵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클럽 패스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가상의 볼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부분을 관통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클럽헤드의 속도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상의 볼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부분의 거리에 대응하는 클럽헤드의 속도를 소정 간격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전에 골프 클럽의 종류에 관한 특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골프 클럽의 종류별로 다양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된 골프 클럽에 대해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타격에 따른 타구 분석 정보 및 상기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들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기록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제스처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여 터치 방식의 소정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이 타격되면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이 시뮬레이션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골프 시뮬레이션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이 시뮬레이션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골프 클럽의 종류별로 타격에 따른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의 산출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골프 클럽에 대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단일 터치만을 인식하도록 하는 단일 터치 모드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복수 터치를 각각 인식하도록 하는 멀티 터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터치 모드에서,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드래그 후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 포인트 결정을 위한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스처 수단의 접촉 해제 시 상기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른 스핀 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터치 모드에서,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드래그 후 상기 제스처 수단의 둘 이상의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간단히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타격 특성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타격 특성들에 근거하여 물리 법칙에 입각하여 운동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정확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게임이나 골프에 관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서의 골프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 예로서 준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른 단일 터치 모드에서 타격 조건 결정을 위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른 멀티 터치 모드에서 타격 조건 결정을 위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 내지 도 8에 따른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된 타격 조건에 따라 산출된 볼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볼 궤적이 시뮬레이션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른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종료 후 결과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른 타격 영상 모드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가 하나의 화면에서 분할되어 동시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등에 이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소위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등 터치 입력 방식의 모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상기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의 구동을 위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즉 모바일 단말기의 플랫폼(Flatform)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블록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제어부(100), 터치스크린(110), 영상구현부(120) 및 데이터저장부(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저장부(13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고, 터치스크린(110)는 영상 정보 및 소정의 정보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10)은 정전 방식의 터치 입력은 물론 감압식 터치 입력 방식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구현부(12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 구현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이나 각종 센서 등 다양한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의 구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각종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필요한 여러 가지 연산이나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제어부(100)가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데이터저장부(130), 터치스크린(110) 등을 제어하거나 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필요한 연산이나 정보 처리를 수행하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골프 시뮬레이션 관련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는 소정의 서버와 무선 통신(WiFi 망과 같은 메쉬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LTE 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00)는 필요한 정보, 예컨대 골프 시뮬레이션의 배경이 되는 가상 환경을 위한 특정 골프장의 지형 정보나 특정 골프장에서의 공략 정보, 또는 사용자의 기록 정보 등을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이를 데이터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임시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00)는 경우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이미 데이터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 상을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 또는 소정의 터치 방식의 입력 도구(예컨대 터치 펜 등)를 접촉시켜 드래그 하거나 회전하는 등의 움직임을 통해 실행이 되며, 여기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소정의 터치 방식의 입력 도구'를 통칭하여 "제스처 수단"이라고 정의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기에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을 의미하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정의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기로 다운로드 및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의 준비 화면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의 볼 또는 가상의 볼 및 가상의 골프 클럽의 헤드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는 타격 영상 모드와,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각각 제공하는데, 도 2 내지 도 8은 상기 타격 영상 모드 상에서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과정을, 도 9 및 도 10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 상에서의 골프 시뮬레이션 과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타격 영상 모드는 설정된 타격 모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 준비 영상 및 상기 골프 클럽에 제스처 수단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타격 조작 영상을 각각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타격 준비 영상을, 도 3 내지 도 8은 상기한 타격 조작 영상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영상 모드(112)의 타격 준비 영상에서는 가상의 볼(10)이 생성되며, 타격 모드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10)과 가상의 클럽헤드(20)가 모두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골프 클럽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럽선택메뉴(30)가 화면 일측에 생성됨이 바람직하며 타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메뉴(40)가 화면 타측에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격 모드는 기본적으로 단일 터치 모드와 멀티 터치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터치 모드에서는 제스처 수단에 의한 터치스크린 상의 단일 터치만을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 모드에서는 제스처 수단에 의한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 터치를 각각 인식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한 단일 터치 모드 하에서 가상의 볼을 타격함에 따른 소정의 타격 특성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고, 도 7 및 도 8은 상기한 멀티 터치 모드 하에서 가상의 볼을 타격함에 따른 소정의 타격 특성, 즉 타격 조건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단일 터치 모드에서 타격 영상 모드(112) 상에서 이루어지는 타격 특성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 상태에서 제스처 수단(G)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어부(100, 도 1 참조)는 터치스크린(110) 상의 제스처 수단(G)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G)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드래그(Drag)가 되면서 타격 특성으로서의 클럽헤드의 속도가 결정이 될 수 있는데, 가상의 볼(10)에 대한 제스처 수단(G)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클럽헤드의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드래그 거리에 대한 클럽헤드의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헤드속도 안내표시(60)가 함께 영상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가상의 볼(10)로부터 드래그 거리가 멀면 멀수록 나중에 타격이 이루어졌을 때의 클럽헤드의 속도는 점점 커지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수단(G)의 드래그가 개시됨에 따라 가상의 볼(10)과 가상의 클럽헤드(20) 또는 제스처 수단(G)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접촉된 부분을 관통하는 경로(50)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로(50)는 가상의 클럽헤드(20)가 가상의 볼(10)을 타격할 때의 클럽 패스(Club Path)가 된다. 즉 예상 클럽 패스를 상기 경로(50)의 형태로 미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클럽 패스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50)는 제스처 수단(G)의 드래그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도록 변화되어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도 3에서는 제스처 수단(G)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경로(50)가 그에 대응하도록 변화되어 구현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스처 수단(G)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클럽헤드(20)의 페이스 부분도 가상의 볼(10)을 정면으로 향하도록 변화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4 참조).
사용자는 제스처 수단(G)을 움직여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는 클럽헤드의 속도,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클럽 패스 등의 타격 특성이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제스처 수단(G)의 드래그를 통한 클럽헤드의 속도 및 클럽 패스 등의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타격시의 볼에 걸리는 스핀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스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스핀포인트 오브젝트(70)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수단(G)의 드래깅(Draging) 후에 가상의 볼(10) 주변을 회전하는 스핀포인트 오브젝트(70)가 생성되는데, 제스처 수단(G)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에 스핀포인트 오브젝트(70)가 가상의 볼(10) 상에 위치하는 부분이 타격시의 스핀포인트가 되어 타격 특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핀포인트'는 가상의 볼(10)이 타격될 때 볼에 걸리는 스핀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볼의 오른쪽에 스핀포인트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순간에 타격이 되면 그 위치가 스핀포인트가 되고 볼의 스핀은 왼쪽으로 회전하는 사이드스핀이 주요하게 발생하게 되며, 스핀포인트 오브젝트가 오른쪽으로 치우칠수록 왼쪽으로 회전하는 사이드스핀 양은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스핀포인트 오브젝트가 볼의 가운데에 위치할 때 타격이 되면 사이드스핀의 양은 거의 없이 백스핀이 주요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스처 수단(G)을 터치스크린(110)에 접촉시켜 드래그를 함에 따라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 등의 타격 특성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래그 후에 생성되는 스핀포인트 오브젝트(70)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제스처 수단(G)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순간의 볼(10) 상의 스핀포인트 오브젝트(70)의 위치가 스핀포인트 위치로서 결정됨) 볼에 걸리는 스핀의 방향 내지는 스핀의 종류에 대한 타격 특성까지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스처 수단(G)을 통한 타격 특성의 결정이 완료되면 이를 기초로 제어부(100, 도 1 참조)는 타격된 볼의 거동에 관한 물리적 특성 정보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에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타격 영상 모드(112)에서 볼(10)을 타격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스처 수단(G)의 드래깅 후 접촉 해제에 의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수단(G)에 의해 가상의 볼(10)을 타격하는 듯한 빠른 드래그에 의해서도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영상 모드(112)에서 생성된 가상의 볼(10)에 대해 마치 가상의 볼(10)을 직접 타격하듯이 사용자가 제스처 수단(G)을 가상의 볼(10)에 대해 빠르게 드래깅하고 제스처 수단(G)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접촉 부분이 가상의 볼(10)이 위치하는 부분에 도달하는 순간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타격 방식을 "직접 드래깅"이라 칭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직접 드래깅을 통한 타격에 있어서는 직접 드래깅의 속도에 대응하여 클럽헤드의 속도가 결정되고, 직접 드래깅의 방향에 대응하여 클럽 패스가 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멀티 터치 모드에서 타격 영상 모드(112) 상에서 이루어지는 타격 특성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멀티 터치 모드에서의 타격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 결정 및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 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스처 수단(G1, G2)이 터치스크린(110)에 대해 둘 이상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를 하면 단일 터치 모드(도 3 및 4 참조)에서 제스처 수단으로 드래그를 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경로(50)에 관한 부분 역시 단일 터치 모드와 동일한 방식이다.
다만, 멀티 터치 모드에서는 터치스크린(110)이 제스처 수단(G1, G2)의 둘 이상의 접촉을 모두 인식하고 이를 감지하며, 제스처 수단(G1, G2)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클럽헤드(20)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접촉된 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가상의 클럽헤드(20)의 페이스 앵글(Face Angle)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볼(10)에 걸리는 스핀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스처 수단(G1, G2)의 둘 이상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클럽헤드(20)의 페이스 앵글뿐만 아니라 로프트 각도(Loft Angle)도 함께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스처 수단(G1, G2)의 둘 이상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 정도에 따라 페이스 앵글의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제스처 수단(G1, G2)의 움직임에 따라 로프트 각도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즉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수단의 두 접촉된 부분은 페이스 앵글을 설정하도록 하고 다른 한 접촉된 부분은 로프트 각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멀티 터치 모드에서의 타격 특성 설정은 실제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타격 요소들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현실성 높은 골프 시뮬레이션이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터치 모드이든 멀티 터치 모드이든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의 결정이 모두 완료되면, 제어부(100, 도 1 참조)그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되어 날아가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 예컨대 볼의 속도, 방향각, 높이각, 스핀 등을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된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114)에서 볼(B)의 궤적(T)이 시뮬레이션 되는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볼(B)의 궤적(T)은 반드시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궤적(T)의 표시 없이 볼(B)이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날아가는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으로부터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화 된 데이터 또는 미리 설정된 계산식 등에 의해 가능하다.
즉, 다양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타격 특성이 결정되면 그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거나 정확하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보간(Interpolation) 등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세분화될 수록 더욱 정확한 물리적 특성 정보의 산출이 가능하게 되는데, 특히 골프 클럽의 종류를 고려한 물리적 특성 산출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이 진행되기 전에 사용하고자 하는 골프 클럽을 선택할 수 있는데(도 2의 클럽선택메뉴(30) 참조),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의 산출을 위한 데이터가 골프 클럽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골프 클럽에 의한 타격의 결과에 따른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가 정확하게 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고정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소정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터저장부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 없이 미리 세워놓은 계산식에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관한 정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진행된 후에는 그 결과에 따른 기록 정보나 볼의 타격에 따른 타구 분석 정보 등의 결과 정보(116)가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샷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114)는 실제 골프장에 대한 가상 환경을 구현하는 맵을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의 배경이 되는 가상 환경으로써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봄으로써 골프장에 대한 공략 정보 등을 스스로 습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도 2 내지 도 10에서는 타격 영상 모드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가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전체 화면으로 각각 제공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었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한 화면에서 타격 영상 모드(112)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114)가 동시에 분할된 화면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예는 타격 영상 모드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가 동시에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동작 방법 등은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예는, 스마트 폰과 같은 크기가 작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보다는 태블릿 PC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되었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등에 관하여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통해 다시 한 번 정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10), 먼저 타격 영상 모드가 실행된다(S12). 만약 타격 영상 모드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타격 영상 모드가 먼저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타격 특성의 결정을 위한 과정이 진행될 것이다.
타격 영상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골프 샷을 위한 골프 클럽을 선택하게 되고(S14), 터치 방식을 선택한다(S16).
단일 터치 모드가 선택되면(S20),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제어부가 지속적으로 감지하면서(S22), 상기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래깅 및 접촉 해제 방식 또는 직접 드래깅을 통해 클럽헤드의 속도, 클럽 패스 등의 타격 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만약 제스처 수단에 의한 드래깅 및 접촉 해제 방식으로 타격 특성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볼 주변에 스핀포인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볼 주변을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영상이 구현된다(S24).
이 상태에서 제스처 수단의 접촉 해제가 되면(S30), 그때의 드래그 거리, 방향 및 스핀포인트 오브젝트의 위치 등으로부터 타격 특성이 결정된다(S32).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가상의 볼이 타격되고(S60), 제어부는 상기 타격된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 또는 미리 세워놓은 계산식 등으로부터 산출한다(S62).
그리고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실행시키고 상기 S62 단계에서 산출된 물리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64).
한편, 상기한 터치 방식의 선택 과정에서 멀티 터치 모드가 선택되면(S40),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복수 부분의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제어부가 지속적으로 감지하면서(S42), 상기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래깅 및 접촉 해제 방식을 통해 클럽헤드의 속도, 클럽 패스, 페이스 앵글 및/또는 로프트 각도 등의 타격 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즉, 제스처 수단의 드래깅과 상기 제스처 수단의 둘 이상 접촉된 부분의 움직임을 통해 클럽헤드의 상태를 조정한 뒤 접촉 해제가 이루어지면(S50), 드래그 거리, 방향, 가상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 및/또는 로프트 각도 등으로부터 타격 특성이 결정된다(S52).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상기한 S60, S62 및 S64의 과정이 동일하게 진행됨으로써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등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간단히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타격 특성들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한 볼의 물리적 특성의 산출을 통해 정확한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10: 가상의 볼, 20: 가상의 클럽헤드
30: 클럽선택메뉴, 40: 모드선택메뉴
50: 경로, 100: 제어부
110: 터치스크린, 112: 타격 영상 모드
114: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

Claims (21)

  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단일 터치만을 인식하는 단일 터치 모드 및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 터치를 각각 인식하는 멀티 터치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단일 터치 모드 및 멀티 터치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2. 삭제
  3.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해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드래깅으로 가상의 골프 클럽을 백스윙 조작후 터치 해제함으로써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럽 드래깅 모드와, 상기 가상의 볼을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깅 조작으로 직접 타격하도록 하는 방식의 볼 타격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클럽 드래깅 모드 및 볼 타격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거리 또는 드래그 속도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상의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6.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상기 제스처 수단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 포인트 결정을 위한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그 시점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속도,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클럽 패스 및 상기 접촉 해제 시점에 결정된 스핀 포인트에 대응되는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을 포함하는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7.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 및 가상의 클럽헤드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둘 이상의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그 시점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양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거나, 타격 특성에 대한 볼의 물리적 특성을 산출하는 미리 설정된 계산식에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 정보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9. 삭제
  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타격 모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 준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골프 클럽에 제스처 수단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타격 조작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골프 클럽에 제스처 수단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스처 수단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볼이 시뮬레이션 되는 물리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가상 환경에서의 골프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의 볼 또는 상기 가상의 볼 및 가상의 클럽헤드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는 타격 영상 모드 및 상기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영상 모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1 화면뷰 모드와, 상기 타격 영상 모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모드를 동시에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 화면뷰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뷰 모드에 따라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클럽 패스를 안내하기 위한, 가상의 볼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부분을 관통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3.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클럽헤드의 속도를 안내하기 위해, 가상의 볼과 상기 제스처 수단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부분의 거리에 대응하는 클럽헤드의 속도를 소정 간격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전에 골프 클럽의 종류에 관한 특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골프 클럽의 종류별로 다양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된 골프 클럽에 대해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대응하는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타격에 따른 타구 분석 정보 및 상기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16. 제1항, 제3항, 제6항, 제7항, 제10항, 제12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7.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제스처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여 터치 방식의 소정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상의 볼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이 타격되면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이 시뮬레이션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골프 시뮬레이션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제스처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볼에 대한 타격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타격 특성에 따라 타격된 상기 가상의 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가상 환경에서 볼의 궤적이 시뮬레이션되도록 하는 제어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단일 터치만을 인식하도록 하는 단일 터치 모드와, 상기 제스처 수단의 복수 터치를 각각 인식하도록 하는 멀티 터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골프 클럽의 종류별로 타격에 따른 볼의 물리적 특성 정보의 산출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골프 클럽에 대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터치 모드에서,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드래그 후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 포인트 결정을 위한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스처 수단의 접촉 해제 시 상기 스핀 포인트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른 스핀 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터치 모드에서,
    상기 제스처 수단에 의한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드래그 후 상기 제스처 수단의 둘 이상의 접촉된 부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의 클럽헤드의 페이스 앵글 및 로프트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가상의 볼에 대한 스핀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0130131084A 2013-10-31 2013-10-3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153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84A KR101539666B1 (ko) 2013-10-31 2013-10-3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84A KR101539666B1 (ko) 2013-10-31 2013-10-3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09A KR20150049909A (ko) 2015-05-08
KR101539666B1 true KR101539666B1 (ko) 2015-07-27

Family

ID=5338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084A KR101539666B1 (ko) 2013-10-31 2013-10-3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536B1 (ko) * 2016-03-17 2017-05-02 주식회사 골프존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03859B1 (ko) 2016-03-17 2017-02-08 주식회사 골프존 스크린 골프 시스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골프정보 서비스 방법 및 골프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상기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14452B1 (ko) * 2016-10-27 2018-11-02 성용창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당구 게임 장치
KR102444174B1 (ko) * 2020-11-09 2022-09-16 주식회사 씨지엔 골프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960A (ja) * 2010-09-29 2012-04-12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2249880A (ja) * 2011-06-03 2012-12-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960A (ja) * 2010-09-29 2012-04-12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2249880A (ja) * 2011-06-03 2012-12-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09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830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US20190255419A1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1826628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KR10105925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구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수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712838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044550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US10576382B2 (en) Golf game apparatus, storage medium, golf game system and golf game control method
KR10153966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에 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구동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JP6050884B1 (ja) 対戦型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72826B1 (ko)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6064111B2 (ja) 打撃操作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と操作信号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1563B2 (ja) 移動制御装置、移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88473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TWI603768B (zh) 遊戲系統、控制方法及程式
KR101326869B1 (ko) 가상환경 제작을 지원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6105031B1 (ja) 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6088030B1 (ja) 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317041A (zh) 棒球遊戲用的投球方法與系統
JP630765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220489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JP2017099934A (ja) 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6779048B2 (ja) ゲームの実行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40078999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스윙 체험환경 제공 방법 및 장치
JP5889995B1 (ja)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8187360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