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00B1 -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 Google Patents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00B1
KR101539600B1 KR1020140025284A KR20140025284A KR101539600B1 KR 101539600 B1 KR101539600 B1 KR 101539600B1 KR 1020140025284 A KR1020140025284 A KR 1020140025284A KR 20140025284 A KR20140025284 A KR 20140025284A KR 101539600 B1 KR101539600 B1 KR 10153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torage tank
dioxide storage
liquid carbon
cargo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수
박범진
기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2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를 개시한다. 상기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는 운송선 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외부프레임(110);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면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내부프레임(120); 각각이 상기 내부프레임(120) 내에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며, 내부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는 캡슐형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용홈(141)들이 상기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지지프레임(140); 및 상기 수용홈(12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의 하단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Cargo hold conservating CO2 Storage tank of Capsule typ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운반선 내에 구비된 카고 홀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물의 운송을 위해 건조되는 대부분의 선박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특정 화물만을 운송하는 전용 선박으로 설계되어, 각기 고유의 목적을 갖도록 제작되며 예정된 특정 화물만을 운송한다.
선박마다 특정된 화물을 운반할 경우, 즉 수출처에서 수입처로 특정 화물을 운반할 때에는 화물 운반이라는 행위를 통해 실질적인 이윤 창출이 가능하지만, 수입처에서 수출처로 이동할 때에는 공선 상태이므로 이윤 창출이 불가능하다.
특히, 오일 셔틀 탱커(Oil shuttle tanker)나 LNG 운반선 등의 경우에, 유정이나 가스정과 같은 생산처에서 소비처로 이동할 때에는 화물을 운반하면서 이윤 창출이 가능하지만, 소비처에 화물을 하역한 후 다시 생산처로 이동할 때에는 이윤을 창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1997년 채택되고 2005년 공식 발효된 교토의정서에 따라, 감축 대상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시키는 것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에 따라 대기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법이나,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타국에 매각하는 방법 등의 새로운 사업 모델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박을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송하는 경우, 선박의 크기 및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의 크기에 따라 적재되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의 적재수가 제한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운송선을 통해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들을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동시에, 카고 홀드(예를 들어, 화물창) 내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고 홀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30658호(발명의 명칭: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운반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운송선을 통해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들을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동시에, 카고 홀드(예를 들어, 화물창) 내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고 홀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는 운송선 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외부프레임(110);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면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내부프레임(120); 각각이 상기 내부프레임(120) 내에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며, 내부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는 캡슐형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용홈(141)들이 상기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지지프레임(140); 및 상기 수용홈(14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의 하단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프레임(120)는 복수 개의 H 빔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이중 격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의 하단부와 결속되는 보울(bowl) 형태의 수용부(151); 상기 수용부(151)의 하단에 구비되며, 수평 단면이 십자 형태인 수평조절부재(152); 상기 수용홈(141) 내에 인입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152)와 체결부재를 통해 결속되는 바닥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152)는 4개의 지지체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152a)는 하단부에 탄성부재(152b)가 구비되어, 외부 충격에 따른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는 운송선을 통해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들을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동시에, 카고 홀드(예를 들어, 화물창) 내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이산화탄소 운반선 내에 구비된 카고 홀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구비한 카고 홀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이산화탄소 운반선 내에 구비된 카고 홀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구비한 카고 홀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고 홀드는 외부프레임(110), 내부프레임(120),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 지지프레임(140) 및 받침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프레임(110)은 운송선의 선체 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운송선은, 예를 들어, 오일 셔틀 탱커(Oil shttle tanker)나 초대형 유조선(VCLL: very large crude carrier)과 같이 원유 등의 오일을 수송하기 위한 선박, LNG 수송선과 같이 액화천연가스 등의 액화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선박, 컨테이너선, 벌크선(bulk carrier)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화물을 해상에서 운반할 수 있는 화물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카고 홀드(100)는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저장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선박에 따라 원유 등의 오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탱크이거나, LNG 등의 액화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탱크일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면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프레임(120)는 H 빔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이중격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형상은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면체 형상은 복수 개의 절곡면들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면의 위치는 상기 카고 홀드(150) 내에 구비된 배기라인(L)의 굴곡지점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라인(L)의 굴곡지점은 카고 홀드(100)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들이 배기라인을 통해 원활하게 유동하기 위하여 설계된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각각은 상기 내부프레임(120) 내에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며, 내부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곡면 형태로 형성된 캡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각각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재(15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용홈(141)들이 상기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수용홈(141)의 개수가 9개일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카고 홀드(10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수용홈(141)들의 개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수용홈(12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의 하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150)는 수용부(151), 수평조절부재(152) 및 바닥부(153)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51)는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보울(bowl)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152)는 상기 수용부(151)의 하부에 연결되며, 수평 단면이 십자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부재(152)는 4개의 지지체(152a)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152a)는 하부에 탄성부재(152b)가 구비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에 가해지는 바닥면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는 운송선을 통해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들을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보관하는 동시에, 카고 홀드(예를 들어, 화물창) 내에 적재되는 복수 개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들을 단위면적당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고 홀드
110: 외부프레임 120; 내부프레임
130: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 140: 지지프레임
141: 수용홈 150: 받침부재
151: 수용부 152: 지지체
153: 바닥부

Claims (4)

  1. 운송선 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외부프레임(110);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면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내부프레임(120);
    각각이 상기 내부프레임(120) 내에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며, 내부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는 캡슐형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표면에 상기 캡슐형의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용홈(141)들이 상기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지지프레임(140); 및
    상기 수용홈(14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의 하단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의 하단부와 결속되는 보울(bowl) 형태의 수용부(151);
    상기 수용부(151)의 하단에 구비되며, 수평 단면이 십자 형태인 수평조절부재(152); 및
    상기 수용홈(141) 내에 인입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152)와 결속되는 바닥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복수 개의 H 빔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이중 격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재(152)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체(152a)들이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152a)는 하부에 탄성부재(152b)가 구비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KR1020140025284A 2014-03-04 2014-03-04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KR10153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84A KR101539600B1 (ko) 2014-03-04 2014-03-04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84A KR101539600B1 (ko) 2014-03-04 2014-03-04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600B1 true KR101539600B1 (ko) 2015-07-28

Family

ID=5387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84A KR101539600B1 (ko) 2014-03-04 2014-03-04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6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627A (ko) * 2009-05-21 2010-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KR20140014981A (ko) * 2012-07-27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저장용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운반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627A (ko) * 2009-05-21 2010-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KR20140014981A (ko) * 2012-07-27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저장용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0393A1 (en) Tank support structure and floating construction
JP2011148358A (ja) 船舶
ES2386936T3 (es) Contenedor
SG11202010359QA (en) Storage and/or transport tank for a liquid gas cargo intended for a vessel
ES2690825T3 (es) Sistema para carga y descarga durante operaciones portuarias, que comprende una grúa, y una base ubicada en el cuerpo de la grúa que soporta y apila las tapas de boca de escotilla
KR20130018333A (ko) 선박
EP1415927B1 (en) Pallet for coil-like transferred object, structural body for loading coil-like transferred object on pallet, structural body for storing coil-like transferred object loading pallet in container,and transferring method
CN106005271B (zh) 液化气体收容罐及船舶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101539600B1 (ko) 캡슐형 이산화탄소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KR101177897B1 (ko)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86846B1 (ko)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고려한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연료 탱크
KR20170049156A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JP5879082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KR101656874B1 (ko) 캡슐형 엘피지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KR20190058088A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US6418869B1 (en) Barge mounted food grade container system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5627A (ko) 선박용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KR101544930B1 (ko) 밸러스트용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갖춘 선박
KR20150081882A (ko) 컨테이너선
CN207302650U (zh) 海洋核动力平台新燃料接收和贮存系统
KR20100056829A (ko) 저장탱크 및 발라스트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CN106629149A (zh) 吊装受限处所用翻转平台
KR20180002091U (ko) 화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화물창의 내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