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299B1 - 전동 손수레 - Google Patents

전동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299B1
KR101539299B1 KR1020130121055A KR20130121055A KR101539299B1 KR 101539299 B1 KR101539299 B1 KR 101539299B1 KR 1020130121055 A KR1020130121055 A KR 1020130121055A KR 20130121055 A KR20130121055 A KR 20130121055A KR 101539299 B1 KR101539299 B1 KR 10153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transfer unit
wheel
driv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34A (ko
Inventor
강정훈
이성석
조윤남
김호곤
Original Assignee
강정훈
이성석
조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훈, 이성석, 조윤남 filed Critical 강정훈
Priority to KR102013012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2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통한 평지의 주행과 거상암을 통한 계단의 단계적인 등판 이송을 도모하여 평지와 계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적재대와 견인 손잡이가 직교하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주행기능을 도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의 하부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를 제공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차륜축과 상기 차륜축에 설치되는 차륜을 포함하는 차륜 이송유닛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암축과 상기 암축에 설치되는 거상암을 포함하는 단차 이송유닛; 및 상기 전동모터와 단차 이송유닛을 연결시켜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거상부의 거상암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의 거상암이 회전하면서, 계단의 단차부에 단부를 지지시켜 계단을 단계적으로 등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전동 손수레{Motor-driven Cart}
본 발명은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통한 평지의 주행과 거상암을 통한 계단의 단계적인 등판 이송을 도모하여 평지와 계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동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사용자의 견인에 의해 평지를 따라 이동하므로 고하중의 물품을 싣고 이동하면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대되고,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판과정에 육체적 피로도가 심화되고 또 전복 등의 안전상의 위험성을 갖는다.
이를 따라,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1996-17258호에는 무한궤도를 이용한 계단운반용 전동대차에 있어, 전동대차의 선단부에 계단의 경사면에 따라 조정가능한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전동대차의 밑바닥 프레임에 360도 회전 가능한 바퀴가 형성된 계단운반용 전동대차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계단운반용 전동대차는 계단의 안정적이 등판이 가능한 이점을 갖지만, 무한궤도 등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부피가 크고 하중이 무거워 이동이나 운반이 어렵고, 또 제작시 고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인 산업현장이나 생활현장에 범용화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07-0071743에서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차륜축에 걸림봉을 배치하여 평지에 회전하는 차륜을 접단시켜 주행하고, 걸림봉을 계단의 단차부를 지지시켜 계단을 단계 이송하도록 한 전동 손수레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지와 계단의 단계 이송이 전동을 통해 구현되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전동 손수레를 평지와 계단을 각각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전동 손수레는 평지 주행을 도모하는 차륜과 계단의 등판 이송을 도모하는 걸림봉이 동일축에 설치된 관계로, 차륜을 통한 평지의 주행시 걸림봉이 평지에 형성된 돌 등의 장애물에 의해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서, 평지 주행에 따른 안정성이나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계단의 단계 이송을 도모하는 걸림봉은 일자형의 봉체로 이루어져 계단의 단차부와 점상으로 접단되고, 결과적으로 회전을 통한 계단의 등반과정에 계단의 단차부에서 걸림봉이 미끌림되어 계단의 안정된 등판이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륜을 통해 평지를 주행하는 차륜 이송유닛과 거상암을 선회시켜 계단을 단계적으로 등판하는 단차 이송유닛을 분리 구성하여, 차륜 이송유닛을 통한 평지 주행시 단차 이송유닛에 형성된 거상암에 의한 주행의 장애를 초래하지 아니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차 이송유닛을 형성하는 거상암의 단부에 하향 절곡된 접지편을 형성하여 계단 단차부와의 안정된 견착을 통해 계단의 안정된 단차 이동이 가능하고, 또 접점 회로의 변환을 통해 제동이 가능한 전동 이동형 손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수레는,
적재대와 견인 손잡이가 직교하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주행기능을 도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의 하부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를 제공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차륜축과 상기 차륜축에 설치되는 차륜을 포함하는 차륜 이송유닛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암축과 상기 암축에 설치되는 거상암을 포함하는 단차 이송유닛; 및 상기 전동모터와 단차 이송유닛을 연결시켜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의 거상암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의 거상암이 회전하면서, 계단의 단차부에 단부를 지지시켜 계단을 단계적으로 등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거상암의 단부에는 외경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절곡편이 형성되어, 상기 거상암은 절곡편의 외경면을 통해 계단의 단차면을 연속적으로 접단시켜서, 계단의 단차면에 안정되게 접지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클러치 구조를 통해 상기 전동모터와 차륜 이송유닛, 또는 전동모터와 단차 이송유닛의 택일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유닛에 마련된 클러치에 의해, 단일 전동모터에 의해 차륜 이송유닛과 단차 이송유닛의 택일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공회전 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진퇴구조로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사이를 진퇴하면서 이들 사이를 택일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차륜 이송유닛에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제 1 종동부재와; 상기 단차 이송유닛에 고정되어 제 2 구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제 2 종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재와 제 2 종동부재, 그리고 제 2 구동부재와 제 2 종동부재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륜 이송유닛의 차륜축은 고정 브라켓의 전방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단차 이송유닛의 암축은 고정 브라켓의 후방 상부에 배치하여, 단차 이송유닛의 암축보다 차륜 이송유닛의 차륜축이 상대적으로 위상이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에는 전동모터의 입력단과 연결된 배터리의 출력단을 분리하고, 전동모터의 입력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형성하는 다이나믹 제동부가 부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륜에 의해 평지 주행을 도모하고 또 거상암의 선회를 통해 계단을 단차 이송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차륜 이송유닛과 단차 이송유닛을 분리 구성하고 이들이 택일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륜 이송유닛을 통한 평지의 주행과정에 단차 이송유닛에 형성된 거상암이 장애물 등에 간섭되어 주행의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특히, 상기 차륜 이송유닛의 차륜축은 고정 브라켓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단차 이송유닛의 암축은 사용자와 근접하는 고정 브라켓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관계로, 거상암을 고정하는 암축이 지면에서 멀리 떨어진 설치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거상암과 지면에 형성된 장애물과의 간섭이 보다 안정되게 억제되고, 또 길이가 긴 거상암을 암축에 설치하여 높은 단차부를 갖는 계단의 등판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구성된 차륜 이송유닛과 단차 이송유닛은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동력 전달유닛에 의해 하나의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택일적으로 제공받아 회전하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있다.
또한,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제동을 구현하는 다이나믹 제동부(51)를 콘트롤러(50)가 부가되어, 기계식 브레이크 등의 물리적인 제동구조나 마그넷을 이용한 전자식 제동구조를 전동모터에 부가하지 아니하고도, 평지 주행이나 주차, 그리고 계단을 내려갈 때 거상암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구동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동력 전달유닛을 통한 차륜 이송유닛과 단계 이송유닛의 택일적인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단차 이송유닛을 구성하는 거상암의 외형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평지 주행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계단 등판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형성하는 콘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구동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동력 전달유닛을 통한 차륜 이송유닛과 단계 이송유닛의 택일적인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단차 이송유닛을 구성하는 거상암의 외형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평지 주행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의 계단 등판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 손수레에 있어,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형성하는 콘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수레(1)는, 도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대(11)와 견인 손잡이(12)가 직교하여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이동을 도모하는 구동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대(11)는 본체(10)에 힌지(11a)구조로 설치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운반이나 보관시에 적재대(11)의 절첩을 통해 부피를 축소하고, 또 견인 손잡이(12)는 본체(10)에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하부에 차륜(22b)을 회전시켜 평지를 주행하는 차륜 이송유닛(22)과; 거상암(23b)을 통해 계단의 단차부를 지지시켜 등반 이송하는 단차 이송유닛(23)을 포함하는 구동부(20)를 배치하여, 이들 차륜 이송유닛(22)과 단차 이송유닛(23)을 통해 평지의 이동과 계단의 등반 이송이 각각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1)과; 상기 고정 브라켓(21)에 설치되어 콘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60)에 축전된 전류를 제공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40)와; 상기 고정 브라켓(21)에 설치된 차륜축(22a)과 상기 차륜축(22a)에 설치되는 차륜(22b)을 포함하는 차륜 이송유닛(22)과; 상기 고정 브라켓(21)에 설치된 암축(23a)과 상기 암축(23a)에 설치되는 거상암(23b)을 포함하는 단차 이송유닛(23); 및 상기 전동모터(40)의 회전력을 차륜 이송유닛(22)과 단차 이송유닛(2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차륜 이송유닛(22)은 고정 브라켓(21)의 전방 하부(P1)에 배치하고, 상기 단차 이송유닛(23)은 고정 브라켓(21)의 후방 상부(P2)에 배치하여, 단차 이송유닛(23)보다 차륜 이송유닛(22)의 위상이 낮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차륜 이송유닛(22)은 지면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차륜(22b)의 접단를 통해 평지 주행이 가능하고, 이때 단차 이송유닛(23)은 차륜 이송유닛(22)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상을 갖게 되므로 차륜(22b)을 통해 평지 주행시 평지에 돌출된 장애물과 거상암(23b)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보다 긴 길이를 통해 높은 계단의 단차도 안정되게 견착시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와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상암(23b)의 단부에는 외경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절곡편(23b-a)이 형성되어, 거상암(23b)은 절곡편(23b-a)의 외경면을 통해 계단의 단차면을 연속적으로 접단시켜서, 계단의 단차면에 안정되게 접지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절곡편(23b-a)의 단부에는 지지롤러(23b-b)가 형성되어 지지롤러(23b-b)의 구름작용을 통해 접단 지지되는 계단 단차면의 물리적 손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a와 도 5와 같이 상기 전동모터(40)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동력 전달유닛(30)를 통해 차륜 이송유닛(22)에 제공되면, 상기 차륜 이송유닛(22)은 지면에 접단된 차륜(22b)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평지를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와 도 6과 같이 상기 전동모터(40)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단차 이송유닛(23)에 제공되면 상기 단차 이송유닛(23)의 거상암(23b)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거상암(23)은 계단의 단차면에 접지된 상태로 선회하여 계단을 단계적으로 오르거나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거상암(23b)의 단부에 형성된 절곡편(23b-a)은 만곡진 외경면을 통해 계단의 단차면과 연속적으로 접단하므로, 미끌림 발생없이 본체의 안정된 등반이 가능하다. *** 도 6에서 미 설명부호 "24"는 거상암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임.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동모터(40)와 차륜 이송유닛(22), 또는 전동모터(40)와 단차 이송유닛(23)의 택일적으로 연결하는 동력 전달유닛(30)을 포함하여, 이들 차륜 이송유닛(22)과 단차 이송유닛(23)이 단일 전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택일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 전달유닛(30)은,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31)과; 상기 구동축(31) 상에 공회전 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구동부재(32)와 제 2 구동부재(33)와; 상기 구동축(31)에 진퇴구조로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32)와 제 2 구동부재(33) 사이를 진퇴하면서 이들 사이를 택일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부재(34); 및 상기 차륜 이송유닛(22)에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32)와 연결부재(37)를 통해 연결된 제 1 종동부재(35)와; 상기 단차 이송유닛(23)에 고정되어 제 2 구동부재(33)와 연결부재(37)를 통해 연결된 제 2 종동부재(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 부재(34)는 구동축(31)에 규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구동축(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구동부재(32)와 제 2 구동부재(33)는 구동축(31)에 공회전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부재(34)는 스프링(34a)에 의해 일편으로 탄지되어 평상시에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부재(33)와 규합되고, 도 3a와 같이 견인 와이어(34b)에 의해 타편으로 당겨지면 제 1 구동부재(32)와 규합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견인 와이어(34b)를 대신하여 솔레로이드 등의 전기적 기구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동부재(32)와 제 1 종동부재(35), 그리고 제 2 구동부재(33)와 제 2 종동부재(36)를 스프라켓으로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7)를 체인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차륜 이송유닛(22)의 차륜(22b)과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제 1 종동부재(35), 또는 단차 이송유닛(23)의 거상암(23b)와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제 2 종동부재(36)는 각각 단일몸체로 구성하여, 부피의 소형화와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상기 클러치 부재(34)와 제 1 구동부재(32)가 규합된 상태를 형성하면, 도 5와 같이 전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차륜 이송유닛(22)의 차륜(22b)이 회전하여 전동 손수레(1)는 평지를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클러치 부재(34)가 제 2 구동부재(33)와 규합되면, 도 6과 같이 전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23)의 거상암(23b)이 회전하여 전동 손수레(1)는 계단을 단계적으로 오르 내리는 단차 이송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수레(1)는 단일 전동모터(40)를 통해 차륜 이송유닛(22)과 단차 이송유닛(23)의 택일적인 구동을 도모하므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또 차륜 이송유닛(22)을 통한 평지의 주행과정에 단차 이송유닛(23)의 거상암(23b)은 선회하지 아니하므로 안정된 평지 주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모터(40)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0)에, 연결된 배터리(60)의 출력단(61, 62)을 분리하고 전동모터(40) 입력단(42a, 42b)을 상호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제동을 도모하는 다이나믹 제동부(51)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7b와 같이 단상의 전동모터(40)의 입력단(42a, 42b)을 상호 연결하면, 전동모터(40)의 자기장에 의해 전동모터(40)의 전동축(41)이 제동되는 다이나믹 브레이크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상의 전동모터(40)의 입력단(42a, 42b)을 상호 연결시켜 전동축(41)의 고정하는 원리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적용하여, 구동부(20)를 구성하는 차륜 이송유닛(22)과 단차 이송유닛(23)의 제동을 도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트롤러(50)에 마련된 다이나믹 제동부(51)를 통해 전동모터(40)의 다이나믹 브레이크 상태를 교번, 또는 지속적으로 형성하여, 계단을 내려올 때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고, 평지 주행이나 주차시 차륜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이나믹 제동을 구현하는 다이나믹 제동부(51)를 콘트롤러(50)에 부가하면, 기계식 브레이크 등의 물리적인 제동구조나 마그넷을 이용한 전자식 제동구조를 전동모터에 부가하지 아니하고도, 평지 주행이나 주차, 그리고 계단을 내려갈 때 거상암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전동 손수레
10. 본체 11. 적재대
11a. 힌지 12. 견인 손잡이
20. 구동부 21. 고정 브라켓
22. 차륜 이송유닛 22a. 차륜축
22b. 차륜 23. 단차 이송유닛
23a. 암축 23b. 거상암
30. 동력 전달유닛 31. 구동축
32. 제 1 구동부재 33. 제 2 구동부재
34. 클러치 부재 34a. 스프링
34b. 견인 와이어 35. 제 1 종동부재
36. 제 2 종동부재 37. 연결부재
40. 전동모터 41. 전동축
42a, 42b. 입력단
50. 콘트롤러 51. 다이나믹 제동부
60. 배터리 61, 62. 출력단

Claims (7)

  1. 적재대와 견인 손잡이가 직교하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주행기능을 도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의 하부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를 제공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차륜축과 상기 차륜축에 설치되는 차륜을 포함하는 차륜 이송유닛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암축과 상기 암축에 설치되는 거상암을 포함하는 단차 이송유닛; 및 상기 전동모터와 단차 이송유닛을 연결시켜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의 거상암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클러치 구조를 통해 상기 전동모터와 차륜 이송유닛, 또는 전동모터와 단차 이송유닛에 택일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유닛에 마련된 클러치에 의해, 단일 전동모터에 의해 차륜 이송유닛과 단차 이송유닛의 택일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공회전 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진퇴구조로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사이를 진퇴하면서 이들 사이를 택일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차륜 이송유닛에 고정되어 제 1 구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제 1 종동부재와; 상기 단차 이송유닛에 고정되어 제 2 구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제 2 종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상암의 단부에는 외경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절곡편이 형성되어, 거상암은 절곡편의 외경면을 통해 계단의 단차면을 연속적으로 접단시켜서, 계단의 단차면에 안정되게 접지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차 이송유닛의 거상암이 회전하면서, 계단의 단차부에 단부를 지지시켜 계단을 단계적으로 등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러에는 전동모터의 입력단과 연결된 배터리의 출력단은 분리하고, 전동모터의 입력단은 상호연결하여 전동모터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형성하는다이나믹 제동부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재와 제 2 종동부재, 그리고 제 2 구동부재와 제 2 종동부재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이송유닛의 차륜축은 고정 브라켓의 전방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단차 이송유닛의 암축은 고정 브라켓의 후방 상부에 배치하여, 단차 이송유닛의 암축보다 차륜 이송유닛의 차륜축이 상대적으로 위상이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수레.
  7. 삭제
KR1020130121055A 2013-10-11 2013-10-11 전동 손수레 KR10153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55A KR101539299B1 (ko) 2013-10-11 2013-10-11 전동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55A KR101539299B1 (ko) 2013-10-11 2013-10-11 전동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34A KR20150042434A (ko) 2015-04-21
KR101539299B1 true KR101539299B1 (ko) 2015-07-24

Family

ID=5303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55A KR101539299B1 (ko) 2013-10-11 2013-10-11 전동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976A1 (de) * 2018-12-19 2020-06-25 Aat Alber Antriebstechnik Gmbh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einer Last auf einer Trep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8576B (zh) * 2017-03-08 2019-02-15 河海大学常州校区 爬楼用卡爪轮装置及应用其的助力行李车
CN106864493B (zh) * 2017-03-08 2019-02-15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爬楼用卡爪轮装置及应用其的助力行李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40A (ja) * 1994-01-20 1995-09-26 Yasuyuki Kawamorita 階段等用走行装置
KR101179804B1 (ko) * 2012-02-03 2012-09-04 오희균 자동 핸드 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40A (ja) * 1994-01-20 1995-09-26 Yasuyuki Kawamorita 階段等用走行装置
KR101179804B1 (ko) * 2012-02-03 2012-09-04 오희균 자동 핸드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976A1 (de) * 2018-12-19 2020-06-25 Aat Alber Antriebstechnik Gmbh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einer Last auf einer Tre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34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0235B (zh) 一种既能移动又能爬楼的载物机器人
US8616313B2 (en) Motorized transport vehicle for a pedestrian
US3575250A (en) Self-propelled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mount
US20080315541A1 (en) Motorized Hand Cart for Lifting and Moving Large Heavy Objects
WO2016139869A1 (ja) 電動車
JP2010036613A (ja) 搬送車及び連結機構
KR101539299B1 (ko) 전동 손수레
US10369064B2 (en) Step-climbing attachment for a wheeled chair
JP4021907B2 (ja) 走行装置
JP2021529064A (ja) 関節構造により連結される自己平衡型スクーターを用いた、カート型車両用駆動システム
WO2018025172A1 (en) Hybrid wheeled and tracked moving mechanism
CN106892039A (zh) 自平衡装置及电动车辆
JP2008013154A (ja) ショルダーベルト牽引型台車
RU2466701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110435780B (zh) 一种轮履复合型可爬楼运货机
TWI602729B (zh) 移動式載具
CN206750011U (zh) 自平衡装置及电动车辆
JP2011143914A (ja) 手押し式二輪車
JP5253839B2 (ja) 移動台車
WO2006103787A1 (ja) 走行装置
JP2023034539A (ja) 運搬器具
CN210000345U (zh) 动力辅助装置及具有该动力辅助装置的手推车
CN101811513A (zh) 运输装置
JPH0848252A (ja) 荷 車
CN216834083U (zh) 一种电驱动轻载式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