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981B1 -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981B1
KR101537981B1 KR1020140038844A KR20140038844A KR101537981B1 KR 101537981 B1 KR101537981 B1 KR 101537981B1 KR 1020140038844 A KR1020140038844 A KR 1020140038844A KR 20140038844 A KR20140038844 A KR 20140038844A KR 101537981 B1 KR101537981 B1 KR 10153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evice
voip
mobile communi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주)헬릭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릭스테크 filed Critical (주)헬릭스테크
Priority to KR102014003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8Number portability ; Network address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은,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장치,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VoIP 교환기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부가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TWO NUMBER SERVICE SYSTEM AND TWO NUMBER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 장치가 두 개의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 넘버 서비스란 하나의 단말 장치가 두 개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착/발신 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투 넘버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는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를 가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는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는 각각 독립된 개별 번호로 인식될 수 있다.
부가 번호를 기본 번호와 구별하기 위해 부가 번호의 착/발신 시에는 휴대폰 번호 앞에 별도의 식별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번호 앞에 별도의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주소록 검색을 통한 발신이 불가능하며, 발신자 번호가 표시되지 않는 등 사용자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투 넘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투 넘버 서비스 이용 가능한 전용 단말 장치가 필요하여 서비스 범위에 제한이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 장치에서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가 번호를 이용한 착/발신 기록은 저장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부가 번호로 착/발신시 별도의 식별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주소록을 이용한 발신이 가능한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부가 번호의 착/발신 기록이 저장되고,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알 수 있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은,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장치,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VoIP 교환기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부가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VoIP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가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VoIP 교환기가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부가 번호로 착/발신시 별도의 식별 번호를 입력하지 않아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으며, 부가 번호로 발신할 때 주소록을 이용한 발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VoIP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가 번호의 착/발신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1000)은 복수의 단말 장치(100-1, 100-2), 이동 통신 교환기(200) 및 VoIP(voice over IP) 교환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1000)이 두 개의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단말 장치(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 제2 단말 장치 및 제3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와 이동 통신 교환기(200) 및 VoIP 교환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 또는 제2 단말 장치(200)와 푸쉬 서버(300) 또는 메시징 서버(40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세계를 연결하는 유/무선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 또는 VoIP 교환기(300)를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두 개의 휴대폰 번호(예를 들어,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로 통화하는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부가 번호로 통화하는 경우 VoIP 교환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로부터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타 단말 장치로부터 부가 번호를 착신 번호로 통화가 요청되면 VoIP 교환기(30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VoIP 교환기(300)와 연결할 때, VoIP 교환기(300)로부터 통화 요청에 따른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VoIP 교환기(300)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할 때 일반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가 번호로 통화를 수행할 때 VoIP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기본 번호가 발신 번호가 될 수 있으며, VoIP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부가 번호가 발신 번호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어플리케이션은 착/발신시 일반적인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착/발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어플리케이션은 부가 번호를 이용한 착/발신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VoIP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가 번호를 이용한 착/발신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부가 번호로 통화가 시작되면 Wi-Fi(wireless fidelity)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Wi-Fi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예를 들어, 이동 중, 지하철 탑승시)에도 안정적인 통화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부가 번호로 통화가 시작되면 Wi-Fi 연결을 차단하고 3G, LTE 등의 데이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VoIP 교환기(300)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VoIP 패킷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데이터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VoIP 패킷이란 VoIP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으로 송수신되는 패킷화된 음성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VoIP 교환기(300)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 통화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VoIP 교환기(300)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로 통화가 수행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화가 종료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부가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기본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을 거절하고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부가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기본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을 거절하고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거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하나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나머지 하나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거나 발신 요청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번호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기본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가 번호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기본 번호로 발신 요청이 입력되면 부가 번호 통화 종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단말 장치(100-1, 100-2)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 착신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가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제2 단말 장치(100-2)의 부가 번호로 통화를 요청한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VoIP 교환기(3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의 착신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단말 장치(100-1, 100-2)로부터 통화 거절 정보가 수신되면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장치(100-2)가 부가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1 단말 장치(100-1)가 제2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거절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통화 거절 정보가 수신되면 제1 단말 장치(100-1)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의 착신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가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제2 단말 장치(100-2)의 부가 번호로 통화를 요청한 경우 VoIP 교환기(3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단말 장치(100-1, 100-2)로 통화를 요청할 때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1, 100-2)는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화가 요청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통화 연결을 위해 VoIP 교환기(300)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여 단말 장치(100-1, 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단말 장치(100-1, 100-2)로부터 수신되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기본 번호와 부가 번호 간에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가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되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통화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수신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가 기본 번호로 통화 중인 경우에는 통화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단말 장치(100-1)가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1)는,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S201)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203).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205).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S205-Yes),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207).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로부터 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209). 사용자의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2 단말 장치(100-2) 간에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가 아니면(또는, 부가 번호이면)(S205-No),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211).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213).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로부터 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215). 사용자의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2 단말 장치(100-2) 간에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2 단말 장치(100-2)가 부가 번호를 발신 번호로 제1 단말 장치(100-1)로 통화를 요청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제1 단말 장치(100-1)로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S301) VoIP 교환기(30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303).
VoIP 교환기(3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305). VoIP 교환기(30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가 아니면(또는, 부가 번호이면)(S305-No), 제1 단말 장치(100-1)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307).
제1 단말 장치(100-1)는 VoIP 교환기(3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1)는 사용자로부터 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309). 사용자의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2 단말 장치(100-2) 간에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VoIP 교환기(20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S205-Yes),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311).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313).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로부터 승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315). 사용자의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2 단말 장치(100-2) 간에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단말 장치(100-1)는 기본 번호로, 제2 단말 장치(100-2)는 부가 번호로 서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1)는 통화가 시작된 후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S401), 사용자 음성이 포함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03). 제1 단말 장치(100-1)는 음성 통화 데이터가 생성되면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405).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교환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407).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S409). VoIP 교환기(300)는 VoIP 패킷을 제2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S411).
제2 단말 장치(100-2)는 VoIP 교환기(300)로부터 VoIP 패킷이 수신되면 VoIP 패킷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S413).
제2 단말 장치(100-2)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S415), 사용자 음성이 포함된 VoIP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S417). 제2 단말 장치(100-2)는 VoIP 패킷이 생성되면 VoIP 패킷을 VoIP 교환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419).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VoIP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421). VoIP 교환기(300)는 VoIP 패킷을 이동 통신 교환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423).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VoIP 교환기(300)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제1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S425).
제2 단말 장치(100-2)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음성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S427).
도 4에 따르면 발신 번호 및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로 서로 상이하더라도 기본 번호와 부가 번호 간에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가 서로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3 단말 장치(100-3)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부가 번호를 발신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1)의 사용자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면 제1 단말 장치(100-1)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501).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하여(S503),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2 단말 장치(100-2)의 통화가 시작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VoIP 교환기(300)로 기본 번호 통화 중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05).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 통화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VoIP 교환기(300)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로 통화가 수행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중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화가 종료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VoIP 교환기(30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통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07).
제3 단말 장치(100-3)의 사용자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부가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면 제3 단말 장치(100-3)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509).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3 단말 장치(100-3)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511).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통화 중 상태이면 제3 단말 장치(100-3)의 통화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S513).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제3 단말 장치(100-3)의 통화 요청을 거절하면, 제3 단말 장치(100-3)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 중인 경우에도 통화 중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신 단말 장치가 통화 중 상태인 경우 발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착신 단말 장치의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2 단말 장치(100-2)가 부가 번호로 제1 단말 장치(100-1)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3 단말 장치(100-3)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1)의 사용자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부가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면 제1 단말 장치(100-1)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601).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VoIP 교환기(3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603).
VoIP 교환기(3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하여(S606),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제3 단말 장치(100-3)의 사용자가 제2 단말 장치(100-2)의 기본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면 제3 단말 장치(100-3)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607).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제3 단말 장치(100-3)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S609).
제2 단말 장치(100-2)는 기본 번호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부가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S6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통화 요청을 거절하면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인 제3 단말 장치(100-3)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3). 예를 들어, 제2 단말 장치(100-2)는 "통화중입니다. 잠시후에 연락들겠습니다"와 같은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단말 장치(100-2)는 통화 요청을 거절하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거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15).
이동 통신 교환기(200)는 통화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인 제3 단말 장치(100-3)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7).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VoIP 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VoIP 교환기(300)는 통신부(310), 호 처리부(320), 저장부(330), 데이터 변환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와 이동 통신 교환기(200)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와 통화 요청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호 처리부(3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착신 번호가 부가 번호이면 착신 단말 장치(예: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와 VoIP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와 음성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가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되면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부터 통화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종료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제1 단말 장치(100-1) 또는 제2 단말 장치(100-2)로 통화를 요청할 때,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호 처리부(320)는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를 확인하여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호 처리부(320)는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를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호 처리부(320)는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경우 통화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투 넘버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투 넘버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장치별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단말 장치로부터 기본 번호 통화 상태가 수신되면 저장된 기본 번호 통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40)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가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VoIP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된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VoIP 교환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통신부(310), 호 처리부(320), 저장부(330) 또는 데이터 변환부(340) 각각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투 넘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VoIP 교환기의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7에 도시된 VoIP 교환기에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VoIP 교환기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VoIP 교환기(300)는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통화 요청을 송수신할 수 있다.
VoIP 교환기(300)는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8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를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투 넘버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S820-Yes),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가 아니면(S820-No), 착신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1)로부터 VoIP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된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교환기(200)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IP 교환기(300)는 투 넘버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장치별로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단말 장치로부터 기본 번호 통화 상태가 수신되면 저장된 기본 번호 통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oIP 교환기(300)는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경우 통화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00-1 : 제1 단말 장치
100-2 : 제2 단말 장치 100-3: 제3 단말 장치
200 : 이동 통신 교환기 300 : VoIP 교환기
310 : 통신부 320 : 호 처리부
330 : 저장부 340 : 데이터 변환부
350 : 제어부

Claims (26)

  1. 기본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장치;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VoIP 교환기;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기본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면 부가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부가 번호로 통화가 시작되면 Wi-Fi(wireless fidelity)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VoIP 교환기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단말 장치의 부가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부가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기본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고 상기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부가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기본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고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거절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통화 거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 요청의 발신 단말 장치로 통화 불가능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하나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상기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나머지 하나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거나 발신 요청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부가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VoIP 교환기로 통화를 요청하며,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고, 부가 번호이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상기 부가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는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Wi-Fi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1.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VoIP 교환기;를 포함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단말 장치의 부가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고, 부가 번호이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시스템.
  16. 제1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가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고 부가 번호이면 VoIP(voice over IP)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VoIP 교환기가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VoIP 교환기가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VoIP 교환기가 제2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VoIP 교환기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단말 장치의 부가 번호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VoIP 교환기가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VoIP 교환기가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여, 기본 번호이면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고, 부가 번호이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VoIP 교환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21. 투 넘버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번호 및 부가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는 호 처리부; 및
    상기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고, 부가 번호이면 제1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VoIP 교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 또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교환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하며,
    상기 호 처리부는,
    단말 장치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이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교환기.
  24.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인지 또는 부가 번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가 기본 번호이면 이동 통신 교환기로 통화 요청을 전달하고, 부가 번호이면 착신 단말 장치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oIP 교환기의 호 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 VoIP 패킷이 수신되면 VoIP 패킷을 음성 통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통화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교환기의 호 처리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장치의 기본 번호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가 기본 번호로 통화중인 상태이면 상기 통화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교환기의 호 처리 방법.
KR1020140038844A 2014-04-01 2014-04-01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153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4A KR101537981B1 (ko) 2014-04-01 2014-04-01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4A KR101537981B1 (ko) 2014-04-01 2014-04-01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981B1 true KR101537981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44A KR101537981B1 (ko) 2014-04-01 2014-04-01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226B1 (ko) * 2005-07-19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액세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 접속 방법과 그시스템
KR20090006596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VoIP 인터넷 전화로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요금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110024154A (ko) * 2009-09-01 2011-03-09 주식회사 케이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226B1 (ko) * 2005-07-19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액세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 접속 방법과 그시스템
KR20090006596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VoIP 인터넷 전화로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요금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110024154A (ko) * 2009-09-01 2011-03-09 주식회사 케이티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11B1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33606A1 (zh) 一种基于语音网关的通信方法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177009B1 (en) Methods of determining information regarding remote user terminal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10257362B2 (en) Voice gateway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537981B1 (ko) 투 넘버 서비스 및 투 넘버 서비스 방법
JP5069142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4819716B2 (ja) 通話制御サーバ、及び、通話制御方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KR101030820B1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내선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0059A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JP2012209730A (ja) 共用電話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および共用端末用プログラム
JP6563962B2 (ja) 通信装置
JP201711835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4357152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呼救済方法および電話交換機
KR20070010669A (ko)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32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1086235B1 (ko) 우선 착신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830046B1 (ko) 착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주소록 동기화서버 및 동기화 방법
JP2021118463A (ja) 主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電話端末へのマルチライン着信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