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867B1 - 와셔 셋팅장치 - Google Patents

와셔 셋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867B1
KR101537867B1 KR1020130153221A KR20130153221A KR101537867B1 KR 101537867 B1 KR101537867 B1 KR 101537867B1 KR 1020130153221 A KR1020130153221 A KR 1020130153221A KR 20130153221 A KR20130153221 A KR 20130153221A KR 101537867 B1 KR101537867 B1 KR 10153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supply pipe
supply
coupl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590A (ko
Inventor
조선제
우성현
임종민
은희광
전종협
문남진
문귀원
박진
최원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8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8Machines for placing washers, circlips, or the like on bolts or oth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셔셋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체 진동시험 등에 사용되는 볼트에 와셔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셔 셋팅장치{SETTING APPARATUS FOR WASHER}
본 발명은 와셔셋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체 진동시험 등에 사용되는 볼트에 와셔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셔는 나사, 볼트, 너트 등의 자리와 체결부와의 사이에 사용되며, 볼트 구멍이 지나치게 크거나, 체결부와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을 때 체결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09110호에는 볼트 형성 전의 리벳에 와셔를 끼우는 와셔조립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셔조립장치는 볼트 형성 전 즉, 나사산이 형성되기 전의 리벳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나사산이 형성된 후의 볼트 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09110호(2010.10.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체 진동시험 등에 사용되는 볼트에 와셔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볼트에 와셔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와셔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와셔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셔가 수용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와셔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관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공급관; 양단부가 개구되며, 타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급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공급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공급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공급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3공급관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3공급관은, 각각 양단부 길이가 상기 와셔의 외경과 같거나, 그 외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이 접하는 바닥면 및 상기 제2공급관과 상기 제3공급관이 접하는 바닥면이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출구의 후방에 위치되며, 전면 및 상,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상기 와셔가 인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부 및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공급관 및 상기 결합블록이 복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부 및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공급관 및 상기 결합블록이 병렬로 복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관은, 일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블록은,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체 진동시험 등에 사용되는 볼트에 와셔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에서 결합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볼트(100)에 와셔(110)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1)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와셔(110)가 유입되는 유입구(12)와, 유입된 상기 와셔(110)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는 공급관(11)을 포함하는 공급부(10) 및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셔(110)가 수용되며, 상기 볼트(100)와 그 와셔(110)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결합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100)는 위성체의 진동시험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진동에 따른 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셔(110)가 체결된다.
상기 와셔(110)는 평와셔나, 스프링와셔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공급관(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12)가 형성되는 제1공급관(14), 양단부가 개구되며 타단부에 상기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제3공급관(16) 및 일단부는 상기 제1공급관(14)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공급관(1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3공급관(14,16)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2공급관(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급관(14)은 상기 제3공급관(16)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공급관(15)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하형 경사를 이룬다.
상기 제1,2,3공급관(14,15,16)은 양단부가 개구되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나 종단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3공급관(14,16)은 각각 양단부 길이(B)가 상기 와셔(110)의 외경(A)과 같거나, 그 외경(A)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와셔(110)가 상기 제1공급관(14)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급관(15)으로 유도되어 상기 제3공급관(16)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제3공급관(16)으로 유입되는 상기 와셔(110)가 상기 결합부(2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11)은 상기 와셔(110)가 상기 제1,2,3공급관(14,15,16)을 통과하면서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관(14)과 상기 제2공급관(15)이 접하는 바닥면(14a) 및 상기 제2공급관(15)과 상기 제3공급관(16)이 접하는 바닥면(16a)이 곡면을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와셔 셋팅장치(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셔(110)가 상기 유입구(12)로 유입된 뒤, 상기 제1,2,3공급관(14,15,16)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구(13)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3)로 배출되는 상기 와셔(100)는 상기 결합부(20)에 수용된 뒤, 상기 볼트(100)에 조립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공급관(11)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3공급관(16)과 연통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는 결합블록(2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블록(21)은 전면 및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수용홈(22)을 형성하며, 그 수용홈(22)을 이루는 후면은 상기 와셔(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블록(21)은 상기 수용홈(22)이 형성되면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면이 개구되는 'U'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수용홈(22)을 이루는 양측 폭(C)은 상기 와셔(1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면서 그 와셔(110)가 내측으로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22)을 이루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기 와셔(110)가 상기 수용홈(22)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공급부(10)에 접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볼트(100)가 상기 와셔(110)에 체결되면 그 공급부(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트(10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0) 및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공급관(11) 및 상기 결합블록(21)이 단층을 이루거나, 복수개가 적층되면서 복수층을 이룰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볼트(100)에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와셔(110)를 체결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0) 및 상기 결합부(20)는 각각 복수의 상기 공급관(11) 및 복수의 상기 결합블록(21)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블록(20)은 각각 일측면에 결합돌기(24)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결합돌기(24)와 대응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급관(11)은 일측면에 체결돌기(17)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체결돌기(17)와 대응되는 체결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공급관(11)은 인접하는 공급관(11) 간에 상호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블록(21)은 인접하는 결합블록(21) 간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와셔 셋팅장치(1)는 다수의 상기 볼트(100)에 각각 상기 와셔(110)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와셔 셋팅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셔 셋팅장치 10 : 공급부
11 : 공급관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제1공급관
15 : 제2공급관 16 : 제3공급관
17 : 체결돌기 18 : 체결홈
20 : 결합부 21 : 결합블록
22 : 수용홈 23 : 미끄럼방지부재
24 : 결합돌기 25 : 결합홈
100 : 볼트 110 : 와셔

Claims (10)

  1. 볼트에 와셔가 자동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셋팅하기 위한 와셔 셋팅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와셔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와셔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셔가 수용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와셔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출구를 이루는 둘레에 연결되며, 전면 및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셔가 끼움결합되는 한편, 상하방향으로 상기 볼트가 인입되어 그 와셔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합블록; 및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와셔와 접하면서 그 와셔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공급관;
    양단부가 개구되며, 타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급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공급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공급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공급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3공급관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3공급관은,
    각각 양단부 길이가 상기 와셔의 외경과 같거나, 그 외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이 접하는 바닥면 및 상기 제2공급관과 상기 제3공급관이 접하는 바닥면이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 및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공급관 및 상기 결합블록이 복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 및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공급관 및 상기 결합블록이 병렬로 복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일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셋팅장치.
  10. 삭제
KR1020130153221A 2013-12-10 2013-12-10 와셔 셋팅장치 KR10153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221A KR101537867B1 (ko) 2013-12-10 2013-12-10 와셔 셋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221A KR101537867B1 (ko) 2013-12-10 2013-12-10 와셔 셋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90A KR20150067590A (ko) 2015-06-18
KR101537867B1 true KR101537867B1 (ko) 2015-07-21

Family

ID=5351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221A KR101537867B1 (ko) 2013-12-10 2013-12-10 와셔 셋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053B1 (ko) * 2016-11-23 2018-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와셔 자동 결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494A (zh) * 2020-04-30 2020-08-14 合肥余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组装式家具定位安装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8893U (ko) * 1979-05-04 1980-11-14
JPS5954407U (ja) * 1982-10-01 1984-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円環状ワ−ク整送用のホ−ス構造
JPH05345241A (ja) * 1992-06-15 1993-12-27 Hitachi Zosen Corp ボルト・ナット締結装置におけるナット・ワッシャー供給装置
JP2002154022A (ja) * 2000-11-15 2002-05-28 Isuzu Motors Ltd ボルト&ワッシャー組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8893U (ko) * 1979-05-04 1980-11-14
JPS5954407U (ja) * 1982-10-01 1984-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円環状ワ−ク整送用のホ−ス構造
JPH05345241A (ja) * 1992-06-15 1993-12-27 Hitachi Zosen Corp ボルト・ナット締結装置におけるナット・ワッシャー供給装置
JP2002154022A (ja) * 2000-11-15 2002-05-28 Isuzu Motors Ltd ボルト&ワッシャー組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053B1 (ko) * 2016-11-23 2018-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와셔 자동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90A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894B2 (en) Divisible sprocket wheel
KR101537867B1 (ko) 와셔 셋팅장치
US20150354181A1 (en) Plumbing connector
US8458845B1 (en) Pipe cleaning device
WO2007014165A3 (en) Intake manifold plate adapter
WO2007098163A3 (en) Ultraviolet lamp for use in water purifiers
US8832919B2 (en) Flanged ribbed nut
US20050109863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nozzle and extension pipe of a sprinkler
CN101166863A (zh) 在运输过程中使用的紧固系统
KR101384534B1 (ko) 기어노브의 장착구조
US20100258658A1 (en) Water outlet coupler
KR101295346B1 (ko) 스페이스 프레임
JP5619497B2 (ja) 互いに直交するよう配向された2つの要素の強制固定用装置
US8267273B2 (en) Hole plug system having opposed engaging ends
CN205533671U (zh) 外螺纹件
CN104633913A (zh) 电热水器
KR20130004814U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US20220080558A1 (en) Faucet installation tool
US10288202B2 (en) Installation between valve connector and pipe of ice maker
ES2651589T3 (es) Conexión de tubería
CN102177408B (zh) 用于散热器元件的轻型连接套管
KR200471551Y1 (ko) 가스차단을 위한 배관 체결 조립체
US10112477B2 (en) Tube support assembly
KR100708910B1 (ko) 커플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416680B1 (ko) 수전금구의 급수호스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