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857B1 -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857B1
KR101537857B1 KR1020130138716A KR20130138716A KR101537857B1 KR 101537857 B1 KR101537857 B1 KR 101537857B1 KR 1020130138716 A KR1020130138716 A KR 1020130138716A KR 20130138716 A KR20130138716 A KR 20130138716A KR 101537857 B1 KR101537857 B1 KR 10153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carbonate resin
parts
resin composition
graf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130A (ko
Inventor
윤상화
이종욱
우인섭
김명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8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본 수지로 하여 탄소섬유 첨가로 고전도도와 고강성을 구현하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 탄소섬유 2~50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0.5~10중량부;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RODUCT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는 내충격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높은 투명성, 우수한 치수 안정성, 폭넓은 착색성 등을 나타내므로, 전기, 전자제품의 하우징이나 자동차 실내 장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9278호는 유리섬유 혹은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조합 첨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열변성 온도를 증가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의 첨가에 따른 충격강도의 저하에 대한 대책은 마련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14668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탄소섬유를 함유하며,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고무 비닐 그래프트 공중합체 함유하였으나, 역시 탄소섬유의 첨가에 따른 충격강도 저하에 대한 대책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탄소섬유를 첨가 시, 탄소섬유 첨가에 따른 충격강도 저하 문제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본 수지로 하여 탄소섬유 첨가로 고전도도와 고강성을 구현하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 탄소섬유 2~50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0.5~10중량부;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가 폴리부타디엔이고, 쉘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아이조드 충격강도(ASTM D256, 23℃, 1/8")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본 수지로 한 전도성 충전제, 즉,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고전도도 및 고강성을 구현하고, 무수 말레산으로 치환된 폴리올레핀 왁스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적정 함량 첨가함으로써 탄소섬유의 첨가에 의한 충격강도 저하 현상이 보완된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 탄소섬유 2~50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0.5~10중량부;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1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00~80,000일 수 있다. 또한, 분지쇄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전량에 대하여 0.05~2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방법을 따를 수 있으며, 일례를 들면,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포스겐(phosgen)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디페닐카보네이트(diphenyl carbonate)에 의해 얻어지는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B) 탄소섬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섬유는 수지 조성물의 전도도 및 강성을 보완시키고 수지의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상기 탄소섬유는 일반적으로 그 직경, 형태 및 흑연화 정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탄소섬유를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섬유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피치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기반의 섬유일 수 있으며, 단일 필라멘트 또는 다중 필라멘트의 형태로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직조, 코어/시스, 사이드-바이-사이드, 오랜지-타입 또는 매트릭스 및 피브릴 구조 등을 통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타입의 섬유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의 보강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로빙(rovings), 0-90도 패브릭과 같은 우븐(woven) 섬유질 보강재, 연속 스트랜드 매트, 찹(chopped) 스트랜드 매트, 티슈, 페이퍼 및 펠트와 같은 비-우븐 섬유질 보강제, 그리고 프리폼(preforms) 및 브레이드(braids)와 같은 3-차원 우븐 보강제의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탄소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약 1~30㎛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의 직경이 2~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1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50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3~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일 경우 요구되는 전도도 및 강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의 점도 상승으로 성형이 어려울 수 있고,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C) 변성 폴리올레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고 산무수물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가 그라프팅된 중합체일 수 있다. 주쇄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으로는 예컨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산무수물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는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가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은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더불어 탄소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충격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첨가제 역할을 한다. 변성 폴리올레핀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격 강화 특성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무수 말레산을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라프트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 및 무수 말레산을 이축 압출기, 밴버리 혼합기, 혼련기 등에서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용융 혼련시키거나,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와 무수 말레산과의 공존에 의한 공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변성 폴리올레핀은 분자량이 1,000~2,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변성 폴리올레핀과 더불어 탄소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충격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첨가제 역할을 하는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상기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코어에 비닐 단량체가 그라프트되어 있는 딱딱한 쉘이 형성된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이고, 상기 고무 코어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일 수 있고, 상기 비닐 단량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고무 성분의 함량은 20~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성분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향상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용성이 저하되어 오히려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2~8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격 강화 특성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여 성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주요 성분 외에, 그 목적하는 용도나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난연제, 광안정제, 활제, 조색제, 윤활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 강화제, 열안정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탄소섬유, (C) 변성 폴리올레핀 및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용융지수가 10g/10min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HOPLEX PC-1100S,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B) 탄소섬유
섬유 길이가 8㎜이고 섬유 직경이 8㎛인 탄소섬유(PYROFIL TR06UL, MRC사)를 사용하였다.
(C) 변성 폴리올레핀
주쇄가 폴리에틸렌이고, 무수 말레인산으로 그라프팅된 변성 폴리올레핀(Hi-Wax 1105A, Mitsui사)을 사용하였다.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고무에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Paraloid EXL-2602, DOW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 (B) 탄소섬유 10중량부, (C) 변성 폴리올레핀 1중량부 및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중량부 함량으로 혼합하고, 28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만든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120℃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시편을 사출 성형하였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 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C) 변성 폴리올레핀 3중량부 및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6중량부 함량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C) 변성 폴리올레핀 5중량부 및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8중량부 함량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C) 변성 폴리올레핀 및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C) 변성 폴리올레핀 3중량부 함량으로 혼합하고,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D)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6중량부 함량으로 혼합하고, (C) 변성 폴리올레핀을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시험예
상기 제조된 각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유동성: 열가소성 수지의 유량비(유동성)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1238에 따라 용융 유량비(MFR)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는 300℃이었고, 1.2㎏ 추를 사용하였으며, 10분 동안 흘러나오는 수지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일정한 무게의 추를 이용해 플라스틱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256에 따라 상기 제조된 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1/8")를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율: 플라스틱의 각종 굴곡 특성을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790에 따라 상기 제조된 시편의 굴곡탄성율을 측정하였다.
(4) 전도도: 물질의 표면저항을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257에 따라 상기 제조된 시편의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103982900-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탄소섬유에 변성 폴리올레핀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적정 함량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실시예 1 내지 3) 내충격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굴곡탄성율 및 전도도에도 큰 저하가 없는 전도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제조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변성 폴리 올레핀과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첨가 양이 적을 경우(실시예 1) 충격보강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실시예 3)에는 유동성 및 굴곡탄성율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변성 폴리올레핀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거나(비교예 1), 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첨가할 경우(비교예 2 및 3)에는 내충격성이 개선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
    직경이 3~10㎛인 탄소섬유 5~20중량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분자량이 1,000~2,000g/mol인 변성 폴리올레핀 3~5중량부; 및
    코어가 폴리부타디엔이고, 쉘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6~8중량부;
    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아이조드 충격강도(ASTM D256, 23℃, 1/8")가 35.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KR1020130138716A 2013-11-15 2013-11-15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53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16A KR101537857B1 (ko) 2013-11-15 2013-11-15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16A KR101537857B1 (ko) 2013-11-15 2013-11-15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30A KR20150056130A (ko) 2015-05-26
KR101537857B1 true KR101537857B1 (ko) 2015-07-17

Family

ID=5339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716A KR101537857B1 (ko) 2013-11-15 2013-11-15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8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328A (ja) * 1992-07-08 1996-02-13 カワサキ ケミカル ホールディング シーオー. エラストマー強靭化耐摩耗性組成物
KR20010038924A (ko) * 1999-10-28 2001-05-15 유현식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JP2005533909A (ja) * 2002-07-25 2005-11-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静電気拡散性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
KR20130058983A (ko) * 2011-11-28 2013-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에테르/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328A (ja) * 1992-07-08 1996-02-13 カワサキ ケミカル ホールディング シーオー. エラストマー強靭化耐摩耗性組成物
KR20010038924A (ko) * 1999-10-28 2001-05-15 유현식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JP2005533909A (ja) * 2002-07-25 2005-11-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静電気拡散性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
KR20130058983A (ko) * 2011-11-28 2013-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에테르/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30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7990A (zh) 具有优异的抗冲击强度及流动性的玻璃纤维增强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8117735B (zh) 高性能无卤阻燃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EP2025714B1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9008186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5473661A (zh) 导热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产品
CN110183839B (zh) 具有良好表面性能的高填充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US6495615B1 (en) High modulus polyether sulfo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KR101812892B1 (ko) 기계적 강도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13039244B (zh) 聚苯硫醚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KR101766038B1 (ko) 충격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7001786B (zh) 聚合材料
KR101537857B1 (ko) 충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N113260674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品
JP510376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566507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23915B1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KR101728583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685976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00082735A (ko) 폴리아미드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46945B1 (ko) 고강도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87405B1 (ko)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107980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67401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