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042B1 - 방진구 - Google Patents

방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042B1
KR101537042B1 KR1020140075778A KR20140075778A KR101537042B1 KR 101537042 B1 KR101537042 B1 KR 101537042B1 KR 1020140075778 A KR1020140075778 A KR 1020140075778A KR 20140075778 A KR20140075778 A KR 20140075778A KR 101537042 B1 KR101537042 B1 KR 10153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screw
rod
hol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민
박만기
Original Assignee
(주)서남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남산기 filed Critical (주)서남산기
Priority to KR102014007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8Arrangements for reducing vibrations in feeding-passages or for damp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crankshafts, eccentrics, or cams, e.g. crankpin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주축대(10)와 심압대(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과;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 3안치공(21, 23, 25)이 마련되는 지지체(22)와, 상기 지지체(22) 하부에 마련되는 가동체(26)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1)을 따라 활주하는 방진몸체(2)와; 일정길이의 제1, 2, 3나사(31, 41, 51)가 마련되는 제1, 2, 3간격조절봉(32, 42, 52)과, 일측단부에는 제1, 2, 3롤러(37, 47, 5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1, 2, 3나사(31, 41, 51)와 치합되는 제1, 2, 3고정봉(36, 46, 56)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3지그(3, 4,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진구{A vibration absorber}
본 발명은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 샤프트의 양측 단부 각각을 주축대와 심암대에 고정시켜 선삭가공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단순한 구조로 다양한 길이 및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크랭크 샤프트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방진구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엔진이나 발전용 대형 엔진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는 엔진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프로펠러 등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력변환축의 일종이다. 이러한 크랭크 샤프트의 선삭가공은 통상적으로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양측 단부 각각을 선반 주축대(3)와, 선반 주축대(3)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는 심암대(4)에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일정길이 이상의 크랭크 샤프트를 절삭가공하는 경우에는 크랭크 샤프트의 자체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이나 바이트에 의한 절삭저항에 의하여 크랭크 샤프트에 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처짐이나 휨은 선삭가공과정에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를 진원단면을 갖도록 가공하기 위하여는 그 중간에 크랭크 샤프트를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방진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대형의 크랭크 샤프트를 선삭가공할려면 선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구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세팅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방진구는 선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설치되는 베드를 따라 이송시키기가 매우 어려웠다. 더욱이, 중량의 방진구를 베드를 따라 이송시킬 경우에는 방진구 및 베드의 접촉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손상은 제품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크랭크샤프트의 수평도, 가공상태 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1380호는 베드에 클램핑장치를 장착하고, 방진구에 복수 개의 전동기어 및 이송모터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부가함으로써 베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방진구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이송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수작업으로 방진구를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방진구가 가지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음은 분명하나, 이를 위해 너무 복잡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장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763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138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조로 다양한 길이 및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크랭크 샤프트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방진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반 주축대(10)와, 상기 선반 주축대(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는 심암대(20) 사이에 배치되어 크랭크 샤프트의 선삭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로서, 선반 주축대(10)와 심압대(20) 사이에 설치되되, 내측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12)이 마련되는 가이드레일(1)과;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 3안치공(21, 23, 25)이 마련되는 지지체(22)와, 하부 일측에는 상기 랙(12)에 치합되는 피니언봉(28)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22) 하부에 마련되는 가동체(26)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1)을 따라 활주하는 방진몸체(2)와; 일정길이의 제1나사(3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1안치공(21)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1캡(35)에 의해 제1안치공(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1간격조절봉(32)과, 일측단부에는 제1롤러(3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1안치공(21)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나사(31)와 치합되는 제1고정봉(36)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그(3)와; 일정길이의 제2나사(4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2캡(45)에 의해 제2안치공(23)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2간격조절봉(42)과, 일측단부에는 제2롤러(4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2나사(41)와 치합되는 제2고정봉(46)으로 이루어지는 제2지그(4)와; 일정길이의 제3나사(5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3안치공(25)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3캡(55)에 의해 제3안치공(25)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3간격조절봉(52)과, 일측단부에는 제3롤러(5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3안치공(25)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3나사(51)와 치합되는 제3고정봉(56)으로 이루어지는 제3지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타측부위 외면에는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은 제1, 2, 3안치공(21, 23, 25) 각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1, 2, 3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홈에 밀착되는 제1, 2, 3회전방지핀(380, 480, 58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3삽입공 각 일측에는 제1, 2, 3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3관통공에는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 각각은, 일단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테이퍼진 가압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일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제1, 2, 3피동핀과, 일단에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가 구비되어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타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 2, 3피동핀 각각과 치합되는 제1, 2, 3가동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랙이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방진몸체가 피니언봉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치합되어 일정거리 활주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조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크랭프 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삭가공작업시, 간격조절봉 및 회전방지핀을 이용하여 각 지그의 이동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외면을 긴밀히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부가하여 위치고정핀을 이용하여 간격이 조절된 각 지그의 정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진구가 조금의 오차도 없이 크랭크 샤프트에 대한 선삭가공작업를 보조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가 설치된 크랭크 샤프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에 있어 고정봉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에 있어 제2지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종래 크랭크 샤프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가 설치된 크랭크 샤프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은, 가공대상으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일단 부위가 고정되는 선반 주축대(10)와, 상기 선반 주축대(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크랭크 샤프트의 타단 부위가 고정되는 심암대(20) 사이에 배치되어 크랭크 샤프트의 선삭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로서, 가이드레일(1)과 방진몸체(2)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가이드레일(1)은 선반 주축대(10)와 심압대(20) 사이에 설치되며, 방진몸체(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레일(1)은 서로 폭이 상이한 한쌍(12, 14)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쌍의 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일면에는 랙(12)이 마련될 수 있다. 랙(12)은 가이드레일(1)의 내측 일면에 긴밀하게 고정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몸체(2)는 지지체(22)와, 지지체(22) 하부에 마련되는 가동체(26)로 이루어진다. 지지체(22)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2, 3안치공(21, 23, 25)이 형성된다. 가동체(26)는 가이드레일(1)을 따라 활주하는 부분으로서, 지지체(22)와 일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동체(26) 하부 일측에는 피니언봉(28)이 마련되며, 피니언봉의 하단부위에는 피니언(29)이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의 랙(12)에 치합된다. 피니언(29)이 랙(12)과 치합됨에 따라 피니언봉(28)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면 방진몸체(2)가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거리 활주하게 된다. 피니언봉은 별도의 캡(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가동체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니언봉은 가동체에 대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방진몸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크랭크 샤프트를 방진구가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단일의 방진몸체가 가이드레일에 상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크랭프 샤프트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라 2개 이상 복수 개의 방진몸체가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제1지그(3)는 제1안치공(2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간격조절봉(32) 및 제1고정봉(36)으로 이루어진다. 제1간격조절봉(32)은 일정길이의 제1나사(31)가 마련되어 제1안치공(21)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며, 제1캡(35)에 의해 제1안치공(21)의 후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간격조절봉(32)은 제1캡(35)에 의해 지지체(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해진다.
제1간격조절봉(32)의 단부는 제1캡(3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되는 이 부위가 회전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제2, 3간격조절봉의 경우도 동일하며, 회전단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직접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계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제1고정봉(36)의 일측단부에는 제1롤러(3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1안치공(21)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나사(31)와 치합된다. 제1롤러(37)는 가공대상으로서의 크랭크 샤프트의 외면과 접하며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38은 제1나사(34)와의 치합을 위해 제1나사공이다. 제1고정봉은 후술할 제1회전방지핀(380)의 구성과 연계되어 제1간격조절봉(32)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고정봉(36)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동한다.
제2지그(4)는 제2안치공(23)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2간격조절봉(42) 및 제2고정봉(46)으로 이루어진다. 제2간격조절봉(42)은 일정길이의 제2나사(41)가 마련되어 제2안치공(23)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며, 제2캡(45)에 의해 제2안치공(23)의 후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간격조절봉(42)은 제2캡(45)에 의해 지지체(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해진다.
제2고정봉(46)의 일측단부에는 제2롤러(4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2나사(41)와 치합된다. 제2롤러(47)는 크랭크 샤프트의 외면과 접하며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48은 제2나사(44)와의 치합을 위해 제2나사공이다. 이에 따라, 제2고정봉은 후술할 제2회전방지핀(480)의 구성과 연계되어 제2간격조절봉(42)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고정봉(46)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한다.
제3지그(5)는 제3안치공(25)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3간격조절봉(52) 및 제3고정봉(56)으로 이루어진다. 제3간격조절봉(52)은 일정길이의 제3나사(51)가 마련되어 제3안치공(25)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며, 제3캡(55)에 의해 제3안치공(25)의 후측에 결합된다. 이럴 경우, 제3간격조절봉(52)은 제3캡(55)에 의해 지지체(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해진다.
제3고정봉(56)의 일측단부에는 제3롤러(5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3안치공(25)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3나사(51)와 치합된다. 제3롤러(57)는 크랭크 샤프트의 외면과 접하며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58은 제3나사(54)와의 치합을 위해 제3나사공이다. 제3고정봉은 후술할 제3회전방지핀(580)과 연계되어 제3간격조절봉(52)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고정봉(56)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동한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제1, 2, 3안치공(21, 23, 25) 각 일측부위에는 제1, 2, 3안치공(21, 23, 25) 각각과 연통되는 제1, 2, 3삽입공이 형성되며, 이들 각각에는 제1, 2, 3회전방지핀(380, 480, 580)이 삽입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럴 경우,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타측부위 외면에는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2고정봉(46)에 홈(49)이 형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제1, 2, 3회전방지핀(380, 480, 580) 각각은 도 4에 개시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것은, 제2회전방지핀(480)으로서, 삽입핀(482)과 조절나사(486)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준다. 즉, 조절나사(486)가 제2삽입공(231)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삽입핀(48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삽입핀의 단부가 제2고정봉(46)의 홈(49)에 밀착되어 제2고정봉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삽입핀의 직경은 홈의 폭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명하지 않은 제1, 2회전방지핀(380, 580) 역시 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 내지 도 4 각각을 참조하여 고정봉과 연계되는 회전방지핀의 작동구성을 살펴본다. 제2간격조절봉(42)이 제2안치공(23)의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안치된 상태에서, 제2고정봉(46)의 타측부위를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하여, 제2간격조절봉(42)의 제2나사(41)가 제2고정봉(46)의 제2나사공(48)과 치합되도록 한다.
제2나사(41)가 제2나사공(48)과 치합되면, 제2간격조절봉(42)을 일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제2고정봉(46)을 제2안치공(23) 내부로 조금 더 삽입시킨다. 이때, 제2고정봉(46)을 가압하지 않으면 제2간격조절봉(42)과 일체로 회전만 할 뿐 제2안치공(23) 내부로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제2간격조절봉을 회전시킬 때 다른 작업자가 제2고정봉(46)을 일정 힘으로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봉을 일정 힘으로 잡아줌에 있어, 제2고정봉(46)에 형성되는 홈(49) 부위가 제2삽입공(231)과 직교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고정봉(46)의 홈(49) 부위가 제2삽입공(231)과 직교된 상태에서 제2안치공(23)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되면, 제2삽입공(231)에 삽입된 제2회전방지핀(48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핀(482)의 단부 부위가 제2고정봉(46)의 홈(49)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핀(482)의 단부 부위가 홈(49)에 진입하면, 제2고정봉(46)은 삽입핀(482)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제2고정봉(46)이 제2안치공(23)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된 다음 삽입핀(482)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 제2간격조절봉(42)을 일방향으로 더 회전시킨다. 이럴 경우, 제2고정봉은 삽입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간격조절봉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고정봉은 제2안치공 내부로 점점 더 삽입된다. 즉, 제2간격조절봉이 일방향으로 자유회전을 하면, 제2안치공 외부로 노출되는 제2고정봉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제2고정봉이 제2안치공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되면 제1지그에 대한 작업 준비가 완료되며, 이러한 작업을 제1고정봉 및 제1간격조절봉, 그리고 제3고정봉 및 제3간격조절봉에도 동일하게 수행하면, 제2, 3지그 각각에 대한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작업대상으로서 크랭크샤프트가 제1, 2, 3지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1, 2, 3간격조절봉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 3롤러 각각이 크랭크샤프트의 특정 표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샤프트는 제1, 2, 3지그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2, 3지그가 방진몸체에 대하여 특정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크랭크 샤프트를 더욱 긴밀하게 지지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이나 직경을 가지는 크랭크 샤프트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위치를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1, 2, 3삽입공 각 일측에는 제1, 2, 3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 2, 3관통공 각각에는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이 삽입되되, 제1, 2, 3위치고정핀 각각은 제1, 2, 3피동핀 및 제1, 2, 3가동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3피동핀 각 일단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테이퍼진 가압단이 마련되어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일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2, 3가동핀 각 일단에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가 구비되어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타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 2, 3피동핀 각각과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핀 중에서 제2위치고정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여 그 작동구성을 살펴본다. 제2간격조절봉(42) 및 제2회전방지핀(480) 각각에 의해 미도시된 크랭크샤프트를 지지하는 제2고정봉(46)의 위치가 정해지면, 제2관통공(233)의 개구된 일측부위를 통해 제2피동핀(462)를 삽입하고 제2관통공(233)의 개구된 타측부위를 통해 제2가동핀(466)을 삽입하여 제2피동핀의 나사홈(461)에 조절나사(465)를 치합한다.
이 상태에서, 제2가동핀(46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피동핀(462)과 제2가동핀(466)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고, 이에 따라 제2피동핀(462)의 가압단(463)은 제2고정봉(46)의 외면과 서서히 밀착된다. 이후 제2가동핀(466)을 더욱 회전시키면 제2피동핀과 제2가동핀 사이 간격이 더욱 좁아짐에 따라 가압단(463)은 큰 힘으로 제2고정봉(46)을 가압하여 제2고정봉의 전후방향 이동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회전방지핀 및 위치고정핀 각각을 이용하여 간격이 조절된 제1, 2, 3고정봉 자체의 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정위치를 긴밀하게 구속하는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방진몸체가 조금의 오차도 없이 크랭크 샤프트를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가이드레일 2 : 방진몸체
3 : 제1지그 4 : 제2지그
5 : 제3지그

Claims (5)

  1. 선반 주축대(10)와, 상기 선반 주축대(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는 심암대(20) 사이에 배치되어 크랭크 샤프트의 선삭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로서,
    선반 주축대(10)와 심압대(20) 사이에 설치되되, 내측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12)이 마련되는 가이드레일(1)과;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2, 3안치공(21, 23, 25)이 마련되는 지지체(22)와, 하부 일측에는 상기 랙(12)에 치합되는 피니언봉(28)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22) 하부에 마련되는 가동체(26)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1)을 따라 활주하는 방진몸체(2)와;
    일정길이의 제1나사(3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1안치공(21)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1캡(35)에 의해 제1안치공(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1간격조절봉(32)과, 일측단부에는 제1롤러(3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1안치공(21)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나사(31)와 치합되는 제1고정봉(36)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그(3)와;
    일정길이의 제2나사(4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2캡(45)에 의해 제2안치공(23)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2간격조절봉(42)과, 일측단부에는 제2롤러(4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2안치공(23)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2나사(41)와 치합되는 제2고정봉(46)으로 이루어지는 제2지그(4)와;
    일정길이의 제3나사(51)가 마련되는 일측부위가 상기 지지체(22)의 제3안치공(25) 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되 제3캡(55)에 의해 제3안치공(25)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3간격조절봉(52)과, 일측단부에는 제3롤러(57)가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상기 지지체(22)의 제3안치공(25) 전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3나사(51)와 치합되는 제3고정봉(56)으로 이루어지는 제3지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타측부위 외면에는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은 제1, 2, 3안치공(21, 23, 25) 각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1, 2, 3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홈에 밀착되는 제1, 2, 3회전방지핀(380, 480, 58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삽입공 각 일측에는 제1, 2, 3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3관통공에는 제1, 2, 3고정봉(36, 46, 56)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위치고정핀(360, 460, 560) 각각은, 일단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테이퍼진 가압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일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제1, 2, 3피동핀과, 일단에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가 구비되어 제1, 2, 3관통공의 개구된 타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제1, 2, 3피동핀 각각과 치합되는 제1, 2, 3가동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KR1020140075778A 2014-06-20 2014-06-20 방진구 KR10153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78A KR101537042B1 (ko) 2014-06-20 2014-06-20 방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78A KR101537042B1 (ko) 2014-06-20 2014-06-20 방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042B1 true KR101537042B1 (ko) 2015-07-16

Family

ID=5388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78A KR101537042B1 (ko) 2014-06-20 2014-06-20 방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88B1 (ko) * 2016-11-09 2018-01-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방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814A (ko) * 1998-09-19 1998-12-05 하원호 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814A (ko) * 1998-09-19 1998-12-05 하원호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88B1 (ko) * 2016-11-09 2018-01-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방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95B1 (ko) 정밀 롤 선반 및 자동 공구 교환 장치
US10940548B2 (en) Machine for machining workpieces
JP2014522734A5 (ko)
TWI398315B (zh) Working machine
TWI579075B (zh) Tooling machine Deep hole machining tailstock device
KR101789743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컬럼 이송장치
US20160214222A1 (en) Damping Apparatus
TWI660809B (zh) Machine tool
WO2015037155A1 (ja) 工作機械
EP2388093A2 (en) Tailstock device for a lathe
KR20130119422A (ko) 크랭크 샤프트 밀링 머신
KR101537042B1 (ko) 방진구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JP6484494B2 (ja) リニアガイド付き電動加工装置
CN105033794A (zh) 双头内孔磨床
CN108296797A (zh) 一种加工新能源汽车后桥用的镗铣床专用设备
JP5390567B2 (ja) 工作機械
KR20170127676A (ko) 공작물의 내외경 가공용 툴스핀들장치
KR101504114B1 (ko) 스러스트 베어링 사상장치
CN215092467U (zh) 一种轴类外圆磨削装置
JPWO2018016004A1 (ja) レール走行構造およびそのレール走行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JP6735346B2 (ja) スライド走行装置および同装置を搭載した工作機械
CN205733023U (zh) 一种空心轴加工机床的尾座结构
KR101595716B1 (ko) 샤프트 복합가공기용 방진구조를 구비한 터릿어셈블리
JP2015199178A (ja) 工作機械における芯出し振れ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