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611B1 - 가동식 자동웨어 - Google Patents

가동식 자동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611B1
KR101536611B1 KR1020130124443A KR20130124443A KR101536611B1 KR 101536611 B1 KR101536611 B1 KR 101536611B1 KR 1020130124443 A KR1020130124443 A KR 1020130124443A KR 20130124443 A KR20130124443 A KR 20130124443A KR 101536611 B1 KR101536611 B1 KR 10153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eir
tapered
plat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544A (ko
Inventor
심왕섭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경북산업 주식회사
대구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산업 주식회사, 대구광역시 filed Critical 경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6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식 자동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황에 따른 웨어의 회전을 원활하게하며,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위치를 조절하여 하수 및 우수의 유입시 웨어의 개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개량된 가동식 자동웨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동식 자동웨어{MOVABLE Automatic ware}
본 발명은 가동식 자동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황에 따른 웨어의 회전을 원활하게하며,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위치를 조절하여 하수 및 우수의 유입시 웨어의 개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개량된 가동식 자동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10-1173254호(등록일: 2012년 08월 06일)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는,
하수로(1)의 배출구측에 형성되며 우수토실(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양측면에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돌기(13a)가 형성된 홈(13)을 갖는 프레임(11);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를 차집관거(20)측으로 이송하는 연결관(30);
상기 프레임(11)의 홈(13)에 양측의 반원형의 회전축(41)이 끼움되어 자연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웨어(40);
상기 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되어 하수를 프레임(11)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이 테이퍼진 한 쌍의 유도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한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를 실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웨어가 우수토실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우기시 웨어가 회전하여 우수토실을 폐쇄함에 있어서 하수관거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량의 유량과 유속이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여 웨어가 불안정하게 작동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우수가 웨어를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과 량이 없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웨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개방시와 밀폐시 동일한 회전력을 갖음으로써 밀폐된 상태에서 재 개방시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웨어측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의 유입위치를 웨어가 형성된 우수토실의 중앙부분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 및 오수의 이동을 위한 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우수 및 오수가 웨어까지 근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웨어의 개폐를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가 작동되는 현장여건에 따라 유량과 유속의 값을 조절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웨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하수처리장 유입을 최소화하고 하천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동식 웨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웨어의 회전시 회전각도에 따른 회전력을 달리하여 웨어의 회전에 따른 우수토실의 개방과 밀폐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가동식 웨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하수로(1)의 배출구측에 형성되며 우수토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를 차집관거(20)측으로 이송하는 연결관(30)과, 상기 프레임(11)에 자연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웨어(40) 및 상기 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되어 하수를 프레임(11)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이 테이퍼진 한 쌍의 유도판(50)으로 구성된 가동식 자동웨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50)의 하수 유입방향에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상면에 일측이 장홈(61)에 의하여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웨어(40)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는 조절판(60);
상기 조절판(60)의 타측에 근접설치되며, 금속판 양측 중앙부분에 "ㄷ"형태의 결착부(71)가 끼움조립되고 상기 결착부(71)의 타측으로 테이퍼부(72)가 형성된 연결부(73)가 형성된 웨어(40);
상기 웨어(40)의 연결부(73)가 끼움되는 가이드관(74)과, 상기 가이드관(74)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연결부(71)의 테이퍼부(72)와 밀착되는 테이퍼면(75)이 형성된 밀착봉(76)과, 상기 가이드관(74)의 타측에 나사조립되는 고정부(77) 및 상기 고정부(77)와 밀착봉(76)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78)으로 구성된 연결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판(60)은 내측에 여러 개의 절곡선(61)에 의하여 일측면이 웨어(40)측으로 상승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40)의 상면에 이동하는 하수가 걸림될 수 있도록 "ㄴ"형태의 걸림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과 유도판(50)에는 웨어(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근접센서(미도시)를 각각 설치하고 하수로(1)에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웨어(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등(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퍼부(72) 또는 테이퍼면(75)의 단부에는 금속, 고무,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여 마찰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는 적은량의 우수 유입에 대하여도 프레임에 설치된 조절판과 웨어의 걸림부 구성에 의하여 쉽게 웨어를 동작시켜 밀폐함으로써 우수의 하수처리장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에 형성된 테이퍼부의 구성에 따라 회전각도에 따른 회전력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개방시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웨어의 작동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 중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 중 연결부재의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 중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 중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의 다른 실시예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자동웨어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173254호의 개량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특허기술에 의한 제품을 생산하여 사용 중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프레임(11), 유도판(50) 등의 일부 구성이 선 등록과 중복되며 본 발명의 특징은 웨어(40)를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웨어(40)의 형태를 변형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상부에 조절판(60)의 구성을 추가함에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 본 발명에서는 조절판(60)과 웨어(40)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판(60)은 유도판(50)에 의하여 프레임(11)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프레임 내부로 낙하되는 낙하위치를 웨어쪽으로 전진시켜 낙하하는 우수의 양이 적어도 웨어(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조절판(60)은 유도판(50)의 하수 유입방향에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웨어(40)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60)은 여러 개의 장공(61)을 형성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11)의 상면에 조립됨으로써 설치환경에 맞도록 웨어(40)와 조절판(6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60)은 내측에 여러 개의 절곡선(62)을 형성하여 일측을 경사지며 상승되게 절곡하여 설치함으로써 우수의 낙하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낙하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적은 우수의 량을 이용하여서도 웨어의 상부측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위어가 회전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절판(60)의 구성에 의하여 우수의 량에 따라 조절판(60)의 위치를 조절하여 웨어(40)의 동작을 보다 신속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가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어(40)는 일측면에 "ㄴ"형태의 걸림부(41)를 형성하여 웨어(40)의 상부로 이동하는 우수가 걸림부(41)에 걸림으로써 웨어(40)가 더욱 신속하게 회전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양측에 연결부재(70)를 이용하여 프레임(1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40)의 양측면 중앙부분이 끼움조립되는 "ㄷ"형태의 결착부(71)의 일측에 테이퍼부(72)가 형성된 연결부(73)와, 상기 프레임(11)에 형성되며 연결부(73)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관(74)이 프레임(11)에 형성된 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관(74)의 일측 내부에 테이퍼부(72)와 밀착되는 테이퍼면(75)을 갖는 밀착봉(76)이 삽입되고 타측에 고정부(77)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밀착봉(76)과 고정부(77) 사이에 스프링(78)이 형성된 탄성수단(79)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연결부(73)의 테이퍼부(72)와 밀착봉(76)의 테이퍼면(75)이 서로 밀착된 상태이며, 웨어(40)가 우수량의 증가에 따라 회전하며 각각의 밀착된 테이퍼부(72)와 테이퍼면(75)이 스프링(78)의 장력을 이기면서 벌어지고 다시, 우수량이 줄어든 경우에는 웨어(40)가 스프링(78)의 장력에 의하여 밀착봉(76)이 연결부(73)를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웨어(40)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77)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77a)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태에서 미끄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72) 또는 테이퍼면(75)의 단부에는 금속, 고무,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찰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상기 연결부재(7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부(71)의 일측에 연결부(73)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분에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경사판(73a)을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73a)의 외측으로 끼움부재(80)를 끼움하여 연결부(73)의 회전에 따라 끼움부재(80)와 경사판(73a)의 밀착형태가 변화함으로써 발생되는 밀착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웨어(40)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70)의 구성에 의하여 우수의 압력에 따른 웨어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웨어의 개폐를 유도할 수 있으며, 우수의 흐름이 적을 시 신속한 개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웨어(40)의 위치상태는 프레임(11)과 유도판(50)에 형성된 여러 개의 근접센서(81, 82)에 의하여 감지되며 하수로 외부 또는 컨트롤타워에 형성된 식별등(미도시)로 센싱에 의한 감지결과를 전송하여 외부에서 웨어의 위치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류 및 고장의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우수토실 11 : 프레임
20 : 차집관거 30 : 연결관
40 : 웨어 41 : 걸림부
50 : 유도판 60 : 조절판
61 : 장공 70 : 연결부재
71 : 결착부 72 : 테이퍼부
73 : 연결부 74 : 가이드관
75 : 테이퍼면 76 : 밀착봉
77 : 고정부 78 : 스프링

Claims (5)

  1. 하수로(1)의 배출구측에 형성되며 우수토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를 차집관거(20)측으로 이송하는 연결관(30)과, 상기 프레임(11)에 자연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웨어(40) 및 상기 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되어 하수를 프레임(11)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이 테이퍼진 한 쌍의 유도판(50)으로 구성된 가동식 자동웨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50)의 하수 유입방향에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상면에 일측이 장홈(61)에 의하여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웨어(40)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는 조절판(60);
    상기 조절판(60)의 타측에 근접설치되며, 금속판 양측 중앙부분에 "ㄷ"형태의 결착부(71)가 끼움조립되고 상기 결착부(71)의 타측으로 테이퍼부(72)가 형성된 연결부(73)가 형성된 웨어(40);
    상기 웨어(40)의 연결부(73)가 끼움되는 가이드관(74)과, 상기 가이드관(74)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연결부(71)의 테이퍼부(72)와 밀착되는 테이퍼면(75)이 형성된 밀착봉(76)과, 상기 가이드관(74)의 타측에 나사조립되는 고정부(77) 및 상기 고정부(77)와 밀착봉(76)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78)으로 구성된 연결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자동웨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60)은 내측에 여러 개의 절곡선(62)에 의하여 일측면이 웨어(40)측으로 상승되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자동웨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40)의 상면에 이동하는 하수가 걸림될 수 있도록 "ㄴ"형태의 걸림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자동웨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과 유도판(50)에는 웨어(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근접센서(81, 82)를 각각 설치하고 하수로(1)에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웨어(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등(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자동웨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72) 또는 테이퍼면(75)의 단부에는 금속, 고무,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여 마찰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자동웨어.
KR1020130124443A 2013-10-18 2013-10-18 가동식 자동웨어 KR10153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43A KR101536611B1 (ko) 2013-10-18 2013-10-18 가동식 자동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43A KR101536611B1 (ko) 2013-10-18 2013-10-18 가동식 자동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544A KR20150045544A (ko) 2015-04-29
KR101536611B1 true KR101536611B1 (ko) 2015-07-16

Family

ID=5303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43A KR101536611B1 (ko) 2013-10-18 2013-10-18 가동식 자동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28A (ko) 2016-04-26 2017-11-03 심왕섭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88B1 (ko) * 2009-12-18 2010-07-14 진두남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42193B1 (ko) * 2011-10-28 2012-05-07 김용술 우수토실의 토사 유입 방지 장치
KR101173254B1 (ko) * 2011-07-07 2012-08-13 김덕진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KR101253532B1 (ko) * 2012-12-13 2013-04-11 (주)한국융합아이티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88B1 (ko) * 2009-12-18 2010-07-14 진두남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73254B1 (ko) * 2011-07-07 2012-08-13 김덕진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KR101142193B1 (ko) * 2011-10-28 2012-05-07 김용술 우수토실의 토사 유입 방지 장치
KR101253532B1 (ko) * 2012-12-13 2013-04-11 (주)한국융합아이티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28A (ko) 2016-04-26 2017-11-03 심왕섭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KR101883760B1 (ko) * 2016-04-26 2018-07-31 심왕섭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544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9912B2 (ja) 遮集管渠の土砂流入防止装置
KR101393181B1 (ko) 우수 조절 및 오물 차단 기능이 구비된 맨홀 그레이팅 장치
KR100525160B1 (ko)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101536611B1 (ko) 가동식 자동웨어
CN104746632A (zh) 一种截流井限流装置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348570B1 (ko)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2028354B1 (ko) 다단계 수위조절 사이펀 여수로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564205B1 (ko)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101129398B1 (ko) 악취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200489947Y1 (ko) 악취역류차단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빗물받이
KR20190000664U (ko) 역류방지 체크밸브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US20130180554A1 (en) Flushing device
KR102552805B1 (ko) 차집관로의 유량제어장치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GB2449352A (en) Sluice gate with fluid through flow aperture
KR200487197Y1 (ko)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1722446B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1721206B1 (ko) 올인원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