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88B1 - 밀봉 구조 - Google Patents

밀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88B1
KR101536588B1 KR1020100043873A KR20100043873A KR101536588B1 KR 101536588 B1 KR101536588 B1 KR 101536588B1 KR 1020100043873 A KR1020100043873 A KR 1020100043873A KR 20100043873 A KR20100043873 A KR 20100043873A KR 101536588 B1 KR101536588 B1 KR 10153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eal
groove
seal
flat surfac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946A (ko
Inventor
타카히로 카리야
사토시 토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과제)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금속 시일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안정한 밀봉 성능을 발휘하는 밀봉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금속 시일(S)의 외주면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을 형성하고, 이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리는 걸림턱(23)을 가지고 있는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를 구비한 유지판(M)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밀봉 구조{TIGHT SEA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유체를 밀봉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계에 있어서, 유체 기기 상호의 접속, 배관의 접속 등의 부위에 각종 시일재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최근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설비에서는, 각종 기기의 고정밀도화·고기능화가 진행되어, 사용환경이 고무나 합성 수지제의 시일재에서는, 엄격해지고 있고, 높은 시일 성능(저가스 투과성), 게다가, 내열성, 내플라즈마성, 내라디칼성 등도 요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공급되는 가스에 대해서도 불순물이 한없이 적은 고순도의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오고 있어, 상기 고무나 합성 수지제의 시일재는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의 가혹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일재로서 비틀림 탄성변형하면서, 서로 평행한 2평면 사이를 메탈 터치로 밀봉하는 금속 시일을 제안하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금속 시일에는 부착 작업시에, 장착이 곤란하거나,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금속 시일을 연직면이나 천정면을 향하여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과 같은 경우, 금속 시일은 탈락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금속 시일의 탈락 방지용 유지구가 각종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09137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10-209312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금속 시일의 탈락 방지용 유지구는 이하와 같은 결점이 있었다.
(i) 금속 시일이 단순한 압축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금속 시일을 확실하게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 (ii) 금속 시일이 단순한 압축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금속 시일에서는, 금속 시일의 비틀림 탄성 변형을 저해하여, 금속 시일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iii)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금속 시일용의 유지판을 부설하면, 시일 홈의 치수가 종래품과 상이한 경우가 많아 조인트 본체 등의 설계 변경을 요한다. (iv) 금속 시일의 비틀림 탄성 변형에 따라 유지판도 변형되고, 유지판이 상대 평면에 간섭하여 조임 하중의 이상을 일으키거나, 또는, 밀봉 성능이 저하되거나, 상대 평면을 상처입힌다. (v)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단면 C형의 금속 링과 같이 큰 맞물림용 홈부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켜 밀봉 작용을 하는 금속 시일에 대하여, 간단하고 또한 컴팩트한 유지판을 가지고 안정되게 확실하게, 그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의 시일 홈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 가능하고, 상대 평면을 상처입히지 않고, 조임 하중도 적정 범위에 유지할 수 있는 밀봉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봉 구조는 외주면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을 형성한 금속 시일과, 관통창부를 가지고 있는 박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창부의 내주끝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돌출설치된 가는 띠형상 탄성부와, 이 가는 띠형상 탄성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오목 둘레홈에 맞물리는 걸림턱을 가지고 있는 유지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시일은, 서로 평행한 1쌍의 평탄면의 사이에 장착되는 전체 고리 형상이며, 중간 기부와, 상기 평탄면의 일방에 맞닿는 제 1 접촉 볼록부와, 상기 평탄면의 타방에 맞닿는 제 2 접촉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 볼록부를 내경 근처에,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를 외경 근처에, 각각 돌출설치하고, 장착 압축상태에서 상기 1쌍의 평탄면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 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블록형 횡단면 형상이며, 게다가, 상기 외주면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의 길이 치수를 내주면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이 외주면에서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 근처에 상기 오목 둘레홈을 배열 설치한 것이다.
또, 유로구멍을 가지고 있는 서로 접속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 1 부재에 시일 홈을 형성하고 이 시일 홈의 홈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평탄면의 상기 일방으로 함과 아울러,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상기 금속 시일의 상기 오목 둘레홈이, 상기 시일 홈의 개구단측 평탄면부보다도 축의 외측 위치에 있고, 상기 유지판은 상기 개구단측 평탄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는 띠형상 탄성부가 금속 시일의 탄성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확실하게 항상 금속 시일을 유지하여,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조인트 본체 등의 평탄면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고, 평탄면을 상처입히지 않고, 양호한 밀봉 성능을 항상 발휘할 수 있다. 또, 금속 시일에 형성해야 할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이 작아도 되고, 금속 시일의 횡단면적의 증가도 미소해도 되고, 종래의 시일 홈의 치수 그대로이면 되므로, 시일 홈을 가지고 있는 조인트 본체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해체시의 분리성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장착 미압축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압축상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금속 시일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유지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 및 부착방법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유지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유지판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를 나타낸 금속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를 나타낸 유지판의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에 있어서, S는 금속 시일(메탈 시일)로서, 스테인레스강이나 스프링용 강이나 그 밖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절삭이나 연삭 또는 소성가공 등으로 제작된다.
이 금속 시일(S)은, 도 1에서는, 원형의 유로구멍(3)을 가지고 있는 제 1 부재(1)와, 이 유로구멍(3)과 동일 축심(L0) 상에 배열 설치되는 원형의 유로구멍(4)을 가지고 있는 제 2 부재(2) 사이에, 개재된다.
제 1 부재(1)에 시일 홈(5)이 오목하게 설치(형성)되어 있고, 유로구멍(3)의 축심(L0)과 동심원형으로, 개구단 코너부를 횡단면 직사각형으로 절결하여 시일 홈(5)이 형성된다.
이 금속 시일(S)은 서로 평행한 1쌍의 평탄면(11, 12)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며, 전체가 원형 등의 고리 형상이다.
시일 홈(5)이 형성된 제 1 부재(1)에서, 시일 홈(5)의 홈 바닥면(6)을 가지고 상기 평탄면(11)으로 한다. 즉, 제 1 부재(1)의 시일 홈(5)의 개구단측 평탄면부(7)보다도 소정 깊이 치수(H5)만큼 후퇴한 평면을 제 1 부재의 평탄면(11)으로 한다.
M은 박판재의 타발(打拔)가공이나 레이저 커팅으로 제작된 유지판이며, 제 1 부재(1)의 상기 개구단측 평탄면부(7)에(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금속 시일(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1쌍의 평탄면(11, 12)의 사이에 장착되는 전체가 닫힌 고리 형상이며,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의 중간 기부(13)와, 일방의 평탄면(11)에 맞닿는 제 1 접촉 볼록부(21)와, 타방의 평탄면(12)에 맞닿는 제 2 접촉 볼록부(22)를 가지고 있는 블록형이다.
제 1 접촉 볼록부(21)를 내경 근처에 치우쳐 위치시키고, 제 2 접촉 볼록부(22)를 외경 근처에 치우쳐 위치시키고, 각각 중간 기부(13)로부터 돌출설치시킨다.
장착 압축 상태에서는, (도 2로부터)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평탄면(11, 12)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의해 중간 기부(13)의 중심점(G)을 중심으로(화살표 N과 같이) 회전하는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그런데, 도시예에서는, 제 1 접촉 볼록부(21)는 대략 반원형인 것에 반해, 제 2 접촉 볼록부(22)는 약간 큰 대략 4반원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중간 기부(13)의 짧은변(13A)을 연신하여, 외주면(14)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5)의 길이 치수(L15)를, 내주면(16)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7)의 길이 치수(L17)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이 외주면(14)에서, 제 2 접촉 볼록부(22) 근처에 단면 삼각형 형상의 오목 둘레홈(20)을 (절결 모양으로)형성한다.
그런데, 유지판(M)에는, 도 5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작은 산형의 걸림턱(23)이 3개 이상(도시예에서는 4개)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턱(23)이 금속 시일(S)의 상기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려서, 금속 시일(S)의 시일 홈(5)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유지한다.
도 5∼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판재로 이루어지는 유지판(M)은 U자형 내지 J자형의 부착 다리편(8, 8)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이고, 또한, 대략 정방형이며, 관통창부(9)를 중앙에 가짐과 아울러 4 코너부에 체결볼트용의 4개의 원형구멍(2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관통창부(9)는 대략 8각 형상으로서, 그 내주끝가장자리(9A)로부터,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가는 띠형상 탄성부(10)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는 대칭형으로서 1쌍 배열 설치되고, 각 탄성부(10)는 양단부(10A, 10A)가, 상기 내주끝가장자리(9A)에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고, U자 형상으로 만곡한 1쌍의 U자부(10B, 10B)와, 반경방향(R)의 외측으로 볼록 형상의 산형부(10C)로 이루어진다.
산형부(10C)의 아래쪽부분―산형부(10C)와 U자부(10B)의 연결부위―은, 서로 약90°를 이루고, 금속 시일(S)의 원형 외주면에 접선 모양으로 대응하고, 걸림턱(23)은 이와 같이 접선 모양으로 대응하는 상기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걸림턱(23)이 금속 시일(S)의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린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금속 시일(S)의 오목 둘레홈(20)이 시일 홈 개구단측 평탄면부(7)보다도, 축 외측 위치에 있도록, 금속 시일(S)의 치수와 형상 및 시일 홈(5)의 깊이 치수(H5)를 설정한다.
도 1∼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14)은 충분히 큰 길이 치수(L15)의 스트레이트부(15)를 가지므로, 축 외측 위치에 오목 둘레홈(20)(의 중심)을 충분히 축 외측 방향에 배열 설치 가능하게 되어, 도 2의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유지판(M)의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는 평면 형상, 또는, 도 2와 같이 축 외측 방향으로 탄성적인 만곡 형상으로 하여, 오목 둘레홈(20)에 걸림턱(23)이 맞물리고, 금속 시일(S)의 탈락을 저지한다. 게다가, 이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R)으로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며, 또한, 축방향(Y)(도 8 참조)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도 2의 각 부의 치수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어, 안정 자세로 확실하게, 금속 시일(S)을 시일 홈(5) 내에 유지하고, 제 1 접촉 볼록부(21)를 가볍게 평탄면(11)(홈 바닥면(6))에 접촉 상태로 유지한다.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은, 제 2 접촉 볼록부(22)의 횡단면적에 비해, 충분히 작고, 또한, 삼각형인 것에 의해, 압축시의 비틀림 탄성 변형 상태의 금속 시일(S)의 강도상 전혀 문제가 없음과 아울러 이상 변형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게다가, 도 2와 도 3과 같이, 유지판(M)의 걸림턱(23)은 확실히 유지된다. 또한, 도 4(A)와 같은 이등변 삼각형에 한하지 않고, 도 4(B)와 같은 부등변 삼각형(직각 삼각형)에, 오목 둘레홈(20)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지판(M)은 스테인레스강이 적합하다. 단, Ni 합금이나 Cu 합금이나 Al 합금 등의 금속재를 사용해도 되며,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불소 수지로 할 수도 있다. 유지판(M)은 충분한 탄성반발력을 가지고 있는 범위에서 두께 치수(T)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0.08mm∼1.5mm 정도로 한다.
도 6은 유지판(M)의 부착을 위한 구조의 1예를 도시하고, 도 1∼도 3과는 상하 반대로 그린 단면도이며, 제 1 부재(1)의 평탄면부(7)에, 2개의 원형구멍(25, 25)을 바닥 있는 형상으로 뚫어 설치하고, 다른 한편, 유지판(M)에는 U자형 부착 다리편(8, 8)을 절곡 형성해 놓고, 이것을 원형구멍(25)으로 밀어 넣으면, U자형 부착 다리편(8)의 탄성 변형에 수반되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유지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의 평탄면부(7)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또는 도시 생략한 비스듬히 하방이나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지판(M)은 평탄면부(7)를 따라 접촉 유지된다. 또한, 부착 다리편(8)과 원형 구멍(25)의 개수는 더 증가시키는 것도 자유이다.
작용(작동)에 대하여, 더욱 설명하면, 도 1과 도 2의 미압축상태로부터 화살표 E 방향으로 제 2 부재(2)를 제 1 부재(1)를 향하여 서서히 접근시켜 가면, 도 3에 도시한 장착 압축 상태가 된다. 즉, 금속 시일(S)은 1쌍의 평탄면(11, 12)으로부터 받는 압력(F1, F2)에 의해 중간 기부(13)(중심점(G))를 중심으로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여,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이 비틀림 탄성 변형은 1쌍의 평탄면(11, 12)이 분리되면, 도 1과 도 2와 같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금속 시일(S)은 1쌍의 평탄면(11, 12)으로부터의 압력(F1, F2)을 교묘하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면서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는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켜, 소성 변형되지 않음과 아울러 평탄면(11, 12)을 상처입히지 않는다.
그리고, 화살표 N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Y)으로 오목 둘레홈(20)이 시일 홈(5) 안쪽으로 미소하게 이동을 일으키지만, 이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린 걸림턱(23)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긴 치수를 가짐과 아울러 복수의 만곡부를 가지고 있는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걸림턱(23)은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경쾌하게 탄성 변형하면서 추종한다.
또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는 도시 생략된 볼트로 서로 체결된다. 이 볼트의 중심선을 도 1에서는 1점쇄선(26, 26)으로써 나타내며, 도 5의 원형 구멍(24)에 이 볼트가 삽입 통과된다.
또한, 소망에 따라, 시일 홈(5)을 생략할 수도 있지만, 그 때에는 유지판(M)은 도 5∼도 8의 평판 형상으로부터, 내주 가장자리측과 외주 가장자리측을 단차를 두어 연이어 설치한 입체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도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변경 자유로우며,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를 3개 이상 배열 설치해도 된다. 또, 걸림턱(23)은 각각의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에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자유이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턱(23)은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유연하고 가볍게, 탄성 변형 자유로운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와 일체로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금속 시일(S)을 유지 가능하다. 특히, 화살표 N 방향 및 역방향으로 비틀림 탄성 변형하는 금속 시일(S)에 대하여, 유효하게 유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평탄면(11, 12)에 대하여, 걸림턱(23)이 접촉하지 않고, 평탄면(11, 12)을 상처입히지 않아도 되며, 또한, 조임 하중이 과대하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은 최소의 크기이어도 되므로, 금속 시일(S)의 이상 변형을 일으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하는 금속 시일(S)의 밀봉 기능을,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유지판(M)은 저해하지 않고, 안정하고 우수한 시일 성능을 발휘한다.
또, 종래의 유지판(M)을 구비하지 않는 금속 시일용의 시일 홈(5)의 치수·형상인 채로 유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 해체시의 분리 작업성도 양호하여, 유지판(M)을 용이하게 분리 및 재부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도 2와 도 3 중 어디에서도, 금속 시일(S)의 센터 벗어남이 발생하지 않고, 도 1의 축심(L0)을 중심으로 하여 유지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과 치수의 금속 시일(S)을 제작하고,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과 치수의 유지판(M)을 제작하여, He 가스를 사용한 리크 시험(후드법)과 히트 사이클 시험(-10℃⇔180℃×3사이클)을 실시했다.
테스트 결과는 He 가스 누출은 전혀 검출되지 않아 밀봉성능(시일성능)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14)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을 형성한 금속 시일(S)과, 관통창부(9)를 가지고 있는 박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창부(9)의 내주끝가장자리(9A)로부터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돌출 설치된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와, 이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리는 걸림턱(23)을 가지고 있는 유지판(M)을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금속 시일(S)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지 않고, 양호한 밀봉성능(시일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속 시일(S)의 불의의 이탈·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시일(S)를 천정면이나 수직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탈락할 걱정이 없이 용이하게 부착(접속)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 등에 적합하며, 가스의 질량유량계 등에도 이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지판(M)이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유연하게 변형 자유로우므로, 금속 시일(S)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지 않고, 밀봉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게다가, 시일 홈(5)의 형상과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종래 그대로 유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지판(M)이 평탄면(11, 12) 등에 간섭하지 않도록 부착 가능하게 되어, 평탄면(11, 12)을 상처입히지 않고, 항상 우수한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은 작은 치수이면 되므로, 금속 시일(S)의 이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속 시일(S)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금속 시일(S)이 비틀림 탄성 변형하는 것과 같은 타입의 것이어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전체가 컴팩트한 치수이면 된다.
또, 상기 금속 시일(S)은 서로 평행한 1쌍의 평탄면(11, 12) 사이에 장착되는 전체 고리 형상이며, 중간 기부(13)와, 상기 평탄면(11, 12)의 일방에 맞닿는 제 1 접촉 볼록부(21)와, 상기 평탄면(11, 12)의 타방에 맞닿는 제 2 접촉 볼록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 볼록부(21)를 내경 근처에,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22)를 외경 근처에, 각각 돌출설치하고, 장착 압축 상태에서 상기 1쌍의 평탄면(11, 12)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 기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블록형 횡단면 형상이며, 게다가, 상기 외주면(14)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5)의 길이 치수(L15)를, 내주면(16)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7)의 길이 치수(L17)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이 외주면(14)에서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22) 근처에 상기 오목 둘레홈(20)을 배열 설치했으므로, 유지판(M)의 걸림턱(23)이 더한층 확실하게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블록형의 금속 시일(S)에 대하여, 유연하게 탄성 변형하는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의 걸림턱(23)에 의해, 종래 지극히 어려웠던 유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 유로구멍(3, 4)을 가지고 있는 서로 접속되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구비하고, 이 제 1 부재(1)에 시일 홈(5)을 형성하고 이 시일 홈(5)의 홈 바닥면(6)을 가지고 상기 평탄면(11, 12)의 상기 일방으로 함과 아울러,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상기 금속 시일(S)의 상기 오목 둘레홈(20)이 상기 시일 홈(5)의 개구단측 평탄면부(7)보다도 축 외측 위치에 있고, 상기 유지판(M)은 상기 개구단측 평탄면부(7)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지편(M)이 시일 홈(5)과 금속 시일(S)과의 간극에 물려 들어가는 것과 같은 일이 방지되고, 항상 원활하게 탄성 변형하면서 확실하게 금속 시일(S)의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려서, 안정한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1 제 1 부재
2 제 2 부재
3 유로구멍
4 유로구멍
5 시일 홈
6 홈 바닥면
7 평탄면부
9 관통창부
9A 내주끝가장자리
10 가는 띠형상 탄성부
11 평탄면
12 평탄면
13 중간 기부
14 외주면
15 축방향 스트레이트부
16 내주면
17 축방향 스트레이트부
20 오목 둘레홈
21 제 1 접촉 볼록부
22 제 2 접촉 볼록부
23 걸림턱
L15 길이 치수
L17 길이 치수
M 유지판
R 반경방향
S 금속 시일
Y 축방향

Claims (3)

  1. 외주면(14)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을 형성한 금속 시일(S)과, 관통창부(9)를 가지고 있는 박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창부(9)의 내주끝가장자리(9A)로부터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돌출설치된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와, 이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리는 걸림턱(23)을 가지고 있는 유지판(M)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시일(S)은, 서로 평행한 1쌍의 평탄면(11, 12)의 사이에 장착되는 전체 고리 형상이며, 중간 기부(13)와, 상기 평탄면(11, 12)의 일방에 맞닿는 제 1 접촉 볼록부(21)와, 상기 평탄면(11, 12)의 타방에 맞닿는 제 2 접촉 볼록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 볼록부(21)를 내경 근처에,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22)를 외경 근처에, 각각 돌출설치하고, 장착 압축상태에서 상기 1쌍의 평탄면(11, 12)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 기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블록형 횡단면 형상이며, 게다가, 상기 외주면(14)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5)의 길이 치수(L15)를, 내주면(16)의 축방향 스트레이트부(17)의 길이 치수(L17)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이 외주면(14)에서 상기 제 2 접촉 볼록부(22) 근처에 상기 오목 둘레홈(20)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로구멍(3, 4)을 가지고 있는 서로 접속되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구비하고, 이 제 1 부재(1)에 시일 홈(5)을 형성하고 이 시일 홈(5)의 홈 바닥면(6)을 가지고 상기 평탄면(11, 12)의 상기 일방으로 함과 아울러, 장착 미압축 상태하에서 상기 금속 시일(S)의 상기 오목 둘레홈(20)이 상기 시일 홈(5)의 개구단측 평탄면부(7)보다도 축 외측 위치에 있고, 상기 유지판(M)은 상기 개구단측 평탄면부(7)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구조.
  3. 외주면(14)에 맞물림용 오목 둘레홈(20)을 형성한 금속 시일(S)과, 관통창부(9)를 가지고 있는 박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창부(9)의 내주끝가장자리(9A)로부터 축방향(Y) 및 반경방향(R)으로 탄성 변형 자유롭게 돌출설치된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와, 이 가는 띠형상 탄성부(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오목 둘레홈(20)에 맞물리는 걸림턱(23)을 가지고 있는 유지판(M)를 구비하고,
    상기 가는 띠형상 탄성부(10)는 대칭형으로서 1쌍 배열 설치되고, 각 탄성부(10)는 양단부(10A)가, 상기 내주끝가장자리(9A)에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고, U자 형상으로 만곡한 1쌍의 U자부(10B)와, 반경방향(R)의 외측으로 볼록 형상의 산형부(1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구조.

KR1020100043873A 2009-06-04 2010-05-11 밀봉 구조 KR101536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5138A JP4567798B1 (ja) 2009-06-04 2009-06-04 密封構造
JPJP-P-2009-135138 2009-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946A KR20100130946A (ko) 2010-12-14
KR101536588B1 true KR101536588B1 (ko) 2015-07-14

Family

ID=4309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73A KR101536588B1 (ko) 2009-06-04 2010-05-11 밀봉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62504B2 (ko)
JP (1) JP4567798B1 (ko)
KR (1) KR101536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9732B2 (en) * 2012-04-18 2015-08-18 Vistadeltek, Llc EZ-seal gasket for joining fluid pathways
CN108468806A (zh) * 2017-02-23 2018-08-31 高彦 密封装置及烧结机
JP6757760B2 (ja) * 2018-03-22 2020-09-2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金属シール
GB2584145A (en) * 2019-05-23 2020-11-25 Subsea Tech Limited Gasket assembly and seal carrier
EP4083572A1 (fr) * 2021-04-29 2022-11-02 Blancpain SA Joint d'etancheite pour profondimet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2157A1 (en) * 2002-07-19 2004-01-22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Metal seal and attachment method for the same and tight-seal construction
US6845984B2 (en) * 2000-11-27 2005-01-25 Michael Doyle Keeper for positioning ring sea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2690A (en) * 1963-01-03 1965-07-06 Dudley D Taylor Sealing ring with e-shaped radial section
DE1750959B1 (de) * 1968-06-21 1971-05-27 Fouquet Werk Frauz & Planck Flanschdichtungsausbildung bei der jeder der flansche einen in radialem abstand vom anderen liegenden umlaufenden axia len vorsprung aufweist
US3578346A (en) * 1969-01-29 1971-05-11 Parker Hannifin Corp Sealed joint and gasket therefor
JP2944161B2 (ja) 1990-08-03 1999-08-30 株式会社東芝 水力機械の流量測定装置
JPH0694133A (ja) * 1992-09-10 1994-04-05 Motoyama Seisakusho:Kk メタルガスケットの保持具
JP2568365B2 (ja) * 1993-02-10 1997-01-08 株式会社東芝 ガス供給装置
JP3122386B2 (ja) * 1996-07-16 2001-01-0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ガスケット保持具
US5735532A (en) * 1997-01-03 1998-04-07 Eg&G Pressure Science, Inc. Seal compression limiting retainer
US5713582A (en) 1997-01-03 1998-02-03 Eg&G Pressure Science, Inc. Seal retainer
US6357759B1 (en) * 1999-02-15 2002-03-19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Jacket seal
JP2001082609A (ja) * 1999-09-09 2001-03-30 Motoyama Eng Works Ltd シールガスケット
FR2800147B1 (fr) * 1999-10-22 2002-03-22 Snecma Joint metallique sta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US6409180B1 (en) * 2000-04-21 2002-06-25 Perkinelmer, Inc. Metallic seal
US7004478B2 (en) * 2001-12-07 2006-02-28 Perkinelmer Inc. Shallow metallic s-seal
EP1476684A1 (en) * 2002-02-20 2004-11-17 Garlock Sealing Technologies LLC Metal seal and retainer
JP4091373B2 (ja) * 2002-07-19 2008-05-2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金属シール
JP5198335B2 (ja) * 2008-08-27 2013-05-15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
JP4567797B1 (ja) * 2009-04-06 2010-10-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金属シ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984B2 (en) * 2000-11-27 2005-01-25 Michael Doyle Keeper for positioning ring seals
US20040012157A1 (en) * 2002-07-19 2004-01-22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Metal seal and attachment method for the same and tight-seal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1385A (ja) 2010-12-16
JP4567798B1 (ja) 2010-10-20
US8662504B2 (en) 2014-03-04
KR20100130946A (ko) 2010-12-14
US20100308545A1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448A (en) Seal retainer plate
KR101536588B1 (ko) 밀봉 구조
US7073796B2 (en) Metal packing
US5735532A (en) Seal compression limiting retainer
US7938406B2 (en) Gasket
JP6531162B2 (ja) 高純度流体通路を接合するための超密閉ガスケット
TWI655381B (zh) 密封環總成,用於密封一軸向流道之裝置及裝配密封環總成之方法
JP2009500580A (ja) 腐食バリヤを備えたシール装置及び方法
KR101754397B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JP2017514087A5 (ko)
US5735533A (en) Cavity depth increasing retainer
CA2503060A1 (en) Molded plastic gasket
WO2017200893A1 (en) Fitting having tabbed retainer and observation apertures
KR20130026456A (ko) 유체 커플링
WO2017154615A1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装置
JP5144253B2 (ja) ポンプ密封装置
WO2014054472A1 (ja) 密封装置
US9074686B2 (en) Ring seal retainer assembly and methods
WO2008100540A1 (en) Ring seal and retainer assembly
KR101955607B1 (ko)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KR101889092B1 (ko) 가스켓
JP4625746B2 (ja) シール材
KR20100002034A (ko) 개스킷 및 이를 사용하는 파이프 조인트
US11291823B2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