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44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44B1
KR101536244B1 KR1020140149290A KR20140149290A KR101536244B1 KR 101536244 B1 KR101536244 B1 KR 101536244B1 KR 1020140149290 A KR1020140149290 A KR 1020140149290A KR 20140149290 A KR20140149290 A KR 20140149290A KR 101536244 B1 KR101536244 B1 KR 10153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mounting member
catheter
stent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14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환으로 통로가 협소해진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스텐트를 병변부위로 안내하는 가이드와이어가 카테터 내부로 막힘없이 유연하게 통과될수 있도록, 내부 조립 방식이 개선된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내부 시스(Sheath);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스텐트가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위치 이동을 위해 상기 내부 시스 및 상기 장착부재의 진퇴를 조절하는 밀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 및 밀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상기 내부 시스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장착하여 병변의 협착 부위까지 막힘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카테터의 내부 구조가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각각의 원자제를 이용하여 별개의 구성으로 생산한 뒤 조립하는 공정을 하나의 재료로 전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신체 내 각종 기관들의 내강에 협착이 발생하여 혈관과 같은 내강의 직경이 줄어든 경우, 체내 물질의 이동성은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질병들이 발병할 수 있다. 이러한 협착 부위의 진행을 해소하고 체내 물질의 이동성을 원활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텐트의 시술을 위해 별도의 삽입장치로서 카테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다양한 길이 및 원자재로 제작 및 생산되어 병변 부위에 스텐트를 위치 및 장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중에서도 스텐트를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병변 부위까지 이동시키고 , 이렇게 이동된 스텐트를 밀어주는 형태로 협착이 진행 중인 병변 부위에 확장 설치하는 방식의 카테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스텐트 삽입을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9696호의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 구조"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다수의 튜브간의 공간형성을 통해 스텐트를 장착시키고, 이렇게 장착된 스텐트를 측면에 구비된 다양한 홀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를 이동시켜 협착 부위까지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스텐트의 장착 및 이동을 위해 마련된 다양한 튜브를 비롯한 구성들이 별개로 마련되어 접착 또는 삽입 등의 형태로 조립되며, 그로 인해 조립공정에서 내부 관통구조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거나 접착 및 조립에 사용되는 접착 성분들이 체내에 카테터 삽입 시 협착부 위를 비롯한 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장착, 이동 및 설치 등의 역할을 하는 내부 구성을 간략화하고 구성별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내부 시스(Sheath);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스텐트가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위치 이동을 위해 상기 내부 시스 및 상기 장착부재의 진퇴를 조절하는 밀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 및 밀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상기 내부 시스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는, 상기 장착부재, 내부 시스 및 밀대부재가 일체로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외부 시스; 및 상기 외부 시스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시스로 상기 장착부재, 내부 시스 및 밀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통로가 형성된 몸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외부 시스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장착부재 또는 상기 내부 시스 또는 상기 밀대부재와 상기 외부 시스의 상대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는, 상기 장착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로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가 형성된 가이드 팁; 및 상기 장착부재의 후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스텐트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팁에는 상기 외부 시스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장착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 팁과 상기 스텐트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재가 외부 시스에 삽입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장착된 스텐트의 위치에 관한 가시성 확보를 위해 상기 장착부재의 외주면 상에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밀대부재의 파손 및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대부재의 후단부에는 손잡이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인출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장착하여 병변의 협착 부위까지 막힘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카테터의 내부 구조가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각각의 원자제를 이용하여 별개의 구성으로 생산한 뒤 조립하는 공정을 하나의 재료로 전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스텐트를 장착하여 협착 부위까지 이동시키는 카테터의 내부 구조가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이루는 별개의 구성들을 연결하기 위한 접착물질의 사용을 최소화 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이동 등을 저해시키는 접착물질에 의한 제품 내부 협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이동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카테터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를 설명하면, 카테터(C)는 장착부재(110); 내부 시스(120); 밀대부재(130); 외부 시스(200); 몸체(300); 가이드 팁(400); 스텐트 지지부재(500);을 포함한다.
내부 시스(120)은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G)가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20)가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재(110)은 내부 시스(120)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내부 시스(120)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스텐트(S)가 장착된다.
또한, 장착부재(110)은 내부 시스(120)과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직경이 점점 테이퍼지게 감소되며 연장 형성되어 일정 직경까지 감소된 후, 다시 감소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장착부재(110)에는 장착부재(110)의 외주면에 장착된 스텐트(S)의 위치에 관한 가시성 확보를 위한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부(115)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밀대부재(130)는 내부 시스(120)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내부 시스(120)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부재(110)에 장착된 스텐트(S)의 위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내부 시스(120) 및 장착부재(110)의 진퇴를 조절하는 밀대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밀대부재(130)는 내부 시스(120)과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직경이 점점 테이퍼지게 감소되며 연장 형성되어 일정 직경까지 감소된 후, 다시 감소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밀대부재(130)의 외주면에는 밀대부재(130)의 파손 및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133)가 밀대부재(130)의 외주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밀대부재(130)의 후단부에는 손잡이부재(135)가 결합되며, 손잡이 부재(135)의 내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10)로부터 삽입되어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20)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이드 와이어(G)를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인출통로(30)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시스(120), 장착부재(110) 및 밀대부재(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10), 내부 시스(120), 밀대부재(130) 순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장착부재(110)은 선단에, 밀대부재는(130)는 후단에 위치하며 가운데 내부 시스(120)의 직경을 기준으로 양쪽의 원통형상의 직경이 줄어들어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내부 시스(120)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110) 및 밀대부재(130)는 내부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20)가 내부 시스(120)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장착부재(110)에서부터 밀대부재(130)에 이르는 내부에 하나의 연장된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20)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내부 구성들(110, 120, 130)은 종래의 내부 시스 구조에 비해 사용되는 접착물질의 양이 최소화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이동 등을 저해시키는 접착물질에 의한 제품 내부 협착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마련된 장착부재(110), 내부 시스(120) 및 밀대부재(130)의 구성은 종래에 비해 좀 더 높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외부 시스(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시스(120), 장착부재(110) 및 밀대부재(130)가 일체로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40)가 형성된다. 여기서, 형성되는 이동통로(40)의 직경을 내부 시스(120)의 외주면 측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마련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300)는 외부 시스(200)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시스(200)로 내부 시스(120), 장착부재(110) 및 밀대부재(13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통로(50)가 형성된다. 여기서, 형성되는 삽입통로(50)의 직경은 외부 시스(200)에 형성되는 이동통로(40)의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300)는 외부 시스(200)로부터 인출되는 장착부재(110) 또는 내부 시스(120) 또는 밀대부재(130)와 외부 시스(200)의 상대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310)는 몸체(300)의 삽입통로(50)에 삽입된 장착부재(110) 또는 내부 시스(120) 또는 밀대부재(130)의 외주면을 압착시켜 일체로 형성된 내부 시스(120), 장착부재(110) 및 밀대부재(130)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가이드 팁(400)은 장착부재(110)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G)가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20)로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10)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팁(400)은 가이드 와이어(G)가 처음으로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카테터(C) 전체적으로도 가장 선단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가이드 팁(4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시스(200)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걸림턱(410)이 형성되어 있어 밀대부재(130)를 잡아당기더라도 가이드 팁(400) 전체가 외부 시스(200)의 내부로 수용되지 않고,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팁(400)은 장착부재(110)에 위치하는 스텐트(S)의 선단부 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여, 장착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스텐트 지지부재(500)는 링형태로 마련되어 장착부재의 후단부 측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단차는 장착부재(110)에 위치하는 스텐트(S)의 후단부 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밀대부재(130)의 밀림에 의한 장착부재(110)의 이동 시 스텐트(S)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텐트(S)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10)의 외주면상에서 가이드 팁(400)과 스텐트 지지부재(500) 사이에 위치하며, 장착부재(110)이 외부 시스(200)에 삽입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 장착된다.
2. 가이드 와이어 통한 카테터의 이동 및 스텐트의 설치 형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C)는 장착부재(110)의외주면에 위치하는 스텐트(S)가 가이드 팁(400) 및 스텐트 지지부재(500)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장착부재(110)이 외부 시스(200)에 삽입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에 압축 장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용 통로(10, 20, 30)을 통해 환자의 협착 부위까지 이동되어 위치하는 가이드 와이어(G)를 따라 환자의 협착 부위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된 카테터(C)는 밀대부재(130)를 이용하여 장착부재(110)이 외부 시스(200)의 밖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압축되어 있던 스텐트(S)를 확장 설치시킨다.
가이드 와이어(G)를 통한 카테터(C)의 이동 형태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 부위까지 가이드 와이어(G)를 밀어 넣어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삽입 통로(10)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G)에 카테터(C)가 삽입되어 가이드 와이어 인출 통로(30)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G)가 상대적으로 인출되도록 카테터(C)를 내부 협착 부위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카네터(C)가 협착 부위까지 이동하면, 내부에 압축 장착된 스텐트(S)를 확장 설치시키는데 이 과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 부위까지 이동한 카네터(C)는 가이드 와이어(G)와 외부 시스(200) 및 이와 연결된 몸체(300)까지도 고정시킨 상태에서 밀대부재(130)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일체형으로 마련된 내부 시스(120)과 장착부재(110)이 전방(A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외부 시스(200) 및 이와 연결된 몸체(300)는 상대적으로 후방(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장착부재에 압축 장착되었던 스텐트(S)는 가이드 팁(400) 및 스텐트 지지부재(5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축공간을 형성하던 외부 시스(20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원래의 직경으로 팽창하여 협착 부위를 밀어내고 내강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 : 카테터
S : 스텐트
G : 가이드 와이어
110 : 장착부재
115 :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부
120 : 내부 시스
130 : 밀대부재
133 : 보강부재
135 : 손잡이 부재
200 : 외부 시스
300 : 몸체
310 : 고정부
400 : 가이드 팁
410 : 걸림턱
500 : 스텐트 지지부재

Claims (8)

  1.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내부 시스(Sheath);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스텐트가 장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내부 시스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 시스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위치 이동을 위해 상기 내부 시스 및 상기 장착부재의 진퇴를 조절하는 밀대부재;
    상기 장착부재, 내부 시스 및 밀대부재가 일체로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외부 시스; 및
    상기 외부 시스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시스로 상기 장착부재, 내부 시스 및 밀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통로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 및 밀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가 상기 내부 시스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외부 시스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장착부재 또는 상기 내부 시스 또는 상기 밀대부재와 상기 외부 시스의 상대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장착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로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가 형성된 가이드 팁; 및
    상기 장착부재의 후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스텐트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팁에는 상기 외부 시스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장착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 팁과 상기 스텐트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외부 시스에 삽입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장착된 스텐트의 위치에 관한 가시성 확보를 위해 상기 장착부재의 외주면 상에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밀대부재의 파손 및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재의 후단부에는 손잡이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삽입통로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이동통로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인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140149290A 2014-10-30 2014-10-30 카테터 KR10153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90A KR101536244B1 (ko) 2014-10-30 2014-10-30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90A KR101536244B1 (ko) 2014-10-30 2014-10-30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44B1 true KR101536244B1 (ko) 2015-07-13

Family

ID=5379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290A KR101536244B1 (ko) 2014-10-30 2014-10-30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9780A (ja) * 2004-08-17 2008-04-0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搬送システム
JP2008543399A (ja) * 2005-06-16 2008-12-04 アンギオメッ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メディツィンテヒニク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カテーテル装置
US20130317362A1 (en) * 2010-12-22 2013-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ear wave velocity estimation using center of mass
KR20130140025A (ko) * 2010-11-29 2013-12-23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9780A (ja) * 2004-08-17 2008-04-0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搬送システム
JP2008543399A (ja) * 2005-06-16 2008-12-04 アンギオメッ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メディツィンテヒニク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カテーテル装置
KR20130140025A (ko) * 2010-11-29 2013-12-23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US20130317362A1 (en) * 2010-12-22 2013-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ear wave velocity estimation using center of m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265B2 (en) Pull wire detachment for intravascular devices
CN109700572B (zh) 用于输送器的止缩装置及其输送器
JP5068527B2 (ja) 運搬力分布を改善したステント運搬システム
US20070043381A1 (en) Medical device deployment instrument
JP2006521885A5 (ko)
MX2007016231A (es) Dispositivo de cateter.
CA2845552C (en) Distal capture device for a self-expanding stent
JP2003527162A (ja) 水晶体嚢リング及び水晶体嚢リングシステム
US20100030141A1 (en) rapid-exchange catheter
EP2967944B1 (en) Delivery device for partially unconstrained endoprosthesis
CN109771111B (zh) 一种自膨胀支架的推送系统
KR20160138004A (ko)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KR101536244B1 (ko) 카테터
EP3466377B1 (en) Stent insertion apparatus comprising guide member having fixed part
US20220370253A1 (en) A tympanostomy tube
US9402756B2 (en) Monorail
US20080125845A1 (en) Proximal fixing
CN106176002A (zh) 自膨胀式支架
JP2017537754A (ja) ステント施術用カテーテル
KR101696811B1 (ko) 카테터
JP6988028B2 (ja) チューブ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2136930B1 (ko) 이중 내강 시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로딩 장치 및 이의 스텐트 로딩 방법
JP2013056092A (ja) カテーテル
GB2594425A (en) Delivery systems for endovascula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6829563B2 (ja) バスケット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