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89B1 -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989B1
KR101534989B1 KR1020130166677A KR20130166677A KR101534989B1 KR 101534989 B1 KR101534989 B1 KR 101534989B1 KR 1020130166677 A KR1020130166677 A KR 1020130166677A KR 20130166677 A KR20130166677 A KR 20130166677A KR 101534989 B1 KR101534989 B1 KR 10153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noise
combustion
paramet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3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yli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02D41/1498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measuring engine rough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5Engine noise, e.g. determined by using an acoustic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사 제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배기가스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엔진 연소음으로 인한 차량 실내 소음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엔진 소음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FFT로 신호 처리하여 소정의 크랭크 각도 내에서 실린더 압력 레벨로 변환하여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연소음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연소음 지수를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연소음 지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연소음 발생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실린더 블록의 진동신호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차량 실내 스피커를 통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운드 재생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MASKING CONTROL METHOD FOR COMBUSTION NOISE OF ENGINE}
본 발명은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연소음을 운전자의 귀에 들리지 않도록 마스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 소음은 엔진 구동으로 인해 유입되거나 주행 중 노면 굴곡 혹은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소리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차량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수동소음제어 방법과, 소음 신호에 역위상인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소음 신호를 감소시키는 능동소음제어 방법(Active Noise Control,ANC)이 있다.
또한, 엔진의 연소음을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연소음 제어를 위해 엔진 구동을 제어하는 방식, 특히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241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6389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7395호에서와 같이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점점 강화되는 배기가스와 연비 규제에 대해 이들과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인 연소음 개선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분사 변수 맵핑으로 연료분사를 제어하여 연소음을 개선하는 방식은 배기가스와 연비를 악화시키므로 보다 개선된 연소음 제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연료분사 제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배기가스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엔진 연소음으로 인한 차량 실내 소음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엔진 소음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FFT로 신호 처리하여 소정의 크랭크 각도 내에서 실린더 압력 레벨로 변환하여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연소음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연소음 지수를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연소음 지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연소음 발생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실린더 블록의 진동신호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차량 실내 스피커를 통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운드 재생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음 지수는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1
여기서, 1kHz 레벨, 1.25kHz 레벨, 1.6kHz 레벨, 2kHz 레벨, 2.5kHz 레벨, 3.15kHz 레벨은 실린더 압력 레벨의 1/3 옥타브 밴드(octave band)에서 취해진 해당 주파수의 레벨 값임.
또한, 상기 기준치는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서, 여기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치의 결정을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신호로부터 2차 성분, 4차 성분, 6차 성분의 진동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2차 성분의 음과 4차 성분의 음과 6차 성분의 음을 합성하여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는 진동센서의 진동신호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2
여기서, A, B, C는 각각 엔진 2차 성분 진동, 4차 성분 진동, 6차 성분 진동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맵핑값임.
또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기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기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측정되는 실내 소음 측정값이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목표값을 만족하도록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재생 및 출력을 PID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값은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미리 설정되고, 현재의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목표값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표값의 설정 및 결정을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에 의하면, 연료분사 제어 등의 방법 대신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연소음을 마스킹(masking)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배기가스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 없이 엔진 연소음으로 인한 차량 실내 소음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분사 제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배기가스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엔진 연소음으로 인한 차량 실내 소음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기가스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을 가지는 연료분사 제어 등의 방법 대신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연소음을 운전자의 귀에 들리지 않도록 마스킹(masking)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즉, 엔진에서 발생하는 연소음을 그대로 두고 엔진에서 발생하는 연소음 레벨보다 큰 마스킹 사운드를 사용자가 선호할 수 있는 사운드로 차량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실내 소음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제어 시스템은, 엔진의 실린더 내 연소압을 측정하기 위한 연소압 센서(11), 엔진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진동센서(12), 상기 진동센서(12)의 측정값과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연소음 마스킹을 위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여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실내 스피커(32)를 통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 재생부(3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본적으로 제어부는 엔진의 진동상태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운드 재생부(31)를 제어하게 되나, 이때 실제 측정값과 목표값을 이용하는 PID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마이크로폰(13)에 의해 측정된 실제 측정값과, 제어부(20)에 미리 설정되어 연료분사량(엔진 부하/엔진 토크에 상응하는 값임), 엔진 회전수 등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목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에 대한 PID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실제 차량 실내에서 재생 및 출력되는 실내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연소압 마스킹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연소압 센서(11)에 의해 실린더 내부 연소압이 측정되어 연소압 측정신호가 제어부(20)로 입력되고(S11), 더불어 제어부가 엔진 소음 파라미터를 입력받게 된다.
이때 측정된 연소압은 후술하는 실린더 압력 레벨, 더 나아가 후술하는 연소음 지수를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연소압이 측정되면, 제어부(20)에서 연소압 측정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로 신호 처리하여 실린더 압력 레벨(Cylinder Pressure Level,CPL)로 변환하며(S12), 이때 소정의 크랭크 각도 내에서 실린더 압력 레벨로 변환하여 dB 단위의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1/3 octave band)를 취득한다.
이어, 취득된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하기와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연소음 지수(Combustion Noise Index,CNI)를 계산한다(S13).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3
여기서, 1kHz 레벨, 1.25kHz 레벨, 1.6kHz 레벨, 2kHz 레벨, 2.5kHz 레벨, 3.15kHz 레벨은 실린더 압력 레벨의 1/3 옥타브 밴드(octave band)에서 취해진 해당 주파수의 레벨 값이다.
상기와 같이 구해진 연소음 지수는 본 발명의 제어 과정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연소음 발생 조건으로 인식하는 일종의 트리거(trigger) 신호로서, 연소압 센서(11)로 측정된 연소압을 FFT 신호 처리하여 실린더 압력 레벨로 변환한 후, 그로부터 연소음 지수를 계산하고, 이어 계산된 연소음 지수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S14), 기준치 이상일 경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연소음 발생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치는 제어부(20)에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미리 설정되며, 상기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연료분사량 또는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에 연료분사량(또는 엔진 부하),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냉각수온 등에 따라 기준치가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엔진 구동 중 제어부(20)에 연료분사량(또는 엔진 부하),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냉각수온 등의 신호가 입력되면, 그로부터 상기 기준치가 결정되고, 이때 결정된 기준치를 상기 계산된 연소음 지수와 비교하는 것이다.
한편, 연소음 지수가 기준치 이상인 조건에서, 제어부(20)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장착된 진동센서(12)(가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엔진의 진동 값과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가 결정된다(S15).
이때, 제어부(20)는 진동센서(12)의 진동신호에서 2차(C2) 성분, 4차(C4) 성분, 6차(C6) 성분의 진동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2차 성분의 음과 4차 성분의 음과 6차 성분의 음을 합성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한 뒤, 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가 스피커(32)를 통해 차량 실내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사운드 재생부(31)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연료분사량 또는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에 2차, 4차, 6차 성분의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는 진동센서(12)에 의해 측정된 2차, 4차, 6차 성분 진동 레벨의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2차 성분의 음과 4차 성분의 음과 6차 성분의 음이 합성된 형태의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는 아래의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4
여기서, 엔진 2차 성분 진동, 4차 성분 진동, 6차 성분 진동은 진동센서(12)의 측정신호로부터 추출된 실린더 블록의 2차(C2) 성분, 4차(C4) 성분, 6차(C6) 성분의 진동 크기를 나타낸다.
또한, A, B, C는 제어부(20)에서 각각 엔진 2차 성분 진동, 4차 성분 진동, 6차 성분 진동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맵핑값으로서,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맵을 통해 결정되는 값이며, 하기 표 1은 상기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서 엔진 부하(엔진 토크)(%)와 엔진 회전수(rpm)에 따라 A의 값이 맵핑되어 있는 맵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5
상기 표 1은 A 값이 구해지는 맵을 나타내나, B, C 값 역시 마찬가지로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에 따른 맵이 이용될 수 있고, 각각의 맵이 제어부(20)에 저장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맵은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만이 이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더하여 A, B, C 값을 결정하기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냉각수온 등이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진동 측정이 필요한 이유는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에 따라 엔진 가진에 의한 엔진 진동 크기 변화를 확인하고, 그 크기 변화에 따라 마스킹 사운드를 스피커(32)를 통해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재생 및 출력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엔진 진동(진동센서의 진동신호)과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실제 측정값을 이용하여 목표값을 추종하도록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PID 제어한다(S16).
이때, 마이크로폰(13)으로 실내 소음을 측정하고(S17), 이 측정값과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목표값을 비교하여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에 대해 목표값을 추종하도록 PID 제어를 수행하는데, 여기서 목표값은 제어부(20)가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구하게 되는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목표값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목표값이 제어부(20)에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미리 설정되며, 여기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연료분사량 또는 엔진 부하와,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선행 연구를 통해 차량에 적합한 2차 성분의 음, 4차 성분의 음, 6차 성분의 음을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미리 설정해두어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 목표값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20)에 연료분사량(또는 엔진 부하),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냉각수온 등에 따라 목표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 구동 중 제어부(20)에 연료분사량(또는 엔진 부하),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냉각수온 등의 신호가 입력되면, 그로부터 상기 목표값이 결정되고, 마이크로폰(13)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피드백 신호로 하여 목표값과 비교한 후(S17), 목표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목표값과 측정값의 오차가 제거되도록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PID 제어하게 된다(S16).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동센서(12)에 의해 측정된 엔진의 진동상태와 엔진의 운전상태로부터 결정된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차량 실내에서 재생, 출력하며,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연소음(예를 들면, 1 ~ 4kHz) 레벨보다 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차량 실내에서 발생시켜 운전자의 귀에 연소음이 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가 사운드 재생부(31) 및 스피커(32)를 통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발생을 제어함에 있어서, 선행 연구를 통해 운전자가 선호할 수 있는 사운드로 분석된 목표값을 충족하는 마스킹 사운드가 실내에서 발생하도록 하고, 여기서 목표값으로는 2차(C2) 성분, 4차(C4) 성분, 6차(C6) 성분의 레벨이 크고 서로 잘 조화된 음으로 미리 설정해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 : 연소압 센서 12 : 진동센서
13 : 마이크로폰 20 : 제어부
31 : 사운드 재생부 32 : 스피커

Claims (11)

  1.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엔진 소음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소압 센서의 연소압 측정신호를 FFT로 신호 처리하여 소정의 크랭크 각도 내에서 실린더 압력 레벨로 변환하여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연소음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연소음 지수를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연소음 지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연소음 발생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실린더 블록의 진동신호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단계;
    차량 실내 스피커를 통해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운드 재생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음 지수는 실린더 압력 레벨 데이터로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5007184909-pat00006

    여기서, 1kHz 레벨, 1.25kHz 레벨, 1.6kHz 레벨, 2kHz 레벨, 2.5kHz 레벨, 3.15kHz 레벨은 실린더 압력 레벨의 1/3 옥타브 밴드(octave band)에서 취해진 해당 주파수의 레벨 값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서, 여기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의 결정을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신호로부터 2차 성분, 4차 성분, 6차 성분의 진동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2차 성분의 음과 4차 성분의 음과 6차 성분의 음을 합성하여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는 진동센서의 진동신호와 엔진 소음 파라미터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3120248577-pat00007

    여기서, A, B, C는 각각 엔진 2차 성분 진동, 4차 성분 진동, 6차 성분 진동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맵핑값임.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기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를 결정하기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측정되는 실내 소음 측정값이 현재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목표값을 만족하도록 상기 연소음 마스킹 사운드의 재생 및 출력을 PID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은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 소음 파라미터에 따른 값으로 미리 설정되고,
    현재의 엔진 부하 또는 연료분사량과,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목표값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의 설정 및 결정을 위한 엔진 소음 파라미터는 기어 단수, 분사 변수, 흡기온 및 냉각수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KR1020130166677A 2013-12-30 2013-12-30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KR10153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677A KR101534989B1 (ko) 2013-12-30 2013-12-30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677A KR101534989B1 (ko) 2013-12-30 2013-12-30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989B1 true KR101534989B1 (ko) 2015-07-07

Family

ID=5379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677A KR101534989B1 (ko) 2013-12-30 2013-12-30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9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023A (ja) * 2008-09-18 2010-04-02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5262783B2 (ja) * 2009-02-06 2013-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車両用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および能動型騒音振動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023A (ja) * 2008-09-18 2010-04-02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5262783B2 (ja) * 2009-02-06 2013-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車両用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および能動型騒音振動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 201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4327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for a synthesized vehicle sound
US100655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noise masking
US10195902B1 (en) Real-time engine sound reproduc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real-time engine sound reproduction method
EP2663975B1 (en) Vehicle engine sound enhancement
WO2006095876A1 (ja) エンジン音加工装置
KR102644371B1 (ko) Ev차량 드라이빙 사운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7071637B (zh) 为布置在机动车中的扬声器生成驱动信号的方法、发动机的排气系统和乘客单元的声音系统
JP2020095260A (ja) 車両サウンドクオリティインデックスベースの人工知能エンジン音色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50094826A1 (en) Processing equipment of the sound of a car
US9050925B2 (en) Vehicle having an electric drive
Sellerbeck et al. Improving diesel sound quality on engine level and vehicle level-a holistic approach
US20220297598A1 (en) Sound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CN110949252A (zh) 发动机起动状况期间的车辆声音合成
KR20190044292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소리 제어방법
CN104064172A (zh) 车用主动式振动噪音控制装置
KR20210003047A (ko) 드라이브 모드 최적화 엔진 오더 상쇄
US202202724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ound enhancement
JP2008120320A (ja) 燃費報知装置
KR101534989B1 (ko) 엔진 연소음 마스킹 제어 방법
Lee et al. Adaptive algorithm of active sound design for the engine noise
CN115620738B (zh) 降噪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1312296B2 (en) Vehicle sound generation device
JP2008201253A (ja) 走行騒音生成装置
Rosplesch et al. Optimization of electric vehicle exterior noise for pedestrian safety and sound quality
Albers et al. Efficient Cause and Effect Analysis for NVH Phenomena of Electric Vehicles on an Acoustic Roller Test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