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66B1 - 차량의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966B1
KR101534966B1 KR1020130158096A KR20130158096A KR101534966B1 KR 101534966 B1 KR101534966 B1 KR 101534966B1 KR 1020130158096 A KR1020130158096 A KR 1020130158096A KR 20130158096 A KR20130158096 A KR 20130158096A KR 101534966 B1 KR101534966 B1 KR 10153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nk
housing
opening
fil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273A (ko
Inventor
백상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9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부에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필터 테두리에 결합된 필터프레임; 필터프레임의 상면에 필터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러버부; 및 일단이 개폐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프레임에 접하고,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연동되어 필터프레임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러버부가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에 가압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클리너{AIR CLEA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삽입 방식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필터와 하우징 사이의 기밀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러버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고급화 및 다기능화 되어 가면서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전장품의 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엔진룸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종래에 이미 설치된 구성품들에 있어서도 다른 구성품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써 최근 에어클리너 구조가 과거 다수개의 고정클립을 탈거하여 상방의 커버를 개방하는 방식에서 단순하게 필터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고, 이로써 에어클리너의 다운사이징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의 KR20-2012-0004507 U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는 "에어필터와, 상기 에어필터가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형합하여 결합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버"를 제시한다.
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 에어클리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링을 위하여 필터(20)의 테두리부를 따라 프레임(2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21)을 감싸는 러버가스켓(30)이 구비되며, 하우징(10)의 내측에 돌출되고 상기 필터(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1)의 상면이 상기 러버가스켓(30)의 하면과 접촉되므로써 상기 필터(20)가 하우징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러버가스켓(30)의 하면과 상면에 실링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돌기(31)가 설치되는 바, 상기 필터의 삽입시 상기 돌기(31)가 접혀버리는 현상이 발생되어왔고 이로인해 기밀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필터링 없이 바로 외기가 엔진으로 유입되어 불순물에 의한 고장을 발생시켜왔던 문제가 있어왔으며, 상기 러버가스켓(30)과 상기 가이드돌기(11)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필터(20)의 삽입과 인출에 저항력이 발생됨에 따라 필터(20)의 교환이 불편하여 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2012-0004507 U (2012.06.2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필터의 테두리부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프레임의 일면에만 돌기가 형성된 러버를 설치하여 가이드돌기가 프레임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돌기와 러버간의 접촉을 없애고 필터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필터 테두리에 결합된 필터프레임; 필터프레임의 상면에 필터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러버부; 및 일단이 개폐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프레임에 접하고,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연동되어 필터프레임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러버부가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에 가압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링크와 접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러버부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돌기 중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면에 돌출된 부분보다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더 높은 돌출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러버부의 상면에는 러버부의 길이를 따라 씰링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씰링돌기는 상기 러버부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까지 연장된 제1링크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상기 제1링크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클리너에 따르면, 러버부가 필터프레임의 상면에만 위치됨으로써 필터와 하우징 사이의 기밀은 유지하면서도 링크와 러버부와의 접촉을 저지함으로써, 러버에 마련된 씰링돌기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링크와의 마찰에 의한 필터 삽입 및 인출의 어려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삽입 방식의 에어클리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개폐도어 폐쇄 후 링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필터케이스와 러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돌출부와 링크의 접촉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씰링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필터(200)가 삽입되고, 필터(2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에는 개폐도어(150)가 마련된 하우징(100); 필터(200) 테두리에 결합된 필터프레임(210); 필터프레임(210)의 상면에 필터(2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필터(200)와 하우징(100)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러버부(230); 및 일단이 개폐도어(15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프레임(210)에 접하고, 개폐도어(150)의 폐쇄동작시 연동되어 필터프레임(210)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러버부(230)가 필터(200)와 하우징(100) 내벽 사이에 가압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하우징(100)은 하단과 상단에 각각 입구부(110)와 출구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110)와 출구부(130) 사이에 상기 필터(200)가 위치된다.
상기 필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필터(200)가 삽입되며, 필터(200)의 삽입 후 상기 러버부(230)와 접촉되어 필터(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 중 상기 러버부(230)와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부분은 상기 러버부(230)의 상면을 덮도록 절곡된다.
상기 개폐도어(150)는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핀결합되어 하단부를 축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개폐도어(150)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까지 연장된 제1링크(310)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링크(310)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330)로 이루어지며, 개폐도어(150)의 폐쇄동작시 상기 제1링크(31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213)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더 설명하자면, 상기 제1링크(310)의 일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단이 상기 개폐도어(150)의 하단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도어(1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310)의 일단이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링크(330)의 길이는 상기 개폐도어(150)의 폐쇄가 이루어진 뒤 상기 제1링크(310)가 상기 필터프레임(210)의 하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는 길이가 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링크의 작동구조를 설명한 도면으로써, 도 2가 상기 개폐도어(150)의 개방시 모습이라면, 도 3은 상기 개폐도어(150)의 폐쇄시 모습이다. 개폐도어(150)의 폐쇄시 상기 제1링크(3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링크(330)도 연동되어 타단을 축으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링크(310)의 상면이 상기 돌출부(213)와 접촉하여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중 상기 필터(200)의 좌우 양측으로 하나씩 마련되어 상기 필터(200)의 삽입시 상기 필터(200)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필터(20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 방향은 상기 필터(20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상기 필터프레임(210)과 상기 러버부(230) 및 상기 돌출부(213)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필터프레임(210)은 상기 필터(20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돌출된 돌기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상기 필터프레임(210)의 하면에는 상기 제1링크(310)와 접하는 돌출부(213)가 마련된다. 즉, 상기 필터프레임(210) 중 상기 제1링크(310)의 상면과 대면하는 부분에는 하면에 돌출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310)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21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러버부(230)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211)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관통홀(211)에 관통결합되는 걸림돌기(231)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213)와 상기 걸림돌기(231)는 각각 상기 필터프레임(210)과 상기 러버부(230)와 일물로 성형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211)과 상기 돌출부(213)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필터프레임(210)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걸림돌기(231)는 상기 관통홀(211)에 관통삽입된 후 관통홀(211)에 걸릴 수 있도록 필터프레임(210)의 하면에 돌출된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211)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무재질이므로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211)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더라도 상기 관통홀(211)에 삽입함에는 어려움이 없다.
또한, 상기 돌출부(213)는 상기 걸림돌기(231)의 하단부보다 상기 필터프레임(210)의 하면으로부터 더 높은 돌출높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13)가 상기 걸림돌기(231)의 하단부보다 더 많이 하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213)는 상기 제1링크(310)의 상면과 접하게 되지만 상기 걸림돌기(231)의 하단부는 상기 제1링크(310)의 상면과 접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1링크(310)가 상기 러버부(23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며 따라서 상기 제1링크(310)와 상기 러버부(230)와의 마찰발생에 의한 필터(200) 삽입 또는 인출시의 저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클리너의 씰링돌기(233)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 러버부(230)의 상면에는 러버부(230)의 길이를 따라 씰링돌기(23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가압시 씰링돌기(233)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100)과의 씰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씰링돌기(233)의 상단으로 갈 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평면으로 된 경우와 비교하여 씰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씰링돌기(233)는 상기 러버부(230)의 상면에 다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링크의 가압시 상기 하우징(100)과의 씰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클리너에 따르면, 러버부(230)가 필터프레임(210)의 상면에만 위치됨으로써 필터(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기밀은 유지하면서도 링크와 러버부(230)와의 접촉을 저지함으로써, 러버에 마련된 씰링돌기(233)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링크와의 마찰에 의한 필터(200) 삽입 및 인출의 어려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입구부
130 : 출구부 150 : 개폐도어
200 : 필터 210 : 필터프레임
211 : 관통홀 213 : 돌출부
230 : 러버부 231 : 걸림돌기
233 : 씰링돌기 310 : 제1링크
330 : 제2링크

Claims (7)

  1. 내부에 필터가 삽입되고, 필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필터 테두리에 결합된 필터프레임;
    필터프레임의 상면에 필터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러버부; 및
    일단이 개폐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프레임에 접하고,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연동되어 필터프레임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러버부가 필터와 하우징 내벽 사이에 가압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러버부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링크와 접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부는 상기 걸림돌기 중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면에 돌출된 부분보다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더 높은 돌출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의 상면에는 러버부의 길이를 따라 씰링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씰링돌기는 상기 러버부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까지 연장된 제1링크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며,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상기 제1링크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클리너.
KR1020130158096A 2013-12-18 2013-12-18 차량의 에어클리너 KR10153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96A KR101534966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96A KR101534966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73A KR20150071273A (ko) 2015-06-26
KR101534966B1 true KR101534966B1 (ko) 2015-07-24

Family

ID=5351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096A KR101534966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의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9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568A (ja) * 2005-10-03 2007-04-19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及びクリーナ
JP2011169194A (ja) * 2010-02-17 2011-09-01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取付構造
KR20120004507U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리한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KR20130061975A (ko) * 2011-12-02 2013-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클리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568A (ja) * 2005-10-03 2007-04-19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及びクリーナ
JP2011169194A (ja) * 2010-02-17 2011-09-01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取付構造
KR20120004507U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리한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KR20130061975A (ko) * 2011-12-02 2013-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73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547B2 (en) Air cleaner
JP4697158B2 (ja) エアクリーナ
JP5012634B2 (ja) ケースの閉鎖保持機構
JP2009511332A5 (ko)
US8394159B2 (en) Vehicle air cleaner housing
JP2015037781A (ja) 少なくとも1つのガイド横材を備えたフィルタ要素、フィルタ要素を備えた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のフィルタハウジング
RU2009148769A (ru) Отделение для хранения
JP5355471B2 (ja) エンドキャップ及びモール
CN106132506A (zh) 用于汽车的通风装置的空气过滤器
KR20150091006A (ko) 베인 및 공기 배출구
JP2016035931A (ja) ロック封止を有するプラグ要素
US20080178532A1 (en) Sealing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JP2012220048A (ja) エアフィルタの固定装置
JP2017024432A (ja) サンルーフ装置のウエザストリップ
WO2019007279A1 (zh) 室内机壳体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1534966B1 (ko) 차량의 에어클리너
US10569209B2 (en) Flat filter element and filter device
JP6079406B2 (ja) ルーフ装置
DE202007015310U1 (de) Verdampfermodul sowie Kühl- und/oder Gefriergerät mit einem derartigen Verdampfermodul
US10033133B2 (en) Wiring harness plug connector
US9091234B2 (en) Housing for vehicle component
JP2017066823A (ja) 壁用点検口
JP4650636B2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WO2015181960A1 (ja) カウルカバー組付構造
JP2016125379A (ja) エアクリーナのインレットに対するエアダクトの組み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