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06B1 -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 Google Patents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06B1
KR101534506B1 KR1020140050939A KR20140050939A KR101534506B1 KR 101534506 B1 KR101534506 B1 KR 101534506B1 KR 1020140050939 A KR1020140050939 A KR 1020140050939A KR 20140050939 A KR20140050939 A KR 20140050939A KR 101534506 B1 KR101534506 B1 KR 10153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하인용
남형철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US15/305,09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35174B2/en
Priority to PCT/KR2014/003739 priority patent/WO2015167030A1/ko
Priority to KR1020140050939A priority patent/KR101534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8Mechanical features of input/output (I/O) modules
    • H05K7/1471Modules for controlling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액츄에이터 모듈에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로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수단과 통전하도록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은 격자배치식으로 마련되어 액츄에이터 모듈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단자부에 결합된 배선다발들의 상호간섭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과 통전하도록 서브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NETWORK MODULE BEING EASY TO ATTACH AND DETACH FOR INDUSTRY}
본 발명은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액츄에이터 모듈에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로봇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용 로봇 시스템은 로봇의 위치 제어, 속도 제어, 전류 제어 등을 통해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
최근 로봇공학의 발달로 종래에 산업용으로 이용되던 로봇공학 메커니즘들이 타 산업 분야에 접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정용 청소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로봇, 완구용 로봇 등과 같이 가정용, 교육용, 엔터테인먼트용 등 다양한 용도의 로봇들이 생산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의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의 시장은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이더넷(Ethernet) 등의 네트워크 통신을 기반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로봇분야의 발전을 이루게 되는 핵심기술 중의 하나가 로봇에 채택된 구동용 모터 즉,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하나의 로봇에 수개에서 수십개의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형태의 로봇의 경우,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전체 액츄에이터를 상호연관성 있게 유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특히,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하나의 중앙 제어기로 제어하는 경우, 각 액츄에이터마다 액츄에이터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엔코더) 및 액츄에이터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모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 제어부와 구동부 또는 제어부(모터 제어기)와 센서부 사이에 수개에서 수십개의 배선이 필요하게 되므로, 로봇을 구성하는 액츄에이터의 수가 많아질수록 배선처리의 곤란성으로 인해 로봇의 구조를 다양화하는데 제한이 많았다.
또한, 로봇의 설계변형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수를 증감해야 할 경우,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 제어기, 센서부, 구동부를 모두 변경해야만 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이 구비된 액츄에이터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 모듈(30, 50)에 산업용 네트워크로 구성된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10)이 지원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네트워크 모듈(10)은 액츄에이터 모듈(30, 50)의 후면에 결합되는 기본형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엑츄에이터 모듈(30, 5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커넥터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전반적으로 장치의 무게 및 하중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액츄에이터 모듈(30, 50)을 이용한 다양한 자동화장비(매니풀레이터, Manipulator)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용상의 제약에 따라 사용 범위가 축소되고, 전체 구조 및 설치 작업이 복잡하여 유지와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형 액츄에이터 모듈에 연결하여 다양한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동부, 감속부 및 제어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모듈에 탈착가능한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로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수단과 통전하도록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단자부에 결합된 배선다발들의 상호간섭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과 통전하도록 서브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후면에 격자배치식으로 마련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마련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결합공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이격 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통신 모듈의 삽입배치가 용이하도록 안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수단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방으로 관통된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제어보드와 상기 제 1 제어보드의 일면과 결합되는 제 2 제어보드와, 상기 제 1 제어보드에 상기 외부수단의 전원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제어보드에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 2 단자 및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에 인가되도록 상기 서브커넥터와 연결되는 제 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단자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1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제어보드에는 제 3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제 2 단자는 스크류(Pluggable screw terminal), 디서브(D-subminiature), USB, RJ45, BNC, M12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가 산업용 네트워크로 마련되되, 상기 산업용 네트워크는, Canopen, CC-Link, Profibus, Ethercat, Profinet, Devicenet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외면에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과 액츄에이터 모듈 사이에 통전되는 전기적 세기를 파악할 수 있는 신호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룬 네트워크 모듈이 구현됨으로써, 하나의 액츄에이터 모듈에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구조적인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배선다발들 간의 간섭없이 단순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이 구비된 액츄에이터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통신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통신 모듈이 적용된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과 액츄에이터 모듈이 서브커넥터로 연결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정면도인 바, 이를 토대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1000)은 하우징(1300) 및 통신 모듈(1500)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300)에는 복수의 관통홀(1310)이 형성되고, 통신 모듈(1500)의 이격 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1320)가 포함된다.
더욱이, 고정부재(1320)에 통신 모듈(1500)의 삽입배치가 용이하도록 안착부(13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1300)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수단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방으로 관통된 개구부(1340)가 마련된다.
통신 모듈(1500)은 하우징(1300)에 내장되어 외부수단과 통전되도록 제 1 제어보드(1550), 제 2 제어보드((1557) 및 복수의 단자부,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단자(1551), 제 2 단자(1553) 및 제 3 단자(1555)가 구비된다,
제 1 제어보드(1550)는 하우징(1300)에 고정 설치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1 단자(1551) 및 제 2 단자(1553)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보드(1557)는 제 1 제어보드(1550)의 일면과 결합하되, 제 3 단자(155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자(1551)는 제 1 제어보드(1550)에 외부수단의 전원신호를 인가하고, 제 2 단자(1553)는 제 1 제어보드(1550)에 외부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제 3 단자(1555)는 외부수단의 제어신호를 액츄에이터 모듈(70)에 인가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듈(1000)은 하우징(1300) 및 통신 모듈(1500)의 각 구성과 상호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의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일체화된 제 1 제어보드(1550) 및 제 2 제어보드(1557)에 복수의 단자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선다발간의 간섭없이 단순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0)의 관통홀(1310)은 격자배치식으로 마련되어 대응되는 수단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0)의 외면상에 일정한 거리 및 그 배수의 간격을 가진 관통홀(1310)의 격차배치로 인해, 네트워크 모듈(1000)은 사용 목적에 맞는 다방향의 체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0)에는 통신 모듈(1500)의 제 1 단자(1551), 제 2 단자(1553) 및 제 3 단자(1555)에 결합된 배선다발들의 상호간섭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133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다발은 통신 모듈(1500)의 제 1 단자(1551), 제 2 단자(1553) 제 3 단자(1555)와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비되므로, 각 배선들을 가이드홈(1330)의 공간으로 구속시켜 하우징(1300)과 통신 모듈(1500)의 결합으로 발생되는 배선다발들의 엉킴이 예방된다.
더욱이, 케이블타이 등과 같이 배선다발들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매개로 가이드홈(1330)에 구속시킨다면 배선다발들의 상호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0)을 바탕으로 도 5를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모듈(1000)의 하우징(1300)은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하우징(1300)의 정면 및 후면에는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1310)이 격자배치식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300)의 일측으로는 개구부(1340)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00)의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320)가 구비되고, 고정부재(1320)의 후면에 연계하여 형성된 안착부(1350)를 통해 통신 모듈(1500)은 슬라이드식으로 탈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가이드홈(1330)은 고정부재(13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홈(1330)과 하우징(1300)의 내부 수용공간이 서로 구분되도록 보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통신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모듈(1500)은 제 1 단자(1551) 및 제 3 단자(1555)가 구비된 제 1 제어보드(1550)와, 제 1 제어보드(1550)의 일면과 결합되어 제 2 단자(1553)가 구비된 제 2 제어보드(1557)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500)의 제 2 단자(1553)는 스크류(Pluggable screw terminal)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단자(1553)는 외부수단의 제어신호, 예컨대, 산업용 네트워크를 인가하도록 제 2 제어보드(1557)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1 제어보드(1550)의 타측에는 제 1 단자(1551) 및 제 3 단자(1555)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500)의 제 1 제어보드(1550) 및 제 2 제어보드(1557)에는 단자부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일체화된 제 1 제어보드(1550) 및 제 2 제어보드(1557)에 자동화 시스템의 전장부위가 통전가능하도록, 다양한 제어용 케이블, 센서 신호 케이블 및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한 전장 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제 1 단자(1551), 제 2 단자(1553) 및 제 3 단자(1555)로 구성된 단자부는 모터 제어용, 센서 신호용 및 통신용 케이블들에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1500)의 제 2 제어보드(1557)에 인가되는 외부수단의 제어신호인 산업용 네트워크는, Canopen, CC-Link, Profibus, Ethercat, Profinet, Devicenet 중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산업용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RTEX(Panasonic), M-LINK(Yaskawa), SSCNET(Mitsubishi) 등의 네트워크가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전술된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추가적으로 커넥터수단이 필요한데, 예컨대 Ethercat 및 Profinet에는 RJ45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수단은 각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이는 해당 네트워크 협회에서 추천하는 종래기술로써, 반드시 네트워크 방식과 커넥터수단이 대응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된 산업용 네트워크 방식들은, 각 통신 방식을 위한 각각의 통신 마스터 칩(Master chip)들은 하위 제어기와의 효과적인 통신을 위해서 각 통신 마스터와 하나의 물리계층(PHY) 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으로 변환한 뒤 하위 제어기와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통신 모듈이 적용된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전술된 네트워크 모듈(1000)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설명하자면, 통신 모듈(1700)의 제 2 단자(1753)는 전술된 스크류(Pluggable screw terminal)타입 뿐만 아니라, 디서브(D-Subminiature), UCB, RJ45, BNC, M12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서브 타입의 제 2 단자(1753)는 전체적으로 상방 돌출형으로 구비되며 제 2 제어보드(1757)로 인해 제 1 제어보드(1750)와 연결되고, 제 1 단자(1751) 및 제 3 단자(1755)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도 8에서와 같이, 하우징(1300)과 디서브 타입인 통신 모듈(1700)의 결합을 통해 네트워크 모듈(1000a)을 구성하면, 통신 모듈(1700)의 제 2 단자(1753)는 하우징(1300)의 개구부(1340)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통신 모듈(1700)의 제 1 제어보드(1750)는 한 쌍의 고정부재(1320)에 안착되어 올바르게 고정되며, 제 1 단자(1751), 제 2 단자(1753), 및 제 3 단자(1755)에 연결된 각 배선다발들이 하우징(1300)의 가이드홈(1330)으로 구속되어 하우징(130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과 액츄에이터 모듈이 서브커넥터로 연결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0)의 관통홀(1310)이 격자배치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도록 감속기(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를 갖는 액츄에이터 모듈(70)의 외면에는 결합공(7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500)은 액츄에이터 모듈(70)과 통전하도록 서브커넥터(90)를 매개로 연결되되, 서브커넥터(90)의 일단은 액츄에이터 단자부(75)에, 타단은 전술된 통신 모듈(1500)의 제 3 단자(155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커넥터(90)에 구성된 배선은 전술된 하우징(1300)의 가이드홈(1330)에 구속시켜 다른 배선들과의 간섭방지 및 외관상의 정돈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서브커넥터(90)의 배선이 짧아서 네트워크 모듈(1000)과 액츄에이터 모듈(70)의 상호 연결작업을 지연시킬 경우, 서브커넥터(90)의 일단 또는 타단에 배선확장수단을 더 추가하여 배선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선확장수단으로 인해 서브커넥터(90)의 배선이 길어진 경우, 케이블타이 등의 배선정리부재를 통해 전술된 하우징(1300)의 가이드홈(1330)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된 도 2 내지 도 9의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네트워크 모듈(1000, 1000a)은 다양한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배선다발들 간의 간섭없이 단순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룬 네트워크 모듈(1000, 1000a)이 구현됨으로써, 하나의 액츄에이터 모듈(70)에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구조적인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모듈(1000)은 통신 모듈(1500)의 제 2 단자(1553)가 상방으로 위치하여 액츄에이터 모듈(7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다. 반면에, 제 2 단자(1553)가 상방으로 위치된 채, 액츄에이터 모듈(70)의 타측에 탈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황에 따라서는,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통신 모듈(1500)의 제 2 단자(1553)가 좌,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액츄에이터 모듈(70)의 일측 및 타측에 탈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모듈(1000)을 액츄에이터 모듈(70)에 올바르게 결합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결합을 위한 각 부재들은 조임 및 풀림이 간편하도록 이루어지되, 분실이나 또는 소재변형 등이 방지되도록 취급의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하게 탈착가능한 네트워크 모듈(1000)의 체결구조로 인해, 액츄에이터 모듈(70)과 연결되는 배선다발들의 길이가 유동적일 수 있기 때문에 상호 통전성이 약해짐을 방지하고자, 결합작업시에는 항상 배선확장수단과 케이블타이 등의 보조부재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500)의 제 2 단자(1553)가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경우, 외부수단과 연결된 배선이 외력에 의해 분리되어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가능하므로, 결합작업시에는 배선의 결합상태를 확인하면서 다양한 결합방식을 진행함은 물론이다.
한편, 하우징(1300)의 외면 또는 액츄에이터 모듈(70)의 외면에는 네트워크 모듈(1000)과 액츄에이터 모듈(70)이 상호 올바른 전기적 세기로 통전되는지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신호수단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0, 1000a: 네트워크 모듈 30, 50, 70: 액츄에이터 모듈
73: 결합공 75: 액츄에이터 단자부
90: 서브커넥터 1300: 하우징
1310: 관통홀 1320: 고정부재
1330: 가이드홈 1340: 개구부
1350: 안착부 1500, 1700: 통신 모듈
1550, 1750: 제 1 제어보드 1557, 1757: 제 2 제어보드
1551, 1751: 제 1 단자 1553, 1753: 제 2 단자
1555, 1755: 제 3 단자

Claims (9)

  1. 구동부, 감속부 및 제어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모듈에 탈착가능한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로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수단과 통전하도록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된 통신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단자부에 결합된 배선다발들의 상호간섭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과 통전하도록 서브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후면에 격자배치식으로 마련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마련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결합공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이격 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통신 모듈의 삽입배치가 용이하도록 안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수단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방으로 관통된 개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제어보드;
    상기 제 1 제어보드의 일면과 결합되는 제 2 제어보드;
    상기 제 1 제어보드에 상기 외부수단의 전원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 1 단자;
    상기 제 1 제어보드에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 2 단자; 및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가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에 인가되도록 상기 서브커넥터와 연결되는 제 3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단자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1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제어보드에는 제 3 단자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제 2 단자는 스크류(Pluggable screw terminal), 디서브(D-subminiature), USB, RJ45, BNC, M12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수단의 제어신호가 산업용 네트워크로 마련되되, 상기 산업용 네트워크는, Canopen, CC-Link, Profibus, Ethercat, Profinet, Devicenet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 모듈의 외면에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과 액츄에이터 모듈 사이에 통전되는 전기적 세기를 파악할 수 있는 신호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KR1020140050939A 2014-04-28 2014-04-28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KR10153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05,095 US10135174B2 (en) 2014-04-28 2014-04-28 Detachable industrial network module
PCT/KR2014/003739 WO2015167030A1 (ko) 2014-04-28 2014-04-28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KR1020140050939A KR101534506B1 (ko) 2014-04-28 2014-04-28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939A KR101534506B1 (ko) 2014-04-28 2014-04-28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506B1 true KR101534506B1 (ko) 2015-07-07

Family

ID=5379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939A KR101534506B1 (ko) 2014-04-28 2014-04-28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35174B2 (ko)
KR (1) KR101534506B1 (ko)
WO (1) WO2015167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5747A1 (de) * 2016-03-30 2017-10-05 Beckhoff Automation Gmbh Konzept zum Detektieren eines Entkoppelns eines ersten Steckerteils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von einem zweiten Steckerteil d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US11269800B2 (en) 2018-02-22 2022-03-08 Port Industrial Automation Gmbh Integrated communication unit
DE202018000941U1 (de) 2018-02-22 2019-05-23 port Gesellschaft für computergestützte Automation mbH Integrierte Kommunikationseinheit
DE102018001420A1 (de) 2018-02-22 2019-08-22 port Gesellschaft für computergestützte Automation mbH Integrierte Kommunikationseinheit
CN110191101A (zh) * 2019-05-09 2019-08-3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多功能网络接头转换器
CN113225945B (zh) * 2021-05-10 2023-03-10 上海昱章电气股份有限公司 数字式速度控制器
JP2023082812A (ja) * 2021-12-03 2023-06-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アクチュエータ装置、ロボット及びアクチュエータ装置のシリー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798A (ko) * 2011-03-16 2012-09-26 (주) 알코 탈부착 허브 메커니즘 구조를 가지는 교육용 모듈러 로봇
KR20130119147A (ko) * 2012-04-23 2013-10-31 임유섭 물체착탈용 매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28Y1 (ko) 2005-11-17 2006-01-31 대은전자 주식회사 고속통신 네트워크용 모듈러 잭
US7175476B2 (en) 2005-01-11 2007-02-13 Daeun Electronics Co., Ltd. Crosstalk canceling pattern for high-speed communications and modular jack having the same
KR101437148B1 (ko) 2007-09-12 2014-09-02 주식회사 로보빌더 기능확장이 용이한 로봇용 액츄에이터 모듈
KR100925177B1 (ko) 2008-02-20 2009-11-05 (주)로봇앤드디자인 로봇용 파워모듈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798A (ko) * 2011-03-16 2012-09-26 (주) 알코 탈부착 허브 메커니즘 구조를 가지는 교육용 모듈러 로봇
KR20130119147A (ko) * 2012-04-23 2013-10-31 임유섭 물체착탈용 매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5174B2 (en) 2018-11-20
WO2015167030A1 (ko) 2015-11-05
US20170040737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506B1 (ko) 탈착식 산업용 네트워크 모듈
JP3579803B2 (ja) データバスのための入/出力モジユール
JP5667657B2 (ja) ロボット用のプラグ及びプラグ式接続
KR101858273B1 (ko) 로봇 구조물 상에 분포된 전자 구동 장치를 갖는 산업용 로봇
CN111656877B (zh) 控制系统及控制系统安装方法
US20220085700A1 (en) Track connection module for linear motor tracks
ITMI981649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di motori multi-assi
US20070198100A1 (en) Hybrid field device cabling with industrial network and operating power
US10289089B2 (en) Field device
US10602611B2 (en) Robot control apparatus, robot, and robot system
JP5395681B2 (ja) 電子機器装置
US20130212310A1 (en) Interface for modular input/output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JP7033297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CN107873115B (zh) Led局域网电缆连接器,局域网电缆,局域网电缆系统
US20140290771A1 (en) Pressure-Regulating Valve Having An Electrical Control Unit
KR20130001789A (ko) 로봇 제어용 서보 드라이버의 커넥터
US10067573B2 (en) Device for control/command of a plurality of man-machine dialogue facilities
CN205792663U (zh) 一种智能网关控制中心
US10103599B2 (en) Electromotive drive system electronic housing with plug connections for DC voltage supplies, field busses and digital inputs and outputs
JP4369888B2 (ja) 電装品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10252597A (ja) 機能ユニットおよびコントロールセンタ
US20210296810A1 (en) Fixing device to secure an rj-interface
JP2015042063A (ja) サーボ制御装置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JP2013070464A (ja) 情報用配線装置
JP2013085251A (ja) フィールドバス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およびフィールドバスネットワーク加入者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