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174B1 - 중계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174B1
KR101534174B1 KR1020137022574A KR20137022574A KR101534174B1 KR 101534174 B1 KR101534174 B1 KR 101534174B1 KR 1020137022574 A KR1020137022574 A KR 1020137022574A KR 20137022574 A KR20137022574 A KR 20137022574A KR 101534174 B1 KR101534174 B1 KR 10153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tenance
relay server
operator
connection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938A (ko
Inventor
요시후미 타니모토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Abstract

센터 단말(5)은 피보수 단말을 등록하는 피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7)와,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등록하는 오퍼레이터 리스트 격납부(53)를 갖고 있다. 보수 단말과 피보수 단말은 센터 단말의 ID를 등록하는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81)를 갖고 있다. 센터 단말(5)은 소정의 피보수 단말과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을 작성하여 센터 단말에 등록할 수 있다. 임의의 보수 단말은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접수해서 센터 단말(5)에 로그인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로그인이 허가되면 해당하는 오퍼레이터 ID에 할당된 접속 잡을 센터 단말(5)로부터 수신하여 오퍼레이터에 통지한다. 보수 단말은 오퍼레이터로부터 접속 잡의 선택을 접수하면 센터 단말(5)에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접속 잡의 실행이 허가되면 접속 잡에 포함되는 피보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 통신 시스템{RELAYE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중계 서버를 통하여 각 중계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끼리가 필요에 따라서 접속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가정 또는 오피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감시 및 보수를 원격지로부터 행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원격 보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보수업자의 서비스맨은 전자기기의 설치 장소에 나가지 않고 전자기기의 보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보수업자의 서비스맨은 전자기기에서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트러블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수업자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유저는 조기에 트러블을 해결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23521호 공보
원격 보수 시스템의 일례로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서버를 통하여 각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끼리가 필요에 따라서 접속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이 사용된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콜센터의 서버와, 보수센터의 서버와, 고객처의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콜센터의 서버 및 보수센터의 서버에는 각각 단말이 접속되고, 고객처의 서버에는 보수 대상 시스템이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원격 보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콜센터의 서버가 보수센터에 있는 서버에 보수 요구를 통지한다. 이때, 콜센터의 센터원으로부터 보수센터의 보수원에게 원타임 패스워드가 전화로 연락되고, 그 원타임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수센터의 오퍼레이터는 고객처의 서버에 접속을 행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보수센터의 서버를 조작함으로써 고객처의 서버에 접속된 보수 대상 시스템을 원격 보수한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보수 시스템에서는 콜센터로부터 보수센터에 원타임 패스워드가 전화로 연락되고 있어 그 수고가 번거로웠다. 또한, 원타임 패스워드를 아는 보수원밖에 로그인할 수 없으므로 신속한 대응이 곤란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중계 서버끼리가 접속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요구에 대하여 신속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하에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형태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견지에 의한 중계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중계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되어 있는 중계 서버를 통해서 다른 중계 서버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각 중계 서버도 중계 서버끼리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다. 중계 서버끼리는 WAN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LAN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중계 서버와 통신 가능하다. 중계 통신 시스템은 센터 단말로서 기능하는 특정 중계 서버와, 피보수 단말로서 기능하는 1개 이상의 중계 서버와, 보수 단말로서 기능하는 1개 이상의 중계 서버를 갖고 있다. 또한, 중계 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피보수 단말에 제 1 LAN을 통해서 접속된 보수 대상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임의의 보수 단말에 제 2 LAN을 통해서 접속된 보수 조작 단말로서 기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갖고 있다. 보수 대상 시스템은 제 1 LAN, WAN, 및 제 2 LAN을 통해서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조작 가능하다. 센터 단말은 피보수 단말을 등록하는 피보수 단말 등록부와,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등록하는 오퍼레이터 등록부를 갖고 있다. 보수 단말과 피보수 단말은 센터 단말의 ID를 등록하는 센터 단말 ID 등록부를 갖고 있다. 센터 단말은 소정의 피보수 단말과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job)을 작성하여 센터 단말에 등록할 수 있다. 임의의 보수 단말은 접속된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특정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접수해서 센터 단말에 로그인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로그인이 허가되면 해당하는 오퍼레이터 ID에 할당된 접속 잡을 센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보수 단말은 오퍼레이터로부터 접속 잡의 선택을 접수하면 센터 단말에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접속 잡의 실행이 허가되면 접속 잡에 포함되는 피보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중계 서버끼리가 접속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요구에 대하여 보수 단말이 피보수 단말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센터 단말은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면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접속 잡이 실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접속 잡 실행 허가를 보수 단말에 통지하고,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접속 잡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선택된 접속 잡이 실행 중인 취지와 실행 중인 오퍼레이터 정보를 보수 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센터 단말은 보수 단말로부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고, 조회에 대하여 접속 잡 실행 허가를 통지하면 실행 중인 것을 접속 잡에 등록하고, 접속 잡에 포함되는 다른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게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해도 좋다.
센터 단말은 보수 단말로부터 접속 잡의 종료 통지를 수신하고, 종료 통지 에 의거하여 접속 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속 잡을 삭제하고, 접속 잡이 완료된 것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속 잡으로부터 실행 중인 것을 삭제하고, 접속 잡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해도 좋다.
센터 단말은 보수 단말이 되는 중계 서버를 등록하는 보수 단말 등록부를 갖고, 보수 단말을 통해서 특정 오퍼레이터 ID와 PWD에 의한 로그인 요구를 접수하면 오퍼레이터가 사용하고 있는 보수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등록되어 있으면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체크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를 회신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한 중계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중계 서버끼리가 WAN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중계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중계 서버와, 복수의 제 1 중계 서버와, 적어도 1개의 제 2 중계 서버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중계 서버에는 제 1 LAN을 통해서 보수 대상 시스템이 접속되고, 제 2 중계 서버에는 제 2 LAN을 통해서 보수 조작 단말이 접속되어 있고, 관리 중계 서버는 복수의 제 1 중계 서버에 관한 제 1 중계 서버 ID와 적어도 1개의 오퍼레이터 ID를 기억하고 있다. 관리 중계 서버는 제 1 중계 서버 ID와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의 등록을 접수하여 기억할 수 있다. 제 2 중계 서버는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 ID를 접수해서 관리 중계 서버에 통지한다. 관리 중계 서버는 제 2 중계 서버로부터 오퍼레이터 ID를 접수해서 인증한다. 관리 중계 서버는 접속 잡 중 오퍼레이터 ID를 포함하는 접속 잡을 선택하고, 선택한 접속 잡을 제 2 중계 서버에 송신한다. 제 2 중계 서버는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접속 잡을 수신하여 보수 조작 단말에 통지한다. 제 2 중계 서버는 보수 조작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접속 잡의 실행을 관리 중계 서버에 요구한다. 관리 중계 서버는 제 2 중계 서버로부터의 접속 잡 실행의 요구에 대하여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제 2 중계 서버에 송신한다. 제 2 중계 서버는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고, 가능의 경우에 접속 잡에 의거하여 보수 조작 단말을 제 1 중계 서버를 통해서 보수 대상 시스템에 접속한다.
도 1은 중계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센터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오퍼레이터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보수 단말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피보수 단말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접속 잡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보수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피보수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로그인을 접수하는 보수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보수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의 로그인을 접수하는 센터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보수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보수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보수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센터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보수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센터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센터 단말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상태 표시 화면이다.
도 16은 센터 단말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상태 표시 화면이다.
도 17은 센터 단말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상태 표시 화면이다.
도 18은 센터 단말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잡 작성용 화면이다.
도 19는 보수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보수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잡 선택용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원격 보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는 일례일 뿐이다.
(1) 중계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
본 실시형태에 의한 중계 통신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중계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계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중계 서버로 구성되고,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되어 있는 중계 서버를 통해서 다른 중계 서버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각 중계 서버도 중계 서버끼리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다.
중계 통신 시스템(1)은 WAN(Wide Area Network)(3)을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중계 서버를 갖고 있다. WAN(3)은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이다.
복수의 중계 서버는 센터 단말(5)과, 제 1 피보수 단말(7A), 제 2 피보수 단말(7B), 제 1 보수 단말(9A), 제 2 보수 단말(9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보수 단말 및 보수 단말은 각각 3대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피보수 단말은 1대라도 좋다.
센터 단말(5)은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조회 등을 접수하는 콜센터에 설치되어 있다. 센터 단말(5)은 제 1 피보수 단말(7A) 및 제 2 피보수 단말(7B)에 대한 제 1 보수 단말(9A) 및 제 2 보수 단말(9B)의 액세스권을 관리한다. 센터 단말(5)에는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이 LAN(Local Area Network)(13)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센터 단말(5)의 ID는 Center@relaysystem.net이다.
제 1 피보수 단말(7A)은 예를 들면 고객처 중계 서버로서 기능한다. 제 1 피보수 단말(7A)에는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15A) 및 제 2 보수 대상 시스템(15B)이 제 1 LAN(17)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제 1 LAN 그룹(14)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15A) 및 제 2 보수 대상 시스템(15B)은 원격 보수의 대상이 되는 파일 서버 또는 웹 서버이다. 또한, 제 1 피보수 단말(7A)에 접속된 보수 대상 시스템은 1대라도 좋고,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제 1 피보수 단말(7A)의 ID는 Target1@relaysystem.net이다.
제 2 피보수 단말(7B)은 고객처 중계 서버이다. 제 2 피보수 단말(7B)에는 제 3 보수 대상 시스템(19A) 및 제 4 보수 대상 시스템(19B)이 제 2 LAN(21)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제 2 LAN 그룹(16)이 구성되어 있다. 제 3 보수 대상 시스템(19A) 및 제 4 보수 대상 시스템(19B)은 원격 보수의 대상이 되는 파일 서버 또는 웹 서버이다. 또한, 제 2 피보수 단말(7B)에 접속된 보수 대상 시스템은 1대라도 좋고,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제 2 피보수 단말(7B)의 ID는 Target2@relaysystem.net이다.
제 1 보수 단말(9A)은 보수센터에 설치된 중계 서버이다. 제 1 보수 단말(9A)에는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 및 제 2 보수 조작 단말(23B)이 제 3 LAN(25)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제 3 LAN 그룹(1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보수 단말(9A)에 접속된 보수 조작 단말은 1대라도 좋고,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제 1 보수 단말(9A)의 ID는 Maintainance2@relaysystem.net이다.
제 2 보수 단말(9B)은 보수센터에 설치된 중계 서버이다. 제 2 보수 단말(9B)에는 제 3 보수 조작 단말(27A) 및 제 4 보수 조작 단말(27B)이 제 4 LAN(29)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제 4 LAN 그룹(2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보수 단말(9B)에 접속된 보수 조작 단말은 1대라도 좋고,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제 2 보수 단말(9B)의 ID는 Maintainance1@relaysystem.net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 제 3 보수 대상 시스템(19A), 제 4 보수 대상 시스템(19B),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 제 2 보수 조작 단말(23B), 제 3 보수 조작 단말(27A), 제 4 보수 조작 단말(27B)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이다. 센터 단말(5), 제 1 피보수 단말(7A), 제 2 피보수 단말(7B), 제 1 보수 단말(9A) 및 제 2 보수 단말(9B)은 클라이언트끼리의 통신을 각각 중계하는 중계 서버이다. 또한, 제 1 보수 단말(9A) 및 제 2 보수 단말(9B)은 퍼스널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메모리 및 거기에 보존된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좋다.
보수원이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을 사용하여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15A), 제 2 보수 대상 시스템(15B), 제 3 보수 대상 시스템(19A),또는 제 4 보수 대상 시스템(19B)을 원격 보수할 경우,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과,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 사이에 루팅 세션이 확립된다.
루팅 세션은 제 1 LAN 그룹(14) 또는 제 2 LAN 그룹(16)과, 제 3 LAN 그룹(18) 또는 제 4 LAN 그룹(20)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신 패킷을 루팅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세션이다.
루팅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은 센터 단말(5)에 대하여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로의 액세스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은 액세스 허가를 취득한 후에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 사이에 루팅 세션을 확립한다.
이상 설명한 시스템에서는 보수원은 특정 보수 단말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보수원은 어느 보수 단말을 이용해도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참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보수원의 ID 및 패스워드는 센터 단말(5)에 보존되어 있고, 센터 단말(5)이 인증 동작을 행하므로 보수원은 ID와 패스워드를 보수 조작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중계 통신 시스템(1)에 로그인할 수 있다.
(2) 센터 단말의 구성
도 2를 이용하여, 센터 단말(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센터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터 단말(5)은 주로 제어부(31)와, 데이터베이스 격납부(33)와, 인터페이스(35)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센터 단말(5)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31)는 CPU, RAM, ROM을 포함하는 컴퓨터이며, 메모리에 보존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31)는 로그인 인증부(43)와, 접속 잡 작성부(45)와, 접속 판단부(47)와,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와, 접속 잡 리스트 송신부(51)와, 허가 정보 송신부(52)를 갖고 있다.
로그인 인증부(43)는 로그인 정보를 인증 판단한다. 접속 잡 작성부(45)는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로의 접속에 관련되는 정보인 접속 잡을 작성한다. 접속 판단부(47)는 잡 선택을 송신해 온 보수 단말과 피보수 단말을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성된 접속 잡을 접속 잡 리스트(59a)의 형식으로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접속 잡을 접속 잡 리스트(59a)에 추가하여 접속 잡 리스트(59a)에 있는 접속 잡을 갱신하거나, 또는 접속 잡을 접속 잡 리스트(59a)로부터 삭제한다. 접속 잡 리스트 송신부(51)는 접속 잡 리스트 격납부(59)에 보존된 접속 잡 리스트(59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1 보수 단말(9A) 및 제 2 보수 단말(9B)에 송신한다. 또한, 허가 정보 송신부(52)는 잡 선택을 송신해 온 제 1 보수 단말(9A) 및 제 2 보수 단말(9B)에 대하여 잡 실행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 격납부(33)는 오퍼레이터 리스트 격납부(53)와, 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5)와, 피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7)와, 접속 잡 리스트 격납부(59)를 갖고 있다.
오퍼레이터 리스트 격납부(53)에는 오퍼레이터 리스트(53a)가 보존되어 있다. 도 3은 오퍼레이터 리스트(53a)를 나타내고 있다. 오퍼레이터 리스트(53a)의 각 오퍼레이터는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작업자의 「ID」, 「패스워드」 및 「로그인 중계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로그인 중계 서버는 작업자의 ID와 로그인하고 있는 단말의 ID가 조합되어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오퍼레이터(Op1∼Op4)가 등록되어 있고,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제 1 보수 단말(9A)에 로그인하고 있고, 제 2 오퍼레이터(Op2)가 센터 단말(5)에 로그인하고 있고, 제 3 오퍼레이터(Op3)가 제 2 보수 단말(9B)에 로그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4 오퍼레이터(Op4)가 로그인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5)에는 보수 단말 리스트(55a)가 보존되어 있다. 도 4는 보수 단말 리스트(55a)를 나타내고 있다. 보수 단말 리스트(55a)의 각 보수 단말은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보수 단말의 「명칭」 및 「단말 ID」로 구성되어 있다.
피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7)에는 피보수 단말 리스트(57a)가 보존되어 있다. 도 5는 피보수 단말 리스트(57a)를 나타내고 있다. 피보수 단말 리스트(57a)의 각 피보수 단말은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피보수 단말의 「명칭」 및 「단말 ID」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보수 단말과 오퍼레이터는 서로 관련된 복수의 그룹으로서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접속 잡 리스트 격납부(59)에는 접속 잡 리스트(59a)가 보존되어 있다. 도 6은 접속 잡 리스트(59a)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 잡 리스트(59a)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 잡을 포함하고 있다. 각 접속 잡은 「피보수 단말 ID」와, 「접속 후보 ID」와, 「잡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피보수 단말 ID」는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를 요구하고 있는 피보수 단말의 ID이다. 「접속 후보 ID」는 피보수 단말에 대하여 접속해도 좋은 오퍼레이터의 ID이며, 하나 또는 복수 기억되어 있다. 「잡 정보」는 실제로 어느 오퍼레이터가 접속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제 1 피보수 단말(7A) 및 제 2 피보수 단말(7B)에 대해서 각각 제 1 접속 잡 및 제 2 접속 잡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속 잡에는 제 1 오퍼레이터(Op1)가 후보로 되어 있고, 제 2 접속 잡에는 제 1 오퍼레이터(Op1) 및 제 3 오퍼레이터(Op3)가 후보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접속 잡은 제 1 오퍼레이터(Op1)에 의해 실행 중인 것도 알 수 있다.
또한, 접속 잡 작성부(45)가 접속 잡을 작성하면 접속 잡이 접속 잡 리스트(59a)에 추가된다. 또한,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중계 서버끼리의 접속이 개시되면 잡 정보를 변경한다. 또한, 접속이 차단되면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을 접속 잡 리스트(59a)로부터 삭제한다.
인터페이스(35)는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LAN(13) 내의 통신을 행한다. 인터페이스(35)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WAN(3)을 통한 통신을 행한다.
(3) 보수 단말의 구성
도 7을 이용하여 제 1 보수 단말(9A)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제 2 보수 단말(9B)의 구성은 제 1 보수 단말(9A)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보수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보수 단말(9A)은 제어부(61)와, 데이터베이스 격납부(63)와, 인터페이스(6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61)는 제 1 보수 단말(9A)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61)는 CPU, RAM, ROM을 포함하는 컴퓨터이며, 메모리에 보존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61)는 루팅 세션 확립부(71)와, 루팅 제어부(73)와, 로그인 정보 송신부(75)와, 잡 선택 송신부(77)를 갖고 있다.
루팅 세션 확립부(71)는 제 1 보수 단말(9A)과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 사이에 루팅 세션을 확립한다. 루팅 제어부(73)는 루팅 세션을 이용하여 다른 LAN과의 사이에서 통신 패킷의 루팅 제어를 행한다.
로그인 정보 송신부(75)는 센터 단말(5)에 대하여 로그인 정보를 송신한다. 잡 선택 송신부(77)는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에 잡 선택을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 격납부(63)는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81)를 갖고 있다.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에는 센터 단말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센터 단말 정보는 도시하지 않지만, 센터 단말(5)의 명칭과 ID로 구성되어 있다.
(4) 피보수 단말의 구성
도 8을 이용하여 제 1 피보수 단말(7A)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제 2 피보수 단말(7B)의 구성의 설명은 제 1 피보수 단말(7A)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피보수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피보수 단말(7A)은 제어부(91)와, 데이터베이스 격납부(93)와, 인터페이스(9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91)는 제 1 피보수 단말(7A)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91)는 CPU, RAM, ROM을 포함하는 컴퓨터이며, 메모리에 보존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91)는 루팅 세션 확립부(101)와 루팅 제어부(103)를 갖고 있다.
루팅 세션 확립부(101)는 제 1 피보수 단말(7A)과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 사이에 루팅 세션을 확립한다. 루팅 제어부(103)는 루팅 세션을 이용하여 다른 LAN과의 사이에서 통신 패킷의 루팅 제어를 행한다.
데이터베이스 격납부(93)는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105)를 갖고 있다.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105)에는 센터 단말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센터 단말 정보는 도시하지 않지만, 센터 단말(5)의 명칭과 ID로 구성되어 있다.
(5) 로그인 동작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의 로그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로그인을 접수하는 보수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보수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의 로그인을 접수하는 센터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을 조작함으로써 제 1 보수 단말(9A)로부터 중계 통신 시스템(1)에 로그인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 제 1 오퍼레이터(Op1)는 제 2 보수 조작 단말(23B)을 조작함으로써 제 1 보수 단말(9A)로부터 중계 통신 시스템(1)에 로그인해도 좋고, 제 3 보수 조작 단말(27A) 또는 제 4 보수 조작 단말(27B)을 조작함으로써 제 2 보수 단말(9B)로부터 중계 통신 시스템(1)에 로그인해도 좋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제 1 보수 단말(9A)의 제어부(61)에 의한 로그인 제어를 설명한다.
도 9의 스텝S1에서는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을 조작해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그 데이터가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로부터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된다.
스텝S2에서는 제 1 보수 단말(9A)의 로그인 정보 송신부(75)가 센터 단말(5)에 대하여 ID 및 패스워드로 이루어지는 로그인 정보를 송신한다.
스텝S3에서는 제어부(61)는 센터 단말(5)로부터의 로그인 허가 통지 또는 로그인 실패 통지를 수신한다. 로그인 허가 통지의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스텝S4로 이행되고, 로그인 실패 통지의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스텝S7로 이행된다.
스텝S4에서는 제어부(61)는 센터 단말(5)에 대하여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실행 가능한 접속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스텝S7에서는 제어부(61)는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로그인 실패 통지를 송신한다.
스텝S5에서는 센터 단말(5)로부터 접속 잡 또는 잡 없음 통지가 송신되어 오고, 제어부(61)는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조작 가능한 접속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의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스텝S6으로 이행되고, 「No」의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스텝S8로 이행된다.
스텝S6에서는 제어부(61)는 접속 잡을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송신한다.
스텝S8에서는 제어부(61)는 잡 없음 통지를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송신한다.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의 디스플레이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잡의 일람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고객명과 작업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오퍼레이터(Op1)는 미접속의 고객 장치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이용하여 센터 단말(5)의 제어부(31)에 의한 로그인 제어를 설명한다.
도 10의 스텝S11에서는 제어부(31)의 로그인 인증부(43)는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로부터 로그인 정보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기다린다. 로그인 정보가 송신되면(도 9의 스텝S2에 대응) 프로세스는 스텝S12로 이행된다.
스텝S12에서는 로그인 인증부(43)는 로그인 정보를 송신해 온 제 1 보수 단말(9A)이 보수 단말 리스트(55a)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13으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19로 이행된다.
스텝S13에서는 로그인 인증부(43)는 로그인 정보 내의 ID와 패스워드가 오퍼레이터 리스트(53a)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14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19로 이행된다.
스텝S14에서는 제어부(31)는 로그인 허가 통지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 스텝S19에서는 제어부(31)는 로그인 실패 통지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
스텝S15에서는 제어부(31)는 로그인 중계 서버 정보를 오퍼레이터 리스트(53a)에 등록한다.
스텝S16에서는 제어부(31)는 제 1 보수 단말(9A)로부터 조회(도 9의 스텝S4)에 대하여 접속 잡 리스트(59a)를 검색함으로써 로그인한 제 1 오퍼레이터(Op1)용 접속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17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20으로 이행된다.
스텝S17에서는 제어부(31)의 접속 잡 리스트 송신부(51)는 로그인한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접속 가능한 접속 잡을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
스텝S18에서는 제어부(31)는 로그인이 된 것을 로그인이 완료된 오퍼레이터[예를 들면, 제 3 오퍼레이터(Op3)] 및 센터원으로서의 제 2 오퍼레이터(Op2)에게 통지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제 2 보수 단말(9B)에 있어서 접속 잡이 갱신된다.
스텝S20에서는 제어부(31)는 잡 없음 통지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새롭게 로그인하면 로그인해 온 오퍼레이터가 접속 가능한 접속 잡이 센터 단말(5)로부터 보수 단말에 송신된다. 또한, 이미 로그인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에게는 접속 잡 갱신 정보가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오퍼레이터는 중계 통신 시스템(1)에 로그인하면 접속 가능한 접속 잡의 최신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수 조작 단말과 보수 대상 시스템의 접속이 신속하게 행해지게 된다.
(6) 잡 선택 동작
도 11∼도 14를 이용하여 접속 잡의 선택·실행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보수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보수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잡 선택을 접수하는 센터 단말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제 1 보수 단말(9A)의 제어부(61)에 의한 접속 잡의 선택·실행 제어를 설명한다.
도 11의 스텝S21에서는 제어부(61)는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을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잡 선택이 송신되어 오는 것을 기다린다. 또한, 잡 선택은 제 1 오퍼레이터(Op1)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스텝S22에서는 제어부(61)의 잡 선택 송신부(77)는 제 1 오퍼레이터(Op1)에 의한 잡 선택을 센터 단말(5)에 송신한다.
스텝S23에서는 센터 단말(5)로부터 잡 취득 성공 통지 또는 잡 취득 실패 통지가 송신되어 오고, 제어부(61)는 잡 취득 OK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24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25로 이행된다.
스텝S24에서는 제 1 보수 단말(9A)은 제 1 피보수 단말(7A)에 접속을 행한다(후술).
스텝S25에서는 제어부(61)는 취득 실패 통지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
스텝S24에서의 접속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제 1 보수 단말(9A)은 제 1 피보수 단말(7A)에 대하여 루팅 세션의 확립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1)의 루팅 세션 확립부(71)가 리퀘스트 ID를 이용하여 루팅 세션의 확립 요구를 제 1 피보수 단말(7A)에 송신한다. 제 1 피보수 단말(7A)의 루팅 세션 확립부(101)는 제 1 보수 단말(9A)에 대하여 액세스 허가로서 OK 리스폰스를 회신한다. 이 결과, 제 1 보수 단말(9A)과 제 1 피보수 단말(7A) 사이에 미디어 세션이 확립된다. 미디어 세션이 확립된 후, 제 1 보수 단말(9A)과 제 1 피보수 단말(7A)은 루팅 대상인 제 1 LAN(17) 및 제 3 LAN(25)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교환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과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15A)의 통신이 루팅 세션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이 결과, 제 1 오퍼레이터(Op1)는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을 이용하여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15A)에 대한 원격 보수를 개시할 수 있다.
스텝S26에서는 제어부(61)의 루팅 제어부(73)는 접속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27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34로 이행된다.
스텝S34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접속 실패 통지를 제 1 오퍼레이터(Op1)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1)는 접속 실패 통지를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송신한다. 그 후에 프로세스는 스텝S36으로 이행된다.
스텝S27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접속 성공 통지를 제 1 오퍼레이터(Op1)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1)는 접속 성공 통지를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송신한다.
스텝S28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접속 성공 통지를 센터 단말(5)에 송신한다.
스텝S29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30으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35로 이행된다.
스텝S35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이상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36으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29로 되돌아간다.
스텝S36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에러 통지를 센터 단말(5)에 송신한다.
스텝S30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완료 통지를 제 1 피보수 단말(7A)에 송신하고, 그것에 의해 접속을 차단한다.
스텝S31에서는 루팅 제어부(73)는 센터 단말(5)에 접속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
스텝S32에서는 제어부(61)는 센터 단말(5)에 대하여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실행 가능한 접속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스텝S33에서는 센터 단말(5)로부터 제 1 오퍼레이터(Op1)가 실행 가능한 접속 잡이 있는지의 여부가 송신되어 오고, 제어부(61)는 접속 잡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센터 단말(5)의 제어부(31)에 의한 접속 잡의 선택·실행 제어를 설명한다.
도 13의 스텝S41에서는 센터 단말(5)의 제어부(31)는 잡 선택이 행해지는(도 11의 스텝S22에 대응) 것을 기다린다.
스텝S42에서는 제어부(31)는 제 1 보수 단말(9A)로부터 오퍼레이터 ID와 잡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S43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해당 접속 잡을 접속 잡 리스트 격납부(59)로부터 판독한다.
스텝S44에서는 접속 판단부(47)는 다른 오퍼레이터가 접속 잡을 취득 완료했는지(즉,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잡이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11의 스텝S23에 대응).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45로 이행되고, 「Yes」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47로 이행된다.
스텝S45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잡 정보에 「실행 중」을 등록한다.
스텝S47에서는 제어부(31)의 허가 정보 송신부(52)는 잡 취득 실패 통지[즉, 제 1 보수 단말(9A)에 선택된 접속 잡이 실행 중인 취지와, 실행 중인 오퍼레이터 정보]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도 11의 스텝S23에 대응).
스텝S46에서는 제어부(31)의 허가 정보 송신부(52)는 잡 취득 성공 통지(즉, 잡 허가 통지)를 제 1 보수 단말(9A)에 송신한다(도 11의 스텝S23에 대응).
스텝S48에서는 제어부(31)는 제 1 보수 단말(9A)이 제 1 피보수 단말(7A)에 접속을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도 12의 스텝S28에 대응) 프로세스는 스텝S49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54로 이행된다.
스텝S49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 리스트(59a)의 「잡 정보」에 「Op1 실행 중」을 추가한다. 그 후에 프로세스는 스텝S50으로 이행된다.
스텝S54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에 에러 정보를 등록한다(구체적으로는, 실행 중인 것을 접속 잡으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잡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잡 정보가 갱신된 것을 통지한다.
스텝S50에서는 제어부(31)는 접속 작업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도 12의 스텝S31에 대응) 프로세스는 스텝S51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55로 이행된다.
스텝S55에서는 제어부(31)는 이상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도 12의 스텝S36에 대응) 프로세스는 스텝S54로 이행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스텝S5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51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 리스트(59a)의 접속 잡에 「완료」를 등록한다.
스텝S52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49)는 접속 잡 리스트(59a)의 접속 잡을 삭제한다.
스텝S53에서는 접속 잡 리스트 송신부(51)는 관련되는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게 잡 정보 갱신 통지를 송신한다.
(7) 클라이언트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도 15∼도 18을 이용하여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설명한다. 도 15∼도 18은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상태 표시 화면이다. 이들 표시 화면은 예를 들면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에 인스톨된 조작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성되어 있다.
(7-1) 상태 표시 화면
도 15에서는 상태 표시 화면(201)이 나타내어져 있다. 상태 표시 화면(201)은 상태 표시 윈도우(203)와 일람 윈도우(205)를 포함하고 있다. 상태 표시 윈도우(203)는 잡의 상태 및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일람 윈도우(205)는 고객 일람, 작업자 일람, 및 보수 단말 일람을 포함하고 있다.
상태 표시 윈도우(203)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 잡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접속 잡은 「고객명」, 「개시 시각」, 「경과 시각」, 「상태」, 「고객 코드」, 「고객 정보1」, 「고객 정보2」, 「보수원 ID」, 「작업자명」, 「보수원 코드」, 「보수원 정보1」, 및 「보수원 정보2」를 포함하고 있다.
접속 잡이 작성되면 접속 잡의 「고객명」, 「고객 코드」, 「고객 정보1」 및 「고객 정보2」가 상태 표시 윈도우(203)에 표시된다. 또한, 이때 「개시 시각」에는 접속 잡 작성 시각이 설정된다.
접속이 행해지면 「보수원 ID」, 「작업자명」, 「보수원 코드」, 「보수원 정보1」, 「보수원 정보2」가 상태 표시 윈도우(203)에 표시된다. 또한, 이때 「개시 시각」에는 접속 개시 시각이 표시되고, 「경과 시각」에는 개시 시각으로부터 경과한 시각이 표시된다.
상태 표시 윈도우(203)의 「상태」에는 서포트 중, 서포트 종료, 이상, 초과가 표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센터원인 제 2 오퍼레이터(Op2)는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의 표시 화면을 봄으로써 중계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접속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센터원인 제 2 오퍼레이터(Op2)는 일람 윈도우(205)를 조작함으로써 고객 일람, 작업자 일람, 및 보수 단말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고객 일람(207)이 표시되어 있다. 고객 일람(207)에는 고객명과 접속 허가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접속 허가 또는 금지는 제 2 오퍼레이터(Op2)가 결정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보수 단말 일람(209)이 표시되어 있다. 보수 단말 일람(209)에는 각 보수 단말의 기기 명칭, 상태, 기기 정보1, 기기 정보2가 표시되어 있다.
(7-2) 잡 작성 화면
도 18을 이용하여 잡 작성 화면을 설명한다.
센터원인 제 2 오퍼레이터(Op2)는 센터 단말(5)에 접속된 센터 단말 조작 단말(11)을 조작하여 소정의 피보수 단말과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을 작성하여 센터 단말(5)에 등록할 수 있다. 도 18의 잡 작성 화면(211)에서는 고객4에 대하여 복수의 보수원이 선택되어 있다. 이 선택은 센터원인 제 2 오퍼레이터(Op2)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렇게 잡이 작성되는 것은, 예를 들면 피보수 단말로부터 센터 단말(5)에 고장 발생이 송신되고 있을 경우이다.
(8) 보수 조작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도 19를 이용하여 제 1 보수 조작 단말(23A)에 있어서의 잡 선택 화면(213)을 설명한다. 도 19는 보수 조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보수 단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접속 잡 선택용 화면이다. 잡 선택 화면(213)에서는 각 잡은 「고객명」과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잡 선택 화면(213)에는 접속/차단, 송신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오퍼레이터(Op1)는 잡 선택 화면(213)으로부터 미접속 상태인 고객을 선택하여 접속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9)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A) 중계 통신 시스템(1)(중계 통신 시스템의 일례)은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중계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되어 있는 중계 서버를 통해서 다른 중계 서버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각 중계 서버도 중계 서버끼리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다. 중계 통신 시스템(1)은 센터 단말(5)과, 제 1 피보수 단말(7A) 또는 제 2 피보수 단말(7B)(피보수 단말의 일례)과, 제 1 보수 단말(9A) 또는 제 2 보수 단말(9B)(보수 단말의 일례)을 갖고 있다. 센터 단말(5)은 피보수 단말을 등록하는 피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7)(피보수 단말 등록부의 일례)와,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등록하는 오퍼레이터 리스트 격납부(53)(오퍼레이터 등록부의 일례)를 갖고 있다. 보수 단말과 피보수 단말은 센터 단말의 ID를 등록하는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81)(센터 단말 ID 등록부의 일례)를 갖고 있다. 센터 단말(5)은 소정의 피보수 단말과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을 작성하여 센터 단말에 등록할 수 있다. 임의의 보수 단말은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접수해서 센터 단말(5)에 로그인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로그인이 허가되면 해당하는 오퍼레이터 ID에 할당된 접속 잡을 센터 단말(5)로부터 수신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보수 단말은 오퍼레이터로부터 접속 잡의 선택을 접수하면 센터 단말(5)에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접속 잡의 실행이 허가되면 접속 잡에 포함되는 피보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중계 서버끼리가 접속된 중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요구에 대하여 보수 단말이 피보수 단말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B) 센터 단말(5)은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면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접속 잡이 실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접속 잡 실행 허가를 보수 단말에 통지하고,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접속 잡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선택된 접속 잡이 실행 중인 취지와 실행 중인 오퍼레이터 정보를 보수 단말에 통지한다.
(C) 센터 단말(5)은 보수 단말로부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고 조회에 대하여 접속 잡 실행 허가를 통지하면 실행 중인 것을 접속 잡에 등록하고, 접속 잡에 포함되는 다른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게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한다.
(D) 센터 단말(5)은 보수 단말로부터 접속 잡의 종료 통지를 수신하고, 종료 통지에 의거하여 접속 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속 잡을 삭제하고, 접속 잡이 완료된 것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속 잡으로부터 실행 중인 것을 삭제하고, 접속 잡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한다.
(E) 센터 단말(5)은 보수 단말이 되는 중계 서버를 등록하는 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55)(보수 단말 등록부의 일례)를 갖고, 보수 단말을 통해서 특정 오퍼레이터 ID와 PWD에 의한 로그인 요구를 접수하면 오퍼레이터가 사용하고 있는 보수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체크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를 회신한다.
(10)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적힌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격 조작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중계 서버를 통하여 각 중계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끼리가 필요에 따라서 접속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1 : 중계 통신 시스템 3 : WAN
5 : 센터 단말(관리 중계 서버)
7A : 제 1 피보수 단말(제 1 중계 서버)
7B : 제 2 피보수 단말(제 1 중계 서버)
9A : 제 1 보수 단말(제 2 중계 서버)
9B : 제 2 보수 단말(제 2 중계 서버) 11 : 센터 단말 조작 단말
13 : LAN 14 : 제 1 LAN 그룹
15A : 제 1 보수 대상 시스템 15B : 제 2 보수 대상 시스템
16 : 제 2 LAN 그룹 17 : 제 1 LAN
18 : 제 3 LAN 그룹 19A : 제 3 보수 대상 시스템
19B : 제 4 보수 대상 시스템 20 : 제 4 LAN 그룹
21 : 제 2 LAN 그룹
23A : 제 1 보수 조작 단말(클라이언트 단말)
23B : 제 2 보수 조작 단말(클라이언트 단말)
25 : 제 3 LAN 27A : 제 3 보수 조작 단말
27B : 제 4 보수 조작 단말 29 : 제 4 LAN
31 : 제어부 33 : 데이터베이스 격납부
35 : 인터페이스 43 : 로그인 인증부
45 : 접속 잡 작성부 47 : 접속 판단부
49 : 접속 잡 리스트 관리부 51 : 접속 잡 리스트 송신부
52 : 허가 정보 송신부 53 : 오퍼레이터 리스트 격납부
53a : 오퍼레이터 리스트 55 : 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
55a : 보수 단말 리스트 57 : 피보수 단말 리스트 격납부
57a : 피보수 단말 리스트 59 : 접속 잡 리스트 격납부
59a : 접속 잡 리스트 61 : 제어부
63 : 데이터베이스 격납부 65 : 인터페이스
71 : 루팅 세션 확립부 73 : 루팅 제어부
75 : 로그인 정보 송신부 77 : 잡 선택 송신부
81 :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 91 : 제어부
93 : 데이터베이스 격납부 95 : 인터페이스
101 : 루팅 세션 확립부 103 : 루팅 제어부
105 : 센터 단말 정보 격납부

Claims (6)

  1. 네트워크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중계 서버로 구성되고,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되어 있는 중계 서버를 통해서 다른 중계 서버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각 중계 서버도 중계 서버끼리 또는 중계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가능한 중계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끼리는 WAN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LAN을 통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중계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센터 단말로서 기능하는 특정 중계 서버와, 피보수 단말로서 기능하는 1개 이상의 중계 서버와, 보수 단말로서 기능하는 1개 이상의 중계 서버를 갖고 있고,
    임의의 상기 피보수 단말에 제 1 LAN을 통해서 접속된 보수 대상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임의의 상기 보수 단말에 제 2 LAN을 통해서 접속된 보수 조작 단말로서 기능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갖고 있고, 상기 보수 대상 시스템은 상기 제 1 LAN, 상기 WAN, 및 상기 제 2 LAN을 통해서 상기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조작 가능하고,
    상기 센터 단말은 상기 피보수 단말을 등록하는 피보수 단말 등록부와,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등록하는 오퍼레이터 등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보수 단말과 상기 피보수 단말은 상기 센터 단말의 ID를 등록하는 센터 단말 ID 등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센터 단말은 소정의 피보수 단말 ID와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을 작성하여 상기 센터 단말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보수 단말은 접속된 상기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특정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접수해서 상기 센터 단말에 로그인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로그인이 허가되면 해당하는 오퍼레이터 ID에 할당된 접속 잡을 센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잡을 상기 보수 조작 단말에 송신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고,
    상기 보수 단말은 상기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접속 잡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센터 단말에 상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를 조회하고, 상기 접속 잡의 실행이 허가되면 상기 접속 잡에 포함되는 피보수 단말 ID에 의거하여 피보수 단말의 사이에 루팅 세션을 확립하고, 이 루팅 세션을 통해서 상기 보수 조작 단말과 상기 보수 대상 시스템이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단말은 상기 보수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여 상기 조회에 대하여 접속 잡 실행 허가를 통지하면, 실행 중인 것을 상기 접속 잡에 등록하고,
    상기 보수 단말이 상기 피보수 단말에 접속 성공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보수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접속 잡을 갱신하고, 상기 접속 잡에 포함되는 다른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게 상기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단말은 상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접속 잡이 실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접속 잡 실행 허가를 상기 보수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접속 잡에 등록된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접속 잡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선택된 접속 잡이 실행 중인 취지와 실행 중인 오퍼레이터 정보를 상기 보수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단말은 상기 보수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잡의 종료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종료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 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접속 잡을 삭제하고, 상기 접속 잡이 완료된 것 이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접속 잡으로부터 실행 중인 것을 삭제하고, 상기 접속 잡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보수 단말을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단말은 상기 보수 단말이 되는 중계 서버를 등록하는 보수 단말 등록부를 갖고, 상기 보수 단말을 통해서 특정 오퍼레이터 ID와 PWD에 의한 로그인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오퍼레이터가 사용하고 있는 보수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오퍼레이터의 ID와 PWD를 체크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를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
  6. 복수의 중계 서버끼리가 WAN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중계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중계 서버와, 복수의 제 1 중계 서버와, 적어도 1개의 제 2 중계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중계 서버에는 제 1 LAN을 통해서 보수 대상 시스템이 접속되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에는 제 2 LAN을 통해서 보수 조작 단말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1 중계 서버에 관한 제 1 중계 서버 ID와 적어도 1개의 오퍼레이터 ID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제 1 중계 서버 ID와 상기 오퍼레이터 ID를 관련시킨 접속 잡의 등록을 접수하여 기억할 수 있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는 상기 보수 조작 단말로부터 오퍼레이터 ID를 접수해서 관리 중계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제 2 중계 서버로부터 오퍼레이터 ID를 접수해서 인증하고,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접속 잡 중 상기 오퍼레이터 ID를 포함하는 접속 잡을 선택하고, 선택한 접속 잡을 상기 제 2 중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잡을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잡을 상기 보수 조작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는 상기 보수 조작 단말에 의해 지정된 접속 잡의 실행을 상기 관리 중계 서버에 요구하고,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제 2 중계 서버로부터의 접속 잡 실행의 요구에 대하여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제 2 중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수신하고, 가능의 경우에 상기 접속 잡에 포함되는 제 1 중계 서버 ID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중계 서버와 제 1 중계 서버의 사이에 루팅 세션을 확립하고, 상기 보수 조작 단말을 상기 루팅 세션을 통해서 상기 보수 대상 시스템에 접속하며,
    상기 관리 중계 서버는 상기 제 2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잡 실행의 가능 여부의 조회를 수신하여 상기 조회에 대하여 접속 잡 실행 허가를 통지하면, 실행 중인 것을 상기 접속 잡에 등록하고,
    상기 제 2 중계 서버가 상기 제 1 중계 서버에 접속 성공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제 2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접속 잡을 갱신하고, 상기 접속 잡에 포함되는 다른 오퍼레이터이며 어느 하나의 제 2 중계 서버를 통해서 로그인 중인 오퍼레이터에게 상기 접속 잡이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통신 시스템.
KR1020137022574A 2011-02-18 2012-01-05 중계 통신 시스템 KR101534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4019A JP5760493B2 (ja) 2011-02-18 2011-02-18 中継通信システム
JPJP-P-2011-034019 2011-02-18
PCT/JP2012/050054 WO2012111355A1 (ja) 2011-02-18 2012-01-05 中継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938A KR20130116938A (ko) 2013-10-24
KR101534174B1 true KR101534174B1 (ko) 2015-07-06

Family

ID=4667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574A KR101534174B1 (ko) 2011-02-18 2012-01-05 중계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7012B2 (ko)
JP (1) JP5760493B2 (ko)
KR (1) KR101534174B1 (ko)
CN (1) CN103370926B (ko)
TW (1) TWI551085B (ko)
WO (1) WO2012111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068A1 (ja) * 2015-06-26 2016-12-2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
JP6537019B2 (ja) * 2015-10-15 2019-07-03 村田機械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6743383B2 (ja) * 2015-12-18 2020-08-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819130B2 (ja) * 2016-08-18 2021-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センタシステム、コンタクトセンタ制御方法、コンタクトセンタ管理装置、コンタクトセンタ管理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センタ管理プログラム
KR102282699B1 (ko) * 2020-12-24 2021-07-28 쿠팡 주식회사 분산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055A (ja) * 1995-12-18 1997-06-24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
JP2002247036A (ja) * 2001-02-21 2002-08-30 Nec Corp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並びに同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KR20090072968A (ko) * 2007-12-28 2009-07-02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중계 서버 및 중계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689B2 (ja) * 1995-05-19 2002-03-04 富士通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0059465A (ja) * 1998-08-07 2000-02-25 Hitachi Ltd 障害監視管理方式
US7376728B1 (en) * 2000-07-25 2008-05-20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llecting information, diagnosing and servicing a remote system
US7003798B2 (en) * 2000-10-20 2006-02-21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operating device from remote location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system
US20020131405A1 (en) * 2001-02-14 2002-09-19 Ching-Fang Lin Java based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and system thereof
JP2003223521A (ja) 2002-01-29 2003-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管理方法
US7191186B1 (en) * 2002-11-27 2007-03-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orting and exporting hierarchically structured data
US7266774B2 (en) * 2003-01-23 2007-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lementing a second computer system as an interface for first computer system
US9811603B2 (en) * 2003-09-03 2017-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ort and administration model for offline browsing
DE602006015246D1 (de) * 2005-03-21 2010-08-19 Broadcom Corp Aufwärtskanal-bonding mittels bestehenden Abbildungsmitteln in einem Kabelkommunikationssystem
US8010647B2 (en) * 2006-12-11 2011-08-30 Murata Machinery, Ltd. Relay server and relay communication system arranged to share resources between networks
CN101277215B (zh) * 2007-03-28 2011-06-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通过端口代理中继实现远程设备监控管理的系统和方法
JP4889688B2 (ja) 2008-06-24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458610B2 (ja) 2009-03-13 2014-04-02 村田機械株式会社 中継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055A (ja) * 1995-12-18 1997-06-24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
JP2002247036A (ja) * 2001-02-21 2002-08-30 Nec Corp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並びに同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KR20090072968A (ko) * 2007-12-28 2009-07-02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중계 서버 및 중계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938A (ko) 2013-10-24
JP2012175306A (ja) 2012-09-10
JP5760493B2 (ja) 2015-08-12
CN103370926A (zh) 2013-10-23
WO2012111355A1 (ja) 2012-08-23
US9357012B2 (en) 2016-05-31
TWI551085B (zh) 2016-09-21
CN103370926B (zh) 2016-01-20
US20140052827A1 (en) 2014-02-20
TW201238292A (en) 201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891B2 (en) Remote firmware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371057B1 (ko) 중계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관리 장치
KR101534174B1 (ko) 중계 통신 시스템
US7206088B2 (en) Relay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facsimile system
JP2011055452A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WO2014091576A1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52312B2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5272968B2 (ja) 中継通信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管理装置
JP6537019B2 (ja) 中継装置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WO2012144135A1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6051512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センター装置
WO2022157912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管理方法
JP5713236B2 (ja) 管理機能付き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5633748B2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5633749B2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2012231265A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6537018B2 (ja) 中継装置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5272967B2 (ja) 中継通信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管理装置
JP5045723B2 (ja) アクセス管理用中継装置およ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2023066682A (ja) ビル設備管理装置の設定システム、及び、設定方法
JP2012221051A (ja) 中継サーバ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JP2021158466A (ja) 中継装置、中継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0153998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障害原因切り分けシステム、切り分け方法および切り分け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