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60B1 -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60B1
KR101534060B1 KR1020090004259A KR20090004259A KR101534060B1 KR 101534060 B1 KR101534060 B1 KR 101534060B1 KR 1020090004259 A KR1020090004259 A KR 1020090004259A KR 20090004259 A KR20090004259 A KR 20090004259A KR 101534060 B1 KR101534060 B1 KR 10153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amper
piston member
damper assemb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884A (ko
Inventor
조형민
문대연
최삼현
정일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60B1/ko
Priority to EP09252920A priority patent/EP2208454B1/en
Priority to ES09252920T priority patent/ES2391699T3/es
Priority to RU2010101335/12A priority patent/RU2010101335A/ru
Publication of KR2010008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집진실에 부압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이 개시된다. 댐퍼 조립체는,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싱; 케이싱과 결합되고,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댐퍼 몸체; 댐퍼 몸체 내부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댐퍼 몸체 내부의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제2위치 쪽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 피스톤 부재를 제1위치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피스톤 부재가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피스톤 부재는 제1위치에 있을 때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를 차단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기, 댐퍼, 모터, 보호, 먼지비움, 스위치

Description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Damper assembly,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otor-protection and dust dumping period-ala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장치에 먼지나 오물(이하 '먼지'라함)이 가득찬 경우와 같이 집진실 내의 부압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를 이용하여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피 청소면에 있는 먼지를 빨아들여 피 청소면을 청소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통상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주머니, 또는 사이클론, 먼지통, 및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는 집진장치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집진장치의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먼지통/필터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저하되어 집진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먼지통에 먼지가 가득 차 있거나 필터가 먼지에 의해 막힐 경우, 흡입모터는 과부하를 받게 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집진장치 내의 부압이 이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먼지비움시기를 표시한 먼지표시통이 부압에 의해 이동하도록 집진장치 근처에 설치된 먼지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먼지표시통은 통상 탄성스프링에 의해, 부압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 지지된다.
하지만, 이러한 먼지표시장치는 먼지표시통이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야하므로, 먼지표시창 등을 필요로 하는 등 설치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공기를 집진장치 내부로 유입시키는 댐핑기능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먼지통에 채워진 먼지를 비우거나 필터에 쌓인 먼지를 청소하기 전까지는 흡입모터가 계속 과부하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장치에 먼지가 가득찬 경우와 같이 집진실 내의 부압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댐퍼 조립체는,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싱; 케이싱과 결합되고,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댐퍼 몸체; 댐퍼 몸체 내부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댐퍼 몸체 내부의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제2위치 쪽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 피스톤 부재를 제1위치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피스톤 부재가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피스톤 부재는 제1위치에 있을 때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를 차단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피스톤 부재는 공기흡입구를 밀폐함과 함께 댐퍼 몸체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동 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댐퍼 몸체와 피스톤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피스톤 부재와 댐퍼 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피스톤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가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 스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는 댐퍼 몸체와 피스톤 부재 사이에서 제1탄성부재 내측에 배치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댐퍼 조립체는, 제2탄성부재에 지지되고 누름 스위치를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P1),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P2) 및 누름 스위치를 작동하는 가압력(P3)은 P1 > P2> P3의 관 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재는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는 누름부재와 피스톤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누름 스위치는 댐퍼 몸체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탄성부재는 댐퍼 몸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누름 스위치는 누름부재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감지센서는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사이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자성체, 및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기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는 피스톤 부재에 설치되고, 자기근접센서는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집진장치가 설치된 집진실; 흡입모터가 설치된 모터실; 집진실에 설치되고, 집진실 내에 부압이 증가할 때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위에서 설명한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조립체의 신호에 따라 외부에 먼지비움시기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알림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및/또는 문자, 빛,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은, 집진실의 부압이 증가되는 단계; 댐퍼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집진실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댐퍼 조립체를 통해 집진실로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 피스톤 부재가 감지센서를 작동시 키는 단계; 및 감지센서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외부에 먼지비움시기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탄성부재가 누름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및 누름부재가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피스톤 부재가 댐퍼 조립체의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사이드 누름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댐퍼 조립체의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자기근접센서가 피스톤 부재에 설치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은 집진실에 부압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알림부에 전기적으로 전달하여 소리로 경보하거나, 문자, 빛,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종래의 먼지표시장치와 같이, 먼지표시통을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하기 위해 먼지표시창 설치하여 설치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공기를 집진장치 내부로 유입시키는 댐핑기능을 구비하므로,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먼지통에 채워진 먼지를 바로 비우거나 필터에 쌓인 먼지를 바로 청소하지 않더라도 흡입모터가 과부하를 받아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50)가 적용되는 진공청소기(1)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는 흡입노즐(10)과 청소기 본체(20)를 포함한다.
흡입노즐(10)은 흡입호스(도시하지 않음), 연장관(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흡입공기유로(12)를 통해 청소기 본체(20)와 연결된다.
청소기 본체(20)는 내부에 집진실(22)과 모터실(27)이 설치된다. 집진실(22)에는 흡입노즐(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집진장치(25)가 장착된다. 집진장치(25)는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주머니, 또는 사이클론, 먼지통, 및 필터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실(27)에는 흡입노즐(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28)가 장착된다. 모터실(27)은 배출공기유로(29)를 통해 집진실(22)에 연결된다.
배출공기유로(29)에 연결된 집진실(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조립체(50)가 배치된다. 댐퍼 조립체(50)는 집진장치(25)의 먼지주머니, 또는 사이클론, 먼지 통, 및 필터에 먼지가 가득차서 먼지비움시기가 된 경우와 같이 흡입모터(28)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22)에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22)의 압력을 대기압 수준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흡입모터(28)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제거함과 동시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위한 것으로, 청소기 본체(20)의 외측에 일부가 노출되게 집진실(22)에 설치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조립체(50)는 청소기 본체(20)의 프레임(21)에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고정되는 케이싱(52)을 구비한다. 케이싱(52)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형성된다. 케이싱(52)은 상부 중앙에 집진실(22)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집진실(22)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흡입구(54)가 형성된다. 케이싱(52)의 내측 상부에는 후술하는 댐퍼 몸체(56)의 원형 고정돌기(57)가 고정되는 원형 고정홈(58)이 형성된다.
댐퍼 몸체(56)는 집진실(22) 내부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싱(52)과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체를 형성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형성된다. 댐퍼 몸체(56)는 상부가 케이싱(52) 내부에 삽입되도록 케이싱(5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댐퍼 몸체(56)의 상단 외측 가장자리에는 케이싱(52)의 원형 고정홈(58)에 고정되는 원형 고정돌기(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댐퍼 몸체(56)의 바닥에는 후술하는 피스톤 부재(60)의 가이드 돌기(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댐퍼 몸체(56)의 바닥에는 공기흡입구(54)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집진실(22) 내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66)가 형성된다. 공 기배출구(66)는 복수 개의 작은 홀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부재(60)는 댐퍼 몸체(56)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피스톤 부재(60)는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피스톤 부재(6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탄성부재(68)의 제1탄성부재(70)에 의해 케이싱(52)의 공기흡입구(54)와 맞물려 공기흡입구(54)를 밀폐하는 제1위치, 즉, 밀폐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 피스톤 부재(60)는 댐퍼 몸체(56)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동 갭(76)을 형성하도록 댐퍼 몸체(5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모터(28)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22) 내의 부압은 댐퍼 몸체(56)의 공기배출구(56)와 공기유동 갭(76)을 통해 피스톤 부재(60)에 전달된다. 그 결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60)는 부압에 의해 제1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탄성부재(70)를 가압하면서 공기흡입구(54)와 공기배출구(66) 사이를 차단하는 밀폐위치(도 2a 참조)에서 공기흡입구(54)와 공기배출구(66)를 연통시키는 제2위치, 즉, 후술하는 감지센서(80)가 작동되는 센서작동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공기흡입구(54), 공기유동 갭(76) 및 공기배출구(66)를 통해 집진실(22) 내부로 유입된다. 외부공기가 집진실(22)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집진실(22)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 수준으로 증가하고, 그에 따라 흡입모터(28)에 발생하는 과부하는 제거되고, 유입된 외부공기는 흡입모터(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피스톤 부재(60)의 내부 중앙에는 댐퍼 몸체(56)의 가이드 홈부(64)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돌기(62)가 가이드 홈부(64)의 상단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6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68)의 제2탄성부재(72)가 설치되는 스프링 안착홈(78)이 형성된다.
탄성부재(68)는 제1탄성부재(70)와 제2탄성부재(72)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70)는 댐퍼 몸체(56)의 가이드 홈부(64)와 피스톤 부재(60)의 가이드 돌기(62) 외측에서 댐퍼 몸체(56)의 바닥과 피스톤 부재(60) 사이에 설치되고, 피스톤 부재(60)를 밀폐위치(도 2a 참조)에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1탄성부재(70)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증가할 때 피스톤 부재(60)가 센서작동위치(도 2b 참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탄성부재(70)의 탄성력(P1)은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압보다 작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72)는 가이드 돌기(62)의 스프링 안착홈(78)에 설치된다. 제2탄성부재(72)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72)의 탄성력(P2)은 피스톤 부재(6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탄성부재(70)의 탄성력(P1) 보다 작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72) 아래에는 감지센서(80)를 가압하여 작동하는 누름부재(74)가 설치된다. 누름부재(74)는 상부에 스프링 안착부를 구비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72)와 누름부재(74)는 피스톤 부재(60)가 집진실(22) 내의 부압 에 의해 감지센서(80)가 작동되는 센서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피스톤 부재(60)의 상면과 공기흡입구(54) 사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함과 함께 감지센서(80)를 작동하기 위한 설계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피스톤 부재(60)와 감지센서(80) 사이에 제2탄성부재(72)와 누름부재(74)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피스톤 부재(60)가 센서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감지센서(80)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피스톤 부재(60)의 가이드 돌기(62)가 직접 감지센서(80)를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62)가 감지센서(80)와 너무 근접하게 형성되면, 피스톤 부재(6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돌기(62)가 감지센서(80)를 작동시킬 때 피스톤 부재(60)의 상면과 공기흡입구(54)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되지 않는다. 반면, 가이드 돌기(62)가 감지센서(80)에서 너무 떨어져 형성되면, 피스톤 부재(6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돌기(62)가 감지센서(80)를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부재(60)와 감지센서(80) 사이에 제2탄성부재(72)와 누름부재(74)를 설치하면, 피스톤 부재(60)의 상면과 공기흡입구(54) 사이의 이격거리와 누름부재(74)의 센서작동위치는 제2탄성부재(73) 및/또는 누름부재(74)의 길이와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80)는 피스톤 부재(60)가 센서작동위치(도 2b 참조)로 이동할 때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피스톤 부재(60)가 집진실(22)의 부압에 의해 센서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누름부재(74)에 의해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작동한다. 이를 위해, 감지센서(80)는 누름부재(74) 아래에서 댐퍼 몸 체(54)의 바닥에 설치된다. 감지센서(80)는 일정한 가압력(P3)으로 가압될 때 작동하는 누름 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80)가 제2탄성부재(72)에 의해 지지된 누름부재(74)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지센서(80)를 작동하는 가압력(P3)은 제2탄성부재(72)의 탄성력(P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력(P3)과 제1탄성부재(70)의 탄성력(P1)의 합은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증가할 때 피스톤 부재(60)가 센서작동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압보다 작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감지센서(80)가 누름부재(74)에 의해 작동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먼지비움시기가 되었음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청소기 본체(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알림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먼지비움시기를 소리로 경보하거나 문자, 빛, 영상 등으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알림부(4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2), 및/또는 문자, 빛,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4)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20)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50)를 구비한 진공청소기(1)는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증가할 때 집진실(22)에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집진실(22)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이를 알림부(40)에 전기적으로 전달하여 소리로 경보하거나, 문자, 빛,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종래의 먼지표시장치와 같이, 먼지표시통을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하기 위해 먼지표시창 설치하여 설치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공기를 집진장치 내부로 유입시키는 댐핑기능을 구비하므로,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먼지통에 채워진 먼지를 바로 비우거나 필터에 쌓인 먼지를 바로 청소하지 않더라도 흡입모터(28)가 과부하를 받아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댐퍼 조립체(50)는 누름부재(74)가 봉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 50")에서와 같이, 누름부재(74', 7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 제2탄성부재(72')는 상부는 피스톤 부재(60')의 스프링 지지부(63)에 지지되고, 하부는 누름부재(74')와 결합 연결되어 있다. 감지센서(80)는 누름 스위치로서, 댐퍼 몸체(56)의 바닥에 설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 제2탄성부재(72")는 댐퍼 몸체(56)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에 누름부재(74")를 고정하고 있다. 감지센서(80)는 누름 스위치로서, 누름부재(74")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댐퍼 조립체(50)는 제2탄성부재(72)와 누름부재(7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 및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들면, 도 5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와 같이, 탄성부 재(68')는 단일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감지센서(80')는, 댐퍼 몸체(56)의 내벽에 설치되고 피스톤 부재(60")에 의해 작동되는 사이드 누름 스위치(8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와 같이, 탄성부재(68')는 단일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감지센서(80")는 원형 자석바와 같은 자성체(82), 및 자성체(82)를 감지하는 자기근접센서(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82)는 피스톤 부재(60"')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기근접센서(84)는 댐퍼 몸체(56)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50, 50', 50", 50"', 50"")를 구비한 진공청소기(1)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 시기 알림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청소기(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흡입모터(28)가 동작하면, 피 청소면의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노즐(10) 및 공기흡입유로(12)를 통해 집진실(22)의 집진장치(25)로 유입된다. 집진장치(25)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장치(25)에 의해 오물이 분리되고, 분리된 오물은 공기배출유로(29)을 통해 흡입모터(28)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1)가 동작함에 따라, 집진장치(25)의 먼지 주머니, 또는 사이클론, 먼지통, 및 필터에는 먼지가 축적되고, 집진장치(25) 내에 먼지가 가득차게 되면, 집진장치(25)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이 집진장치(25) 내에 축적된 먼지에 의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집진실(22) 내의 부압이 증가된다(S1).
집진실(22)의 부압이 먼지비움시기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 면, 피스톤 부재(60)는 부압에 의해 제1 및 제2탄성부재(70, 7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탄성부재(70, 72)를 가압하면서 집진실(22) 방향으로 이동된다(S2).
그 결과, 피스톤 부재(60)는 공기흡입구(54)와 공기배출구(66) 사이를 차단하는 밀폐위치(도 2a 참조)에서 공기흡입구(54)와 공기배출구(66)를 연통시키는 센서작동위치(도 2b)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공기흡입구(54), 공기유동 갭(76) 및 공기배출구(66)를 통해 집진실(22) 내부로 유입된 후 흡입모터(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3).
피스톤 부재(60)가 센서작동위치로 이동되면, 감지센서(80)는 피스톤 부재(60)에 의해 작동되고, 전기적 감지신호를 발생한다(S4).
즉, 피스톤 부재(60)의 이동에 따라, 도 2b(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74, 74')는 피스톤 부재(60, 60')에 의해 압축되는 제2탄성부재(72. 72')에 의해 가압되어 감지센서(80)를 작동시킨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는 피스톤 부재(60")가 제2탄성부재(72")에 탄성지지된 누름부재(74")의 상면에 설치된 감지센서(80)를 작동시킨다.
또, 도 5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는 피스톤 부재(60")가 댐퍼 몸체(56)의 내벽에 설치된 사이드 감지센서(80')를 작동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댐퍼 조립체(50"")에서는 피스톤 부재(60"')에 설치된 자성체(82)가 댐퍼 몸체(52)의 내벽에 설치된 감지센서(80")의 자기근접센서(84)에 의해 감지되고, 이에 따라, 자기근접센서(84)는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감지센서(80, 80', 80")로부터 발생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30)는 알림부(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먼지비움 시기를 알린다(S5). 사용자는 알림부(40)에서 발생하는 소리, 또는 문자, 빛, 영상 등에 따라 먼지비움 시기가 되었음을 감지하고, 집진장치(25)에 축적된 먼지를 비우거나 청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댐퍼 조립체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댐퍼 조립체의 변형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2a 에 도시된 댐퍼 조립체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댐퍼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댐퍼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동자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청소기 22: 집진실
25: 집진장치 30: 제어부
40: 알림부 50, 50', 50", 50"', 50"": 댐퍼 조립체
52: 케이싱 54: 공기흡입구
56: 댐퍼 몸체 60, 60', 60", 60"': 피스톤 부재
66: 공기배출구 68, 68': 탄성부재
70: 제1탄성부재 72, 72', 72": 제2탄성부재
74, 74'. 74": 누름부재 76: 공기유동 갭
80, 80',80": 감지센서

Claims (19)

  1.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댐퍼 몸체;
    상기 댐퍼 몸체 내부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댐퍼 몸체 내부의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제2위치 쪽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
    상기 피스톤 부재를 상기 제1위치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를 연통시키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피스톤 부재와 상기 댐퍼 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밀폐함과 함께 상기 댐퍼 몸체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동 갭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댐퍼 몸체와 상기 피스톤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가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댐퍼 몸체와 상기 피스톤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 내측에 배치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제2탄성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누름 스위치를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P1),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P2) 및 상기 누름 스위치를 작동하는 가압력(P3)은 P1 > P2> P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봉 형상과 판 형상 중에서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피스톤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스위치는 상기 댐퍼 몸체의 바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댐퍼 몸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스위치는 상기 누름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사이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기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피스톤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근접센서는 상기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댐퍼 조립체.
  14. 집진장치가 설치된 집진실;
    흡입모터가 설치된 모터실;
    상기 집진실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실 내에 부압이 증가할 때 상기 집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집진실의 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댐퍼 조립체; 및
    상기 댐퍼 조립체의 신호에 따라 외부에 먼지비움시기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문자, 빛,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집진실의 부압이 증가되는 단계;
    댐퍼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집진실방향으로 이동되며 댐퍼 조립체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단계;
    상기 댐퍼 조립체의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통해 집진실로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피스톤 부재가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지센서가 발생시키는 신호에 따라 외부에 먼지비움시기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성부재가 누름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댐퍼 조립체의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사이드 누름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댐퍼 조립체의 댐퍼 몸체의 내벽에 설치된 자기근접센서가 상기 피스톤 부재에 설치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KR1020090004259A 2009-01-19 2009-01-19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KR10153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59A KR101534060B1 (ko) 2009-01-19 2009-01-19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EP09252920A EP2208454B1 (en) 2009-01-19 2009-12-29 A damp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ES09252920T ES2391699T3 (es) 2009-01-19 2009-12-29 Conjunto de amortiguador para un aspirador
RU2010101335/12A RU2010101335A (ru) 2009-01-19 2010-01-18 Узел воздушного клапан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59A KR101534060B1 (ko) 2009-01-19 2009-01-19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884A KR20100084884A (ko) 2010-07-28
KR101534060B1 true KR101534060B1 (ko) 2015-07-16

Family

ID=4204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59A KR101534060B1 (ko) 2009-01-19 2009-01-19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208454B1 (ko)
KR (1) KR101534060B1 (ko)
ES (1) ES2391699T3 (ko)
RU (1) RU20101013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16B1 (ko) 2014-10-14 202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센서용 압력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874A (ja) * 1991-10-08 1993-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目詰り検知装置
KR20060123903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30B1 (ko) * 2001-10-15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 보호장치
KR100565492B1 (ko) * 2003-08-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874A (ja) * 1991-10-08 1993-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目詰り検知装置
KR20060123903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8454A2 (en) 2010-07-21
EP2208454B1 (en) 2012-07-18
ES2391699T3 (es) 2012-11-29
RU2010101335A (ru) 2011-07-27
EP2208454A3 (en) 2010-12-01
KR20100084884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618B2 (ja)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KR101411711B1 (ko) 로봇 청소기
KR100645375B1 (ko) 오물역류 방지부재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836941A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1029288A (ja) 電気掃除機
US6651294B2 (en) Device for protecting motor in vacuum cleaner
KR101534060B1 (ko) 댐퍼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모터보호 및 먼지비움시기 알림방법
US20070012001A1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CN212307729U (zh) 一种垃圾回收基站和清洁系统
EP1741376B1 (en) Vacuum cleaner providing filter-absence detection
KR200459414Y1 (ko) 전기청소기용 바닥감지장치
CN214712344U (zh) 垃圾回收基站和清洁系统
JP2002078652A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20076950A (ko) 진공 청소기
RU25637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стельных принадлежностей
JPS6028377Y2 (ja) 電気掃除機の集塵量検出装置
CN219699805U (zh) 垃圾回收装置、垃圾回收组件、基站、清洁机器人及系统
CN111498338A (zh) 垃圾桶
EP1344481B1 (en) Machine for domestic and/or industrial cleaning
KR100613103B1 (ko) 진공 청소기의 모터 보호장치
EP4278938A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132111A (ja) 電気掃除機
KR890000986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
JPS645574Y2 (ko)
KR20230082593A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