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812B1 -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812B1
KR101533812B1 KR1020140118729A KR20140118729A KR101533812B1 KR 101533812 B1 KR101533812 B1 KR 101533812B1 KR 1020140118729 A KR1020140118729 A KR 1020140118729A KR 20140118729 A KR20140118729 A KR 20140118729A KR 101533812 B1 KR101533812 B1 KR 10153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path
switching member
support portion
pat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1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부와, 일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에 대해 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FFC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경로전환부재와,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이전 경로 상의 상기 FFC의 일 면을 지지하되 이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및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의해 경로가 전환된 상기 FFC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FFC는 상기 경로전환부재를 감싸며 경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정클립{Fixing Clip}
본 발명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다 자세하게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며, FFC의 설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차량 내의 전장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고정부재를 차량에 설치하여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하네스의 두께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원형의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 얇은 판 형태의 FFC(Flexible Flat Cable_연성 평면 케이블)를 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FFC를 설치하는 설치 위치에 따라 FFC의 경로를 전환해야 하는데 판형으로 형성된 FFC의 특성상 FFC를 접어 경로를 전환해야 한다. 따라서, 접힘에 따른 FFC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FFC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FC의 설치 경로 변경이 용이한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차체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부와, 일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에 대해 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FFC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경로전환부재와,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이전 경로 상의 상기 FFC의 일 면을 지지하되 이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및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의해 경로가 전환된 상기 FFC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FFC는 상기 경로전환부재를 감싸며 경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이 개시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FFC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하여 FFC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은 경로전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FFC는 경로전환부재의 곡면부를 따라 비틀리게 되감겨 FFC가 꺾이지 않고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FFC가 꺾이지 않고 경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FFC의 파손 없이 경로가 전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로전환부재의 곡면부를 따라 비틀리게 되감겨 경로가 변경된 FFC와 이전 경로의 FFC가 교차하는 교차위치에 제1 밴딩부와 제2 밴딩부가 교차하며 체결됨으로써, 이전 경로의 FFC 또는 경로가 전환된 FFC의 이동을 방지하고, 경로가 전환된 FFC와 이전 경로의 FFC가 합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로전환부재에 경로가 전환된 FFC가 경로전환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로전환부재의 일 단은 차체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에 고정하여 경로전환부재와 제1 및 제2 지지부의 일 단 사이는 폐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FFC가 경로전환부재와 제1 및 제2 지지부의 일 단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경로전환부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되는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경로전환부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되는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상 차체고정부(120)를 중심으로 방향을 도시하지만, 도시된 방향은 임의의 방향이기 때문에 도시된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클립(100)은 차체(미 도시)에 FFC(FLEXIBLE FLAT CABLE)(5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부(120)와, 일 단은 차체고정부(120)의 상단(122)에 고정되고, 타 단은 차체고정부(120)에 대해 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FFC(50)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경로전환부재(140)와,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에 고정되고, 타 단은 설정된 경로 상의 FFC(50)의 일 면을 지지하되 설정된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160) 및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에 고정되고, 타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에 의해 경로가 전환된 FFC(50b)의 타 면을 지지하되 전환된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180)를 포함하며, FFC(50)는 경로전환부재(140)를 감싸며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60)는 FFC(50)의 단변(S) 방향으로 형성되고, 판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지지부(160)는 이전 경로의 FFC(50a)를 지지한다. 이때, 제1 지지부(160)가 FFC(50)의 장변(L) 방향으로 형성되면 고정클립(100)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1 지지부(160)를 FFC(50)의 단변(S) 방향으로 형성하여 고정클립(10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60)를 판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판형의 FFC(5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 지지부(160)는 이전 경로의 FFC(50a)의 하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지지부(160)는 FFC(50)가 경로가 변경되기 전까지 이전 경로의 FFC(50a)를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전 경로의 FFC(50a)의 일 면인 하면에 위치하여 경로가 전환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이전 경로의 FFC(50a)가 상, 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80)는 경로전환부재(140)에 의해 경로가 전환된 FFC(50b)를 지지하며, 이를 위하여 경로가 전환된 FFC(50b)의 단변(S) 방향으로 형성되고,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FFC(50)는 경로전환부재(140)를 감싸며 경로가 전환되면서 이전 경로의 FFC(50a)의 하면이 뒤집어져 상면으로 노출된다. 이때, 제2 지지부(180)는 뒤집어져 노출된 이전 경로의 FFC(50a)의 하면을 가압하여 경로가 전환된 FFC(50b)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경로전환부재(140)는 FFC(5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경로전환부재(14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FFC(50)가 되감기며 경로가 전환되도록 FFC(50)와 접하는 곡면부(142)와, 곡면부(142)와 마주하며 제1 지지부(160)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 사이를 이격시키는 가이드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142)는 FFC(50)가 경로전환부재(140)를 되감을 때 FFC(50)가 꺾이며 되감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하여 FFC(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4)는 FFC(50)가 경로전환부재(140)에 경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일부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FFC(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60, 180)와 경로전환부재(140)는 삼각구도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FFC(50)는 경로전환부재(140)를 되감으며 설치 방향이 바뀌어 FFC(50)의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즉, FFC(50)는 경로전환부재(140)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되감기며 경로가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FFC(50)의 경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되감겨 중첩되는 FFC(50c_도 1 참고)가 형성되고, 판형의 FFC(50)의 특성상 접이 되는 형상이 삼각 형상이다. 이로 인하여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지지부(160)의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 하면에 고정되고, 제2 지지부(180)의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의 타 단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 지지부(16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상기 갭(G)은 FFC(50)가 제1 지지부(160) 상에 거치될 때, FFC(5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지지부(16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160)에 거치되는 FFC(50)가 제1 지지부(16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제2 지지부(18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타 단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어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용이하게 경로전환부재(140)의 상면과 제2 지지부(1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지지부(18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타 단은 폐쇄되어 제2 지지부(180)에 고정되는 FFC(50)가 제2 지지부(18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타 단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16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 사이의 갭(G)과 제2 지지부(180)의 일 단과 경로전환부재(140)의 타 단 사이에는 갭(G)은 동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FFC(5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FFC(50)가 상기 갭(G)에 억지 끼움 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지지부(160)는, 제1 지지부(160)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할수록 차체고정부(12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며, 제2 지지부(180)는 제2 지지부(180)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할수록 차체고정부(12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지지부(160)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향할수록 하방(下方) 경사지며, 제2 지지부(180)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향할수록 상방(上方)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까닭은 FFC(50)의 경로가 전환되면 제1 지지부(160)의 타 단과 제2 지지부(180)의 타 단이 교차하며 체결되어 FFC(50)의 상태를 고정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60)가 경로전환부재(140)의 하면에 고정되고, 제2 지지부(180)가 경로전환부재(14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FFC(50)가 경로전환부재(14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 제1 지지부(160)의 타 단이 제2 지지부(180)의 타 단 상에 걸치면서 제1 및 제2 지지부(160, 180)의 타 단이 꼬인 상태가 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60)와 제2 지지부(18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60)는, 제1 지지부(160)의 타 단에 형성되며 차체고정부(120)의 하부를 향해 밴딩(bending)된 제1 밴딩부(170)를 포함하고, 제2 지지부(180)는 제2 지지부(180)의 타 단에 형성되며, 차체고정부(120)의 상부를 향해 밴딩된 제2 밴딩부(190)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는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교차되는 교차위치(도 5 참고)에서 체결될 수 있다.
즉, FFC(50)의 경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첩되는 FFC(50c)가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교차위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차위치에서 제1 밴딩부(170)가 제2 밴딩부(190) 상측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면서 중첩되는 FFC(50c)는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로가 전환된 FFC(50b)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FFC(50)는 이전 경로의 FFC(50a)가 경로전환부재(140)의 상부를 감싸되 이전 경로의 FFC(50a)를 소정각도(도 3의 θ참고) 비틀리게 되감아 FFC(50)의 경로가 전환된다. 이와 같이 이전 경로의 FFC(50a)와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비틀려 접하지 않은 영역인 교차위치에서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를 체결하여 이전 경로의 FFC(50a) 또는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움직여도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가 이전 경로의 FFC(50a) 또는 경로가 전환된 FFC(50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전 경로의 FFC(50a) 또는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는 탄성적으로 체결되어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를 체결할 때, 적은 힘으로도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를 체결할 수 있으며, 고정클립(100)에서 FFC(50)를 분리하고자 할 때도 보다 쉽게 제1 및 제2 밴딩부(170, 190)의 체결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을 다시 참고하면, 상기 차체고정부(160)는 제1 및 제2 지지부(160, 180)와 경로전환부재(14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차체고정부(160)는 차체에 고정되어 차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체고정부(160)의 형상 및 구조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고정부(160)은, 란스구조, 트리구조 및 방수부재가 설치된 란스 구조 등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는 FFC(50)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하여 FFC(50)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00)은 경로전환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FFC(50)는 경로전환부재(140)의 곡면부(142)를 따라 비틀리게 되감겨 FFC(50)가 꺾이지 않고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FFC(50)가 꺾이지 않고 경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FFC(50)가 파손 없이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경로전환부재(140)의 곡면부(142)를 따라 비틀리게 되감겨 경로가 변경된 FFC(50)와 이전 경로의 FFC(50a)가 교차하는 교차위치에 제1 밴딩부(170)와 제2 밴딩부(190)가 교차하며 체결됨으로써, 이전 경로의 FFC(50a) 또는 경로가 전환된 FFC(50b)의 이동을 방지하고, 경로가 전환된 FFC(50b)와 이전 경로의 FFC(50a)가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로전환부재(140)에 경로가 전환된 FFC(50b)가 경로전환부재(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로전환부재(140)의 일 단은 차체고정부(120)의 상단(122)에 고정되고, 제1 지지부(160)와 제2 지지부(180)의 일 단은 경로전환부재(140)에 고정하여 경로전환부재(140)와 제1 및 제2 지지부(160, 180)의 일 단 사이는 폐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FFC(50)가 경로전환부재(140)와 제1 및 제2 지지부(160, 180)의 일 단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FFC 100: 고정클립
120: 차체 고정부 140: 경로전환부재
142: 곡면부 144: 가이드부
160: 제1 지지부 170: 제1 밴딩부
180: 제2 지지부 190: 제2 밴딩부

Claims (6)

  1. 차체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부;
    일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차체고정부에 대해 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FFC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경로전환부재;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이전 경로 상의 상기 FFC의 일 면을 지지하되 이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및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에 의해 경로가 전환된 상기 FFC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FFC는 상기 경로전환부재를 감싸며 경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FFC가 되감기며 경로가 전환되도록 상기 FFC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와 마주하며,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전 경로의 상기 FFC와 경로가 전환된 상기 FFC 사이를 이격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의 일 단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일 단은 상기 경로전환부재의 타 단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할수록 상기 차체고정부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할수록 상기 차체고정부의 상부를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타 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체고정부의 하부를 향해 밴딩(bending)된 제1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타 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체고정부의 상부를 향해 밴딩된 제2 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는 이전 경로의 상기 FFC와 경로가 전환된 상기 FFC가 교차되는 교차위치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교차위치에서 상기 제1 밴딩부는 상기 제2 밴딩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KR1020140118729A 2014-09-05 2014-09-05 고정클립 KR10153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29A KR101533812B1 (ko) 2014-09-05 2014-09-05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29A KR101533812B1 (ko) 2014-09-05 2014-09-05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812B1 true KR101533812B1 (ko) 2015-07-03

Family

ID=5378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729A KR101533812B1 (ko) 2014-09-05 2014-09-05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에프에프씨 전용 경로 고정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539A (ja) * 1994-02-18 1995-08-29 Yazaki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取付装置
JP2000276956A (ja) * 1999-03-24 2000-10-06 Yazaki Corp フラットハーネス保持具
JP2008199849A (ja) * 2007-02-15 2008-08-28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折り曲げ固定具及び固定方法
KR100972790B1 (ko) * 2009-10-09 2010-07-29 윤희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539A (ja) * 1994-02-18 1995-08-29 Yazaki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取付装置
JP2000276956A (ja) * 1999-03-24 2000-10-06 Yazaki Corp フラットハーネス保持具
JP2008199849A (ja) * 2007-02-15 2008-08-28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折り曲げ固定具及び固定方法
KR100972790B1 (ko) * 2009-10-09 2010-07-29 윤희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78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에프에프씨 전용 경로 고정클립
KR102029374B1 (ko) 2017-12-29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에프에프씨 전용 경로 고정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6856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公差吸収構造
KR101533812B1 (ko) 고정클립
JP2015035934A (ja) 電線の固定部品
US8013265B1 (en) Switch device
JP2018121451A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119650B1 (ko) 정션 블록
JP6226790B2 (ja) 布線治具
EP3851330A1 (en) Method of electric wire routing
JP2015020472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持構造
JP201512287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構造
JP5901583B2 (ja) エネルギー計測装置
JP5723623B2 (ja) ブラケット
KR101557284B1 (ko) 고정클립
KR20160070019A (ko) 접촉 장치
KR101754881B1 (ko) 고정클립
RU2011148029A (ru) Контактная колодка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модулей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KR101557285B1 (ko) 고정클립
JP2014230427A (ja) ボンダーの保持構造
JP2017108569A (ja) 配線部材および配線ユニット
KR20140004686U (ko) 케이블 고정장치
JP7022430B2 (ja) ヒューズホルダ
JP2020085182A (ja) 挿込み結合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4013580A (ja) ハーネス保持部材、保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17135796A (ja) ワイヤハーネス支持具取付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支持装置
JP2018061426A (ja) 線材保持構造、線材保持方法、走行車両及び筒状体支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