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596B1 -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 Google Patents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596B1
KR101533596B1 KR1020090051495A KR20090051495A KR101533596B1 KR 101533596 B1 KR101533596 B1 KR 101533596B1 KR 1020090051495 A KR1020090051495 A KR 1020090051495A KR 20090051495 A KR20090051495 A KR 20090051495A KR 101533596 B1 KR101533596 B1 KR 10153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pin
pair
connecting block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738A (ko
Inventor
조영일
이동은
백종섭
김수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슬롯 내에 설치된 터미널 핀;을 포함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터미널 핀 페어와 그에 이웃한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팅 블록, 터미널 핀, IDC, 슬롯, 외계누화

Description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CONNECTING BLOCK HAVING STRUCTURE FOR REDUCING CROSSTALK}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팅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 핀(Terminal Pin)의 배열 구조가 개선된 커넥팅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자함 내부에는 UTP 케이블과 같은 통신 케이블의 결선을 위해 다수의 도선 삽입용 슬롯(Slot)과 그에 대응하는 터미널 핀이 구비된 커넥팅 블록이 설치된다.
도 1은 '110 블록'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팅 블록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넥팅 블록은 절연체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터미널 핀(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통신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11)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된 블록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은 UTP 케이블에 구비된 4 페어(Pair)의 도선에 대응하도록 8개의 슬롯(11)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IDC 터미널 핀(20)은 통신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었을 때 도선피복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두 갈래로 분기된 블레이드(Blade) 구조를 구비한다. IDC 터미널 핀(20)은 하우징(10)에 형성된 모든 슬롯(11)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IDC 터미널 핀(20)은 두 갈래로 분기된 블레이드 구조의 홈이 하우징(10)의 슬롯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커넥팅 블록은 베이스 블록 위에 복수개의 하우징(10)이 연쇄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커넥팅 블록은 통신 케이블의 연결시 하우징 내의 IDC 터미널 핀 간에 누화(Crosstalk)가 발생하며, 서로 인접한 하우징(10)의 IDC 터미널 핀(20) 간에는 외계누화(Alien Crosstalk)가 발생하여 신호전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취약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DC 터미널 핀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크게 설계하거나 IDC 터미널을 쌍을 지어 크로스(Cross)시키는 방안들이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US 7,311,550호에는 외계누화 특성의 개선을 위해 커넥터를 지그재그로 배치한 잭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US 7,121,870호에는 연장 도체를 이용해 인접 IDC 간을 커플링(Coupling)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US 7,311,550호에 개시된 잭 어셈블리는 블록의 전체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툴(Tool)의 호환성이 좋지 않고, 결선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US 7,121,870호에 개시된 IDC 터미널 어셈블리는 커플링을 위 한 연장 도체가 IDC와 일체화되어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각 연장 도체에 의한 커플링이 일정하지 않으며 하우징 간의 외계누화는 저감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터미널 핀 간의 누화와 하우징 간의 외계누화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비주기적으로 터미널 핀이 배열된 구조를 가진 커넥팅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슬롯 내에 설치된 터미널 핀;을 포함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터미널 핀 페어와 그에 이웃한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슬롯 내에 설치된 터미널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한 쪽 가장자리와 그에 가까운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커넥팅 블록은,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에 속한 터미널 핀들 중 어느 한 쪽 페어의 터미널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른 쪽 페어의 터미널 핀과 대향하도록 연장된 커플링 도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들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핀은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팅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블록에는 상기 하우징을 정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오류결선방지 가이드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한 쪽 가장자리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오류결선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구비된 빈 슬롯에 의해 터미널 핀이 비주기적으로 배열되어 블록 크기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하우징 내의 누화는 물론, 인접한 하우징 간의 외계누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속통신용 cat.6 규격 뿐만 아니라 cat.6A 규격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DC 터미널 핀 간의 피치를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IDC 결선용 툴을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블록은 슬롯 어레이(Slot Array)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터미널 핀의 배열을 비주기화하기 위한 슬롯(110e,120e)을 제외한 슬롯(110a~110d,120a~120d)에 삽입된 IDC 터미널 핀(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 서브 하우징(110)과 제2 서브 하우징(120)이 조립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단일체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00)의 슬롯 어레이는 IDC 터미널 핀(130)의 페어(Pair)가 삽입되는 슬롯과, 페어 사이에서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롯 어레이를 이루는 모든 슬롯들은 IDC 터미널 핀(130)의 페어가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DC 터미널 핀(130)은 하우징(110)에 마련된 슬롯 어레이에 있어서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슬롯(110e,120e)을 제외한 나머지 슬롯(110a~110d,120a~120d)마다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 4 페어의 IDC 터미널 핀을 갖는 하우징(110)이 구비된 커넥팅 블록의 경우에는, IDC 터미널 핀(130)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하우징(100)에는 4개의 IDC 터미널 핀(130)과, 1개의 빈 슬롯(110e)과, 4개의 IDC 터미널 핀(130)과, 1개의 빈 슬롯(120e)이 차례대로 배열된 구조가 제공된다.
비록, 도 2에는 2 페어와 2 페어 사이에 빈 슬롯(110e)이 마련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어와 그에 이웃한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구비되어 페어 간의 누화를 저감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하나의 하우징(110) 내에 포함되는 빈 슬롯의 전체 개수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페어와 페어 사이에 구비되는 빈 슬롯은 단일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적어도 한 쪽 가장자리와 그에 가까운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마련된 슬롯(도 2의 120e 참조)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하우징(110)을 직렬 연결했을 때 서로 다른 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상태로 상호 인접하게 되는 IDC 터미널 핀의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형성되므로 하우징 간의 외계누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커넥팅 블록에는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에 속한 터미널 핀들 간에 커패시터(Capacitor) 구조를 제공하는 커플링 도체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커플링 도체부재는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에 속한 터미널 핀들 중 어느 한 쪽 페어의 터미널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 페어의 터미널 핀으로 연장되어 그 터미널 핀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향함으로써 실질적인 커패시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커플링 도체부재에 의하면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에 속한 터미널 핀 간을 커패시터 구조를 이용해 커플링함으로써 누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블록은 베이스 블록(200) 위에 복수개의 하우징이 연쇄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사용된다.
각각의 하우징(100)이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블록(200)에는 하우징(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의 오류결선방지 가이드턱(140)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오류결선방지 가이드턱(140)은 하우징(100)이 정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인접 영역에 걸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하우징(100)의 한 쪽 가장자리단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오류결선방지 돌기(150)가 형성된다. 오류결선방지 돌기(150)는 하우징(100)의 좌,우가 바뀐 상태로 베이스 블록(200)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팅 블록에 의하면, 동일 하우징(100)에 속한 IDC 터미널 핀(130)의 페어와 그에 인접한 페어 사이에 마련된 빈 슬롯(110e)에 의해 IDC 터미널 핀(130)의 배열이 비주기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100) 내의 누화 가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빈 슬롯(120e)에 의해 하우징(100) 간의 외계누화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팅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블록의 일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하우징 110a~110e,120a~120e: 슬롯
130: IDC 터미널 핀 140: 오류결선방지 가이드턱
150: 오류결선방지 돌기

Claims (8)

  1. 삭제
  2.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상기 슬롯 내에 설치된 터미널 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한 쪽 가장자리와 그에 가까운 터미널 핀 페어 사이에 빈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 중 어느 한 쪽 가장자리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우가 바뀐 상태로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류결선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터미널 핀 페어에 속한 터미널 핀들 중 어느 한 쪽 페어의 터미널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른 쪽 페어의 터미널 핀과 대향하도록 연장된 커플링 도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핀은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에는 상기 하우징을 정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오류결선방지 가이드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블록.
  8. 삭제
KR1020090051495A 2009-06-10 2009-06-10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KR10153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95A KR101533596B1 (ko) 2009-06-10 2009-06-10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95A KR101533596B1 (ko) 2009-06-10 2009-06-10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38A KR20100132738A (ko) 2010-12-20
KR101533596B1 true KR101533596B1 (ko) 2015-07-06

Family

ID=435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95A KR101533596B1 (ko) 2009-06-10 2009-06-10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5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2821A (en) * 1999-08-13 2000-1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guiding device
KR200209881Y1 (ko) * 2000-06-30 2001-01-15 대은전자주식회사 터미널 블록
US6336826B1 (en) * 1998-12-17 2002-01-0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with twisted wire pairs
KR100326803B1 (ko) * 1999-06-30 2002-03-04 이계철 터미널 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6826B1 (en) * 1998-12-17 2002-01-0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with twisted wire pairs
KR100326803B1 (ko) * 1999-06-30 2002-03-04 이계철 터미널 블럭
US6142821A (en) * 1999-08-13 2000-1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guiding device
KR200209881Y1 (ko) * 2000-06-30 2001-01-15 대은전자주식회사 터미널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38A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060B1 (ko) 커넥터 조립체
EP0971444B1 (en) Modular plug having a circuit board
US6951487B2 (en) Multiconductor connector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ired cables for high-speed transmission a signal
US6799989B2 (en)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U2007225240B8 (en) Receptacle with crosstalk optimizing contact array
US6767257B2 (en) Communication jack that withstands insertion of a communication plug that the jack is not specifically configured to mate with without being damage
EP1188204B1 (en) Modular electrical plug, plug-cable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load bar and terminal blade for same
TWI489707B (zh) 經構形以收納rj-45及rj-11型通訊插頭二者之rj-45型通訊插座
US6443776B2 (en) Plug connector part
KR100668189B1 (ko) 전기플러그-소켓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케이블
RU234545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еть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JP2007134350A (ja) 改良コネクター
CN110350334A (zh) 电互连系统
EP1775803A1 (en) Electric connector
US6332802B2 (en) Modular plug and harnessed plug
US20140273658A1 (en) Multi-Surface Contact Plu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JPH10233240A (ja) 自動的に千鳥配列状態に配置されたワイヤを備えたモジュラプラグコネクタ
RU2403660C2 (ru)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US633112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for high frequency signals
KR101533596B1 (ko)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CN110391563A (zh) 电互连系统
US646120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328609B1 (en) Modular jack
KR101567948B1 (ko) 누화 특성이 개선된 커넥팅 블록
KR100335220B1 (ko)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