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45B1 - 물건 고정용 홀더 - Google Patents

물건 고정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45B1
KR101533445B1 KR1020140001637A KR20140001637A KR101533445B1 KR 101533445 B1 KR101533445 B1 KR 101533445B1 KR 1020140001637 A KR1020140001637 A KR 1020140001637A KR 20140001637 A KR20140001637 A KR 20140001637A KR 101533445 B1 KR101533445 B1 KR 10153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ase
pedestal
attachment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이균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안이균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이균, 정재영 filed Critical 안이균
Priority to KR102014000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applying the adhesive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rt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하거나 소형의 물건을 고정된 측면에 사용자의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특히 고정된 측면이 차량이나 자전거 등의 운송수단이더라도 견고한 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물건 고정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및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물건 고정용 홀더{Holder for fixing things}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하거나 소형의 물건을 고정된 측면에 사용자의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특히 고정된 측면이 차량이나 자전거 등의 운송수단이더라도 견고한 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물건 고정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소형이거나 휴대 가능한 물건들은 그보다 큰 면적을 갖거나 고정된 벽면과 같은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달력, 시계, 액자, 벽걸이용 장식품 등은 보는 이들의 시야에 잘 띄는 위치의 벽면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고, 휴대폰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운전석 주변의 대시 보드 등에 별도로 설치되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해두거나 물품 보관이 가능한 공간에 보관해 둘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소형의 물건을 건물의 벽이나 기둥 등에 부착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벽면 등에 못을 박아 고리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되거나, 고무나 실리콘 등 접착력을 갖는 재질을 가열하면 점성이 발생하여 물건을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의 제품(또는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소형의 물건을 부착하거나 고정해 두는 방법으로는 구멍이나 흠집을 낼 수 있는 못과 나사 같은 종류의 도구보다는 제거가 가능한 고무나 실리콘을 이용한 부착 제품 또는 양면테이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각종 운송수단(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를 포함)을 이용하는 운전자 수가 늘면서, 각 운송수단의 환경에 맞춰 휴대폰을 거치해둘 수 있는 여러 휴대폰 거치장치들(예들 들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2-0091895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장치,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4654호 휴대폰 핸들 거치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4075 핸드폰 거치대)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못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이나 기둥에 물건을 걸거나 고정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구멍이나 흠집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무나 실리콘이 이용된 부착 제품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된 측면에 물건을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탈착에 어려움이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한 예와 같은 휴대폰 거치장치들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차량 등에 거치하게 될 경우에는 거치대의 크기가 휴대폰보다 크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거나 곡면 등에는 설치 자체가 곤란하여 공간이용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았다. 또한, 차량용 거치대, 자전거용 거치대 등의 도구는 사용용도가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2-0091895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465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407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휴대 가능하거나 소형의 물건을 고정된 측면에 대해서 쉽고 견고하게 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물건 고정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가구, 가전제품의 벽면에 물건을 부착하거나 고정시키는 용도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자전거를 포함한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을 안정되게 보관하거나 운전 중에도 휴대폰의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물건 고정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및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배면은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 전면은 고정측 베이스의 배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이 되며,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베이스; 및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및 피고정측 부착 몸체가 부착된 피고정물을 세워두거나 걸어둘 수 있도록 피고정측 부착 몸체에 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피고정측 베이스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배면은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전면은 고정측 베이스의 배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이 되며,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베이스;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및 피고정측 부착 몸체가 부착된 피고정물을 세워두거나 걸어둘 수 있도록 피고정측 부착 몸체에 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피고정측 베이스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서 고정측 부착 몸체에 플렉시블 베이스가 결합이 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서 고정측 부착 몸체에 플렉시블 베이스가 결합이 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서 받침대가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피고정측 베이스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출현 동작이 가능토록 피고정측 베이스에는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힌지는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굴절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서 고정측 베이스는 그 외곽이 탄성편의 끝단을 포위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탄성편은 고정측 부착 몸체의 성형시 주위가 살빼기 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서 고정측 부착 몸체의 고정 결합편의 내측면과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가동 결합편이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는 방사방향의 톱니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홀더에서 탄성편은 고정측 베이스의 외곽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 의하면 건물의 벽 또는 기둥에 소형의 물건을 걸어 두거나 고정해 두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미리 도포된 접착제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부착이 됨에 따라서 벽, 기둥, 물건 등에 흠집을 내지 않은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접착 또는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휴대폰을 자동차, 자전거 등 운송수단에 거치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TV 등 영상을 시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을 손쉽게 세워 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조립 순서를 보인 도면
도6은 고정측 부착 몸체와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에 대해서 여러 형태의 실시 예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를 지시하는 것이며, 물건 고정용 홀더(100)는 고정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200)와 피고정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로 구분 형성된다.
도1 내지 도3 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결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고정측 부착 몸체(200)는 도면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대상이 되는 물건의 용도와 고정측의 여러 다른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여러 다른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고정측 베이스(210a)는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탄성편(240)의 끝단을 포위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고정측 베이스(210b)는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탄성편(240)의 안쪽 끝단이 고정측 베이스(210b)의 외곽에 맞닿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측 부착 몸체(200)가 탄성편(240)들의 안쪽 끝단이 고정측 베이스(210b)의 외곽에 맞닿는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별도의 플렉시블 베이스(400)가 부가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고정측 베이스(210a, 210b)는 그 부착면이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예들과 같이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되더라도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측 부착 몸체(200)와의 결합이 호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측 부착 몸체(200)는 각 실시 예에 따라 고정측 베이스(210a,210b)의 구조가 상이하게 구성되더라도 고정측 베이스(210a,210b)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템(220), 스템(220) 끝단의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외향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 결합편(230),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편(240)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는 동일한 범주 내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러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중복 설명이 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크기의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31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스템(220)이 삽입 가능한 크기의 스템 끼움 구멍(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템 끼움 구멍(320)의 둘레에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고정 결합편(230)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340)이 형성된다. 즉,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고정 결합편(230)들이 피고정 부착 몸체(300)의 결합홈(340)을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 결합편(230)과 결합홈(340)의 위치가 상호 엇갈리게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결합홈(340)과 결합홈(340) 사이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가동 결합편(33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부착 몸체(200)와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대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고정 결합편(230)과 가동 결합편(33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 결합편(230)과 가동 결합편(330)이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는 방사방향의 톱니(serration, 232, 3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호 마주하는 면상에 형성된 톱니(232, 332)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와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상호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조립 감각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피고정측 베이스(310) 상에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마련된 탄성편(240)의 말단 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35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편 시트(350)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대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조립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탄성편(240)의 끝단이 위치하는 스폿(352)이 형성되고, 상호 이웃하는 스폿(352) 끼리를 레일(354)이 호 형상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형성되는 고정측 베이스(210)의 외곽이 탄성편(240)의 끝단을 포위하는 크기로 형성된 경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탄성편(240)은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성형시 탄성편(240)의 주위가 살빼기 형성되는 한편 구조 및 재질의 특성상 탄성편(240)의 끝단에 힘이 가해지면 전방을 향해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탄성편(240)의 외측 끝단은 고정측 베이스(210)와 연결되는 내측 끝단에 비해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편(240)의 외측 끝단은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측 베이스(210)의 전면은 곡면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와의 결합력 향상 및 작동성 향상의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탄성편(240)이 고정측 베이스(210)의 외곽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경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측 부착 몸체(200)는 도1에 도시된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고정측 베이스(210b)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고정측 베이스(210b)를 갖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는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3 및도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플렉시블 베이스(400)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플렉시블 베이스(400)는 휨이 가능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의 대시 보드와 같은 곡면이나 앵글과 같이 각이 있는 구조물에도 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측 베이스(210b)의 배면과 플렉시블 베이스(400)의 전면 사이에는 접착제(B)를 매개로 접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나사(410)를 사용하여 나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를 사용하여 고정 또는 장착하고자 하는 물건에 따라서 고정측 부착 몸체(200)가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를 차량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배면 측에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붙이고, 차량의 대시 보드 등에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를 붙여 사용하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를 자전거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측 부착 몸체(200)를 자전거의 핸들이나 프레임 등에 붙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건물의 벽이나 기둥에 액자나 거울 등을 거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냉장고나 모니터 등의 가전제품에 소형의 물건을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착하고자 하는 물건에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붙이고 벽이나 가전제품 등에 고정측 부착 몸체(200)를 붙여 사용하게 된다. 즉, 고정하고자 하는 물건이 어떤 것이냐 또는 물건이 고정되는 위치가 어느 것이냐에 따라서 적당한 형태의 고정측 부착 몸체(2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물건이 부착되는 벽과, 고정 대상이 되는 물건 또는 물건들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표시한다. 일부 도면에서, 그 도시가 생략되었더라도 고정측 부착 몸체(200)는 벽, 기둥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 등에 부착된 것으로,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는 휴대폰, 액자, 달력 등 소형 물건에 부착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조립 순서를 보인 도면이며, 도6은 고정측 부착 몸체(200)와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대하여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측 베이스(210a)와 피고정측 베이스(310)의 전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측 베이스(210a)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스템(220)에 피고정측 베이스(310)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스템 끼움 구멍(320)이 끼워지도록 한다. 즉, 스템 끼움 구멍(320)의 내주에 형성된 결합홈(340)을 통해 스템(220)의 외주에 형성된 고정 결합편(230)이 통과되도록 한다. 이후,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형성된 고정 결합편(230)과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에 형성된 가동 결합편(330)이 상호 마주치게 되면서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6에 표시된 도면부호 F는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 필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가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고정 결합편(230)과 가동 결합편(330)이 상호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톱니(232, 332)에 의해서 사용자는 결합이 되는 상태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결합편(230)과 가동 결합편(330)의 표면에 형성된 톱니(232, 332)에 의해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대해서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를 회전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탄성편(240) 끝단은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의 피고정측 베이스(310)에 형성된 탄성편 시트(350)의 안내를 받게 된다. 또한, 탄성편(240)의 끝단은 탄성편 시트(350)의 스폿(352)에 위치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조립시와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에 마련된 결합홈(340)의 위치가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마련된 고정 결합편(230)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서 결합이 해제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여러 실시 예들에서의 차이점은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구조 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중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모두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및 해제 과정도 도6을 참고하면서 설명한 바와 큰 차이가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실시 예는 플렉시블 베이스(400)가 적용된 상태의 실시 예로, 고정측 베이스(210b)의 배면과 플렉시블 베이스(400)의 전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410)를 체결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정측 부착 몸체(200)의 배면 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500)가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특히, 인서트 너트(500)는 카메라의 삼각대(600)에 마련되는 카메라 스탠드용 볼트(610)에 호환 가능한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메라 스탠드용 볼트(610)와 호환 가능한 인서트 너트(500)가 고정측 부착 몸체(2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야외 활동 과정에서 카메라 스탠드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TV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의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70)가 조립될 수 있다. 이 받침대(370)의 조립 및 이동 동작이 가능토록 피고정측 베이스(310) 상에는 슬라이드 레일(360)이 형성된다. 특히, 받침대(370)는 도11에서와 같이 출현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370)의 내측 끝단은 힌지(372)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굴절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1의 (a)는 받침대(370)를 출현하기 전의 모습을 보인 상태이며, (b)는 받침대(370)를 출현한 후의 모습을 보인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에 받침대(37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100)가 휴대폰에 적용될 경우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M)을 세워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피고정측 부착 몸체(300)에 받침대(370)가 설치된 구조의 물건 고정용 홀더(100)는 특히 휴대폰에 적용할 경우 그 용도가 다양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휴대폰을 차량의 내부 또는 책상 주변에 거치해두기 편할 뿐 아니라 필요할 경우에는 TV 시청을 위해 적당한 각도로 휴대폰을 세워둘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건물의 벽이나 가전 제품 등에 소형의 물건을 부착하거나 고정해 두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평탄하지 않은 모니터 테두리의 면, 자동차의 대시 보드 등에 물건을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렉시블 베이스가 적용된 고정측 부착 몸체를 사용하여 물건을 부착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고정용 홀더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명세서 및 도면 등에서 개시된 이외의 용도로도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00 : 물건 고정용 홀더 200 : 고정측 부착 몸체
210a, 210b : 고정측 베이스 220 : 스템
230 : 고정 결합편 240 : 탄성편
300 : 피고정측 부착 몸체 310 : 피고정측 베이스
320 : 스템 끼움 구멍 330 : 가동 결합편
350 : 탄성편 시트 400 : 플렉시블 베이스
500 : 인서트 너트 600 : 카메라 삼각대

Claims (13)

  1.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및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상기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상기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2.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배면은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 전면은 상기 고정측 베이스의 배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이 되며,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베이스; 및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상기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상기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3.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상기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상기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및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가 부착된 피고정물을 세워두거나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에 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피고정측 베이스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4. 부착면을 갖는 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스템이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끝단 외주에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결합편이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베이스 상에 전면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편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측 부착 몸체;
    배면은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물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전면은 상기 고정측 베이스의 배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이 되며,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베이스;
    부착수단을 매개로 피고정물에 부착 가능한 부착면을 갖는 피고정측 베이스의 중앙 부분에 상기 스템이 삽입 가능하게 스템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결합편이 배열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스템 끼움 구멍의 둘레에 복수의 가동 결합편이 내향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 상에는 상기 탄성편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탄성편 시트가 형성된 피고정측 부착 몸체; 및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가 부착된 피고정물을 세워두거나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에 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피고정측 베이스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부착 몸체에 플렉시블 베이스가 결합이 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부착 몸체에 플렉시블 베이스가 결합이 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피고정측 베이스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출현 동작이 가능토록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에는 상기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굴절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피고정측 베이스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출현 동작이 가능토록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에는 상기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굴절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피고정측 베이스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출현 동작이 가능토록 상기 피고정측 베이스에는 상기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받침대의 내측 끝단이 굴절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10. 제 1 항, 제 3 항,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베이스는 그 외곽이 상기 탄성편의 끝단을 포위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은 상기 고정측 부착 몸체의 성형시 주위가 살빼기 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부착 몸체의 고정 결합편의 내측면과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가동 결합편이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는 방사방향의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12.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고정측 베이스의 외곽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부착 몸체의 고정 결합편의 내측면과 상기 피고정측 부착 몸체의 가동 결합편이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는 방사방향의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고정용 홀더.
KR1020140001637A 2014-01-07 2014-01-07 물건 고정용 홀더 KR10153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37A KR101533445B1 (ko) 2014-01-07 2014-01-07 물건 고정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37A KR101533445B1 (ko) 2014-01-07 2014-01-07 물건 고정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45B1 true KR101533445B1 (ko) 2015-07-02

Family

ID=5378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637A KR101533445B1 (ko) 2014-01-07 2014-01-07 물건 고정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98B1 (ko) * 2018-07-26 2019-01-22 (주) 파트라 테이블용 회전식 가방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적층형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12U (ja) * 1993-11-15 1995-06-02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JP3156118B2 (ja) 1994-11-28 2001-04-16 コマニー株式会社 移動壁の自動方向転換装置
KR100681373B1 (ko) * 2004-11-15 2007-02-15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130001512U (ko) * 2011-08-26 2013-03-06 주식회사포모바일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12U (ja) * 1993-11-15 1995-06-02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JP3156118B2 (ja) 1994-11-28 2001-04-16 コマニー株式会社 移動壁の自動方向転換装置
KR100681373B1 (ko) * 2004-11-15 2007-02-15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130001512U (ko) * 2011-08-26 2013-03-06 주식회사포모바일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98B1 (ko) * 2018-07-26 2019-01-22 (주) 파트라 테이블용 회전식 가방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적층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2543A1 (en) Phone and tablet stand
CN107025025B (zh) 框架固定组件、框架组件及框架的安装方法
US20060237604A1 (en) Flat panel display unit provided with attachment means and attachment unit for the removable attachment of an object
JP2008152242A (ja) 譜面台および物品保持装置
TW201321236A (zh)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KR20080075168A (ko) 장착 장치
JP2008093026A (ja) 物品取り付け具
US8585315B2 (en) Connecting element and associated connection assembly
US20170142846A1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fastener member, and the kit and method for placing, holding and mounting such devices using at least one hook and one loop of fastener technology
KR101533445B1 (ko) 물건 고정용 홀더
KR20150053325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150239404A1 (en) Mount for mobile
KR101042534B1 (ko) 핸드폰 거치대
US20170119155A1 (en) Shelf
JP3175788U (ja) 携帯機器ケース固着保護構造
CN105221901A (zh) 行动装置支架
TW201634824A (zh) 可壁掛式總成與使用方法
JP2024510889A (ja) 壁上に物品を保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アセンブリ
KR20110137757A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CN111212169B (zh) 便携式终端用配件
KR2018003280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20170002299U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KR20160122971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69296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9615156B1 (en) Engaging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a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