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984B1 -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984B1
KR101532984B1 KR1020130102135A KR20130102135A KR101532984B1 KR 101532984 B1 KR101532984 B1 KR 101532984B1 KR 1020130102135 A KR1020130102135 A KR 1020130102135A KR 20130102135 A KR20130102135 A KR 20130102135A KR 101532984 B1 KR101532984 B1 KR 10153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force
rod
lead fram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030A (ko
Inventor
오승현
이승훈
최철연
이종경
이동규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3010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9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98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트림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발광 소자 패키지나 발광 소자에 주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일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1 작용점에 제 1 절단날이 형성되고, 제 1 받침점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제 1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1 막대; 및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타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2 작용점에 제 2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막대의 상기 힌지축에 제 2 받침점이 힌지 결합되며, 제 2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2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Trim apparatus for leadframe}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트림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발광 소자 패키지나 발광 소자에 주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PN 형성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의 광을 구현할 수 있는 일종의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수명이 길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광의 지향성이 강하여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LED는 충격 및 진동에 강하고, 예열시간과 복잡한 구동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형태로 패키징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용도로 모듈화하여 각종 조명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리드프레임 스트립에 복수개를 실장한 후,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절단하는 트림 공정을 수행하여 개별 발광 소자 패키지로 개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트림 공정 수행시, 단순히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다이에 올려 놓고, 펀치로 펀칭하여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절단하는 것으로서, 펀치의 충격이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고, 프레스로 상기 펀치를 누르는 매우 단순한 구조로서, 상기 펀치에 큰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레의 원리를 응용한 가위 구조로서 트림 공정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발광 소자나 발광 소자 패키지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서 발광 소자 패키지나 발광 소자에 주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는,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일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1 작용점에 제 1 절단날이 형성되고, 제 1 받침점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제 1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1 막대; 및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타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2 작용점에 제 2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막대의 상기 힌지축에 제 2 받침점이 힌지 결합되며, 제 2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2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는, 상기 제 1 막대의 제 1 힘점에 힘을 가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막대의 제 2 힘점에 힘을 가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힘점 및 제 2 힘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로울러 및 제 2 로울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힘점 및 제 2 힘점에 각각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단날 및 상기 제 2 절단날은 그 단면이 각각 뾰족한 삼각날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절단날 및 상기 제 2 절단날은 편심거리만큼 서로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막대 및 상기 제 2 막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편심거리는, 0.01 내지 0.09 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받침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작용점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중간지점식 가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작용점과 제 1 받침점 사이에 형성되는 원지점식 가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작용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받침점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선지점식 가위 형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펀치 대신 가위 구조의 제 1 막대 및 제 2 막대를 이용하여 트림 공정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절단시 발광 소자 패키지나 발광 소자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의 제 1 절단날 및 제 2 절단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의 제 1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의 제 2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의 제 1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의 제 2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1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100)의 제 1 절단날(11) 및 제 2 절단날(2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100)는, 크게 제 1 막대(10) 및 제 2 막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막대(10) 및 제 2 막대(20)는 서로 힌지 결합되어 X 형태로 교차된 가위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가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외에도,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막대(10)는,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일면(1a)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1 작용점(P1-3)에 제 1 절단날(11)이 형성되고, 제 1 받침점(P1-2)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축(12)이 설치되며, 제 1 힘(F1)이 작용하는 제 1 힘점(P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막대(10)의 제 1 절단날(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막대(10)에 1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여러 군데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막대(10)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막대(20)는,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타면(1b)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2 작용점(P2-3)에 제 2 절단날(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막대(10)의 상기 힌지축(12)에 제 2 받침점(P2-2)이 힌지 결합되며, 제 2 힘(F2)이 작용하는 제 2 힘점(P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막대(20)의 제 2 절단날(21) 역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막대(20)에 1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여러 군데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막대(10)에 대응되게 상기 제 2 막대(20)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는 직선 형태의 막대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힘의 작용을 고려하여 곡선 형태나, 굴곡된 형태나, 각종 기하학적인 형태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고, 일단에 손잡이나 각도 게이지나 접촉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작업자의 절단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은, 복수개의 리드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리드프레임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2) 및 반사컵(3)이나 봉지재나 형광체나 렌즈 등의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에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21)이 서로 멀어지도록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는 탄성 스프링(3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21)이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가 서로 벌어지게 하여 그 사이로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이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100)는, 상기 제 1 막대(10)의 제 1 힘점(P1-1)에 상기 제 1 힘(F1)을 가하는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상기 제 2 막대(20)의 제 2 힘점(P2-1)에 상기 제 2 힘(F2)을 가하는 제 2 액츄에이터(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A2)는, 각종 리니어 모터, 서보 모터, 스텝 모터 등의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기어나 밸트(와이어) 및 풀리나, 체인 및 스프로킷휠이나 나사봉 등 각종 동력전달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 환경이나 요구되는 스펙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들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A2)는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와 각각 접촉될 수 있는 둥근 선단을 갖는 푸쉬바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를 가압하여 수동 작업으로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제 2 액츄에이터(A2)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제 2 액츄에이터(A2)는 별도의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거나 스위치 등 각종 명령입력장치를 통해서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12)은 그 단면이 각각 뾰족한 삼각날 형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12)은 그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날이나, 다각형인 다각날이나, 둥근형인 둥근날이나, 톱니형인 톱날이나, 기하학적인 형상인 다양한 형태의 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12)은 편심거리(S)만큼 서로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거리(S)는, 예컨데, 0.01 내지 0.09 mm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절단시 전단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략 0.05 mm인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가 벌어져서 서로 멀어진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21) 사이의 공간에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이 로딩되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제 2 액츄에이터(A2)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가 상기 제 1 막대(10)를 가압하는 제 1 힘(F1)은, 상기 제 1 절단날(11)이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가압하는 제 1 작용힘(F3)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면 상기 제 1 받침점(P1-2)에서 상기 제 1 작용점(P1-3) 까지의 거리에 비례하고, 상기 제 1 받침점(P1-2)에서 상기 제 1 힘점(P1-1) 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서, 상기 제 1 받침점(P1-2)에서 상기 제 1 힘점(P1-1) 까지의 거리를 늘리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가 상기 제 1 막대(10)를 가압하는 제 1 힘(F1)은 줄어들 수 있고, 이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쉽게 절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지렛대의 원리는 상기 제 1 막대(10)와 받침점을 공유하는 제 2 막대(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의 규격이나 용량이나 스펙을 줄이더라도 동일한 절단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절단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제 1 절단날(11) 및 상기 제 2 절단날(21)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에 실장된 반사컵이나 발광 소자나 패키지에 충격이나 손상을 주지 않고도 쉽게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힘점(P1-1)은 상기 제 1 받침점(P1-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작용점(P1-3)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인 중간지점식 가위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200)의 제 1 액츄에이터(A1)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200)의 제 2 액츄에이터(A2)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200)의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제 2 액츄에이터(A2)는, 상기 제 1 힘점(P1-1) 및 제 2 힘점(P2-1)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로울러(R1) 및 제 2 로울러(R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A2)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막대(10) 및 제 2 막대(20)를 각각 가압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 1 로울러(R1) 및 상기 제 2 로울러(R2)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300)의 제 1 액츄에이터(A1)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300)의 제 2 액츄에이터(A2)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300)의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제 2 액츄에이터(A2)는,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힘점(P1-1) 및 제 2 힘점(P2-1)에 각각 피봇 회전축(S2)에 의해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A2)는, 상기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가동 상태에서 상기 제 1 막대(10) 및 제 2 막대(20)를 각각 가압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회전축(S1) 및 상기 피봇 회전축(S2)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4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400)는, 제 1 힘점(P1-1)이 상기 제 1 작용점(P1-3)과 제 1 받침점(P1-2) 사이에 형성되는 원지점식(元支點式) 가위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는 힌지축(12)와 제 1 절단날(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400) 역시, 지렛대의 원리는 동일하고,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의 반대편 막대 부분들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서 공간 절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5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500)는, 제 1 힘점(P1-1)이 상기 제 1 작용점(P1-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받침점(P1-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선지점식(先支點式) 가위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는 상기 제 1 절단날(11)에서 상기 힌지점(1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막대(10)의 연장 막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500) 역시, 지렛대의 원리는 동일하고,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A1)의 반대편 막대 부분들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제 1 막대(10) 및 상기 제 2 막대(2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서 공간 절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쉽게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리드프레임 스트립
1a: 일면
1b: 타면
P1-1: 제 1 힘점
P1-2: 제 1 받침점
P1-3: 제 1 작용점
10: 제 1 막대
11: 제 1 절단날
12: 힌지축
F1: 제 1 힘
P2-1: 제 2 힘점
P2-2: 제 2 받침점
P2-3: 제 2 작용점
20: 제 2 막대
21: 제 2 절단날
F2: 제 2 힘
100, 200, 300, 400, 500: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2: 발광 소자
3: 반사컵
30: 탄성 스프링
F3: 제 1 작용힘
F4: 제 2 작용힘
A1: 제 1 액츄에이터
A2: 제 2 액츄에이터
R1: 제 1 로울러
R2: 제 2 로울러
S1: 회전축
S2: 피봇 회전축
S: 편심거리

Claims (10)

  1.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일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1 작용점에 제 1 절단날이 형성되고, 제 1 받침점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제 1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1 막대;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타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2 작용점에 제 2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막대의 상기 힌지축에 제 2 받침점이 힌지 결합되며, 제 2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2 막대;
    상기 제 1 막대의 제 1 힘점에 힘을 가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막대의 제 2 힘점에 힘을 가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힘점 및 제 2 힘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로울러 및 제 2 로울러가 각각 설치되는,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2.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일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1 작용점에 제 1 절단날이 형성되고, 제 1 받침점에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제 1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1 막대; 및
    상기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타면을 가압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제 2 작용점에 제 2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막대의 상기 힌지축에 제 2 받침점이 힌지 결합되며, 제 2 힘점이 형성될 수 있는 제 2 막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단날 및 상기 제 2 절단날은 편심거리만큼 서로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막대 및 상기 제 2 막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편심거리는, 0.01 내지 0.09 mm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힘점 및 제 2 힘점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것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날 및 상기 제 2 절단날은 그 단면이 각각 뾰족한 삼각날 형상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날 및 상기 제 2 절단날은 편심거리만큼 서로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막대 및 상기 제 2 막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거리는, 0.01 내지 0.09 mm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받침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작용점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중간지점식 가위 형상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작용점과 제 1 받침점 사이에 형성되는 원지점식 가위 형상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힘점은 상기 제 1 작용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받침점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선지점식 가위 형상인,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KR1020130102135A 2013-08-28 2013-08-28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KR10153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135A KR101532984B1 (ko) 2013-08-28 2013-08-28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135A KR101532984B1 (ko) 2013-08-28 2013-08-28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30A KR20150025030A (ko) 2015-03-10
KR101532984B1 true KR101532984B1 (ko) 2015-07-02

Family

ID=5302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135A KR101532984B1 (ko) 2013-08-28 2013-08-28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074B1 (ko) 2017-10-30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분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914A (ja) * 1987-03-06 198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線切断装置
JPH1032400A (ja) * 1996-07-12 1998-02-03 Saitama Nippon Denki Kk リード切断治具
JP2002253875A (ja) * 2001-03-02 2002-09-10 Denso Corp ワイヤ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914A (ja) * 1987-03-06 198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線切断装置
JPH1032400A (ja) * 1996-07-12 1998-02-03 Saitama Nippon Denki Kk リード切断治具
JP2002253875A (ja) * 2001-03-02 2002-09-10 Denso Corp ワイヤ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30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208B2 (en) Lift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US9630265B2 (en) Powered two-stage strap cutter
JP2010524700A (ja) 切断装置
KR101532984B1 (ko) 리드프레임 트림 장치
JP6635344B2 (ja) 紙、段ボール、プラスチック材、複合材又はその種の比較的堅固な材料を切断するための切断装置
CN103770984A (zh) 一种薄膜包装机的封切装置
JP2014019164A (ja) フィルム自動貼合切断装置
CN105398178A (zh) 全自动覆膜机
JP6421818B2 (ja) 往復運動工具
CN204622117U (zh) 一种可用于云母板裁切的装置
WO20140783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workpiece and an article formed thereby
JP2018510071A (ja) 材料のシート又は層を切断する装置
CN103909585A (zh) 一种可消除切割线弧型影响的多线切割机
KR200293611Y1 (ko) 비닐백 제작장치의 비닐 절단 및 적층장치
CN104625200A (zh) 一种切割机
CN204622116U (zh) 一种改进的可用于板材或膜片的下料装置
CN209927730U (zh) 毛发剪断检测装置
US20170320252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6182129B (zh) 切割装置
US793051A (en) Punching-machine.
CN103056447A (zh) 一种电动锯刀
US263214A (en) Cutting-press for leather
CN206982752U (zh) 一种双侧对向切片机
US348000A (en) eastman
CN104646751A (zh) 一种锯片自动切割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