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074B1 -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074B1
KR101532074B1 KR1020140140707A KR20140140707A KR101532074B1 KR 101532074 B1 KR101532074 B1 KR 101532074B1 KR 1020140140707 A KR1020140140707 A KR 1020140140707A KR 20140140707 A KR20140140707 A KR 20140140707A KR 101532074 B1 KR101532074 B1 KR 10153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ller chain
plate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텍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텍, 이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to KR102014014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이송부는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복수의 롤러체인은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갖는 뒤틀림 도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떤 방향으로든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체인 방식으로 체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인간 견고한 결합으로 체인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An Inline Pipe Chain Conveyor}
본 발명은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이송부는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복수의 롤러체인은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갖는 뒤틀림 도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떤 방향으로든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체인 방식으로 체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인 간 견고한 결합으로 체인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각종 쓰레기, 오폐수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에서는 여러 가지 여러가지 협잡물뿐만 아니라 모래, 흙, 철가루 등이 침전하여 발생하는 침사가 대량으로 발생하며 있으며, 대부분이 생활쓰레기인 협잡물은 그대로 매립 처리하게 되면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기 때문에 이들 협잡물은 별도로 인양하여 종류별로 분리하여 처리하고, 침사는 별도로 인양하여 처리한다.
이들 침사 또는 협잡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물, 액체, 슬러지, 분진이 발생하는 분체 등의 이송에 있어서는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된 형태의 이송장치가 필요한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파이프 내에 이송판과 이송판을 연결하는 링크체인을 포함하여, 이송판에 의해 협잡물 등을 이송토록 하였으나, 링크체인의 경우 잦은 꼬임이 발생되어 이송장치의 고장이 자주 일어나고, 링크체인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이송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며, 이송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파이프 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판(100)과 이를 연결하는 롤러체인(200)을 포함하여 체인의 꼬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롤러체인(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밖에 회전(z축 중심 회전)할 수 없는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 협잡물 등을 이송하는 파이프라인을 한쪽 방향으로만 굽어지도록 구성할 수밖에 없어 이송라인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250호. "체인 링크식 침사물 제거기"(2003. 11. 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이송부는,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복수의 롤러체인은 수직으로 번갈아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떤 방향으로든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판과; 체인판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다른 롤러체인의 체인판에 연결되는 한 쌍의 뒤틀림 도그를 갖는 롤러체인을 포함하고, 뒤틀림 도그는 서로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와,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으로 체인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체인판과 뒤틀림 도그에 관통, 삽입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갖는 롤러체인을 포함하여, 롤러체인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착탈부재를 갖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용이한 분해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 이송원판의 마모, 뒤틀림, 파손 등을 이유로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구성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체인판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홀을 갖는 이송원판을 포함하여, 한 쌍의 체인판이 이송원판에 끼워지도록 하고, 뒤틀림 도그는 이송원판에 밀착되도록 연결되도록 하여 이송원판의 조립 및 분해, 교체가 용이하며, 협잡물 등 이송물의 이송에도 이송원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밀착홈을 갖는 이송원판을 포함하여, 밀착홈에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원판이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송원판이 끼워지는 롤러체인과 끼워지지 않는 롤러체인이 번갈아 연결되도록 하여, 롤러체인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이송원판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바와; 롤러체인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하는 이송물제거수단;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구동력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롤러체인에 끼인 이송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부하를 줄이고 이송물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와; 회전바의 끝단에 수직방향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하여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제거부재를 갖는 이송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스프라켓과; 회전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단이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리턴바와; 롤러체인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송부의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체인의 늘어짐에도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리턴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케이스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부와; 이동부재와 인장력제공부를 연결하여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부;를 갖는 리턴부를 포함하여, 인장력제공부에 의하여 회전축을 당기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이 오랜 사용, 불량 등에 의해 늘어나는 경우에도 롤러체인의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 하의 이동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봉과; 한 쌍의 연결봉과 양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인장력제공부와도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인장력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인장력이 같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의 긴장상태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삽입되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가이드봉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눌러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름수단을 갖는 인장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압축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라 회전축을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롤러체인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과,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너트를 갖는 누름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이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가 늘어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잃는 경우에도 다시 너트를 조여 탄성부재를 압축시킴으로써 자동장력조절수단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일정 길이 만큼 늘어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고발생부를 갖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늘어나 복원력을 잃게 될 경우 경고신호를 통해 알림으로써 롤러체인이 늘어남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고발생부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경고발생부는, 리턴부의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돌출영역의 접촉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센서를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늘어남에 따라 지지부재도 함께 움직여 알림센서에 접촉될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는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상기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체인은 수직으로 번갈아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판과; 상기 체인판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다른 롤러체인의 체인판에 연결되는 한 쌍의 뒤틀림 도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 도그는 서로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와, 상기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은 상기 체인판과 뒤틀림 도그에 관통, 삽입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체인의 용이한 분해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원판은 상기 체인판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홀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체인판이 이송원판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뒤틀림 도그는 상기 이송원판에 밀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원판은 상기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밀착홈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원판과 뒤틀림 도그가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원판이 끼워지는 롤러체인과 끼워지지 않는 롤러체인이 번갈아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바와; 상기 롤러체인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하는 이송물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제거수단은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수직방향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하여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스프라켓과; 상기 회전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리턴바와; 상기 롤러체인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체인의 늘어짐에도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리턴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부와; 상기 이동부재와 인장력제공부를 연결하여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 하의 이동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봉과; 상기 한 쌍의 연결봉과 양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장력제공부와도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인장력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인장력이 같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제공부는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일정 길이 만큼 늘어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경고발생부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발생부는, 상기 리턴부의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돌출영역의 접촉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이송부는,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복수의 롤러체인은 수직으로 번갈아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떤 방향으로든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판과; 체인판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다른 롤러체인의 체인판에 연결되는 한 쌍의 뒤틀림 도그를 갖는 롤러체인을 포함하고, 뒤틀림 도그는 서로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와,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으로 체인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인판과 뒤틀림 도그에 관통, 삽입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갖는 롤러체인을 포함하여, 롤러체인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착탈부재를 갖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용이한 분해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 이송원판의 마모, 뒤틀림, 파손 등을 이유로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구성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인판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홀을 갖는 이송원판을 포함하여, 한 쌍의 체인판이 이송원판에 끼워지도록 하고, 뒤틀림 도그는 이송원판에 밀착되도록 연결되도록 하여 이송원판의 조립 및 분해, 교체가 용이하며, 협잡물 등 이송물의 이송에도 이송원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밀착홈을 갖는 이송원판을 포함하여, 밀착홈에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원판이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원판이 끼워지는 롤러체인과 끼워지지 않는 롤러체인이 번갈아 연결되도록 하여, 롤러체인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이송원판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바와; 롤러체인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하는 이송물제거수단;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구동력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롤러체인에 끼인 이송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부하를 줄이고 이송물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와; 회전바의 끝단에 수직방향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하여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제거부재를 갖는 이송물제거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스프라켓과; 회전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단이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리턴바와; 롤러체인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송부의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체인의 늘어짐에도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턴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케이스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부와; 이동부재와 인장력제공부를 연결하여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부;를 갖는 리턴부를 포함하여, 인장력제공부에 의하여 회전축을 당기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이 오랜 사용, 불량 등에 의해 늘어나는 경우에도 롤러체인의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 하의 이동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봉과; 한 쌍의 연결봉과 양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인장력제공부와도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인장력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인장력이 같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의 긴장상태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삽입되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가이드봉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눌러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름수단을 갖는 인장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압축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라 회전축을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롤러체인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과,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너트를 갖는 누름수단을 포함하여, 롤러체인이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가 늘어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잃는 경우에도 다시 너트를 조여 탄성부재를 압축시킴으로써 자동장력조절수단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일정 길이 만큼 늘어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고발생부를 갖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늘어나 복원력을 잃게 될 경우 경고신호를 통해 알림으로써 롤러체인이 늘어남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고발생부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경고발생부는, 리턴부의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돌출영역의 접촉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센서를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늘어남에 따라 지지부재도 함께 움직여 알림센서에 접촉될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인라인 파이프 롤러체인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송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송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이송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도 2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도 2의 구동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도 2의 리턴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리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도 2의 리턴부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2의 리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도 2의 리턴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를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와, 상기 이송부(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와, 상기 이송부(1)의 파이프(P)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5)를 포함한다. 상기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는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사, 협잡물, 슬러지, 분진이 발생하는 분체 등의 이송을 위하여 파이프(P) 내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체인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체인 방식을 사용하며, 롤러체인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모든 방향으로의 이송라인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원발명 특유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는 특유의 이송부 구성을 통해 체인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고 제한 없는 이송라인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롤러체인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시켜 배출되도록 하며, 롤러체인의 장력을 유지시켜 이송물이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P)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이 공급되는 이송물공급구(H)가 형성되며, 이송물공급구(H)는 이송물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호퍼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는 상기 이송물공급구(H)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P) 내에 공급되는 협잡물 등의 이송물을 원하는 지점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구동부(3)에 형성된 이송물배출구(371)를 통해 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리턴부(5)에 의하여 파이프(P) 내를 순환이동한다. 상기 이송부(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P)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13)과; 상기 복수개의 이송원판(13)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11);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체인(11)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P) 내를 순환이동하며, 상기 이송원판(13)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이송원판(13) 사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이송시킨다. 상기 복수의 롤러체인(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유로운 이송라인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때 각각의 롤러체인(11)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롤러체인(11) 중 한쪽은 후술할 뒤틀림 도그(113)의 수평부쉬(113a)에 타측은 뒤틀림 도그(113)의 수직부쉬(113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상하좌우 방향의 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체인(11)에 고착되는 이송물은 후술한 구동부(3)의 구동바(35), 이송물제거수단(39)에 의하여 탈리되어 배출, 세척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체인(11)은 사용에 따라 그 연결부분 등이 약화되어 늘어나, 장력이 약화될 수 있는데, 이 때 후술한 리턴부(5)의 자동장력조절수단(59)에 의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의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부(1)의 이동과 구동력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여 이송물이 이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각각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롤러체인(11)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판(111)과; 상기 체인판(111)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다른 롤러체인의 체인판(1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뒤틀림 도그(113)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판(111)과 뒤틀림 도그(113)에 관통, 삽입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축(115)과; 상기 연결축(115)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17)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판(111)은 상기 롤러체인(11)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한 쌍의 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인판(111)에는 상기 연결축(115)이 양쪽으로 관통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축(115)에는 양쪽으로 각각 뒤틀림 도그(113)가 결합된다. 상기 체인판(111)의 양쪽에는 서로 다른 뒤틀림 도그(113)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체인판(111)의 양쪽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뒤틀림 도그(11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체인판(111)의 양쪽에는 서로 다른 뒤틀림 도그(113)의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가 연결되며, 수평부쉬(113a)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의 회전, 수직부쉬(113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좌우 방향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수평, 수직방향이라는 함은 특정한 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며,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것에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기 체인판(111)의 중심부에는 상기 이송원판(13)이 끼워져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복수의 체인판(111)에는 상기 이송원판(13)이 끼워지는 체인판(111)과 끼워지지 않는 체인판(111)이 번갈아 형성되도록 하여 이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롤러체인(1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뒤틀림 도그(113)는 상기 롤러체인(11)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평부쉬(113a) 및 수직부쉬(113b)와, 상기 수평부쉬(113a) 및 수직부쉬(113b)를 연결하는 연결체(113c)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롤러체인(11)이 서로 수직으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뒤틀림 도그(11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판(111)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체인판(111)에 수평부쉬(113a)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반대편의 수직부쉬(113b)가 돌출되고, 수직부쉬(113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수평부쉬(113a)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판(111)과 인접하는 양측의 서로 다른 체인판(111)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뒤틀림 도그(113), 정확하게는 상기 수평부쉬(113a)와 수직부쉬(113b)는 상기 연결축(113c)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부쉬(113a)에 연결된 체인판(111)은 상하 방향의 회전, 수직부쉬(113b)에 연결된 체인판(111)은 좌우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부쉬(113a), 수직부쉬(113b)는 서로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됨을 의미하며 특정 방향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상기 수평부쉬(113a) 및 수직부쉬(113b)는 서로 수직을 이루어 상기 연결체(113c)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판(111)과 연결되어 상기 롤러체인(11)이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연결축(115)이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115)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부공간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는 상기 이송원판(13)의 밀착홈(133)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원판(13)과 밀착되어 이송원판(13)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축(115)은 상기 체인판(111)과 뒤틀림 도그(113)의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수평부쉬(113a) 및 수직부쉬(113b)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부쉬(113a) 및 수직부쉬(113b)의 내부공간에 상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축(115)에는 와셔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117)을 통해 상기 체인판(111)과 뒤틀림 도그(113)로부터 빠지지 않고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축(115)에는 상기 체결수단(117)의 착탈부재(117b)가 관통되는 관통공(11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117)은 상기 연결축(115)이 체인판(111)과 뒤틀림 도그(113)를 연결한 상태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115)을 관통하는 관통공(117a)과 상기 관통공(117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착탈부재(117b)를 포함하여 연결축(115)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체인(11), 이송원판(13) 등이 마모, 뒤틀림, 파손 등의 이유로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착탈부재(117b)를 제거하여 상기 연결축(115)를 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11), 이송원판(13)의 교체가 매우 용이해진다. 상기 착탈부재(117b)는 상기 관통공(117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분할핀이나 스냅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원판(13)은 상기 롤러체인(11)과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며, 상기 파이프(P)의 수직단면(대개는 원형)에 상응하는 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판(111)의 중심부에 끼워진다. 상기 이송원판(1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판(111)에 연결되는 뒤틀림 도그(113), 수평부쉬(113a)와 수평부쉬(113a) 사이, 또는 수직부쉬(113b)와 수직부쉬(113b)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이송물을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원판(13)은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와 밀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이나 눕혀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원판(13)과 이송원판(13) 사이에는 이송원판(13)이 끼워지지 않는 롤러체인(11)을 연결하여 충분한 이송물의 수용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원판(13)은 상기 체인판(111)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홀(131)과,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밀착홈(133)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홀(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틀림 도그(113)가 결합된 한 쌍의 체인판(111)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맞추어 한 쌍이 형성되는 구멍으로, 상기 체인판(111)의 폭에 맞도록 형성되어 흔들리지 않고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착홈(133)은 상기 한 쌍의 끼움홀(131) 사이에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가 상기 이송원판(13)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의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외주면에 맞게 함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원판(13)에 밀착된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도 비틀리거나 눕혀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이송부(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롤러체인(11)이 상기 파이프(P)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32)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3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33)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11)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11)을 회전시키는 구동바(35)와; 상기 구동부(35)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37)와; 상기 롤러체인(11)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하는 이송물제거수단(39);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되며, 구동체인 등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구동축(3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32)은 상기 구동모터(3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33), 구동바(34), 후술할 회전바(391) 등의 회전의 중심이 된다. 상기 구동축(32)의 둘레에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3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33)은 상기 구동축(32)과 함께 회전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구동부(35), 이송물제거수단(39)의 회전바(391) 등이 돌출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바(35)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구동스프라켓(3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5)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3)에 고정되는 측의 반대측 말단이 상기 롤러체인(11)의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체인판(111)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를 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부(1)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는 롤러체인(11)이 수직으로 번갈아 놓이는 구조를 가져 상하, 좌우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구동모터(3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이송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5)는 상기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에 삽입되는 측이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 날카롭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사이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35)가 상기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에 끼인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7)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3), 구동바(35), 이송물제거수단(39)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33) 등의 하측으로는 이송물배출구(371)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1)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이 원하는 지점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물배출구(371)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물제거수단(39)은 상기 이송부(1)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이 상기 케이스(37) 내로 유입되어 상기 이송물배출구(371)를 통해 배출되는데, 협잡물, 침사, 슬러지 등 점도가 높은 물질들이 상기 파이프(P)를 통해 이송되므로, 상기 롤러체인(11)에 이송물이 고착되기 쉽고, 이에 따라 체인을 구동하기 위해 불필요한 구동력이 소모되며, 체인에도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체인(11)에 끼인 이송물에 의해 상기 이송부(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바(35)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에 끼인 이송물을 탈리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이송물제거수단(39)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물제거수단(39)은 상기 구동스프라켓(33)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391)와; 상기 회전바(391)의 끝단에 수직방향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11)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하여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제거부재(39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391)는 상기 구동바(35)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스프라켓(33)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제거부재(39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391)는 상기 롤러체인(11)의 측면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구동바(35)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의 양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거부재(392)는 상기 복수의 회전바(391)의 끝단에 수직의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391)의 회전과 함께 상기 롤러체인(11), 더욱 정확하게는 체인판(111)의 측면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 이송물이 탈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송물의 고착된 따른 체인의 부하를 줄여 체인의 고장 및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리턴부(5)는 상기 이송부(1)의 파이프(P)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스프라켓(53)과; 상기 회전스프라켓(53)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롤러체인(11)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리턴바(55)와; 상기 롤러체인(11)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자동장력조절수단(59)을 포함한다. 상기 리턴부(5)는 상기 구동부(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이송부(1)가 상기 파이프(P) 내를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체인(11)을 360도 회전시키며, 상기 롤러체인(11)을 리턴부(5)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주어 상기 롤러체인(11)의 장력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력의 효율적인 전달을 통해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회전스프라켓(53), 리턴바(55)의 회전의 중심이 되며, 원통형의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스프라켓(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이동부재(593)에 삽입되어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59)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롤러체인(11)도 함께 당겨져 장력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회전스프라켓(53)은 상기 회전축(53)의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51)과 함께 회전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리턴바(55)가 형성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롤러체인(11)을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스프라켓(53)은 상기 롤러체인(11), 이송원판(13) 등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리턴바(55)는 상기 회전스프라켓(53)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3)의 구동바(35)와 동일한 형상과 동작을 갖는다. 다만, 상기 구동바(35)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롤러체인(11)에 삽입되어 롤러체인(11)을 구동시킴에 반해, 상기 리턴바(55)는 상기 롤러체인(11)에 같은 방식으로 삽입되어 회전하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이 아닌 회전하는 롤러체인(11)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롤러체인(11)의 파이프 내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리턴바(55) 역시 상기 구동바(35)와 마찬가지로 그 말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체인판(111)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부쉬(113a) 또는 수직부쉬(113b)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57)는 상기 회전축(51), 회전스프라켓(53), 리턴바(55) 등을 감싸도록 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자동장력조절수단(59)의 가이드브라켓(591), 탄성부재(595b), 고정판(599a) 등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59)은 상기 회전축(51)과 연결되어 도 11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턴바(55)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체인(11)도 함께 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체인(11)은 항상 장력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 이송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5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7)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591)과; 상기 회전축(51)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593)와; 상기 이동부재(593)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부(595)와; 상기 이동부재(593)와 인장력제공부(595)를 연결하여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부(597);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력제공부(595)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이 약해지는 시점을 설정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고발생부(59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7)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재(593)가 상기 롤러체인(11)이 당겨지는 방향, 즉 상기 인장력제공부(595)에 의하여 인장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93)가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이 일정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은 상기 이동부재(59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레일(591a)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591a)은 후술할 이동부재(593)의 레일홈(593a)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593)가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따라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593)는 그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51)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93)의 일측에는 후술할 연결부(597)의 연결봉(597a)이 연결되어 상기 인장력제공부(595)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59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59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51)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턴바(55)의 위치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레일체인(11)을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동부재(59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의 레일(591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레일홈(593a)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591a)이 레일홈(593a)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593)가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장력제공부(595)는 상기 회전축(51)을 당길 수 있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이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597)의 지지판(597b)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595a)과;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95b)와; 상기 가이드봉(595a)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95b)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595c)와; 상기 지지부재(595c)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595b)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름수단(595d)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봉(595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연결부(597)의 지지판(597b)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57)의 일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57)에 지지된채로 움직인다. 상기 가이드봉(595a)은 상기 지지판(597b)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인장력제공부(595)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이 균형있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봉(595a)의 외주면 일 지점에는 나사산(595d-1)이 형성되어, 후술할 누름수단(595d)의 너트가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595a)에는 상기 탄성부재(595b), 지지부재(595c), 너트(595d-2)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595b)는 탄성에 의해 압축에 의한 복원력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을 가진 다양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95b)는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어 일측은 상기 케이스(57)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595c)에 지지되며,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수단(595d)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도 11의 @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95b)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597)가 같은 @ 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상기 연결부(597)와 연결된 회전축(51)을 통해 상기 롤러체인(11)이 @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체인(11)의 장력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지지부재(595c)는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어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595b)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누름수단(595d)에 의해 눌려지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부재(595b)의 압축과 신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95c)는 상기 경고발생부(599)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595c-1)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595b)가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595b)의 복원력이 줄어들 때,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탄성부재(595b)가 늘어나 상기 돌출영역(595c-1)이 후술할 경고발생부(599)의 알림센서(599b)에 근접할 경우 경고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롤러체인(11)의 늘어짐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누름수단(595d)은 상기 지지부재(595c)를 눌러 탄성부재(595b)를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봉(595a)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나사산(595d-1)과 상기 나사산(595d-1)에 결합되는 너트(595d-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595d-2)는 상기 가이드봉(595a)에 삽입되어 조여지며, 상기 지지부재(595c)를 눌러 탄성부재(595b)가 압축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595b)가 늘어나 복원력이 약해질 경우 다시 상기 너트(595d-2)를 조임으로써 탄성부재(595b)를 압축하여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체인(11)이 늘어남에 따라 탄성부재(595b)도 늘어나 복원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후술할 경고발생부(599)에 의하여 경고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너트(595d-2)를 다시 조여줌으로써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59)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597)는 상기 이동부재(593a)와 상기 인장력제공부(595)를 연결하여 상기 인장력제공부(595)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이 상기 이동부재(593)에 삽입되 회전축(51)을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리턴바(55)에 의하여 상기 롤러체인(11)도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597)는 상기 한 쌍의 이동부재(59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봉(597a)과, 상기 한 쌍의 연결봉(597a)과 양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장력제공부(595)와도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597b)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597a)은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593)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597b)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59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판(597b)이 인장력제공부(595)의 인장력을 받아 이동할 때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롤러체인(11)이 당겨져야 할 방향으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597b)은 양 측에 상기 한 쌍의 연결봉(597a)이 고정되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가이드봉(595a)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95b)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597b)이 @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봉(597a)도 같은 방향의 힘을 받게 되어, 결국 상기 롤러체인(11)에까지 전달된다.
상기 경고발생부(599)는 상기 롤러체인(11)이 사용에 의해 늘어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95b)가 늘어날 때, 상기 탄성부재(595b)는 점점 복원력을 잃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롤러체인(11)의 장력을 유지하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95b)가 일정 길이 만큼 늘어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롤러체인(11)의 늘어남에 따른 구동력의 손실 등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경고발생부(599)에 의하여 경고신호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595d-2)를 조여주어 도 11의 ⓑ 방향으로 탄성부재(595b)가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다시 탄성부재(595b)의 복원력에 의한 롤러체인(11)의 장력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경고발생부(599)는 상기 리턴부(5)의 케이스(57)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599a)과; 상기 고정판(599a)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돌출영역(595c-1)의 근접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센서(599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599a)은 상기 케이스(57)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으로, 상기 알림센서(599b)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삽입홀(599-1)을 포함하여, 상기 알림센서(599b)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삽입홀(599-1)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센서(599b)의 위치를 상기 탄성부재(595b)가 놓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595b)의 종류, 탄성 등 기타 작동환경에 따라 경고신호가 발생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림센서(599b)는 상기 돌출영역(595c-1)의 근접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물체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59)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2의 (a)는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탄성부재(595b)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너트(595d-2)를 조여 고정하며, 이에 따라 @ 방향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597b), 연결봉(597a), 이동부재(593), 회전축(51), 리턴바(55)를 통해 같은 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상기 리턴바(55)가 @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체인판(11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1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러체인(11)을 @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장력이 유지된다. 도 12의 (b)는 사용에 따라 상기 롤러체인(11)이 늘어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595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95b)도 점점 늘어나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595c)의 돌출영역(595c-1)이 상기 경고발생부(599)의 알림센서(599b)에 근접할 경우 경고신호가 발생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595d-2)를 조여 ⓑ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595b)를 다시 압축시켜 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59)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송부
11: 롤러체인
111: 체인판 113: 뒤틀림 도그
113a: 수평부쉬 113b: 수직부쉬 113c: 연결체
115: 연결축
117: 체결수단 117a: 관통공 117b: 착탈부재
13: 이송원판 131: 끼움홀 133: 밀착홈
3: 구동부
31: 구동모터 32: 구동축 33: 구동스프라켓
35: 구동부
37: 케이스 371: 이송물배출구
39: 이송물제거수단 391: 회전바 393: 제거부재
5: 리턴부
51: 회전축 53: 회전스프라켓 55: 리턴바
57: 케이스
59: 자동장력조절수단
591: 가이드브라켓 591a: 레일
593: 이동부재 593a: 레일홈
595: 인장력제공부
595a: 가이드봉 595b: 탄성부재 595c: 지지부재
595d: 누름수단
597: 연결부 597a: 연결봉 597b: 지지판
599: 경고발생부 599a: 고정판 599b: 알림센서

Claims (17)

  1. 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협잡물 등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파이프 내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파이프의 수직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내에 공급되는 이송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원판과; 상기 복수개의 이송원판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러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체인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판과; 상기 체인판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의 다른 롤러체인의 체인판에 연결되는 한 쌍의 뒤틀림 도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원판은 상기 체인판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홀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체인판이 이송원판에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뒤틀림 도그는 서로 수직을 이루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와, 상기 수평부쉬 및 수직부쉬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원판에 밀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은
    상기 체인판과 뒤틀림 도그에 관통, 삽입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원판은
    상기 수평부쉬 또는 수직부쉬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밀착홈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원판과 뒤틀림 도그가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원판이 끼워지는 롤러체인과 끼워지지 않는 롤러체인이 번갈아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바와;
    상기 롤러체인에 고착된 이송물을 탈리하는 이송물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제거수단은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회전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체인의 측면에 고착된 이송물과 접촉하여 이송물을 탈리시키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스프라켓과; 상기 회전스프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롤러체인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리턴바와; 상기 롤러체인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자동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체인의 늘어짐에도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리턴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전, 후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부와;
    상기 이동부재와 인장력제공부를 연결하여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 하의 이동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봉과; 상기 한 쌍의 연결봉과 양측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장력제공부와도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제공부는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일정 길이 만큼 늘어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경고발생부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발생부는,
    상기 리턴부의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돌출영역의 접촉을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KR1020140140707A 2014-10-17 2014-10-17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KR10153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07A KR101532074B1 (ko) 2014-10-17 2014-10-17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07A KR101532074B1 (ko) 2014-10-17 2014-10-17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074B1 true KR101532074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07A KR101532074B1 (ko) 2014-10-17 2014-10-17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0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92B1 (ko) * 2015-07-08 2016-09-09 주식회사 가온텍 이송원판 및 스크레퍼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인라인 드래그 컨베이어
KR101826182B1 (ko) * 2017-06-19 2018-02-06 주식회사 가온텍 인라인 케이블 컨베이어
KR101826183B1 (ko) * 2017-06-19 2018-02-06 주식회사 가온텍 인라인 컨베이어
KR20210085120A (ko) * 2019-12-30 2021-07-08 남태극 폐기물 이송수단의 스프로켓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579A (ja) * 1992-10-20 1994-07-05 Bio Tec:Kk 自在チェーン
JPH09110129A (ja) * 1995-10-23 1997-04-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ベア
JPH11165830A (ja) * 1997-12-04 1999-06-22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JP2006046413A (ja) * 2004-08-02 2006-02-16 Tsubakimoto Chain Co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579A (ja) * 1992-10-20 1994-07-05 Bio Tec:Kk 自在チェーン
JPH09110129A (ja) * 1995-10-23 1997-04-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ベア
JPH11165830A (ja) * 1997-12-04 1999-06-22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JP2006046413A (ja) * 2004-08-02 2006-02-16 Tsubakimoto Chain Co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92B1 (ko) * 2015-07-08 2016-09-09 주식회사 가온텍 이송원판 및 스크레퍼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인라인 드래그 컨베이어
KR101826182B1 (ko) * 2017-06-19 2018-02-06 주식회사 가온텍 인라인 케이블 컨베이어
KR101826183B1 (ko) * 2017-06-19 2018-02-06 주식회사 가온텍 인라인 컨베이어
KR20210085120A (ko) * 2019-12-30 2021-07-08 남태극 폐기물 이송수단의 스프로켓 장치
KR102324253B1 (ko) * 2019-12-30 2021-11-08 남태극 폐기물 이송수단의 스프로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74B1 (ko) 인라인 파이프 체인컨베이어
KR101455064B1 (ko) 울트라 벨트 클리너 장치
CN102616528B (zh) 传动链和具有所述传动链的容器清洗机
KR101656392B1 (ko) 이송원판 및 스크레퍼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인라인 드래그 컨베이어
KR102082337B1 (ko) 낙하물 제거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이송시스템
KR20160056706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KR20200005891A (ko) 벨트 컨베이어
CN201770271U (zh) 履带式输送装置
KR102020887B1 (ko) 튜브형 링크 체인 컨베이어
US10577184B2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20050038299A (ko)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20090095938A (ko) 선별기의 이송장치
KR20140114079A (ko) 벨트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 콘베이어
CN103538867A (zh) 一种高效节约运行成本的刮板运输机刮板
KR101597429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899460B1 (ko) 축산폐기물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
US9856090B1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JP2011157201A (ja) コンベアチェーンの清掃装置
KR101498558B1 (ko) 파이프 컨베이어
KR101467199B1 (ko) 링크체인청소수단을 갖춘 수처리시설의 슬러지수집기
CN106572647B (zh) 用于输送沙的系统和方法
CN210029037U (zh) 一种皮带机头部刮料装置
JP3109000U (ja) 集卵ベルト用清掃装置
KR101455101B1 (ko)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