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13B1 -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13B1
KR101531813B1 KR1020150042911A KR20150042911A KR101531813B1 KR 101531813 B1 KR101531813 B1 KR 101531813B1 KR 1020150042911 A KR1020150042911 A KR 1020150042911A KR 20150042911 A KR20150042911 A KR 20150042911A KR 101531813 B1 KR101531813 B1 KR 10153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pe
power transmitting
fix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102015004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의 이송장치에 설치하여 압출기측에서 압출된 압출봉을 잡고,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속도로 파이프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내,외측에 연속적으로 나선을 형성시켜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송장치측에 간단하게 설치/분리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Pipe forming apparatus screw-type}
본 발명은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기존 압출기의 이송장치측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파이프의 내,외측에 일정한 나선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나선돌기가 형성된 배수용 파이프의 압출장치는 통상의 압출다이스(1)와 압출헤드(2)의 내경다이(3) 중앙에, 압출통로(4)가 관통된 회전다이(5)를 축설하고, 이 회전다이(5)의 압출헤드(2)쪽 끝단에 나팔형 확산관(6)을 고정하고, 이 확산관(6)의 내측에는 다수의 요홈(8)이 요설된 원추형 고정헤드(7)를 부착하였으며, 타측 끝에는 체인기어(9)가 고정된 연결관(10)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건물에 배관되는 배수용 파이프의 폐수배출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배수용 파이프의 내벽에 다수의 나선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폐수가 파이프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와류현상을 유발시켜 신속하게 폐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배수용 파이프의 내벽과 유입된 폐수의 마찰에 의하여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압출기에 별도 제작한 배수용 파이프 압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배수용 파이프 압출장치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파이프의 내측에만 나선형돌기를 형성시켜, 전체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의 나선 압입홈 성형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선을 그리는 홈을 금속 파이프의 외면에 압입 가공하여 연속적으로 나선을 이루면서 꼬여진 형상의 곡면 돌조들이 성형되게 함으로써 파이프의 휨강도가 역학적으로 증대(增大)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파이프의 나선 압입홈 성형장치에 의해 금속 파이프의 외면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파이프가 찌그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그리고 파이프의 외측면에만 나선형 홈을 형성하다보니 파이프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10-1994-3711호 실용신안공개 제20-2009-10602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출기의 이송장치에 설치하여 압출기측에서 압출된 압출봉을 잡고,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속도로 파이프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내,외측에 연속적으로 나선을 형성시켜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송장치측에 간단하게 설치/분리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는 지지판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압출봉이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립고정부와; 상기 그립고정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압출봉을 고정 및 분리시키는 그립과;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그립고정부, 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그립고정부를 회전시키는 회동유도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는 압출기의 이송장치에 설치하여 압출기측에서 압출된 압출봉을 잡고,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속도로 파이프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내,외측에 연속적으로 나선을 형성시켜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송장치측에 간단하게 설치/분리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나선돌기가 형성된 배수용 파이프의 압출장치를 보인 일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파이프의 나선 압입홈 성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의 동작을 보인 일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의 동력전달수단을 보인 일단면도,
도 7,8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의 그립과 그립고정부를 보인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의 파이프를 보인 일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는 지지판(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00)에 설치되는 실린더(110) 및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와 실린더(110)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실린더(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립고정부(140)와, 상기 그립고정부(140)의 동작에 의해 파이프(190)를 고정 및 분리하는 그립(15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130)과 그립고정부(140), 실린더(110)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그립고정부(140)를 회전시키는 회동유도수단(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0)는 압출기의 이송장치(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음)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LM가이더(101)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110)는 내부에 파이프(190)를 끼울 수 있도록 삽입공(11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피스톤헤드(112)가 구비된 실린더피스톤(111)과,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은 내측면을 따라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의 피스톤헤드(112)가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에어 또는 유압을 공급하는 호스 또는 연결소켓(도면상에 선형태로 도시함)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20)는 모터(121)와, 이 모터(121)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1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100)와 동력전달수단(13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은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122)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132)와, 상기 실린더(110)의 실린더하우징(1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32)에 기어가 맞물려져 구동되는 회동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31)는 지지판(100)의 일측 상기 LM가이더(101)에 설치되어 상기 LM가이더(101)에 의해 상기 케이스(131)가 전,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32)는 구동부(120)의 동력전달축(122)에 요철결합됨과 아울러 동력전달축(122)으로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그립고정부(140)는 동력전달수단(130)의 회동부(133)에 설치되는 체결편(14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141)의 일측에 돌출된 그립고정편(142)이 구비된다.
상기 그립고정편(142)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14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43)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판(1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150)의 외측면은 그립고정편(142)과 동일한 경사면(151)이 형성되며, 내측은 파이프(19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립(150)은 그립고정편(142)의 고정판(145)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고정편(142)의 경사면(143)을 따라 전,후진되는 것이다.
상기 그립고정부(140)와 그립(150) 사이에 각각 고정돌기(144,15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144,152) 사이에 스프링(160)이 탄성지지되게 구비된다.
상기 그립고정편(142)의 고정판(145) 및 그립고정부(140)와 그립(15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그립(15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19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a)는 클로버 형상, 도 9(b)는 삼각형, 도 9(c)는 사각형, 도 9(d)는 오각형 또는 다각형, 도 9(e)는 원통형 파이프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상, 도 9(f)는 막혀진 봉체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상, 도 9(g)는 원통형 파이프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 도 9(h)는 원통형 파이프의 외측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형상, 도 9(i)는 도 9(e)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 단부에 막음현이 구비된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형상과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파이프(19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외측면이 나선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동유도수단(170)은 동력전달수단(130)과 그립고정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롤(171)과, 상기 구동롤(171)에 접촉되며 상기 LM가이더(101)에 설치되는 지지롤(17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롤(171)은 회동부(13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10)의 실린더하우징(114)과 동력전달수단(130)의 회동부(133) 사이에 베어링(18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도수단(170)의 구동롤(171)과 실린더(110)의 실린더피스톤(111) 사이에 베어링(180)이 구비된다. 또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의 삽입공(113)측에 베어링(180)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도 4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150)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90)를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의 삽입공(113)에 삽입시킨 후,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측에 연결된 연결소켓을 통해 에어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을 따라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이 후진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에 설치된 상기 동력전달수단(130)과 회동유도수단(170), 그립고정부(140)가 후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고정부(140)의 경사면(143)과 그립(150)의 경사면(151)을 따라 후진되면서 상기 그립(150)이 상기 파이프(190)의 외측면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부(120)의 동력전달축(122)을 축으로 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의 동력전달부(132)가 후진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축(122)이 회전되면, 상기 동력전달부(132)가 회동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132)에 맞물려진 상기 회동부(133)가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부(133)에 연결된 상기 구동롤(171)과 상기 구동롤(171)에 결합된 그립고정부(140)와 상기 그립고정부(140)에 결합된 그립(150)이 동시에 소정속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동유도수단(170)의 구동롤(171)과 지지롤(172)이 회전되어 상기 파이프(190)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의 회동부(133)와 그립고정부(140), 그립(15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처럼 압출기에서 파이프(190)의 토출압을 고려하여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속도와 상기 파이프(190)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파이프(190)의 내,외측에 나선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실린더(110)에 에어 또는 유압을 처음과 반대로 공급하면,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을 따라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이 전진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하우징(114)에 설치된 상기 동력전달수단(130)과 회동유도수단(170), 그립고정부(140)가 전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0: 지지판 110: 실린더
120: 구동부 130: 동력전달수단
140: 그립고정부 150: 그립
170: 회동유동수단

Claims (5)

  1. 지지판(100)와;
    상기 지지판(100)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파이프(190)가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110)와;
    상기 지지판(100)에 설치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와 실린더(110)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실린더(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그립고정부(140)와;
    상기 그립고정부(1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파이프(190)를 고정 및 분리시키는 그립(15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130) 및 그립고정부(140)와 실린더(110)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그립고정부(140)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동유도수단(17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유도수단(170)은 동력전달수단(130)의 회동부(133)와 그립고정부(140) 및 실린더(110)에 설치되는 구동롤(171)과, 상기 구동롤(171)에 맞대어져 회동되는 지지롤(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10)는 내부에 파이프(190)를 끼울 수 있도록 삽입공(11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피스톤헤드(112)가 구비된 실린더피스톤(111)과, 상기 실린더피스톤(1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1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은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120)의 동력전달축(122)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132)와, 상기 실린더(110)의 실린더하우징(1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32)에 맞물려져 구동되는 회동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고정부(140)는 동력전달수단(130)의 회동부(133)에 설치되는 체결편(14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141)에 돌출된 그립고정편(1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5. 삭제
KR1020150042911A 2015-03-27 2015-03-27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KR10153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911A KR101531813B1 (ko) 2015-03-27 2015-03-27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911A KR101531813B1 (ko) 2015-03-27 2015-03-27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813B1 true KR101531813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911A KR101531813B1 (ko) 2015-03-27 2015-03-27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97B1 (ko) 2015-10-07 2017-07-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복적 비틀림을 이용한 소성변형장치 및 소성변형방법
KR101758784B1 (ko) 2017-03-09 2017-07-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복적 비틀림을 이용한 소성변형장치 및 소성변형방법
KR101860209B1 (ko) * 2016-08-29 2018-05-21 (주)은성알루미늄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용 그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80B1 (ko) * 1993-07-26 1996-01-04 주식회사한국금속 나선관 성형장치
JP2003225715A (ja) * 2002-01-30 2003-08-12 Yoshida Kogyo Kk つるまき線状波付け加工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80B1 (ko) * 1993-07-26 1996-01-04 주식회사한국금속 나선관 성형장치
JP2003225715A (ja) * 2002-01-30 2003-08-12 Yoshida Kogyo Kk つるまき線状波付け加工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97B1 (ko) 2015-10-07 2017-07-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복적 비틀림을 이용한 소성변형장치 및 소성변형방법
KR101860209B1 (ko) * 2016-08-29 2018-05-21 (주)은성알루미늄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용 그립
KR101758784B1 (ko) 2017-03-09 2017-07-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복적 비틀림을 이용한 소성변형장치 및 소성변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813B1 (ko)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
US84652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nular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of a cable or tube
US3249059A (en) Peristaltic-type pump
US8360758B2 (en) Peristaltic pump
CN111633242B (zh) 一种可对薄壁管道快速定位打孔的机械加工用夹具定位机构
CN104492885A (zh) 自动弯管机
CN111412129A (zh) 一种蠕动泵
CN110566443A (zh) 一种螺旋式蠕动泵
CN210117104U (zh) 一种多辊轴自动并丝机
KR101538608B1 (ko) 압출기의 나선식 성형물 제조장치
CN112536363A (zh) 一种用于侧边定位的辅助模具设备
KR101860209B1 (ko) 나선식 파이프 성형장치용 그립
CN113036663B (zh) 一种电气工程用的线缆铺设处理装置
CN112621828B (zh) 一种pe管件制造成型工艺
CN210558565U (zh) 新型气管收卷装置
CN102713290A (zh) 软管泵
CN216443045U (zh) 螺旋缠绕管的全自动管材成型机
KR100320565B1 (ko) 케이블배선용 삽입장치
CN104139510B (zh) 一种振动式螺杆挤出成型装置及方法
SE521553C2 (sv) Peristaltisk pump
CN106395044B (zh) 自动剥标装置
CN108941341B (zh) 一种无扩口导管内旋挤压成型机
CN104044013B (zh) 轴驱动式分度装置
CN1236903C (zh) 缠绕管材成型装置
CN212155566U (zh) 一种使用滚柱结构变速离合器的bprt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