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103B1 -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103B1
KR101531103B1 KR1020130124438A KR20130124438A KR101531103B1 KR 101531103 B1 KR101531103 B1 KR 101531103B1 KR 1020130124438 A KR1020130124438 A KR 1020130124438A KR 20130124438 A KR20130124438 A KR 20130124438A KR 101531103 B1 KR101531103 B1 KR 10153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crylate
composite
polymer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화이 양
링 왕
완리 허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optical, elec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in general
    • C09K19/0275Blue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19/544Macromolecular compounds as dispersing or encapsulating medium around the liquid crys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019/546Macromolecular compounds creating a polymeric net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 (BPLC)을 포함하는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는 가교 결합된 비-액정 폴리머이고, BPLC는 상기 폴리머에 분산되어 있으며, BPLC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가 관계: 12 : 88 < Wp/Wl ≤ 30 : 70 (여기서, Wp는 폴리머의 중량이고, Wl은 BPLC의 중량임)를 충족한다. 복합체는 BPLC의 블루상의 매우 넓은 온도 범위를 나타내고, 밀리초 레벨에서 전기장에 반응할 수 있다. 복합체는 우수한 안정성 및 낮은 점도를 가지는 반면, 넓은 시야각 및 낮은 구동 전압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LCD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Description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A Composite Comprising a Polymer and a Blue Phase Liquid Crystal,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LCD)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 (blue phase liquid crystal; BPLC)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LCD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재생가능한 에너지원의 전체적인 고갈은 최근에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중국에서, 에너지 절약 이슈는 훨씬 더 중요하다.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사용되는 LCD 텔레비전의 총량은 1억을 초과했고 향후 58 년 이내에 34억에 도달할 것이다. 그때까지, 텔레비전의 연중 전력 소비가 500억 킬로와트-시 (kWh)를 초과할 것이고, 그의 2/3는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것이다. LCD는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매체가 되었기 때문에, LCD의 에너지 소비 감소의 기술적인 이슈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주제 및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의 과제가 되고 있다.
LCD의 에너지 소비는 주로 백라이트(backlight), 구동 모드, 액정 물질 및 그의 주변 부품에서 발생한다. 차세대 LCD 기술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것은 블루상 액정 디스플레이 (BP-LCD) 기술이다. BP-LCD는 종래의 LCD 기술에 비해 다음의 네가지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첫번째로, 블루상 액정은 마이크로초 레벨에서 전기장에 빠른 반응을 보이고, 필드 시퀀셜 구동 모드에 적용가능하며, 컬러 필터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블루상 액정은 거시적으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어, 디스플레이 기판의 내부 표면의 정렬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세번째로, BP-LCD는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임의의 시야각 상쇄 필름을 요구하지 않는다. 네번째로, BP-LCD의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의 투과율이 기판 간극에 민감하지 않고, 따라서 제조 공정 동안에 기판 간극이 엄격하게 제어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BP-LCD의 특성은 제조 공정을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대형 LCD 패널을 생산하는데 유용하다.
종래의 LCD와 비교하여, BP-LCD는 백라이트 전력 소비를 약 1/3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하는 동안 에너지 소비를 약 40 %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의 원료 가격을 약 19 %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BP-LCD를 생산하는 방법 및 기술이 종래의 LCD의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생산 설비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BP-LCD 기술 향상의 핵심은 블루상 액정 (BPLC) 물질의 개발에 있다.
2002년에, 양 화이(YANG Huai) 및 기쿠치(Kikuchi) 등은 폴리머 안정화 BPLC 복합체를 보고하였다. 복합체를 바탕으로, 삼성(Samsung)은 첫 폴리머 안정화(polymer-stabilized) BP-LCD 시제품을 생산하였다. 시제품은 디스플레이 위크(Display Week) 2008에 전시되었으며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폴리머 안정화 BP-LCD는 240 Hz 이상의 이미지 구동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동작상(moving imagery)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폴리머 안정화 BPLC의 개발이 LCD 생산 분야에서 관심 집중되고 있다.
폴리머 분산된 액정이 폴리머 매트릭스에 네마틱(nematic) 액정 방울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만들어진 복합체라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폴리머 분산된 액정이 우수한 전기-광학적 성질을 가지고 대량 생산을 달성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대형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 비선형 광학 물질, 전기적으로 제어된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액정 그레이팅(grating)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머 안정화 BPLC을 바탕으로 하는 LCD 제조에서 두가지 주요 장애물: (1) 넓은 온도 범위의 폴리머 안정화 BPLC를 사용하여 고 균일성을 가지는 대형 패널을 제조하기 어렵다는 점; 및 (2) 폴리머 망상구조의 마이크로구조는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중합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양이 일반적으로 10 wt% 미만이어서 만들어진 폴리머 망상구조가 인가된 전기장의 영향 하에서 변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폴리머 안정화 BPLC을 바탕으로 하는 LCD의 수명이 현저하게 짧아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LCD 분야에서, 넓은 온도 범위, 더 낮은 구동 전압 및 전기장에서 더 높은 안정성을 보일 수 있는 유용한 BPLC의 개발에 대한 커다란 요구가 있다.
선행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 및 BPLC를 포함하는 신규한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LCD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가 제공된다. 복합체는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비-액정 폴리머이고, 블루상 액정은 상기 폴리머에 분산되어 있으며,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는 관계 12 : 88 < Wp/Wl ≤ 30 : 70 (여기서, Wp는 폴리머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가 15 : 85 ≤ Wp/Wl ≤ 25 : 75를 충족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Wp/Wl 비가 20 : 8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과 블루상 액정을, Wc/Wl 비가 관계: 12 : 88 < Wc/Wl ≤ 30 : 70 (여기서, Wc는 비-액정 화합물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를 충족하는 Wc/Wl 비로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블렌드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 혼합물 내의 블루상 액정을 블루상으로 유지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을 빛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 사이의 가교 결합 반응을 통해 폴리머 망상구조가 형성되며, 이로써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블루상 액정은 5.0 ℃ 초과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이고, 34 내지 45 mPa·s의 점도, -20 ℃ 내지 -15 ℃의 융점 및 68 내지 88 ℃의 투명점을 가지는 블루상 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Wc/Wl 비가 15 : 85 ≤ Wc/Wl ≤ 25 : 75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Wc/Wl 비가 20 : 80이다.
본 발명에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상기 비-액정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복합체에 포함된 폴리머를 만들기 위한 모노머이다.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며, 각각은 광중합가능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는 몰 기준으로 1:1 내지 1:9이고,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에 대하여, 광개시제의 양은 0.5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 개시제이다. 자외선의 조사로, 광중합가능한 화합물 (모노머)는 폴리머 망상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중합 및 가교 결합을 일으키고, 이로써 본 발명의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한 쌍의 기판 및 본 발명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위에 만들어진 전극을 가지고, 복합체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되고 밀봉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의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BPLC의 블루상의 매우 넓은 온도 범위를 가지며, 또한 밀리초 레벨에서 전기장에 반응할 수 있다. 한편, 넓은 시야각 및 낮은 구동 전압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우수한 안정성, 낮은 점도 및 전기장에 대해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의 제조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롭고 유용한 BPLC 복합체의 설계 및 개발에서 중요한 이론적 의미 및 실무적 가치를 가진다.
도 1은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구조식을 보여주며, 여기서:
도 1-1은 단일관능성 중합가능한 모노머, (2,2,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 (TMHA)의 구조식을 보여주고;
도 1-2는 이관능성 중합가능한 모노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의 구조식을 보여주고;
도 1-3은 삼관능성 중합가능한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의 구조식을 보여준다;
도 2는 광개시제의 구조식을 보여준다;
도 3은 비교예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및
도 8는 실시예 5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는 가교 결합되었으며 비-액정 폴리머이고, 블루상 액정은 상기 폴리머에 분산되었다.
복합체에서,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는 관계 12 : 88 < Wp/Wl ≤ 30 : 70 (여기서, Wp는 폴리머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Wp/Wl 비가 15 : 85 ≤ Wp/Wl ≤ 25 : 75를 충족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Wp/Wl 비가 20 : 80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과 블루상 액정을, Wc/Wl 비가 관계: 12 : 88 < Wc/Wl ≤ 30 : 70 (여기서, Wc는 비-액정 화합물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를 충족하는 Wc/Wl 비로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블렌드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 혼합물 내의 블루상 액정을 블루상으로 유지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을 빛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 사이의 가교 결합 반응을 통해 폴리머 망상구조가 형성되며, 이로써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블루상 액정은 5.0 ℃ 초과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이고, 34 내지 45 mPa·s의 점도, -20 ℃ 내지 -15 ℃의 융점 및 68 내지 88 ℃의 투명점을 가지는 블루상 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Wc/Wl 비가 15 : 85 ≤ Wc/Wl ≤ 25 : 75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Wc/Wl 비가 20 : 80이다.
본 발명에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상기 비-액정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복합체에 포함된 폴리머를 만들기 위한 모노머이다.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며, 각각은 광중합가능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는 몰 기준으로 1:1 내지 1:9이고,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광중합가능한"은 중합가능한 모노머가 빛의 조사 하에서 중합 및 가교 결합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자외선(UV 선) 조사 하에서의 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메틸)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기,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는 광중합가능한 화합물을 지칭한다. 여기에서, 용어 "(메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둘 모두를 의미한다. (메틸)아크릴레이트는 단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4-[2-메틸-4-(4-아크릴옥실프로폭실)벤조일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녹실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는, 2 또는 3 (메틸)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는 광중합가능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2,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 (TM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는, 1 (메틸)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는 광중합가능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광개시제는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에 대하여, 광개시제의 양은 0.5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 개시제이다. 자외선의 조사로, 광중합가능한 화합물 (모노머)는 폴리머 망상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중합 및 가교 결합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써 본 발명의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조사는 일반적으로 2-10 mW/㎠의 선량에서, 수분 내지 수시간, 일반적으로 0.5 시간 이상, 예를 들어 0.5-5 시간, 0.5-3 시간, 또는 0.5-1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한 쌍의 기판 및 본 발명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위에 만들어진 전극을 가지고, 복합체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되고 밀봉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LCD 장치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82.0 wt%의 SLC-X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YongshengHuatsing Liquid Crystal Co., Ltd)의 제품인 혼정(mixed crystal), 298 K에서 Δn = 0.235, Δε = 29.6), 10.0 wt%의 R811 및 8.0 wt%의 Iso-(6OBA)2를 포함한다. BPLC는 약 10.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키랄 화합물 R811 및 Iso-(6OBA)2 (독일, 메르크 게엠베하(Merk GmbH)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은 다음의 구조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112013094124626-pat00001
BPLC는 35 mPa·s의 점도, -15 ℃의 융점 및 86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82.0 wt%의 SLC-X, 10.0 wt%의 R811 및 8.0 wt%의 Iso-(6OBA)2를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및 BDD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BDDA 비는 몰 기준으로 1:4이었다. 실온에서 30:7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siphon action)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Linkam)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4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 1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복합체의 BPLC 텍스쳐를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Liquid Crystal Parameters Tester) (LCT-5016C, 장춘 롄청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Changchun Liancheng Instrument Co. Ltd.))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아래에 서술된 방법으로 테스트하였다. 전기-광학적 성질의 테스트는 주로 복합체 각각의 전기적으로 유도된 복굴절, Δn유도를 측정하게 수행하였다.
거시적으로, 외부 전기장 (E)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의 복합체는 광학적 등방성이다. 인가된 전기장의 증가로, 복합체는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이방성이 된다. 이러한 전기적으로 유도된 복굴절 현상은 케르(Kerr) 효과를 따르며, 즉, 장(field) 강도의 특정 범위 내에서 전기장에 의해 유도된 복굴절 Δn유도 및 전기장 강도 E, 검출 파장 λ 및 물질의 케르 상수 K는 다음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Δn유도 = λKE2 (1)
본 발명의 복합체의 Δn유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계 2에 의해 제조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siphon action)의 방법으로 평면내 전극이 제공된 액정 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에 주입하였다. 만들어진 샘플을 입사광의 방향에 대하여 45 °의 각도로 배향하였다. 온도를 가열 단계 (링캠 LK-600PM)로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하였다. 전기적으로 유도된 복굴절 Δn유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력 증폭기 및 함수 발생기에 의해 공급된 60 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교류를 IPS 셀의 두 전극들 사이에 인가하였다. 샘플 액정 셀을 두개의 교차된 편광판 사이에 두었고, 액정 셀을 투과하는 빛의 강도를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로 검출하였다. 출사 강도 I출사는 다음의 식 (2)로 표현된다:
I출사 = I입사 sin2(Φ/2) (2)
여기서 I입사는 입사광의 강도이고, I출사는 출사광의 강도이며, Φ은 광학적 차단각이다. 유도된 복굴절, Δn유도는 식 (3)으로 계산할 수 있다:
Φ = 2πΔn유도d/λ (3)
여기서 d는 빛 경로의 길이, 즉, 액정 셀의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의 간극이다.
복합체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 전이 온도를 또한 편광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체가 6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10 ℃ 내지 70 ℃)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4는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보이는 투과율을 100 %인 공기의 투과율로 정규화하였다. 복합체 샘플의 구동 전압을 전압 - 투과율 곡선에서 투과율 피크에 상응하는 전압으로 결정하였다. 반응 속도를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 동안 반응 시간의 합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10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비교예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82.0 wt%의 SLC-X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의 제품인 혼정, 298 K에서 Δn = 0.235, Δε = 29.6), 10.0 wt%의 R811 및 8.0 wt%의 Iso-(6OBA)2를 포함한다. BPLC는 약 10.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키랄 화합물 R811 및 Iso-(6OBA)2 (독일, 메르크 게엠베하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은 다음의 구조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112013094124626-pat00002
BPLC는 35 mPa·s의 점도, -15 ℃의 융점 및 86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82.0 wt%의 SLC-X, 10.0 wt%의 R811 및 8.0 wt%의 Iso-(6OBA)2를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및 BDD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BDDA 비는 몰 기준으로 1:4이었다. 실온에서 10:9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3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비교예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만들어진 복합체를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복합체가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의 복합체가 3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20 ℃ 내지 50 ℃)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3은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00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2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60.0 wt%의 SLC-1717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의 제품인 혼정, 298 K에서 Δn = 0.22, Δε = 12.2) 및 40.0 wt%의 R811을 포함한다. BPLC는 약 8.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키랄 화합물 R811은 다음의 구조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112013094124626-pat00003
BPLC는 45 mPa·s의 점도, -20 ℃의 융점 및 68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60.0 wt%의 SLC-1717 및 40.0 wt%의 R811을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및 TMPT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TMPTA 비는 몰 기준으로 1:4이었다. 실온에서 30:7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3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 2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만들어진 복합체를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복합체가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시예의 복합체가 7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5 ℃ 내지 75 ℃)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5는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20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3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92.0 wt%의 SLC-X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의 제품인 혼정, 298 K에서 Δn = 0.235, Δε = 29.6) 및 8.0 wt%의 Iso-(6OBA)2을 포함한다. BPLC는 약 5.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BPLC는 34 mPa·s의 점도, -16 ℃의 융점 및 88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92.0 wt%의 SLC-X 및 8.0 wt%의 Iso-(6OBA)2을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BDDA 및 TMPT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BDDA / TMPTA 비는 몰 기준으로 1:2:3이었다. 실온에서 20:8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3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 3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만들어진 복합체를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복합체가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시예의 복합체가 6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10 ℃ 내지 70 ℃)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6은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05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4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92.0 wt%의 SLC-X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의 제품인 혼정, 298 K에서 Δn = 0.235, Δε = 29.6) 및 8.0 wt%의 Iso-(6OBA)2을 포함한다. BPLC는 약 5.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BPLC는 34 mPa·s의 점도, -16 ℃의 융점 및 88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92.0 wt%의 SLC-X 및 8.0 wt%의 Iso-(6OBA)2을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BDDA 및 TMPT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BDDA / TMPTA 비는 몰 기준으로 2:1:1이었다. 실온에서 20:8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3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 4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만들어진 복합체를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복합체가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시예의 복합체가 6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10 ℃ 내지 70 ℃)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7은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00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5
1 단계: 넓은 온도 범위를 보이는 BPLC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BPLC는 92.0 wt%의 SLC-X (영승후아칭 리퀴드 크리스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의 제품인 혼정, 298 K에서 Δn = 0.235, Δε = 29.6) 및 8.0 wt%의 Iso-(6OBA)2을 포함한다. BPLC는 약 5.0 ℃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인다.
BPLC는 34 mPa·s의 점도, -16 ℃의 융점 및 88 ℃의 투명점을 가진다.
다음의 방법으로 BPLC를 제조했다:
92.0 wt%의 SLC-X 및 8.0 wt%의 Iso-(6OBA)2을 함께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투명점 초과 (투명점보다 약 5-10 ℃ 높은) 온도로 가열했으며, 자성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약 30 분 동안 유지했다. 이에 따라, 원하는 BPLC 물질을 얻었다.
2 단계: 반응 혼합물의 제조
TMHA, BDDA 및 TMPTA (도 1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을 폴리머성 모노머 (즉,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로 이용하였고 TMHA / BDDA / TMPTA 비는 몰 기준으로 1:4:5이었다. 실온에서 20:80의 혼합 중량비로 폴리머성 모노머를 BPLC 물질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블렌드에, 광개시제 (도 2에 구조식을 나타낸 것)를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나서,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3 단계: 복합체의 제조
2 단계에서 얻은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사이펀 액션의 방법으로 액정 셀에 주입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액정 셀은 전극 너비가 5.0 마이크로미터이고,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5.0 마이크로미터이며, 셀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10.0 마이크로미터로 유지되는 IPS 셀이다. 온도가 0.1 ℃의 정확성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 단계 (링캠 LK-600PM)에 샘플을 계속 두어서, BPLC을 블루상으로 유지하였다. 샘플을 5 mW/㎠의 선량에서 30 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였다.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들)을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을 가교 결합 반응을 하도록 진행시켜 폴리머 망상구조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 5의 복합체를 얻었다.
4 단계: 복합체의 성질 측정
만들어진 복합체를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가열 단계를 갖춘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복합체가 BPLC 텍스쳐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시예의 복합체가 70 ℃ 초과 블루상의 온도 범위 (약 5 ℃ 내지 75 ℃)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복합체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리퀴드 크리스탈 파라미터 테스터로 측정하였고, 도 8은 복합체의 전압 - 투과율 곡선을 보여준다. 그 결과, 복합체 샘플은 약 130 V의 구동 전압 및 1 ms 미만의 반응 속도를 나타냈다.
위에 서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이, 폴리머 및 BPLC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블루상의 매우 넓은 온도 범위 및 (밀리초 미만 레벨에서) 전기장에 빠른 반응 속도, 더 낮은 구동 전압 및 넓은 온도 범위에서 좋은 안정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혼정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BPLC는 폴리머 망상구조에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을 기초로 하여, 대형 및 고 균질성을 가지는 액정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조된 복합체는 공지된 폴리머 안정화 BPLC 복합체 물질과 비교하여 더 높은 폴리머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 하에서 폴리머 망상 구조의 변형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폴리머의 모노머를 조정하여 폴리머 망상구조의 마이크로구조는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가 그 위에 만들어진 전극을 가지는 한 쌍의 기판; 및 기판들 사이에 봉입되고 밀봉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 또는 표시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제품 또는 그의 부품,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사진 프레임, 네비게이터 등 일 수 있다.
명백하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들어가거나 그와 동등한 것이라면,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들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8)

  1.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이며,
    폴리머는 가교 결합된 비-액정 폴리머이고, 블루상 액정은 상기 폴리머에 분산되어 있으며,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가 하기 관계:
    12 : 88 < Wp/Wl ≤ 30 : 70
    (여기서, Wp는 폴리머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가 하기 관계:
    15 : 85 ≤ Wp/Wl ≤ 25 : 75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블루상 액정에 대한 폴리머의 중량비 (Wp/Wl)가 2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가 하나 이상의 광중합가능한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광중합가능한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가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4-[2-메틸-4-(4-아크릴옥실프로폭실)벤조일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녹실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가 (2,2,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 (TM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6. 제4항에 있어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가 몰 기준으로 1:1 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가 몰 기준으로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8.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과 블루상 액정을, Wc/Wl 비가 하기 관계:
    12 : 88 < Wc/Wl ≤ 30 : 70
    (여기서, Wc는 비-액정 화합물의 중량이고, Wl은 블루상 액정의 중량임)
    를 충족하는 Wc/Wl 비로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블렌드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 혼합물 내의 블루상 액정을 블루상으로 유지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을 빛으로 조사하여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 사이의 가교 결합 반응을 통해 폴리머 망상구조가 형성되며, 이로써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블루상 액정이 5.0 ℃ 초과의 블루상의 온도 범위를 보이고, 34 내지 45 mPa·s의 점도, -20 ℃ 내지 -15 ℃의 융점 및 68 내지 88 ℃의 투명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Wc/Wl 비가 하기 관계:
    15 : 85 ≤ Wc/Wl ≤ 25 : 75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Wc/Wl 비가 2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가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4-[2-메틸-4-(4-아크릴옥실프로폭실)벤조일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녹실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가 (2,2,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 (TM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 중에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가 몰 기준으로 1:1 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 중에서, 총 다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총 단일관능성 (메틸)아크릴레이트의 비가 몰 기준으로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광중합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액정 화합물의 총량에 대하여 광개시제의 양이 0.5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자외선(UV-선) 개시제이고, 조사하기 위한 빛이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18.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가 그 위에 만들어진 전극을 가지는, 한 쌍의 기판; 및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되고 밀봉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24438A 2012-10-24 2013-10-18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31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409249.9 2012-10-24
CN201210409249.9A CN102952551B (zh) 2012-10-24 2012-10-24 聚合物分散蓝相液晶材料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103B1 true KR101531103B1 (ko) 2015-06-23

Family

ID=4776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38A KR101531103B1 (ko) 2012-10-24 2013-10-18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9776B2 (ko)
EP (1) EP2725085B1 (ko)
JP (1) JP6309239B2 (ko)
KR (1) KR101531103B1 (ko)
CN (1) CN1029525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50A (ko) 2017-04-10 2018-10-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 페이즈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제어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3248B2 (en) 2013-03-28 2016-03-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Blu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e material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ntaining the same
CN103215050A (zh) * 2013-03-28 2013-07-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蓝相液晶复合材料和含该材料的液晶显示器
WO2014176717A1 (en) 2013-04-28 2014-11-06 East Chin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stabilized dual frequency blue phase liquid crystals
CN103499900B (zh) 2013-09-02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器
EP3115436A1 (en) * 2015-07-08 2017-01-1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obtaining a material comprising a liquid crystal mix with a stabilized blue phase and optical article comprising this material
CN107632465B (zh) * 2017-10-16 2021-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358549B (zh) * 2018-03-26 2020-10-30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蓝相液晶复合材料
CN113625380A (zh) * 2021-05-27 2021-11-09 邓景月 一种光栅制备方法及arpdlc全息聚合物液晶光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477A (ja) * 2004-04-30 2005-12-08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高分子とキラリティーを有する液晶材料とからなる複合材料、該複合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該複合材料を用いる光素子
JP3779937B2 (ja) * 2002-05-08 2006-05-3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光学変調素子用液晶材料
KR20120071361A (ko) * 2010-12-22 2012-07-02 포톤 다이나믹스, 인코포레이티드 캡슐화된 폴리머 네트워크 액정 물질,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603A (ja) * 1992-11-12 1994-05-27 Mitsubishi Kasei Corp 調光材料の製造方法及び調光素子
JPH07159749A (ja) * 1993-12-06 199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GB0402006D0 (en) * 2004-01-30 2004-03-03 Dow Corning Ltd Liquid crystal materials
JP2006348226A (ja) * 2005-06-17 2006-12-28 Asahi Glass Co Ltd 液晶/高分子複合体
JP5875032B2 (ja) * 2007-05-08 2016-03-02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高分子/液晶複合材料および液晶素子
US7648647B2 (en) * 2007-05-08 2010-01-19 Kyushu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Polymer/liquid crystal composite and liquid crystal element
JP5487398B2 (ja) * 2007-08-31 2014-05-07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KR101479996B1 (ko) * 2008-02-21 2015-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5420989B2 (ja) * 2008-06-25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472082B1 (ko) * 2008-10-10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2652167B (zh) * 2010-01-25 2014-03-12 株式会社东芝 液晶/高分子复合物、使用其的液晶显示装置、液晶/高分子复合物的制造方法
US8471814B2 (en) * 2010-02-26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a keyboard
JP5379053B2 (ja) * 2010-03-26 2013-12-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偏向装置
WO2011120637A2 (en) * 2010-03-31 2011-10-06 Sony Corporation A method of stabilizing a blu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US8501284B2 (en) * 2010-03-31 2013-08-06 Sony Corporation Blu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US8928846B2 (en) * 2010-05-21 2015-01-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dielectric film over and in contact with wall-like structures
US8568614B2 (en) * 2011-03-18 2013-10-29 Sony Corporation Blu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with reduced hysteresis behavior
CN102517040B (zh) * 2011-12-15 2013-09-25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蓝相液晶材料配方、蓝相液晶材料及其制作方法
TWI496874B (zh) * 2012-06-26 2015-08-21 Ind Tech Res Inst 高分子安定化之光學等向性液晶配方及光學等向性液晶元件
TWI472854B (zh) * 2012-06-27 2015-02-11 Au Optronics Corp 藍相液晶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9937B2 (ja) * 2002-05-08 2006-05-3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光学変調素子用液晶材料
JP2005336477A (ja) * 2004-04-30 2005-12-08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高分子とキラリティーを有する液晶材料とからなる複合材料、該複合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該複合材料を用いる光素子
KR20120071361A (ko) * 2010-12-22 2012-07-02 포톤 다이나믹스, 인코포레이티드 캡슐화된 폴리머 네트워크 액정 물질, 장치, 및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50A (ko) 2017-04-10 2018-10-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 페이즈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제어 소자
KR101972789B1 (ko) * 2017-04-10 2019-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 페이즈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제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9239B2 (ja) 2018-04-11
US9139776B2 (en) 2015-09-22
EP2725085B1 (en) 2018-02-28
US20140111759A1 (en) 2014-04-24
EP2725085A2 (en) 2014-04-30
CN102952551A (zh) 2013-03-06
CN102952551B (zh) 2014-10-22
JP2014085675A (ja) 2014-05-12
EP2725085A3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103B1 (ko) 폴리머 및 블루상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1819B1 (ko) 액정표시 소자
Deshmukh et al. Effect of dichroic dye on phase separation kinetics and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Zhu et al. Improved Kerr constant and response time of polymer-stabilized blue phase liquid crystal with a reactive diluent
CN102007197A (zh) 光学等向性的液晶媒体及光学元件
WO2018105726A1 (ja) リバースモードの液晶デバイス
CN103748508A (zh)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CN104334687A (zh) 光学等向性液晶媒体及光元件
CN103765305B (zh)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Huh et al. Tristate switching of a liquid-crystal cell among initial transparent, haze-free dark, and high-haze dark states
US20210261864A1 (en) Material for liquid-crystal device, and liquid-crystal device
Jeon et al. Effects of curing temperature on switching between transparent and translucent states in a polymer-stabilized liquid-crystal cell
Li et al. A bistable ion-dop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smart window with a small amount of polymer
Zhang et al. Effect of different monomers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reverse-mode polymer stabilized liquid crystal
Yu et al. Zwitterion-treated liquid crystal composites for low-energy-consumption smart windows and wearable devices
CN111752051B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TWI614331B (zh) 二色性染料摻雜的各向同性手性液晶
Yu et al. Steric group-bas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composite films with high contrast ratio, low driving voltage and small hysteresis
Myoung et al. Electroopt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doped with various reinforcing materials
EP2873712A1 (en) Polymer stabilized electrically suppressed helix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cell
Liu et al. Cholesteric flakes in motion driven by the elastic force from nematic liquid crystals
CN108431683B (zh) 液晶显示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Hibi et al. High-Speed Response of Liquild Crystals Using Polymer Stabilization
Park et al. Fast switching of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s by low-temperature curing of the polymer structure
Chen et al. Fast-response liquid crystal display by the VA-IPS display mode with nematic liquid crystal and polyme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