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007B1 -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007B1
KR101531007B1 KR1020130147597A KR20130147597A KR101531007B1 KR 101531007 B1 KR101531007 B1 KR 101531007B1 KR 1020130147597 A KR1020130147597 A KR 1020130147597A KR 20130147597 A KR20130147597 A KR 20130147597A KR 101531007 B1 KR101531007 B1 KR 10153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current
line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689A (ko
Inventor
김성철
손홍관
하태현
이현구
이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0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고 입력단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파워부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되,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는 배터리부와, 외부의 비선형 부하로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이 파워부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비선형 부하와 연결되는 제1 선로와, 일단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파워부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선로와, 파워부의 입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파워부의 출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제1 선로와 제2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들 및 전압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 보상 및 고조파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BIDIRECTIONAL POWER}
본 발명은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시 외부 전원과 배터리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가정용 전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과, 배터리와, 비선형 부하 간의 전력을 관리하고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등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을 탑재형 충전기(OBC, On-Board Charger)를 통해 배터리와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가정에서의 비선형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위한 에너지원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탑재형 충전기는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시 외부 전원과 연결되므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배터리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외부전원과 가정용 전원에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과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이들 전원은 가정용 부하가 비선형 부하일 경우 무효전력, 고조파 함유 등에 의한 전력 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고, 외부전원의 순간정전(정전 포함)에 의한 전력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무효전력, 순간 정전, 고조파 함유 등에 의한 전기 품질 저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지 못하며, 외부 전원과 , 배터리와, 비선형 부하 간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력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61281 (2012.06.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1228 (2012. 02. 21)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외부 전원 및 배터리를 가정용 전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과, 배터리와, 비선형 부하 간의 전력을 단일한 장치에서 관리할 수 있는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시 전원공급 및 순간정전 보상, 고조파 제거를 할 수 있어 비선형 부하로의 전원 공급시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고 입력단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파워부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되,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는 배터리부와, 외부의 비선형 부하로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이 파워부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비선형 부하와 연결되는 제1 선로와, 일단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파워부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선로와, 파워부의 입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파워부의 출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제1 선로와 제2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들 및 전압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 보상 및 고조파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외부 전원 및 배터리를 가정용 부하를 위한 전원으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과, 배터리와, 비선형 부하 간의 전력을 하나의 장치에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시 배터리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가정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는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시 전원공급 및 순간정전 보상, 고조파 제거를 할 수 있어 비선형 부하로의 전원 공급시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에 있어서의 순간 정전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에 있어서의 고조파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10)는 외부 전원(20) 및 비선형 부하(3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파워부(100), 배터리부(200), 제1 선로(300), 제2 선로(400), 센싱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선형 부하(30)는 가정용 전자 제품, 전기 제품 등일 수 있다.
파워부(100)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단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여기서, 파워부(100)는 인버터 및 컨버터를 각각 포함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배터리로부터의 직류전원을 교류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파워부(100)에 포함되는 인버터 및 컨버터는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위칭소자(예를들어, MOSFET 또는 IGBT)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부(20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는다.
제1 선로(300)는 외부의 비선형 부하로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비선형 부하와 연결된다.
제2 선로(400)는 일단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싱부(500)는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에서의 전류(IC) 및 전압(VC),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에서의 전류(Ibat) 및 전압(Vbat), 상기 제1 선로와 상기 제2 선로에 흐르는 전류(IL, IS)를 각각 측정한다.
제어부(600)는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들 및 전압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 보상 및 고조파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Out)를 출력한다. 제어부(600)의 출력은 파워부(100)로 제공되어 출력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의 출력은 인버터 및 컨버터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예를들어, MOSFET 또는 IGBT)들의 게이트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무효전력 감시부(611), 정전 감시부(613), 고조파 함유 감시부(615), 배터리 충전 감시부(617), 무효전력 제어부(621), 정전 보상부(623),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 선택부(630), 신호생성부(640)를 포함한다.
무효전력 감시부(611)는 상기 제1 선로(300)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에 기초하여 무효전력을 계산하고 상기 무효전력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전 감시부(613)는 상기 제1 선로(300)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한다.
고조파 함유 감시부(615)는 상기 제1 선로(300)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어느 하나의 고조파 함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고조파 함유로 판단한다.
배터리 충전 감시부(617)는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배터리부(200)에 제공되는 전압(Vbat) 및 전류(Ibat)를 각각 감지하여, 배터리부(200)의 충전상태의 이상여부를 감지한다.
무효전력 제어부(621)은 상기 무효전력 감시부(611)에서 무효전력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파워부(100)의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원이 가지는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위상 천이하여 무효전력을 보상한다.
정전 보상부(623)는 상기 파워부(100)의 입력단의 전압(Vc)을 발생시켜 비선형 부하로의 출력 전압을 보상하도록 하여, 비선형 부하에 대한 정전을 보상한다. 여기서, 즉, 정전 보상부(623)는 상기 제2 선로 일단의 전압(Vs)에 있어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파워부(100)의 입력단으로 정전이 발생된 구간을 보상할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형 부하(30)로의 출력 전압(VL)을 보상한다.
정전 보상부(623)의 출력은 파워부(100)의 입력단의 전압(Vc)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버터 또는 컨버터 지령 신호일 수 있다.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에서 고조파 함유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으로 흐르는 전류(IC)와 상기 비선형 부하(30)로 흐르는 전류(IL)의 차에 따른 전류(IS)를 출력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파를 제거 및 보상한다.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는 외부로부터 충전기준전류(Ibat_ref)을 제공받으며,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부(617)에서 충전상태의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준전류(Ibat_ref)을 출력한다.
선택부(630)는 상기 무효전력 감시부(611), 상기 정전 감시부(613) 및 상기 고조파 함유 감시부(615), 배터리 충전 감시부(617)에서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621), 상기 정전 보상부(623),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지령을 생성한다.
신호생성부(640)는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621), 상기 정전 보상부(623),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의 출력을 각각 입력받으며, 상기 선택부(630)의 상기 선택지령에 따라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621), 상기 정전 보상부(623),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합성한 제어신호(Out)를 생성 및 출력한다.
즉, 신호생성부(640)는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621), 상기 정전 보상부(623),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625),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627)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합성한 제어신호(Out)를 생성 및 출력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10)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배터리와, 비선형 부하 간의 전력을 단일한 장치에서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입력 전원에 대한 무효전력 보상, 정전 보상, 고조파 제거를 할 수 있어 가정용 전원 공급시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10) 전단에 가정용 전원의 상태 등을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과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필요한 시스템(예를 들어, MCS 시스템(Monitoring & Charging System))이 추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10)들의 수가 많아지면, 전력 계통에서의 무효전력 보상 등의 기능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100: 파워부, 200: 배터리부,
300: 제1 선로, 400: 제2 선로,
500: 센싱부, 600: 제어부,
611: 무효전력 감시부, 613: 정전 감시부,
615: 고조파 함유 감시부, 617: 배터리 충전 감시부,
621: 무효전력 제어부, 623: 정전 보상부,
625: 고조파 보상 제어부, 627: 배터리 충전 제어부,
630: 선택부, 640: 신호생성부,
20: 외부전원,
30: 비선형 부하.

Claims (4)

  1.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단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파워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는 배터리부;
    일단이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비선형 부하와 연결되는 제1 선로;
    일단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선로;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상기 제1 선로와 상기 제2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선로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에 기초하여 무효전력을 계산하고 상기 무효전력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효전력 감시부와, 상기 제1 선로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정전으로 판단하는 정전 감시부와, 상기 제1 선로에서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 중 어느 하나의 고조파 함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고조파 함유로 판단하는 고조파 함유 감시부와, 상기 파워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배터리부에 제공되는 전압 및 전류를 각각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상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배터리 충전 감시부와, 상기 무효전력 감시부에서 무효전력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에서의 입력 전원이 가지는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위상 천이하여 무효전력을 보상하는 무효전력 제어부와,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의 전압을 발생시켜 비선형 부하로의 출력 전압을 보상하도록 하여 비선형 부하에 대한 정전을 보상하는 정전 보상부와, 상기 고조파 함유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파워부의 입력단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비선형 부하로 흐르는 전류의 차에 따른 전류를 출력하도록 하여 고조파를 제거 및 보상하는 고조파 보상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충전기준전류를 제공받으며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부에서 충전상태의 이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준전류를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효전력 감시부, 상기 정전 감시부, 상기 고조파 함유 감시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 감시부에서의 판단 또는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 상기 정전 보상부,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지령을 생성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의 상기 선택지령에 따라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 상기 정전 보상부, 상기 고조파 보상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합성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KR1020130147597A 2013-11-29 2013-11-29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KR10153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597A KR101531007B1 (ko) 2013-11-29 2013-11-29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597A KR101531007B1 (ko) 2013-11-29 2013-11-29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89A KR20150062689A (ko) 2015-06-08
KR101531007B1 true KR101531007B1 (ko) 2015-06-25

Family

ID=5350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597A KR101531007B1 (ko) 2013-11-29 2013-11-29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437A (ko) * 2001-03-10 2002-09-16 한국터치스크린(주) 좌표변환 제어장치 및 변환방식 설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93A (ja) * 2001-04-10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2157201A (ja) * 2011-01-27 2012-08-16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装置、電気自動車充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228034A (ja) * 2011-04-18 2012-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自動車と家屋間の充放電システム
JP2013099078A (ja) * 2011-10-31 2013-05-20 Toyota Motor Corp 外部負荷に放電(給電)可能な蓄電部を備えた車両、同車両と電力ケーブルとを含む放電システム、同蓄電部の放電制御方法、及び、同放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車両外部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93A (ja) * 2001-04-10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2157201A (ja) * 2011-01-27 2012-08-16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装置、電気自動車充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228034A (ja) * 2011-04-18 2012-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自動車と家屋間の充放電システム
JP2013099078A (ja) * 2011-10-31 2013-05-20 Toyota Motor Corp 外部負荷に放電(給電)可能な蓄電部を備えた車両、同車両と電力ケーブルとを含む放電システム、同蓄電部の放電制御方法、及び、同放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車両外部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437A (ko) * 2001-03-10 2002-09-16 한국터치스크린(주) 좌표변환 제어장치 및 변환방식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89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5619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7560902B2 (en) Duty cycle controller for high power factor battery charger
WO2017159486A1 (ja) 力率改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蓄電装置
US9906070B2 (en) Distributed power source system with storage battery
JP4531113B2 (ja) 電力変換装置
KR20180129894A (ko) 무정전 전원 장치
JP2009033840A (ja)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2144399A1 (ja) 直流給電システム
KR101529889B1 (ko) 역률개선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20160064973A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 전력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38679B2 (ja) 双方向コンバータ
KR101531007B1 (ko) 양방향 전력 관리 장치
JP6526804B2 (ja) 電気自動車またはハイブリッド自動車に用いられる、ガルバニック絶縁なしのバッテリ充電器の中性電流設定値を補正する装置及び方法
JP5748610B2 (ja) 充電装置
JP2016059243A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池制御方法、蓄電池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源システム
JP2016046997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06010B1 (ko) 무정전 전원장치의 직류단 전압 불평형 제어 장치
KR101592227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의 dc 버스 불균형 제어 회로
US115524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balancing
WO2024057625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による電気系統異常検出方法
KR101768077B1 (ko) 역률 개선 회로와 배터리를 이용한 전력 보조 장치
JP2016054590A (ja) 車両充電システム
KR20200068389A (ko) 차량의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90931B2 (ja) 無停電電源装置および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5008561A (ja) 低損失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