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253B1 -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253B1
KR101530253B1 KR1020130060261A KR20130060261A KR101530253B1 KR 101530253 B1 KR101530253 B1 KR 101530253B1 KR 1020130060261 A KR1020130060261 A KR 1020130060261A KR 20130060261 A KR20130060261 A KR 20130060261A KR 101530253 B1 KR101530253 B1 KR 10153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ck
pressure
diaphragm
gasifi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774A (ko
Inventor
정석우
정기진
전동환
이진욱
김규태
김용전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3006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2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10J3/526Ash-remov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로부터의 고형화된 알갱이 형태의 슬랙이 유입되는 슬랙 배출 호퍼; 고압질소의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하여 상기 고형화 슬랙을 배출하도록 상기 슬랙 배출 호퍼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고압질소를 상기 격막에 공급하고 배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하는 고압질소 이송라인; 상기 격막에의 상기 고압질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콘트롤밸브; 및 상기 격막에 공급된 상기 고압질소의 벤트량을 제어하여 배출하는 벤트량 콘트롤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Apparatus for continuously exhausing slag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ification}
본 발명은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의 격막이 장착되어 고압 질소를 공급/벤트 시킴에 따라 격막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도 고형화 슬랙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화기는 1,400℃, 20기압 이상의 고온, 고압 조건으로 운전되면서, 공급되는 저급시료와 산화제(산소, 공기, 수증기)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저급시료 중 유기물 성분은 CO와 H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시키고, 무기물 성분으로 구성되는 회분은 고온에서의 용융을 통해 슬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합성가스는 가스화기의 측면 출구를 통해 후단 공정으로 이송되고, 용융 슬랙은 반응구역 하단의 슬랙탭을 통해 냉각수가 채워져 있는 가스화기 하부의 퀀처(quencher)로 떨어지면서 급랭에 의해 고형화된 후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석탄, 석유코크스 등 다양한 저급시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제조하고자 고온, 고압 조건에서 운전이 진행되는 가스화기는 저급시료 내 회분이 용융되어 슬랙 형태로 배출되는 용융 방식이 대부분이며, 1,400℃, 20기압 이상의 조건에서 공급되는 저급시료와 산화제(산소, 공기, 수증기)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저급시료 중 유기물 성분은 CO와 H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시키고, 무기물 성분은 고온에서 용융 슬랙으로 전환시킨 후 가스화기 하부의 퀀처에서 급랭하여 고형화 슬랙으로 배출하는 슬랙 록호퍼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록호퍼 방식 슬랙 배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화기(1) 내부에서 고온, 고압 조건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합성가스와 용융 슬랙은 아래 방향으로 내려오다가 반응구역 끝단에 설치된 슬랙탭(2)을 통과하게 되는데, 슬랙탭(2)은 고온의 합성가스 및 용융 슬랙의 흐름을 가운데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슬랙탭(2)을 통과한 합성가스는 유도관(3)을 통과하게 되는데, 고온의 합성가스에 의해 유도관(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 냉각수 이송라인(4)에 설치된 다수개의 분사노즐(5)을 통해 유도관(3) 외측면에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서, 유도관(3)을 통과하며 빠져나오는 합성가스를 냉각시키게 되며, 냉각된 합성가스는 가스화기 출구(6)를 통해 후단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가스화기 퀀처의 냉각수(7) 수위가 변동할 경우, 가스화기(1) 내부의 압력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출수 이송라인(8)에 설치된 콘트롤밸브(8-1)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연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퀀처 냉각수(7)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합성가스와 함께 유도관(3)을 통과한 용융 슬랙은 중력에 의해 가스화기(1) 하부에 저장되어 있는 퀀처 냉각수(7)로 떨어지면서 냉각수와의 접촉에 따른 열충격에 의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쪼개지며 고형화되고 이처럼 고형화된 슬랙은 아래의 배출구 방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 하부의 퀀처 냉각수에 떨어지면서 작은 알갱이 형태로 고형화되며 가라앉는 슬랙을 배출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가스화기(1)의 하부에 슬랙 록호퍼가 설치되는 록호퍼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록호퍼 시스템의 경우, 가스화기 정상운전 중에는 슬랙 록호퍼(11)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 볼밸브(9)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배출 볼밸브(1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고압으로 운전되면서 퀀처로부터 가라앉는 고형화 슬랙 알갱이를 슬랙 록호퍼(11)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록호퍼(11) 내부에 슬랙이 쌓이게 되면 고압 상태로 저장중인 슬랙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유입 볼밸브(9)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여 록호퍼(11)를 차단상태로 변경한다.
이러서, 록호퍼(11) 차단이 완료되면 벤트 밸브(13)를 열어 록호퍼(11) 내부의 압력을 배출함으로써 록호퍼(11) 내부를 상압 상태로 만들고, 드레인 밸브(15)를 열어 록호퍼(11)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한 후 다시 닫게 되며, 마지막으로 가장 하단에 위치한 배출 볼밸브(10)를 열어 록호퍼(11) 내부의 고형화 슬랙을 아래로 배출하는데 이때 슬랙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냉각수 공급 밸브(14)를 열어 록호퍼(11)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다가 배출이 완료되면 차단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고압 상태이던 록호퍼(11) 내부의 슬랙이 상압 상태의 외부로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반대의 순서에 따라 배출 볼밸브(10)를 닫고 상압 상태의 록호퍼(11)를 가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냉각수 공급 밸브(14)가 열리면서 록호퍼(11) 내부에 냉각수를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 충전이 완료되면 가압 밸브(12)가 열리면서 고압의 질소가 유입되어 록호퍼(11) 내부의 압력을 가스화기(1) 하부 퀀처 냉각수(7)와 동일한 압력으로 만들게 되며, 퀀처와 록호퍼의 압력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마지막으로 유입 볼밸브(9)가 열리면서 록호퍼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퀀처 냉각수에 저장되어 있던 고형화 슬랙과 운전 중 생성되는 고형화 슬랙을 다시 일정시간 동안 록호퍼(11) 내부로 유입시키며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슬랙의 저장이 진행된 이후에는 다시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록호퍼 시스템이 작동하게 된다.
가스화기의 정상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고형화 슬랙을 배출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이와 같이 작동하는 록호퍼 방식의 경우, 감압과 가압 과정을 반복하면서 배치(batch)식으로 고압 상태의 록호퍼 내부 슬랙을 상압 상태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많은 밸브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이 복잡하게 구성되고 복잡한 제어 방식에 의해 운전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록호퍼 방식의 작동을 위하여 록호퍼 전후단에 공압구동 방식의 대형 볼밸브(유입 및 배출 볼밸브)가 설치되는데, 볼밸브의 기밀을 유지하는 쉬트(sheet) 부분에서 고형화 슬랙의 끼임이나 긁힘 현상으로 인해 쉬트가 손상되어 장시간 사용 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로서 가스화기, 슬랙 배출 등을 키워드로 검색된 특허문헌들은 대부분이 고온,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에서 종래 기술인 록호퍼 시스템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고형화 슬랙을 배출하는 방식이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식 및 구조에 부합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 10-1170070호(2012.8.1 공고)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33996호(2011.4.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압 질소를 공급/벤트 시킴에 따라 격막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도 고형화 슬랙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로부터의 고형화된 알갱이 형태의 슬랙이 유입되는 슬랙 배출 호퍼; 고압질소의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하여 상기 고형화 슬랙을 배출하도록 상기 슬랙 배출 호퍼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고압질소를 상기 격막에 공급하고 배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하는 고압질소 이송라인; 상기 격막에의 상기 고압질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콘트롤밸브; 및 상기 격막에 공급된 상기 고압질소의 벤트량을 제어하여 배출하는 벤트량 콘트롤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격막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따라 배출되는 상기 고형화 슬랙에 고압 냉각수를 공급하는 고압 냉각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화 슬랙이 상기 슬랙 배출 호퍼로 유입되는 동안에는 개방되고, 상기 격막이 불작동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가스화기 내부 압력이 상기 슬랙 배출 호퍼를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비상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막을 다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격막이 순차적으로 팽창과 수축하도록 상기 고압질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록호퍼 방식의 경우,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정상운전 동안 주기적으로 감압과 가압 과정을 반복하면서 배치(batch)식으로 고압 상태의 록호퍼 내부 슬랙을 상압 상태의 외부로 배출하고, 또한, 감압과 가압 과정을 반복하면서 고압 상태의 슬랙을 배출하기 위하여, 록호퍼 전후단에 설치되는 공압구동 방식의 대형 볼밸브(유입 및 배출 볼밸브)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밸브들로 복잡하게 구성되며, 볼밸브의 기밀을 유지하는 쉬트(sheet) 부분에서 고형화된 슬랙의 끼임이나 긁힘 현상으로 인해 쉬트가 손상되어 장시간 사용 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배출장치의 경우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 고형화 슬랙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고압 고무 등)의 격막을 적용하여 기밀 유지의 문제점없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장치비가 적게 소요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록호퍼 방식 슬랙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 장치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여 사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도 2 장치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1)로부터의 고형화된 알갱이 형태의 슬랙(24)이 유입되는 슬랙 배출 호퍼(20)와,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22)과, 고압질소를 격막(22)에 공급하고 배출하는 통로인 고압질소 이송라인(30)과, 격막(22)에의 공급되는 고압질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콘트롤밸브(32) 및 격막(22)에 공급된 고압질소의 벤트량을 제어하여 배출하는 벤트량 콘트롤밸브(34)를 포함할 수 있다.
격막(22)은 고압질소의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고압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고온 고압 가스화기(1)로부터 유입되어 쌓이는 고형화 슬랙(24)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격막(22)의 움직임에 의한 고형화 슬랙(24)의 배출 시, 그 배출 흐름을 원활하게 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고압 냉각수를 고압 냉각수 공급라인(40)을 통해 고압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격막(2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고형화 슬랙(24)과 가스화기 퀀처 내부의 냉각수 및 압력의 급격한 배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비상 차단 밸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차단 밸브(50)는 고형화 슬랙(24)이 슬랙 배출 호퍼(20)로 유입되는 동안에는 개방되고, 격막(22)이 불작동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격막(22)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격막(22)에 고압질소를 공급하도록 복수개의 고압질소 이송라인(30)이 설치되어, 각각의 격막(22)이 순차적으로 팽창과 수축하도록 고압질소를 공급함에 따라, 마치 사람의 장이 운동하듯이 각각의 격막(22)을 작동하여, 가스화기(1) 내부의 고압을 유지하면서 고형화 슬랙(24)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화기(1)의 정상운전이 시작되기 전에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의 격막(22)은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슬랙(24)이 통과하는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에서 격막(22)은 넓은 간격을 유지한다.
이어서, 가스화기(1)의 정상운전이 진행되어 용융 슬랙이 퀀처 냉각수(7)로 유입되면서 알갱이 형태의 고형화 슬랙(24)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고압질소 공급량 콘트롤밸브(32)가 열리면서 고압질소를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의 격막(22)에 공급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2)이 팽창하며 고형화 슬랙(24)이 통과하는 공간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와 같이 격막(2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유입되는 고형화 슬랙(24)의 알갱이들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쌓이게 되며, 이와 같이 고형화 슬랙(24)의 입자들이 격막(22)의 좁아진 구간에서 쌓이기 시작함에 따라 저항이 발생하여 퀀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만 소량씩 빠져나가게 되므로, 슬랙 배출 호퍼(20) 전단에 별도의 차단 밸브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1) 퀀처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고형화 슬랙(24)이 격막(22)에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면 벤트량 콘트롤밸브(34)와 공급량 콘트롤밸브(32)가 번갈아 작동하면서 조금씩 고압질소의 배출/공급을 반복함으로써, 격막(22)이 조금씩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적체되어 있던 고형화 슬랙(24)을 조금씩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필요한 경우, 고형화 슬랙(24)의 배출을 보다 원활히 도와주기 위하여 고압 냉각수 공급라인(40)을 통해 고압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고형화 슬랙(24)이 슬랙 배출 호퍼(20)로 유입되는 동안 계속해서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진행된다.
그리고 비상 차단 밸브(50)는 운전 중 계속 열림 상태를 유지하다가 격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만 즉시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가스화기(1) 내부의 압력이 슬랙 배출 호퍼(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에 의하면,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에 다수의 격막(22)이 구성됨에 따라, 고압질소를 이용하여 각 격막(22)을 순차적으로 팽창/수축시킴으로써, 마치 복수의 격막(22)이 사람의 장이 운동하듯이 작동하여 가스화기(1) 내부의 고압을 유지하면서 고형화 슬랙(24)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1)에서 생성되는 용융 슬랙을 가스화기 하부의 퀀처 냉각수와의 접촉에 의해 고형화되어 가라앉게 되는 구성은 기존 가스화기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고형화 슬랙(24)을 배치(batch)식 운전에 따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종래의 록호퍼(lock hopper) 방식과 달리, 유연성이 우수한 고압 고무 재질의 격막(22)이 내부에 장착된 슬랙 배출 호퍼(20)를 이용함으로써 가스화기(1)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도 고형화 슬랙(24)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측면에서 종래 기술과 차별화된다.
즉, 본 발명의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는 슬랙 배출 호퍼(20) 내부 격막(22)에 가스화기 운전압력보다 높은 고압의 질소를 공급하여 격막(22)을 고형화 슬랙(24)이 떨어지는 관로의 90o 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고형화 슬랙(24)이 격막(22)의 팽창에 의해 관로가 좁아짐에 따라 정체되었다가, 다시 고압질소의 일부 벤트(vent)를 통해 격막(22)의 압력을 다소 낮추어줌에 따라 관로가 다시 조금 확장되어 정체되었던 슬랙(24)이 빠져나가므로, 격막(22)의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으로써 고형화 슬랙(24)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록호퍼 방식을 위해 록호퍼 전후단에 공압구동식 대형 볼밸브 설치가 필요하고, 가압과 감압을 반복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압/감압 밸브가 소요되며, 록호퍼 방식으로 슬랙을 배출함에 따라 볼밸브의 기밀을 유지하는 쉬트(sheet) 부분에서 고형화 슬랙의 끼임이나 긁힘 현상으로 인해 쉬트가 손상되어 장시간 사용 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므로, 종래의 문제점들의 해결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가스화기 11 : 슬랙 록호퍼
20 : 슬랙 배출 호퍼 22 : 격막
24 : 고형화 슬랙 30 : 고압질소 이송라인
32 ; 공급량 콘트롤밸브 34 : 벤트량 콘트롤밸브
40 : 고압 냉각수 공급라인 50 : 비상 차단 밸브

Claims (4)

  1. 고온 고압 가스화기로부터의 고형화된 알갱이 형태의 슬랙이 유입되는 슬랙 배출 호퍼;
    고압질소의 공급에 따라 팽창과 수축하여 상기 고형화 슬랙을 배출하도록 상기 슬랙 배출 호퍼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고압질소를 상기 격막에 공급하고 배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하는 고압질소 이송라인;
    상기 격막에의 상기 고압질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콘트롤밸브; 및
    상기 격막에 공급된 상기 고압질소의 벤트량을 제어하여 배출하는 벤트량 콘트롤밸브를 포함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따라 배출되는 상기 고형화 슬랙에 고압 냉각수를 공급하는 고압 냉각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 슬랙이 상기 슬랙 배출 호퍼로 유입되는 동안에는 개방되고, 상기 격막이 불작동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가스화기 내부 압력이 상기 슬랙 배출 호퍼를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비상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을 다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격막이 순차적으로 팽창과 수축하도록 상기 고압질소를 공급하는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KR1020130060261A 2013-05-28 2013-05-28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KR10153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61A KR101530253B1 (ko) 2013-05-28 2013-05-28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61A KR101530253B1 (ko) 2013-05-28 2013-05-28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74A KR20140139774A (ko) 2014-12-08
KR101530253B1 true KR101530253B1 (ko) 2015-06-22

Family

ID=5245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61A KR101530253B1 (ko) 2013-05-28 2013-05-28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0966A (zh) * 2017-04-20 2018-11-02 中节能(宿迁)生物质能发电有限公司 一种生物质直燃锅炉脉冲式排渣装置
CN111621330B (zh) * 2019-02-28 2024-04-1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气化炉系统及其燃烧室氮气置换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063A (ja) * 1996-10-18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ガス化装置
WO2003018720A2 (en) 2001-08-28 2003-03-06 Sasol-Lurgi Technology Company (Pty) Limited Apparatus and prcess for discharging ash from a high pressure gasifier
KR20100125345A (ko) * 2008-03-27 2010-11-30 우데 게엠베하 가스화 반응기 및 연결 켄칭챔버를 구비한 합성가스 제조장치
KR101170070B1 (ko) * 2009-12-21 2012-08-01 한국전력공사 고온고압 배출조의 슬래그 양을 측정하여 배출 처리가 가능한 석탄가스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063A (ja) * 1996-10-18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ガス化装置
WO2003018720A2 (en) 2001-08-28 2003-03-06 Sasol-Lurgi Technology Company (Pty) Limited Apparatus and prcess for discharging ash from a high pressure gasifier
KR20100125345A (ko) * 2008-03-27 2010-11-30 우데 게엠베하 가스화 반응기 및 연결 켄칭챔버를 구비한 합성가스 제조장치
KR101170070B1 (ko) * 2009-12-21 2012-08-01 한국전력공사 고온고압 배출조의 슬래그 양을 측정하여 배출 처리가 가능한 석탄가스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74A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syngas within a gasifier system
KR101156884B1 (ko) 바이오매스 가스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UA100254C2 (uk)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переробки co2-вмісних відпрацьованих газів
US9695371B2 (en) Cooling and scrubbing of a crude gas from entrained flow gasification
GB2405603A (en) Method for gasification of a solid carbonaceous feed and a reactor for use in such a method
US20090173005A1 (en) Feed System
KR101530253B1 (ko) 고온 고압 가스화기의 연속식 슬랙 배출장치
RU260766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ификации твердых горючих материал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в стационарном слое
US9127207B2 (en) Pyrolyser
AU2011241630B2 (en) Coal gasification system and coal gasification method
JP6611626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炉の運転方法
US9290708B2 (en)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gasifying a fuel
SE431559B (sv) Anordning for kolforgasning
JP4481906B2 (ja) 加圧型ガス化装置、その運転方法およびガス化発電装置
JPH10287886A (ja) スラグ排出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装置
KR101550319B1 (ko) 석탄 가스화 장치 및 그 냉각 챔버
JP2012107085A (ja) 石炭ガス化装置におけるスラグ除去方法、並びに石炭ガス化装置
RU240961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интез-газа и установка газификации
RU13280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интез-газа и установка газификации
JP2015054948A (ja) 石炭ガス化装置
KR100492847B1 (ko) 고압 생성가스 세정장치의 분진함유 폐수 상압 배출장치
JP4370464B2 (ja) ガス化処理装置及び方法
RU8801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интез-газа и установка газификации
JP5262218B2 (ja) ガス生成炉のパージ方法及び装置
CN106010661B (zh) 一种混合气化工艺中气化炉环隙的吹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