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048B1 -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 Google Patents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48B1
KR101530048B1 KR1020140177627A KR20140177627A KR101530048B1 KR 101530048 B1 KR101530048 B1 KR 101530048B1 KR 1020140177627 A KR1020140177627 A KR 1020140177627A KR 20140177627 A KR20140177627 A KR 20140177627A KR 101530048 B1 KR101530048 B1 KR 10153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drain
smoke
ai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나민희
류동우
정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to KR102014017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48B1/ko
Priority to PCT/KR2015/010707 priority patent/WO2016093481A1/ko
Priority to CN201510854985.9A priority patent/CN106562680A/zh
Priority to PH12016501611A priority patent/PH120165016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열 발생장치, 컨벡션 팬 및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오븐으로서, 상기 조리실은 상기 열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본체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 및 컨벡션 팬은 열을 발생하여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고, 외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개방되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어 훈연을 발생하는 훈연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콤비 오븐으로서, 조리실 내부의 훈연 기능을 포함하여, 훈연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비 오븐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COMBINATION OVEN WITH SMOKE FUNCTION}
본 발명은 콤비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에 관한 것이다.
콤비 오븐은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8363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리실 내부에 훈연 및 열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의 경우 별도의 훈연장치를 콤비 오븐의 외장 일측에 위치시켜 콤비 오븐과는 별도로 동작하는 훈연발생장치로서 훈연소실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별도 훈연장치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콤비 오븐 내부의 온도편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컨벡션 팬이 일정시간 정회전 후 일정시간 역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콤비 오븐의 외장 일측에 별도의 훈연발생장치를 위치하여 콤비 오븐 내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별도의 훈연발생장치에서 발생된 훈연이 콤비 오븐 내부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콤비 오븐의 컨벡션 팬이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 정지하게 되는 시간 동안은 훈연이 자연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훈연발생장치 내부의 온도보다 콤비 오븐 내부 온도를 높게 하여 사용하게 되는 대다수의 요리 환경에서는 온도 차에 따른 압력 차로 인해 발생된 훈연이 자연 유입되는 현상을 억제시켜 원하는 양의 훈연이 콤비 오븐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다른 방법의 훈연발생으로 콤비 오븐 내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훈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168363 B1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의 열 및 훈연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콤비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훈연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비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 오븐은, 조리실, 열 발생장치, 컨벡션 팬 및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오븐으로서, 상기 조리실은 상기 열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본체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 및 컨벡션 팬은 열을 발생하여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고, 외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개방되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어 훈연을 발생하는 훈연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훈연 발생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식이 개선되어 훈연발생 시작시간을 보다 앞당길 수 있고, 훈연발생 지속시간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훈연 발생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훈연 시간이 각기 다른 다양한 음식물의 훈연 조리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의 조리실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의 조리실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연 발생장치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막 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드레인 캡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밸브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을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은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이다. 특히, 훈연 발생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식이 개선됨에 따라 훈연을 조리실의 내부에서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되는 훈연을 조리실의 내부에서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조리되는 음식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용 콤비 오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의 조리실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이하, 콤비 오븐)은, 오븐 본체(100), 음식물이 수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200), 열을 발생하는 열 발생장치(300), 열을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400) 및 음식물의 조리 시에 발생되는 조리액 등의 액체를 배수하는 드레인부(500)를 포함하는 콤비 오븐(1000)이다.
오븐 본체(100)는 내부에 조리실(100)이 형성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오븐 본체(100)에는 콤비 오븐(1000)의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오븐 제어부(미도시), 오븐 제어부와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미도시) 및 조리실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조리실(200)은 열 발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조리용 열을 이용하여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본체(100)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리실(200)은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오븐 본체(100)에 구비된 도어(110)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조리실(200)에는 중심부에 복수개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차단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판(210)은 도어(110)를 마주보는 조리실(200)의 타측면(220) 및 조리실(200)의 바닥면(230) 각각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조리실(200)의 내부면들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단판(210)은 조리실(200)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210)을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조리실(200)의 우측 공간은 조리공간(240)일 수 있고, 좌측 공간은 열 발생공간(250)일 수 있다.
한편, 차단판(210)의 가장자리부는 열 발생공간(250)에서 조리공간(24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열 발생공간(250) 내의 공기가 조리공간(240)으로 송출될 때 목적하는 패턴으로 공기 및 훈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200)의 바닥면(230)은 이의 중심위치에 형성되는 드레인부(500) 내로 액체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바닥면(230)의 가장자리에서 드레인부(50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면(230)은 드레인부(500)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열 발생장치(300)는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조리실(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열 발생장치(300)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조리실(200)의 열 발생공간(250) 내부에 노출되는 발열체(hea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발열체에는 오븐 본체(100)의 오븐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가 연결될 수 있다. 발열체는 조리실(200)의 내부를 목적하는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방식 예컨대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방식의 발열체일 수 있다. 한편, 열 발생장치(300)는 컨벡션 팬(400)의 외측에서 컨벡션 팬(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열 발생공간(25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의 배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컨벡션 팬(400)은 열기 및 훈연을 조리실(200)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도록 조리실(200)의 열 발생공간(250)에 형성된다. 컨벡션 팬(400)은 오븐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미도시) 및 오븐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며, 예컨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 날개가 지지되는 원판 형상의 팬 몸체 및 팬 몸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차단판(210)의 중심부를 마주보도록 열 발생공간(2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컨벡션 팬(400) 외에도 조리실(200)의 열 및 훈연을 목적하는 소정의 유동 형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공기 순환장치가 컨벡션 팬(400) 대신 조리실(200) 내에 적용될 수 있다.
컨벡션 팬(400)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는 동안 차단판(210)의 공기 흡입구로 조리공간(240)의 공기가 흡기되고, 흡기되는 공기는 컨벡션 팬(400)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그 흐름이 유도된다. 방사상으로 흐름이 유도되는 공기는 차단판(210)과 조리실(200) 내부면들과의 사이의 이격 공간들을 통과하여 조리공간(240)의 내부에 소정의 속도로 송출된다. 조리공간(240) 내로 송출되는 공기는 조리공간(240) 내부에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순환하며 차단판(210)의 공기 흡입구로 흡기된다. 상기의 과정이 반복되며 조리실(200) 내부에서 열기 및 훈연이 순환하게 된다. 이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이처럼 조리실(200)의 공기가 소정의 패턴으로 순환되며 열 및 훈연이 음식물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드레인부(500)는 조리실(200)의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조리액 등의 액체를 오븐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드레인부(500)는 조리실(200)의 바닥면(230) 중심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부(500)의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는 조리실(200)의 바닥면(230) 중심위치에서 조리실(200)과 연결되고, 외측 드레인 개구부(520)는 오븐 본체(100)를 하부면에서 외부로 개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비 오븐(1000)의 주요 구성부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 구성부들의 구조가 명확하게 설명되도록 그 형상 및 연결관계를 도면상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는 좌표축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연 발생장치의 모식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콤비 오븐(1000)은 조리실(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훈연을 발생하는 훈연 발생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훈연 발생장치(600)는 훈연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조 및 제어방식이 개선된 훈연 발생장치(600)로서, 콤비 오븐(1000)에 제공되어 종래보다 훈연발생 시작시간을 앞당길 수 있고, 훈연발생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훈연 발생장치(600)를 상세히 설명한다.
훈연 발생장치(600)는 조리실(2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조리실(20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실(200)의 내부 상측보다 조리실(200)의 내부 하측에 상대적으로 산소가 적게 분포됨을 이용하여, 훈연 발생장치(600)의 후술하는 수납 본체(620)를 상대적으로 산소가 적은 측에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훈연재료의 연소가 억제되고 열분해가 촉진될 수 있어, 훈연발생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훈연 발생장치(600)는 발열부재(610) 및 수납 본체(620)를 구비할 수 있다. 발열부재(610)는 예컨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체 형상의 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훈연발생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훈연재료를 열분해시킬 수 있도록 소정 온도 범위로 발열이 제어될 수 있다.
발열부재(610)는 조리공간(240)으로 노출되는 조리실(200)의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서는 도어(110)를 마주보는 조리실의 타측면(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또는, 조리실(200)의 상부면보다 바닥면(230)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조리실의 타측면(220)에 장착될 수 있다.
발열부재(6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발열부재(61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열이 보다 넓은 면적에서 확산될 수 있어 동일 시간 내에 더 많은 훈연이 발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따라서, 발열부재(610)의 개수는 목적하는 훈연 발생량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발열부재(610)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수납 본체(620)는 내부에 훈연재료 예컨대 조리용 펠릿 또는 우드 칩이 수납될 수 있는 소정 형상의 수납공간(621)을 가지는 예컨대 용기로서, 그 상부면에는 덮개(6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납 본체(620)의 일면에는 발열부재(6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부재(6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발열부재 삽입구(6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열부재 삽입구(622)가 형성되는 수납 본체(620)의 일면은 예컨대 이중 벽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열부재 삽입구(622)는 이중 벽 모두를 관통하여 수납공간(6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중 벽 구조에 의하여 내부에 수납된 훈연재료가 수납 본체(62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수납 본체(620)는 발열부재 삽입구(622)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수납 본체(620)의 나머지 영역에서 조리실(200) 내부의 공기가 수납 본체(620) 내부로 흐르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도록 상기의 나머지 영역이 막힌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납 본체(620)의 상술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는 예컨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재 삽입구(622)를 제외한 상기의 나머지 영역에서 수납 본체(620)의 외부로부터 수납 본체(620) 내부로의 공기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수납 본체(620) 내에서 훈연이 이루어지는 동안, 수납 본체(620)의 내부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어, 훈연재료의 연소 반응이 억제되고 그 대신에 열분해 반응이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즉, 훈연발생 지속시간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상기의 수납 본체(620) 및 발열부재(610)는 조리실(2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발열부재(610)에 발열부재 삽입구(622)를 통하여 수납 본체(620)가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때, 수납 본체(620)의 수납공간(621)은 발열부재 삽입구(622)와 별도의 공간으로 구분된 구조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본체(620)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발열부재 삽입구(622)와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수납공간(621)과 발열부재 삽입구(622)가 연통하여, 발열부재(610)가 수납 본체(620) 내부에서 훈연재료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로부터 훈연의 발생 시점 즉, 훈연발생 시작시간이 상대적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훈연재료와 발열부재(610)가 직접 접촉됨에 따라, 수납 본체(620)와 발열부재(610)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도록 즉, 발열부재(610)의 훈연재료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조리실(200)의 내부를 향하는 발열부재(610)의 단부(610a)는 예컨대 송곳 등과 유사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예컨대 원뿔형 또는 구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수납공간(621)과 발열부재 삽입구(622)가 서로 이어짐에도 즉, 훈연재료가 채워지는 공간과 발열부재(610)가 삽입되는 공간이 소정 공간에서 서로 겹침에도 수납 본체(620)와 발열부재(6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훈연발생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개선된 훈연 발생장치(600)의 제어방식을 설명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훈연 발생장치(600)의 발열부재(610)에는 훈연발생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되며,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 값을 획득 가능하도록 온도계(미도시)가 마련되어 훈연발생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훈연발생 제어부는 발열부재(610)로 전원 공급이 시작된 후, 예컨대 조리가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부터 온도 제어방식이 전환되는 시점인 제2 시점까지의 제1 조리 구간 동안,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가 증가되며 제1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발열부재(6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시키고,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가 감소되며 제1 기준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2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발열부재(610)로 전원을 공급하여 이를 다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발열부재(610)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1 조리구간 이후부터 훈연발생이 종료되는 제3 시점까지의 제2 조리구간 동안, 수납 본체(620)의 내부 온도가 증가되며 상술한 제1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발열부재(610)의 전원을 차단하여 이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수납 본체(620)의 내부 온도가 감소되며 상술한 제2 기준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3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발열부재(610)로 전원을 공급하여 이를 다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발열부재(610)를 제어한다.
이때, 상술한 제2 시점은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시점일 수 있는데, 이때,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조리되는 음식물의 종류 및 이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조리실 내부의 초기 훈연 발생량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선택될 수 있다. 상기의 제1 시점과 제2 시점에 의하여 특정되는 제1 조리구간에서는 발열부재(610)의 켜고 끄기를 즉, 출력을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좁은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킨다. 이로부터 훈연 발생장치는 훈연의 발생시간을 앞당겨 조리 초기에 다량의 훈연을 조리실 내의 음식물에 공급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되는 음식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음식물의 조리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기의 제2 조리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온도범위에서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훈연의 발생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조리구간 각각에서 서로 다른 온도 범위로 수납 본체(620) 내부의 온도를 제어 가능하도록 발열부재(610)를 제어하여 각 구간에서의 목적하는 훈연 발생량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1 기준온도, 제2 기준온도 및 제3 기준온도의 온도값들은 조리 분위기로 제어되는 콤비 오븐(1000)의 수납 본체(620) 내부에서, 훈연재료의 열분해 반응이 우세하도록 하는 온도 범위를 만족하면서, 목적하는 훈연재료의 열분해 속도 예컨대 훈연 발생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온도 범위 또는 온도 값들이다. 제1 기준온도, 제2 기준온도 및 제3 기준온도는 조리공간(240) 내의 산소 농도, 온도 및 습도 조건, 훈연재료의 열분해 온도 및 열분해 속도 등을 고려하여 그 범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반복적인 훈연발생 실험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훈연 발생량을 측정 함으로서 특정 범위의 값으로 획득 가능하다. 온도 값을 획득하는 각 과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로서, 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의 방식 외에도 발열부재(610)의 작동을 정지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대신에, 구간별로 나누어 소정 구간에서는 정지하였다가 다시 작동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방식을 변경하며 훈연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온도 범위 내에서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부재(610)를 구간별로 온-오프시키는 기준으로서, 시간에 따른 훈연발생 정도를 그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훈연발생 정도가 특정 값을 넘어서는 경우 발열부재(6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특정 값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발열부재(610)의 작동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 여기서 훈연발생 정도의 측정은 예컨대 조리실 내에서의 빛의 투과량을 측정하는 간접 측정 방식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훈연발생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조 및 제어방식이 개선된 훈연 발생장치(600)가 콤비 오븐(1000)에 구비됨으로써, 훈연발생 지속시간이 종래보다 증가되어 예컨대 150분을 넘어섬과 함께 훈연발생 시작시간이 예컨대 조리 시작 후 5 분 이내로 빨라지게 되어 조리 시에 조리실 내의 훈연 분위기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막 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드레인 캡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드레인 캡을 포함하는 공기막 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b)는 드레인 캡 및 가이드 부재를 함께 포함하는 공기막 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c)는 드레인 캡, 가이드 부재 및 디플렉터 부재를 모두 포함하는 공기막 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캡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캡의 측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드레인 캡의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콤비 오븐(1000)은 드레인부(500)의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에 공기막을 형성 가능하도록 조리실(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막 형성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드레인부(500)의 내부와 조리실(200)의 내부를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서로 분리되는 각각의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조리실(200)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막은 열 배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훈연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막 형성장치(700)가 콤비 오븐(1000)에 제공됨에 따라 조리실 내부의 온도 및 훈연 분위기를 목적하는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콤비 오븐(1000)의 열 효율 및 훈연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을 덮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에 장착되는 드레인 캡(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드레인 캡(710)은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는 공기막 예컨대 에어커튼을 형성 가능하도록 하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드레인 캡(710)은 상측으로 볼록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며,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에 대응하는 면적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 캡(710)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수 구명(711)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면서 공기막을 형성 가능한 드레인 캡(710)의 구조를 함께 설명한다.
배수 구멍(711)은 컨벡션 팬(400)에서 발생되어 드레인부(500)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유입되는 측을 제외한 반대측에서 드레인 캡(7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영역"에 대응하는 드레인 캡(710)의 일부면(710a)은 막힌 구조이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면(710b)이 배수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캡(710)의 일부면의 막힌 구조에 의하여 드레인 캡(710)의 일부면(710a)을 따라 공기 흐름이 유도되어 공기막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5(a)에 도시하였다.
배수 구멍(711)은 상하 방향으로 드레인 캡(710)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드레인 캡(710)을 관통하되, 배수 구멍(71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배수 구멍(711)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도 6(b)에 도시하였다.
상기의 드레인 캡(710)은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공기막을 형성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드레인 캡(710)은 조리실 바닥면 부근에서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흐름과 마주하는 일부면(710a)과 이의 반대측에서 공기 흐름에 등지는 나머지면(710b)과의 경계에 소정 높이의 단이 형성되도록 그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막힌 구조의 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공기 흐름과 마주하는 막힌 구조의 일부면(710a)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막이 배수 구멍(711)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막힌 구조의 일부면(710a)의 반대측인 나머지면(710b)의 상부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에 공기막 구조 예컨대 에어커튼 구조의 열기 차단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a)에서 도시되는 구조와 같이, 공기막 형성장치(700)가 드레인 캡(7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 드레인 캡(710)으로 인한 공기막 형성 구조 즉, 에어커튼 구조의 드레인부(500)로의 배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자,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컨벡션 팬(400)에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유도하도록 조리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7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드레인 캡(710) 및 가이드 부재(72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5(b)에 도시하였다.
또는,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드레인 캡(710)에 의한 공기막 형성 구조 즉, 에어커튼 구조의 드레인부(500)로의 열기 및 훈연 배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자, 컨벡션 팬(400)에서 생성되어 드레인부(500)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유도 가능하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플렉터(deflector) 부재(7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드레인 캡(710) 및 디플렉터 부재(73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상기의 드레인 캡(710)과 함께 컨벡션 팬(400)에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유도하도록 조리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720) 및 가이드 부재(720)의 출구부를 통과하며 유도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유도하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 상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플렉터 부재(73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5(c)에 도시하였다.
물론,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상기의 드레인 캡(710), 가이드부재(720) 및 디플렉터 부재(73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드레인 캡(710), 가이드부재(720) 및 디플렉터 부재(7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디플렉터 부재(730) 및 가이드 부재(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을 덮는 소정 두께의 층류 유동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드레인 캡(710), 디플렉터 부재(730) 및 가이드 부재(720)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막 형성장치(700)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하기에서 설명되는 공기막 형성장치(700)의 기술적 특징은 드레인 캡(710), 디플렉터 부재(730) 및 가이드 부재(7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막 형성장치(700)의 기술적 특징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드레인 캡(710)은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에 배치되어, 막힌 구조의 일부면(710a)를 이용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을 가로지르는 공기막을 형성하는 구성부이다. 상기의 구조로 인하여 조리실 내부의 공기 및 훈연의 흐름이 드레인부(500) 내로 유입되는 대신에 드레인 캡(710)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조리실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디플렉터 부재(730)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의 일부를 직접 덮어 공기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공기막을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디플렉터 부재(730)는 드레인 캡(710)을 대체하여 조리실 내에 배치되거나, 드레인 캡(710)의 기능을 보강하도록 드레인 캡(710)과 함께 조리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플렉터 부재(730)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을 감싸도록 조리실(20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되,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 중 공기의 흐름이 유입되는 일측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영역"은 열 발생공간(250)으로부터 드레인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리실(200)의 바닥면(230) 상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먼저 유입되는 일측영역을 의미한다. 또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 중 컨벡션 팬(400)과 가까운 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720)의 출구부와 가까운 소정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의 배치 구조로 인하여 조리실 내부의 공기 및 훈연의 흐름이 드레인부(500) 내로 유입되는 대신에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조리실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디플렉터 부재(730)는 드레인부(500)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공기막을 형성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플렉터 부재(730)는 일측이 절단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상부면이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상부면에 소정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은 절단된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상부면의 끝단이 조리실(200)의 바닥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즉, 바닥면(230)과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이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의 y축 방향으로의 너비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y축 방향으로의 너비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디플렉터 부재(730)의 하부면의 높이는 후술하는 드레인 캡(710)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플렉터 부재(730)의 형상에 의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이 디플렉터 부재(730)로 감싸지되,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영역을 제외한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의 나머지 예컨대 컨벡션 팬(400) 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720)의 출구부로부터 먼 타측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타측영역에서 조리실(200)의 바닥면(230)과 디플렉터 부재(730)가 이격되며, 이에 조리실(200) 내의 액체가 드레인부(500) 내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0)는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모아주며 유도함과 함께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방식으로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도록 조리실 내에 제공되는 구성부이다. 가이드 부재(720)에 의하여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안정적인 공기막이 층류 유동에 대응되는 소정의 거동을 보이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0)는 출구부가 조리실(200)의 바닥면(230) 상에서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 또는 드레인 캡(710)의 상부면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어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 또는 드레인 캡(710)의 상부면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리실(200) 내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 중 일부가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유도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0)의 입구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내부로 공기가 목적하는 속도 및 유량으로 유입될 수 있는 조리실(200) 내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가 조리공간(240)에서 열 발생공간(2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차단판(210)의 하측 단부와 조리실의 바닥면(230)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거나, 차단판(210)의 하측 단부와 조리실의 바닥면(230)의 사이에서 열 발생공간(250)을 향하여 개방되는 가이드 부재(720)를 예시한다.
가이드 부재(7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조리실(200)의 열 발생공간(250)에서 조리공간(2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리실의 바닥면(230)을 따라 형성되는 예컨대 덕트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720)는 입구부의 면적이 출구부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입구부와 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의 면적이 입구부에서 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형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720)의 내부는 예컨대 컨버징 노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부에서 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720) 내를 통과하는 공기는 점차 속도가 증가되어 출구부에서 목적하는 속도로 고속 분사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0)의 입구부는 그 면적이 차단판(210)의 하측 단부와 조리실의 바닥면(230)의 사이의 이격공간 전체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부만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부재(720) 내로 유입시키고자 하는 공기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0)의 입구부가 차단판(210)의 하측 단부와 조리실의 바닥면(230)의 사이의 이격공간의 일부에 연결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20)의 외측 상부면을 따라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차단판(210)의 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예컨대 가이드 부재(720)가 복수의 출구부를 가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으로 서로 다른 속도의 공기막 층을 복수개 형성할 수 있고, 이로부터 에어 커튼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가이드 부재(720)의 출구부를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이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 가능하다.
가이드 부재(720)의 출구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그 면적은 출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 또는 디플렉터 부재(730)의 상부면을 충분히 덮도록 형성된다. 이에 내측 드레인 개구부(510)의 상부영역 전체를 감싸는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720)는 그 출구부가 바닥면(230) 상에서 드레인부(500)를 향하여 소정 길이 수평 연장됨에 따라 출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막 형성장치(700)는 예컨대 에어커튼 방식으로 조리실(200) 내부의 열기 및 훈연의 배기를 차단함에 따라, 후술하는 드레인 장치(800)의 구조를 배수만을 고려하여 열린 구조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일반적인 배수 구조에서의 트랩(trap) 구조에서 기인하는 수격작용(water hammer)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트랩 구조로 인한 진동 및 충격 발생 등의 문제점들의 발생이 방지됨에 따라 콤비 오븐은 소음 및 진동 부분에서의 안정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기밸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콤비 오븐(1000)은 오븐 본체(100)의 외부에서 드레인부(500)의 외측 드레인 개구부(520)에 연결되는 드레인 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장치(800)는 오븐 본체(100)의 외부에서 외측 드레인 개구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장치(800)는 조리실(200) 내의 액체를 배수하는 장치이며, 이때, 조리실(200) 내에서 배수되는 고온의 액체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킨 후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드레인 장치(800)는 조리실 내의 급격한 승온 시에 조리실 내부에서 팽창되는 고온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드레인 장치(8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기는 수조부(810),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외측 드레인 개구부(520)에 연결되고, 액체가 배수되는 출구부가 수조부(8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수조부(810) 내부에 형성되는 수면(811)의 상측에서 개방되는 제1 배관(820), 입구부가 수조부(810)에 연결되어 수면(811)의 상측에서 개방되고, 출구부가 오븐 본체(100)의 외부 상측에서 개방되는 제2 배관(830), 입구부가 수조부(810)에 연결되어 수면(811)과 동일 면상에서 개방되고, 출구부가 오븐 본체(100)의 하측에서 개방되는 제3 배관(840), 조리실(200) 내부의 압력과 오븐 본체(100) 외부 즉 외기의 압력이 서로 다를 경우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2 배관(830)의 일측 내에 장착되는 외기밸브(8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조(810)는 내부에 일정 수위로 조절되는 물이 일정량 담기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조리실(200)에서 배수되는 액체를 임시 보관하였다가 제3 배관(840)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조(810)의 내측 하부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기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부분과, 제3 배관(840)의 입구부를 물과 동일 면상에 위치시키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조(810)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담기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내부에 담긴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수조(810)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조리실에서 배수되는 액체에 의하여 수조(810) 내의 물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물 공급수단이 수조(810) 내로 물을 공급하고, 이에 내부에 담긴 물이 제3 배관(840)의 입구부로 넘쳐 흘러 배수되는 방식으로, 수조 내부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다. 한편, 수조(810) 내에 담긴 물은 조리실(200)이 승온되는 과정에서 조리실(200) 내에서 팽창되는 고온의 공기가 드레인 장치(800)를 통과하며 배기되는 과정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즉, 조리실(200) 내부 공기의 팽창 시 배기되는 공기는 수조(810)의 수면 상부를 따라 이동되며 온도가 낮아지고, 이어서 제2 배관(830)의 입구부로 유입되어 제2 배관(830)의 출구부로 배기되며 외기로 배기될 수 있다.
제1 배관(820)은 조리실(200)의 외측에서 입구부가 외측 드레인 개구부(520)에 연결되고, 출구부가 수조(810)의 내측 상부면에 연결되어 수면의 상측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드레인 장치(800)가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열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관(820)의 입구부가 수면 상측에서 개방됨에 따라 조리실(200) 내의 고온 팽창 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배관(830)은 입구부가 수조(810)의 내측 상부면에 연결되어 개방되는데, 이때 제1 배관(820)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조리실(200)의 급격한 승온 시 제1 배관(820)으로 유입되어 제2 배관(830)으로 배기되는 공기를 수조(810)내를 통과시키며, 수면과 충분히 접촉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배관(830)의 출구부는 오븐 본체(100)의 외측 상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제2 배관(830)은 수조(8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 가능한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3 배관(840)은 입구부가 수조(810)의 내측 하부면 중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부분에서 수면(811)과 동일 높이로 개방되며, 출구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3 배관(840)은 제3 배관(840)을 통하여 수조(810) 내의 물이 넘치며 배수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 및 연결방식으로 수조(8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8(a)는 조리실의 외부와 제2 배관의 내부가 서로 같은 압력인 경우에 외기밸브가 제2 배관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b)는 조리실의 외부가 제2 배관의 내부보다 압력이 높은 경우에 외기밸브가 제2 배관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8(c)는 조리실의 외부가 제2 배관의 내부보다 압력이 낮은 경우에 외기밸브가 제2 배관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외기밸브(850)는 제2 배관(840)과 이어지는 조리실(200) 내의 압력과 오븐 본체(100) 외부의 압력이 서로 차이가 나지 않을 경우 제3 배관(840)을 차단시키고, 압력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제3 배관(840)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예컨대 디스크 밸브이다. 이에, 조리실(200) 내에서 일정 온도로 제어되며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제2 배관(830)이 차단되어 드레인 장치(800)를 통한 공기의 배기가 차단될 수 있어, 드레인 장치(800)를 통한 고온 공기의 배기를 최대한 억제 또는 방지 가능하다. 반면, 조리실(200) 내의 압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제3 배관(84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조리실(200)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에 대응하도록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여, 콤비 오븐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외기밸브(850)는 제2 배관(830)의 출구부 내를 제2 배관(8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 축(851), 제2 배관(8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밸브 축(851)에 연결되는 밸브 판(852), 밸브 축(851)을 중심으로 하여 면적이 작은 측과 면적이 큰 측 사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2 배관(830)의 외측에서 밸브 축(851)에 연결되는 무게추(853) 및 밸브 판(852)의 개폐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유지시키도록 밸브 판(852)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는 밸브 스토퍼(855)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판(852)은 일측이 절단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밸브 축(851)을 중심으로 그 양측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외기밸브의 내 외부의 압력이 차이가 나는 경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배관(830)의 내외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물론 밸브 판(852)의 절단된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차단판(584)이 밸브 판(852)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여 제2 배관(830)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밸브 판(852) 수평 위치에서 차단판(584)과 나란하게 위치함으로써, 제2 배관(830)의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게추(853)는 밸브 축(851)을 중심으로 하여 면적이 작은 측과 면적이 큰 측 사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2 배관(830)의 외부에서 밸브 축(851)에 연결되는 손잡이 형태의 구성부이다. 한편, 무게추(853)는 상기의 역할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무게추는 상기 구조와는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판(852)의 면적이 작은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밸브 스토퍼(855)는 밸브 판(852)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서 제2 배관(830)의 내외부를 슬라이딩하며 밸브 판(852)에 각각 접촉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밸브 스토퍼(855)에 의한 밸브 판(852)의 고정 위치는 복수의 위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밸브 판(852)이 수평으로 놓여져 제2 배관(830)의 배기를 차단 가능한 위치 및 밸브 판(85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며 제2 배관(830)의 배기를 개방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밸브 스토퍼(855)가 구비됨으로써, 외기밸브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제2 배관(830)의 배기를 차단 또는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밸브 스토퍼(855)는 상기 구조 외에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각종 밸브에 적용되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외기밸브(850)에 의하여 공기막 형성장치(700)로 인한 콤비 오븐(1000)의 훈연 및 열기 차단 효과가 더욱 증대됨과 함께, 조리실(200)의 내외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 내가 조리실 외부에 대응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는 경우 열기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외기밸브가 차단될 수 있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0)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일 경우 외기가 제2 배관(830) 내로 유입되도록 외기밸브가 개방될 수 있으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0)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일 경우 외기로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외기밸브가 회전되며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경우에서 복수의 스토퍼(855)들이 선택적으로 제2 배관(8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각 위치에서의 밸브 판(852)과 접촉될 수 있고, 이에 외기밸브(850)의 개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콤비 오븐(1000)은 조리실(200)의 내부로 연장되는 스팀 발생장치(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900)는 조리실의 외부에서 스팀 발생용 액체 예컨대 직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조리실 내로 공급하거나, 또는 직수의 액적을 조리실 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팬 등에 떨어뜨려 비산시킨 후 비산되는 직수 액적을 조리실 내부의 발열체에 충돌시켜 순간적으로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900)는 조리실(200)의 열 발생공간(250) 내부로 연장되어 컨벡션 팬(400)을 향하여 개방되는 스팀 공급관(910), 조리실(200)의 외부에서 스팀 공급관(910)과 연결되는 스팀 발생공간(920) 및 스팀 발생공간(920)으로 열을 공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스팀 발생공간(920) 내에 담기는 스팀 발생용 액체를 기화시켜 스팀으로 생성하는 스팀 발생용 발열체(9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팀 발생용 발열체(930)에 의하여 스팀 발생공간(920) 내에서 생성되는 조리용 스팀은 스팀 공급관(910)을 통과하여 조리실(2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콤비 오븐(1000)에 제공되는 스팀 발생장치(900)는 열 발생장치(300)의 발열체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스팀 발생용 열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조리실(200) 내부의 가열과 스팀의 생성이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물론, 스팀 발생장치(900)는 스팀을 생성하여 조리실 내로 공급 가능한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스팀 공급장치(900’)는 스팀 발생용 액체 예컨대 직수를 컨벡션 팬(400)에 공급하여 떨어뜨리도록 컨벡션 팬(400)을 향하여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의 중심위치에서 그 단부가 개방되는 물 공급관, 물 공급관에 장착되어 전기 신호를 받아 정해진 알고리즘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급수 밸브 및 급수 밸브에 연결되어 급수 밸브의 제어를 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급수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 공급관에서 컨벡션 팬(400)으로 물방울의 형태로 공급되는 스팀 발생용 액체 즉, 물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컨벡션 팬(400)과 충돌하여 비산되며, 비산되는 물은 고온의 열 발생장치(300) 예컨대 발열체에 부딪혀 순간적으로 기화된다. 이에 생성되는 스팀은 컨벡션 팬(400)에서 생성되는 공기 흐름을 따라 조리공간(240)으로 공급되어 조리실(200) 내를 순환한다. 이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콤비 오븐(1000)는 훈연 발생장치(600)를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하여 조리실의 내부에서 훈연을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리실 내의 열 발생장치(300)와는 상호 간섭됨이 없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발열부재(610)에 의하여, 훈연발생 시간을 최소로 당기면서도 훈연지속 시간을 증가시켜 더욱 효과적인 연기 및 훈연의 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의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는 각종 조리 기구에서 조리 기구의 배수구로 조리 기구 내부의 열기가 배기되며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오븐 본체 200: 조리실
300: 열 발생장치 500: 드레인부
600: 훈연 발생장치 610: 발열부재
610a: 발열부재 단부 620: 수납 본체
700: 공기막 형성장치 710: 드레인 캡
711: 배수 구멍 720: 가이드 부재
730: 디플렉터 부재 800: 드레인 장치
850: 외기밸브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조리실, 열 발생장치, 컨벡션 팬 및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오븐으로서,
    상기 조리실은 상기 열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본체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 및 컨벡션 팬은 열을 발생하여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고, 외측 드레인 개구부가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로 개방되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어 훈연을 발생하는 훈연 발생장치; 상기 오븐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외측 드레인 개구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장치; 및 상기 내측 드레인 개구부에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드레인부로 훈연 및 열기가 배기되며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막 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훈연 발생장치는, 훈연재료가 수용되는 수납 본체; 및 상기 훈연재료에 훈연 발생을 위한 열을 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 본체에 연결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인 장치는, 상기 오븐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기는 수조부; 입구부가 상기 외측 드레인 개구부에 연결되고, 출구부가 상기 수조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에 형성되는 수면의 상측에서 개방되는 제1 배관; 입구부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면의 상측에서 개방되고, 출구부가 상기 오븐 본체의 상측에서 개방되는 제2 배관; 입구부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면과 동일 면상에서 개방되고, 출구부가 상기 오븐 본체의 하측에서 개방되는 제3 배관;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압력과 상기 오븐 본체 외부의 압력이 서로 다를 경우 개방되도록 상기 제2 배관의 일측에 장착되는 외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막 형성장치는, 상기 내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드레인 캡; 상기 컨벡션 팬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영역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출구부를 통과하며 유도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영역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내측 드레인 개구부 상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플렉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인 캡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배수 구멍은 상기 컨벡션 팬에서 발생되어 상기 드레인부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유입되는 측을 제외한 반대측에서 상기 드레인 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콤비 오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기밸브는,
    상기 제2 배관의 출구부 내를 관통하는 밸브 축;
    상기 제2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축에 연결되는 밸브 판;
    상기 밸브 축을 중심으로 하여 면적이 작은 측과 면적이 큰 측 사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 축에 연결되는 무게추; 및
    상기 밸브 판의 개폐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 배관의 출구부에 형성되는 밸브 스토퍼;를 포함하는 콤비 오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훈연 발생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재 및 내부에 훈연재료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일면에 발열부재 삽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수납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재가 상기 수납 본체 내부에서 상기 훈연재료에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발열부재 삽입구가 서로 연통하고,
    상기 발열부재 삽입구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수납 본체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수납 본체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본체 내부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납 본체의 나머지 영역은 막힌 영역으로 형성되는 콤비 오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에는 훈연발생 제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훈연발생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재로 전원 공급이 시작된 이후 제1 조리구간에서 상기 수납 본체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에 상기 발열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은 제2 기준온도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상기 발열부재를 다시 작동시키며,
    상기 제1 조리구간 이후의 제2 조리구간에서 상기 수납 본체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기준온도보다 낮은 제3 기준온도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발열부재를 다시 작동시키는 콤비 오븐.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컨벡션 팬을 향하여 개방되는 스팀 공급관 및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스팀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는 스팀 발생용 발열체를 구비하는 스팀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발생장치는, 상기 컨벡션 팬의 외측에서 상기 컨벡션 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연장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콤비 오븐.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스팀 발생용 액체를 상기 컨벡션 팬에 공급하도록 상기 컨벡션 팬을 향하여 연장되는 물 공급관을 구비하는 스팀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 발생장치는, 상기 컨벡션 팬의 외측에서 상기 컨벡션 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연장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콤비 오븐.
KR1020140177627A 2014-12-10 2014-12-10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KR10153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27A KR101530048B1 (ko) 2014-12-10 2014-12-10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PCT/KR2015/010707 WO2016093481A1 (ko) 2014-12-10 2015-10-12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CN201510854985.9A CN106562680A (zh) 2014-12-10 2015-11-30 包含内置型烟熏功能的烤箱
PH12016501611A PH12016501611A1 (en) 2014-12-10 2016-08-12 Combination oven having interior smok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27A KR101530048B1 (ko) 2014-12-10 2014-12-10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50A Division KR101556958B1 (ko) 2014-12-10 2015-04-02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048B1 true KR101530048B1 (ko) 2015-06-22

Family

ID=5351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627A KR101530048B1 (ko) 2014-12-10 2014-12-10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0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72A1 (ko) * 2015-09-15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상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34448B1 (ko) * 2016-04-25 2017-05-11 주식회사프라임 스팀 컨벡션 오븐
WO2017188526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프라임 스팀 컨벡션 오븐
KR102465712B1 (ko) * 2021-12-28 2022-11-11 (주)느루 전자레인지용 훈연 조리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826U (ko) * 1989-09-18 1991-04-30
KR0150658B1 (ko) * 1994-10-17 1998-10-0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훈연재와 훈연 장치 및 방법
JP3046826B2 (ja) * 1990-01-25 2000-05-29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01304556A (ja) * 2000-04-20 2001-10-31 Fujimak Corp 強制対流式オーブンの排水口構造
US20080105138A1 (en) * 2006-11-03 2008-05-08 Angelo Po Grandi Cucine - Societa' Per Azioni Coo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826U (ko) * 1989-09-18 1991-04-30
JP3046826B2 (ja) * 1990-01-25 2000-05-29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KR0150658B1 (ko) * 1994-10-17 1998-10-0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훈연재와 훈연 장치 및 방법
JP2001304556A (ja) * 2000-04-20 2001-10-31 Fujimak Corp 強制対流式オーブンの排水口構造
US20080105138A1 (en) * 2006-11-03 2008-05-08 Angelo Po Grandi Cucine - Societa' Per Azioni Cook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72A1 (ko) * 2015-09-15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상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11149959B2 (en) 2015-09-15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KR101734448B1 (ko) * 2016-04-25 2017-05-11 주식회사프라임 스팀 컨벡션 오븐
WO2017188526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프라임 스팀 컨벡션 오븐
KR102465712B1 (ko) * 2021-12-28 2022-11-11 (주)느루 전자레인지용 훈연 조리용기
WO2023128412A1 (ko) * 2021-12-28 2023-07-06 (주)느루 전자레인지용 훈연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27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авления выпускаемого пара и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530048B1 (ko)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US9841261B2 (en) Combination oven with peak power control
JP2007315664A (ja) 加熱調理器
US7802564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JP2010210119A (ja) 旅客機搭載用スチームオーブンの加熱むら防止装置
CN106562680A (zh) 包含内置型烟熏功能的烤箱
KR101556958B1 (ko)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KR2010011296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00111201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18635796U (zh) 蒸汽烹饪装置
JP2008032286A (ja) 加熱調理器
JP2010271017A (ja) 加熱調理器
JP6629099B2 (ja) 加熱調理器
KR101561805B1 (ko) 공기 순환형 공기막 형성장치
JP5405186B2 (ja) 加熱調理器
KR20100112967A (ko)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350B1 (ko)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JP4473043B2 (ja) 蒸気調理器
JP7106204B2 (ja) 加熱調理器
JP3868465B1 (ja) 加熱調理器
JP4405318B2 (ja) 蒸気調理器
JP2007247916A (ja) 加熱調理器
JP4473063B2 (ja) 蒸気調理器
JP6695205B2 (ja) 加熱装置、該加熱装置を用いた加熱調理器及び該加熱装置を用いた蒸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