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350B1 -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 Google Patents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350B1
KR101531350B1 KR1020140177628A KR20140177628A KR101531350B1 KR 101531350 B1 KR101531350 B1 KR 101531350B1 KR 1020140177628 A KR1020140177628 A KR 1020140177628A KR 20140177628 A KR20140177628 A KR 20140177628A KR 101531350 B1 KR101531350 B1 KR 10153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cooking
drain
heat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나민희
류동우
정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to KR102014017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 콤비 오븐의 조리실 바닥에 떨어진 스팀에 의한 물방울과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는 드레인부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또한 상기의 드레인부에서 액체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며 발생되는 열 손실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콤비 오븐의 안전을 위해 외기 배관부로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열기를 배기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며, 선택적으로 상기의 외기 배관부에서 발생되는 열 손실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위에 상기한 드레인부와 외기 배관부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기관에 의한 열 손실을 차단하는 공기막 형성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기술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콤비 오븐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COMBINATION OVEN REDUCING HEAT LOSS}
본 발명은 열기와 스팀을 내부 순환 팬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에 순환시켜 조리 하는 콤비 오븐에 있어서, 열 손실을 차단하여 오븐의 열효율을 높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 중에 조리실 바닥에 떨어지는 조리액 및 스팀에 의한 물방울로 인하여 발생하는 액체를 배출하는 드레인부에 공기막을 형성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의 액체 배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 드레인부에서의 열 손실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외기 배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기 배관부의 기능을 수행하며 외기 배관부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콤비 오븐은 열 공급부(12)로부터 생성된 열과 스팀 공급부(13)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로 순환시켜 요리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 공급 부(12)는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스팀 공급부(13)는 외부 전원을 이용해 직수를 조리실 내로 공급하여 회전하는 내부 순환용 팬(14)에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내부 순환용 팬(14)에 떨어진 직수의 액적은 비산되며 열 공급 부(12)의 열 발생 장치에 부딪히고, 부딪힘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기화되며 스팀으로 생성된다.
내부 순환용 팬(14)은 열 공급부(12) 및 스팀 공급부(13)에 의하여 생성된 열 및 스팀을 조리실 내로 순환 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콤비 오븐의 조리 과정에서 스팀에 의한 물방울, 조리액 등의 액체가 조리실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와 관련이 없는 액체 상태의 물질들이 조리실 바닥에 떨어져 있으면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질이 떨어지고 위생상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 즉 조리실 바닥의 액체 상태 물질들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서, 조리실 바닥 부분에는 드레인부(15)가 마련되고, 드레인부(15)에는 드레인 장치(17)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조리실 바닥의 액체 상태 물질들이 조리실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열과 스팀으로 인하여 조리실 내부가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면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서, 드레인 장치(17)에는 외기 배관부(17c)가 구비된다. 외기 배관부(17c)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실의 바닥에 떨어진 액체와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드레인 장치(17)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콤비 오븐의 경우 많은 열 손실이 발생한다.
콤비 오븐의 조리 방식이 조리실 내부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오래 유지되어야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양질의 조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조리실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 손실을 차단하여야 된다.
하지만 열 손실을 차단하기 위해 드레인부(15) 또는 드레인 장치(17)의 외기 배관부(17c)를 차단하게 되면 열 손실은 차단 할 수 있으나 요리로 인해 오염된 액체를 배수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문제점 또는 조리실 내부에서 팽창되는 기체를 배출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콤비 오븐의 경우 열 손실을 막기 보다는 드레인부(15)와 외기 배관부(17c)를 통한 배수 및 배기 기능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열 손실과 배출 기능 둘을 모두 만족하는 콤비 오븐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콤비 오븐에서의 드레인부(15)가 가지는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드레인부(15)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차단 가능한 새로운 구조가 요구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콤비 오븐의 외기 배관부(17c)의 기능을 수행하며 열 손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외기 배관부(16)의 구조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드레인부(15)의 배수 기능을 수행하면서 드레인부(15)로 소실되는 열 차단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구조와, 고온 고압의 외기 배관부(17C)의 배출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기 배관부(17c)로 소실되는 열 차단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구조가 없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의 종래의 기술로는 예컨대 US7755005호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에서는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어셈블리(20)를 구성함에 있어 물탱크에 잠긴 드레인관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까지 함께 배출되는 복잡한 구조로 위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기존의 드레인부(15)와 외기 배관부(17c)의 기능을 수행하며 열 손실을 어느 정도는 해결하였다.
그러나 US7755005호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 및 유지 보수도 쉽지 않다.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했던 조리실내 액체 배출을 위한 드레인부(15)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드레인부(15)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차단 가능한 새로운 구조와 고온 고압의 외기 배관부(17c)의 기능을 수행하며 외기 배관부(17c)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차단 가능한 새로운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복잡한 구조보다 간단하고, 초기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간단한 구조로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비 오븐의 조리실 바닥에 떨어진 스팀에 의한 물방울과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을 드레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함과 함께, 상기의 드레인부를 통한 열 손실을 차단 가능한 조리용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콤비 오븐의 안전을 위하여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외기 배관부로 배기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함과 함께, 상기의 외기 배관부를 통한 열 손실을 차단 가능한 조리용 오븐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수 및 배기를 위한 구조가 종래보다 간단하며, 제작 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조리용 오븐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리실, 열 공급부, 순환용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순환용 팬을 이용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한 열을 상기 조리실 내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 오븐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음식물이 위치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 공급부는 음식물 조리용 열을 생성하도록 열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제공하는 버너이거나 발열 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오븐은, 조리실 내부에 발생하는 조리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상기 오븐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오븐의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 상기 오븐의 외부배관과 연결되는 외부측 드레인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막 형성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조리실, 열 공급부, 순환용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순환용 팬을 이용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한 열을 상기 조리실 내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 오븐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음식물이 위치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 공급부는 음식물 조리용 열을 생성하도록 열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제공하는 버너이거나 발열 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오븐은, 조리실 내부에 발생하는 조리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 상기 드레인부에 연결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팽창하는 공기 및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액을 오븐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오븐의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 상기 오븐의 외부배관과 연결되는 외부측 드레인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 장치는 조리실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외기 배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기 배관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압과 오븐 외부의 공기압의 차이가 있는 경우 개방되는 외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해 콤비 오븐으로 조리시 조리실 바닥에 떨어지는 스팀에 의한 물방울과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을 조리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에서 액체 상태 물질 및 이에 혼합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만족하면서, 또한 드레인부를 통한 열의 손실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배출 하는 드레인 장치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의 원활하게 배출 하면서도 필요 이상의 열기 배출은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여 열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적인 콤비 오븐에서의 드레인부 및 외기 배관부를 통한 열 손실을 차단할 수 있어 콤비 오븐의 조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 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적게 들며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조리용 오븐에 드레인 캡을 적용한 구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조리용 오븐에 드레인 캡을 적용한 구조의 측면도.
도 3은 조리용 오븐에 드레인 캡, 윈드 가이드 및 윈드 디플렉터를 적용한 구조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조리용 오븐에 드레인 캡, 윈드 가이드 및 윈드 디플렉터를 적용한 구조의 측면도.
도 5는 드레인 캡 구조의 개략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은 외기밸브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조리용 오븐에 공기막 형성장치를 장치한 후 열기 흐름도.
도 8은 종래 오븐의 구조
도 9는 종래 기술이 제시된 특허문헌에서의 드레인 어셈블리 구조.
1. 본 발명의 조리용 콤비 오븐의 기본 구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 오븐은 조리실, 열 공급부(12), 스팀 공급부(13), 내부 순환용 팬(14), 조리실내 액체 배출을 위한 드레인부(15) 및 드레인부(15)에 연결되는 드레인 장치(17)로 구성되어 있다.
조리실은 5개의 고정 면과 한 개의 개폐 가능한 조리실 문으로 둘러싸여 있는 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이때 조리실 내부에 위치한 열 공급부(12)가 공급하는 열 및 스팀 공급부(13)가 공급하는 스팀을 내부 순환용 팬(14)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 시키는 방식으로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방울과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이 조리실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액체상태의 물질이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와 외부측 드레인 개구부(15b)를 이용하여 드레인 장치(17) 내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때, 드레인 장치(17)의 제1 배수 배관부(17a)는 제2 배수 배관부(17d)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조리실 내에서 뜨거워진 액체 상태의 물질을 냉각하여 배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수위의 물이 담기는 수조(17b)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조리실 내부는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다. 그렇게 되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기 배관부(17c)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도 액체 상태의 물질을 배출 할 때 와 마찬가지로 고온 고압의 기체를 바로 외부로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외기 배관부(17c)에 구비되는 별도의 냉각 장치(미도시)를 통해 냉각 후 외부로 최종 배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콤비 오븐을 이루는 구조 중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는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
2-1. 열 공급부 및 스팀 공급부.
열 공급부(12)는 일반적으로 콤비 오븐의 조리 대상에 열을 공급한다. 이는 열 발생 장치, 열 조절 장치, 시간 조절 장치 등을 포함한다. 열 발생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제공하는 버너이거나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코일을 이용해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히터 일 수 있다. 열 조절 장치(미도시)는 조리실 내부의 음식 종류에 따라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열 발생 장치의 발열 온도를 제어한다. 시간 조절 장치(미도시)는 열 발생 장치의 동작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열 공급부(12)가 생성한 열은 내부 순환용 팬(14)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킨다.
스팀 공급부(13)는 조리실의 내부에서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조리실의 내부에 제공되며, 외부의 급수라인에 연결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외에도 급수관에 장착되는 급수밸브 및 급수량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급수밸브는 급수량 조절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물의 흐름을 안내하거나 차단한다. 급수량 조절부는 급수밸브에 연결되어 급수관을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급수관은 내부 순환용 팬(14)를 향하여 연장된다. 급수관은 상기 급수량 조절부에서 조절된 물을 조리실 내부에서 회전하고 있는 내부 순환용 팬(14)에 물방울 형태로 떨어뜨리고 떨어진 물방울은 상기 회전하고 있는 내부 순환용 팬(14)에 의해 비산되어 고온의 열 공급부 표면에 부딪혀 순간적으로 기화되어 스팀의 형태로 조리실 내부로 공급된다.
스팀 공급부(13)는 상기의 구성부들 외에도 물을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증발요소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물을 가열시키는 증발요소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열 공급부(12)의 열 발생 장치를 증발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다.
스팀 공급부(13)가 증발요소를 별도로 포함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열 공급부(12)의 열 발생 장치와는 별개로 외부에 스팀 공급부(13)만을 위한 스팀 생성공간 및 그 내부에 스팀 생성용 열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이때, 급수관은 스팀 생성용 열 발생 장치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조리실 외부에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들여보내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유입하는 방식은, 외부의 스팀 생성공간과 조리실을 연결하는 분사노즐 및 압축기를 통항 직접 분사 방식이 있고, 외부의 스팀 생성공간에 연결된 스팀 공급라인을 내부 순환용 팬(14)의 부근에서 개방시켜, 내부 순환용 팬(14)에서 생성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스팀을 조리실 내로 자연스럽게 유입하는 방식이 있다. 물론, 이의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스팀 생성부가 생성한 스팀은 내부 순환용 팬(14)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로 공급된다.
내부 순환용 팬(14)은 조리실 내부 일측에서 발생된 열과 스팀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내부 순환용 팬(14)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고 이 모터의 회전축에는 열기와 스팀을 송풍하는 내부 순환용 팬(14)이 설치된다.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내부 순환용 팬이 회전이 되면 열 공급부(12)의 주변에 존재하는 가열된 공기와 스팀 공급부(13)에서 발생한 스팀을 가이드판(16)으로 구분되는 조리실 내의 열 및 스팀 공급영역에서 상기의 열 및 스팀 영역을 제외한 조리실 내의 조리영역으로 유입시키고, 조리실 내부의 상기 영역들을 통과하며 순환 되도록 한다.
이때, 내부 순환용 팬(14)에서 발생한 내부 순환 공기의 흐름은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부(15) 상부에서 공기막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공기층 예컨대 윈드 커튼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2-2. 조리실, 드레인부 및 공기막 형성장치
조리실은 열 공급부(12)와 스팀 공급부(13)에서 생성된 열과 스팀을 내부 순환용 팬(14)을 이용해 유입 시켜 실질적인 조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조리가 일어나는 부분이다. 이때, 발생되는 스팀에 의한 물방울 또는 조리액 등이 조리실 바닥에 고이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조리실은 바닥에 고이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15)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조리실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 조리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스팀에 의한 물방울과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은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를 이용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조리실 내부에서 나온 고온의 액체 상태의 물질을 하수구로 바로 배출하지 않고, 드레인 장치(17)의 수조(17b)로 보내어 임시로 보관하면서, 수조에 구비된 별도의 냉각 장치(미도시) 또는 수조 내에 담긴 물을 이용하여 냉각 시킨 후 하수구를 통해 배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부(15) 구조에서 조리실 내의 스팀에 의한 물방울 또는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을 조리실 외부로 배출 시 열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막 형성장치(30)의 구조를 콤비 오븐 내에 가진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일반적인 콤비 오븐의 구조적 문제점을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구조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콤비 오븐의 경우 조리실 내의 스팀에 의한 물방울 또는 조리액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이 조리실 외부 드레인 시스템으로 배출 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드레인 시스템으로 조리물의 건더기와 이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레인 개구부는 작은 구멍이 여러 개 형성된 드레인 커버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런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콤비 오븐의 경우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해 발생된 강한 바람이 조리실 내부의 아래쪽을 지나면서 드레인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드레인 개구부를 지나 외부로 소실되며 오븐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 또한 아무런 방해 없이 외부로 소실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기막 형성장치(30)를 드레인부(15)의 상부 측에 구현 하고자 하며, 이때, 공기막 형성장치(30)의 구조는 조리실의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해 발생되는 조리실 내부 바닥에서의 바람의 흐름 방향이 드레인부(15)를 향하는 것을 막도록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드레인 캡(31)이 장착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드레인 캡(31)을 이용하여 바람의 흐름 방향을 막게 되면 내부 순환용 팬(14)에 의해 발생 된 강한 바람이 오븐 아래쪽을 지나면서 드레인 캡(33)의 막힘 부분을 타고 윈드 커든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의 순환 흐름이 드레인부(15)를 통해 외부로 소실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오븐 내부에서 순환 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븐 내부의 고온 고압의 기체 또한 외부로 소실되는 양을 적게 하여, 일반적인 콤비 오븐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드레인 캡(33)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의 구조로서, 드레인 캡(31)의 구조는 공기의 흐름과 마주하는 쪽의 드레인 캡(31) 절반을 막는 구조로 도 5(a)와 같은 제1안의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열기가 드레인 캡(31)을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안의 구조로서, 상기 제1안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드레인 캡(31)의 효율이 좋도록 그 구조를 변경하여, 공기 흐름과 마주하는 쪽의 드레인 캡(31)를 도 5(b)와 같이 좀 더 높은 구조를 가진다. 이로부터 열기가 드레인 캡(31)를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물론, 이외에도 드레인 캡(31)은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공기막을 형성 가능한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다. 아래에서 제1 안의 구조를 먼저 설명한 후 제1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안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안의 구조에 따른 상기 드레인 캡(15)은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한 공기 흐름과 반대되는 부분에 상기의 공기 흐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볼록한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한 조리실 바닥면에서의 공기 흐름을 마주보는 일부면은 막힌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의 일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즉,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등지도록 상기의 일부면과 반대되는 위치에서의 나머지 면에는 내부 순환용 팬에 의한 공기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제2안의 구조에 따른 드레인 캡(31)은, 막힌 구조의 일부면과 배수용 구멍이 뚫려있는 나머지 면과의 경계 영역에 소정 높이의 단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막힌 구조의 일부면 측이 보다 높은 높이의 단을 형성하고 나머지 면이 보다 낮은 높이의 단을 형성한다. 이에 공기막을 드레인 캡(31)의 나머지 면의 배수 구멍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시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열기의 차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드레인 캡(31)을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빈틈 없이 설치하여,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공기막을 형성 가능하고, 이에 열이 드레인부(15)로 직접 빠져 나가며 손실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다.
상기의 공기막 형성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부(15) 상부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것을 만족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그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그 변형 예로서, 드레인 캡(31)에 윈드 가이드(33)가 제공되는 구조 및 드레인 캡(31)에 윈드 가이드(33)와 함께 윈드 디플렉터(32)가 제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공기막 형성장치(30)의 변형 예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조리실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판(16)의 조리실 바닥면과 인접한 부분에서 드레인부(15)를 항하는 방향으로 조리실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의 윈드 가이드(33)가 설치되고, 앞서 설명한 드레인 캡(15)이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설치된다. 이때, 윈드 가이드(33)는 드레인부(15)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사다리꼴 형상에서의 단변 측이 드레인부를 향하고 장변 측이 가이드판(16)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윈드 가이드(33)를 사용하면 조리실 내부 순환용 팬(14)에서 나오는 바람을 조리실 내부에서 바로 순환 시키지 않고 한곳으로 모아 윈드 가이드(33)를 쓰지 않았을 때 보다 유속이 증가되고 유동 형상이 안정된 바람을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의 상부로 내보낸다. 이에 따라, 조리실의 아래쪽을 지나는 바람이 주변의 공기 흐름보다 빠르게 흐르면서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를 덮는 공기막으로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공기막이 윈드 커튼의 역할을 하여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드레인부(15)로 소실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조리실 내부 열기의 흐름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콤비 오븐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판(16)으로부터 조리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보조 가이드판(미도시)을 공기막 형성장치(30)의 구성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윈드 가이드는 보조 가이드판의 하측 단부에서 드레인부(15)를 향한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보조 가이드판의 상부에는 공기 구멍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판을 기준으로 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공기가 보조 가이드판의 아래에 연결된 윈드 가이드를 통하여 조리영역으로 나가고, 조리영역의 공기가 보조 가이드판의 상부 공기 구멍을 통하여 들어오는 방식으로 그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조 가이드판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리영역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순환시키도록 공기의 흐름을 예컨대 환형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물론, 공기막 형성장치(30)는 보조 가이드판 없이 가이드판(16)과 윈드 가이드(33)만으로도 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공기막 형성장치(30)의 다른 변형 예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앞서 설명한 윈드 가이드(33) 및 드레인 캡(31)을 포함함과 함께,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윈드 디플렉터(32)를 설치하여 내부 열기의 순환 방향에서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9)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 구현 하고자 하는 윈드 디플렉터(32)의 경우 측면에서 봤을 때는 ‘r’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위에서 봤을 때는 타원의 2/3가량 잘라 놓은 형태를 가진 구조이다. 이것을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에 고정하는 형태이다. 그렇게 되면 열기의 흐름이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로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고 윈드 디플렉터(32)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15a)로의 열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2-3 외기 배관부 및 드레인 장치
고온 고압의 열기를 배기하는 외기 배관부(17c)를 가지는 드레인 장치(17)는 조리실 내의 액체를 배수하는 장치이며, 또한, 외기 배관부(17c)를 통해 조리실 내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한편, 일반적인 콤비 오븐에서 드레인 구조를 구성 할 때 고온 고압의 기체를 냉각 시키는 과정 없이 외부로 바로 배출하게 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별도의 고온 고압의 기체를 냉각 시킬 수 있는 드레인 구조로 구성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콤비 오븐에서는 비용 및 관리 상의 문제점 때문에, 열 손실을 차단하는 별도의 장치가 부가되는 구조로 드레인의 구조를 구성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종래의 조리용 오븐에서는 드레인부로 많은 열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고온 고압의 열기가 외기 배관부(17c)를 통해 손실되는 것을 외기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차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상기 외기 밸브의 구조로 비대칭 디스크 밸브(40)를 적용함으로써, 드레인 장치(17)가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칭형 디스크 밸브가 외기 밸브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비대칭 디스크 밸브(40)는 비대칭 디스크 밸브(40)의 하우징(45)이 드레인 장치(17)의 외기 배관부(17c)의 외부와 연결된 부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하우징(45)은 외기 배관부(17c)에 삽입 연결된 후 예컨대 볼팅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조리실에서 조리가 실시되지 않을 때나 조리 도중 또는 조리가 완료 된 후에는 비대칭 디스크 밸브의 개도를 강제로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대응하여 비대칭 디스크 밸브(40)에는 수평한 상태에서의 회전판(42)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우징(45)의 복수 위치에 밸브 스토퍼(43)를 설치 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조리용 오븐이 고온으로 승온 되는 경우에는 밸브 스토퍼(43)를 하우징(45)의 외부로 인출하여 회전판(42)과의 접촉을 해제시켜 비대칭 디스크 밸브를 개방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밸브 스토퍼(43)를 하우징(45) 내로 삽입시켜 수평 상태의 회전판(42)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회전판(42)의 회전을 막아 열기의 배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대칭 디스크 밸브(40)가 너무 많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즉, 밸브 개도의 상한과 하한을 목적하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기 위하여 비대칭 디스크 밸브(40)의 좁은 면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회전판(42)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우징(45)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스토퍼(미도시)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비대칭 디스크 밸브(40)는 회전축(41), 회전판(42), 밸브 스토퍼(43), 무게 추(44) 및 하우징(45)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이다. 비대칭 디스크 밸브(40)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중공의 원통체 형상의 하우징(45)에 비대칭 디스크 밸브(40)의 회전축(41)을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 시키는 방법으로는 하우징(45)에 작은 구멍을 뚫어 고정 하거나 하우징(45) 내부에 작은 홈을 파서 고정 할 수도 있다. 회전축(41)에는 회전판(42)이 장착된다. 이때, 비대칭 디스크 밸브(40)는 회전축이 회전판의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평소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면적이 작은 쪽에 작은 무게 추(44)를 달아놓은 구조 이다.
이러한 비대칭 디스크 밸브(40)를 장치하게 되면 일정 온도에서 조리가 실시되는 동안 조리실 내부에서 나오는 고온의 기체는 바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조리실 내외부에서 압력 차이가 발생될 때까지 외기 배관부(17c) 안에 차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 내부에서 더 이상 고온의 기체가 외기 배관부(17c)을 통해 배기되지 않으며 조리실 내부에 계속 머무르게 되어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균등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열 공급부 13: 스팀 공급부
14: 내부 순환용 팬 15: 드레인부
17: 드레인 장치 17c: 외기 배관부
30: 공기막 형성장치 31: 드레인 캡
32: 윈드 디플렉터 33: 윈드 가이드
40: 비대칭 디스크 밸브 41: 회전축
42: 회전판 43: 밸브 스토퍼

Claims (10)

  1. 조리실, 열 공급부, 순환용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순환용 팬을 이용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한 열을 상기 조리실 내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 오븐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음식물이 위치하여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 내부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 공급부는 음식물 조리용 열을 생성하도록 열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 발생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제공하는 버너이거나 발열 코일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오븐은, 조리실 내부에 발생하는 조리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상기 오븐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오븐의 조리실과 연결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 상기 오븐의 외부배관과 연결되는 외부측 드레인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막 형성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막 형성 장치는,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를 덮는 드레인 캡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 캡은,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에 배치되되, 상기 순환용 팬에서 발생한 공기가 상기 드레인부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대신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로 흐르도록 상기 순환용 팬에서 발생한 공기가 흘러들어오는 측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은 막힌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 내의 액체가 배수되도록 상기 막힌 영역의 반대측의 일부 영역에는 개구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 형성 장치는 상기 순환용 팬에서 발생한 공기가 상기 드레인부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대신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 상부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윈드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 형성 장치는, 상기 순환용 팬에서 발생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모아주는 윈드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 형성 장치는 상기 윈드 가이드를 통하여 모아진 공기가 상기 드레인부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대신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의 상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상기 조리실측 드레인 개구부 상부에 형성되는 윈드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오븐은 스팀 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팀 공급부는 상기 열 공급부의 열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오븐은 스팀 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팀 공급부는 스팀 생성용 열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생성용 열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오븐.
KR1020140177628A 2014-12-10 2014-12-10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KR10153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28A KR101531350B1 (ko) 2014-12-10 2014-12-10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28A KR101531350B1 (ko) 2014-12-10 2014-12-10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350B1 true KR101531350B1 (ko) 2015-06-24

Family

ID=5351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628A KR101531350B1 (ko) 2014-12-10 2014-12-10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9768A (zh) * 2022-08-08 2022-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烤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826U (ko) * 1989-09-18 1991-04-30
JPH1038280A (ja) * 1996-07-23 1998-02-13 Kometsuto Kato:Kk 加熱調理機
JP3046826B2 (ja) * 1990-01-25 2000-05-29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01304556A (ja) * 2000-04-20 2001-10-31 Fujimak Corp 強制対流式オーブンの排水口構造
US20080105138A1 (en) * 2006-11-03 2008-05-08 Angelo Po Grandi Cucine - Societa' Per Azioni Coo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826U (ko) * 1989-09-18 1991-04-30
JP3046826B2 (ja) * 1990-01-25 2000-05-29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H1038280A (ja) * 1996-07-23 1998-02-13 Kometsuto Kato:Kk 加熱調理機
JP2001304556A (ja) * 2000-04-20 2001-10-31 Fujimak Corp 強制対流式オーブンの排水口構造
US20080105138A1 (en) * 2006-11-03 2008-05-08 Angelo Po Grandi Cucine - Societa' Per Azioni Cook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9768A (zh) * 2022-08-08 2022-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烤箱
CN115299768B (zh) * 2022-08-08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烤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2806B (zh) 电烤箱
RU2305228C2 (ru) Духовой шкаф
BR102019002253A2 (pt) Forno de múltiplas cavidades.
AU2007259266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and air guide member therefor
ES2875840T3 (es) Horno multizona con zonas de cocción asistidas por vapor de volumen variable
ES2901252T3 (es) Horno multizona que comprende un sistema de desagüe combinado
CA2571755A1 (en) Composite cooking apparatus
KR20140035992A (ko) 식품 조리 장치
US20140013963A1 (en) Steam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a steam oven
KR20090085965A (ko) 오븐
KR100693479B1 (ko) 스팀컨벡션오븐
KR20080028728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열조리장치
JP2008116094A (ja) 排気蒸気希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WO2016147563A1 (ja) 加熱調理器
JP2017003177A (ja) 加熱調理器
KR101531350B1 (ko) 열 손실을 줄여 열 효율을 높인 조리용 콤비 오븐
BR102019002231A2 (pt) Forno de múltiplas cavidades.
KR101530048B1 (ko)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JP2856699B2 (ja) 加熱調理器
US3400248A (en) Electric steam bath stove
KR101480122B1 (ko)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2015105773A (ja) 給水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1556958B1 (ko) 내장형 훈연 기능을 포함한 콤비 오븐
EP4089334B1 (en) Electric convection cooking oven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