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775B1 - 포장백 - Google Patents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775B1
KR101529775B1 KR1020130081077A KR20130081077A KR101529775B1 KR 101529775 B1 KR101529775 B1 KR 101529775B1 KR 1020130081077 A KR1020130081077 A KR 1020130081077A KR 20130081077 A KR20130081077 A KR 20130081077A KR 101529775 B1 KR101529775 B1 KR 10152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rface
pair
side surfaces
packaging bag
back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103A (ko
Inventor
김병렬
Original Assignee
김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렬 filed Critical 김병렬
Priority to KR102013008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7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45C7/0081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inflatable and de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포장용 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백의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납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포장백의 저면에 견인손잡이를 구비하고 포장백 내에 인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포장백에 수용된 수납물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백{PACKING BAG}
본 발명은 포장백에 관한 것으로, 상자형 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물품은 상자 또는 포장백 등으로 포장되어 운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포장백은 포장된 물품 또는 물품을 커버하는 1차 포장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손잡이 등이 구비되어 물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거나, 물품의 발신인이나 수신인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술한 물품의 크기 및 형상 등이 다양하므로, 포장백 또한 물품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포장할 물품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포장백이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522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물품의 일부분만이 커버되도록 구성되어 상이한 규격을 갖는 물품도 포장할 수 있는 선물포장용 가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될 물품의 일부분만 커버할 수 있으므로, 운반의 용이성은 증가되나 포장된 물품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포장된 물품의 보호효과 또는 포장의 심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포장백은 물품이 수용 또는 인출되는 개방부를 제외하고는 물품의 나머지 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포장백은 내부에 수용된 물품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럴 경우 물품의 표면과 포장백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협소해져서 포장백으로부터 물품이 용이하게 인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522호(고안의 명칭: 선물포장용 가방, 공개일: 2011년 6월 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백에 형성된 수용공간보다 크거나,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납물도 수용할 수 있는 포장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백에 수용된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포장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배면,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연속된 세 변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되도록 제조된 포장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배면,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연속된 세 변을 연결하고, 상기 저면의 외측에 결합된 견인손잡이를 포함하는 포장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손잡이는, 일단부는 상기 저면 중 상기 전면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면 중 상기 배면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된 손잡이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배면과 나란한 방향의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손잡이는 상기 저면의 상기 절첩선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배면,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연속된 세 변을 연결하고, 일단부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배면의 내측 중 상기 저면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전면, 상기 저면 및 상기 배면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 중 상기 개방부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인출스트랩을 포함하는 포장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 중 상기 인출스트랩의 타단부가 배치된 부분에 결합된 고리 형상의 지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인출스트랩이 그 길이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상기 지지편을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백에는, 상기 전면, 상기 배면,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 중 한 곳 이상에 결합된 투명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백에는,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가 상방향을 향하며 운반되도록 하는 제1 운반손잡이와, 상기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이 상방향을 향하며 운반되도록 하는 제2 운반손잡이 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백의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납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백의 저면에 견인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포장백에 수용된 수납물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백 내에 인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포장백에 수용된 수납물이 더욱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
도 2는 수납물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포장백에 도 2의 수납물이 수용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수납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견인손잡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포장백이 절첩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장백의 인출스트랩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에는 전면(110), 배면(120), 한 쌍의 측면(130, 131), 저면(140) 및 운반손잡이(160)가 포함된다.
전면(110) 및 배면(12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0) 및 배면(120)의 연속된 세 변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100)은 일측에 개방부(150)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은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되도록 제조된다. 즉,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의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전면(110), 배면(120),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은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내부에 수용될 물품의 방향과는 무관하다. 다만, 저면(140)은 개방부(15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을 의미한다.
전면(110) 중 개방부(150)가 형성된 부분에는 한 쌍의 측면(130, 131)보다 개방부(150) 방향으로 더 돌출된 덮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식별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배면(120)에도 덮개부(111)와 상응하는 형상의 덮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110)에 형성된 덮개부(111) 및 배면(120)에 형성된 덮개부(표시되지 않음)는 포장백(100) 내에 수용된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운반 과정에서 개방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150)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덮개부(111)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운반손잡이(160)는 물품이 수납된 포장백(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파지하기 용이하게 구비된다.
도면에 표시된 W, L 및 H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포장백(100)에서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너비(W), 길이(L) 및 높이(H)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에는 수납물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포장백에 도 2의 수납물이 수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수납물(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때, 수납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자일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품 자체의 형상이 직육면체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를 갖는 수납물(10)의 너비를 Wb, 길이를 Lb, 높이를 Hb라고 했을 때, 수납물(10)의 너비(Wb) 및 길이(Lb)가 도 1에 도시된 포장백(100)의 너비(W) 및 길이(L)보다 긴 경우, 수납물(10)이 포장백(100)에 수용된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은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될 수 있으므로, 수납물(10)이 포장백(100)에 수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이 신장될 수 있다.
즉,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이 수납물(1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포장백(100)의 너비(도 1의 W), 길이(도 1의 L) 및 높이(도 1의 H)가 각각 수납물(10)과 같은 너비(도 3의 Wb), 길이(도 3의 Lb) 및 높이(도 3의 Hb)가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물(10)의 너비(Wb) 및 길이(Lb)가 전면(110) 또는 후면(120)의 너비(W) 및 길이(L)와 동일하나, 수납물(10)의 높이(Hb)가 포장백(100)의 수용부의 높이(H)보다 클 경우에도,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이 신장되면서 수납물(10)이 포장백(1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130, 131) 및 저면(140)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됨으로써 포장백(100)은 그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수납물(10)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수납물(1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포장백(100)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4에는 수납물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물(20)은 본체(21) 및 커버(22)를 포함하는 상자로서, 커버(22)에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3)은 수납물(20)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근래에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외곽을 갖는 상자를 예시한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은 수납물(20)과 같이 직육면체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 또한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백(100)의 사용 상의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200)에는 전면(210), 배면(220), 한 쌍의 측면(2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저면(240), 운반손잡이(260), 견인손잡이(270) 및 메모 홀더(280)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면(210), 배면(220), 한 쌍의 측면(2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저면(240) 및 운반손잡이(260)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의 전면(도 1의 110), 배면(도 1의 120), 한 쌍의 측면(도 1의 130, 131), 저면(도 1의 140) 및 운반손잡이(도 1의 160)과 각각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 홀더(280)에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된 투명커버(281)가 포함되며, 투명커버(2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210)과 결합된 결합부(282, 283)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282, 283)는 투명커버(281)의 가장자리 부분 중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I)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되어, 투명커버(281) 및 전면(210)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메모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메모에는 포장백(200) 내에 포장된 수납물(20)의 소유자에 대한 식별표시, 발신인이나 수신인에 대한 정보, 인사문구, 수납물(20)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 등 다양한 내용이 표시되어, 포장백(200)의 운반 상 편의성이나 광고효과 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결합부(282, 283)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화살표로 표시한 메모(도시되지 않은)의 삽입 방향(I)이 도시된 바와 달리 다른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명커버(281)는 필요에 따라 전면(210) 외에 배면(220), 한 쌍의 측면(2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및 저면(24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여러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견인손잡이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견인손잡이(2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240)의 외측에 결합된다.
포장백(200)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물(도 2의 10, 도 4의 20)이 수용되었을 때 수납물(10, 20)을 포장백(200)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납물(10, 20) 및 포장백(200)을 각각 파지한 후 수납물(10, 20) 및 포장백(2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여야 한다.
그런데 수납물(10, 20)의 표면 및 포장백(200)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사용자가 혼자서 포장백(200)으로부터 수납물(10, 20)을 인출하기 매우 곤란할 수 있다.
견인손잡이(270)는 이러한 경우를 상정하여 구비된 것으로, 포장백(200)에 수용된 수납물(10, 20)을 인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견인손잡이(27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수납물(10, 2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백(200)으로부터 수납물(10, 2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견인손잡이(270)는 띠 형상의 손잡이본체(271)의 양단부를 봉합(272, 273)하여, 손잡이본체(271)의 중간 부분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부(274)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고정부(275, 276)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견인손잡이(27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손잡이부(274)가 저면(240)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물품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견인손잡이(27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부(274)가 저면(240)과 밀착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견인손잡이(270)가 고리 형상 등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포장백(200)의 한 쌍의 측면(2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및 저면(24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도 1의 100)의 한 쌍의 측면(도 1의 130, 131) 및 저면(140)과 같이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10, 20)의 크기에 따라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면(240)의 신장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도록, 저면(240)에 결합된 손잡이본체(271) 또한 저면(240)과 함께 신장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포장백이 절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백(200)은 보관 시 점유하는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2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및 저면(240)이 절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면(240)이 절첩되는 부분을 절첩선(CL)이라 하면, 견인손잡이(270)는 저면(240)에 형성된 절첩선(CL)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견인손잡이(270)가 저면(240) 중 절첩선(CL)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견인손잡이(270)가 저면(240)의 절첩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본체(271)의 일단부는 저면(240) 중 전면(210)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 결합되고, 손잡이본체(271)의 타단부는 저면(240) 중 배면(220)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포장백(200) 내에 수용된 물품(10, 20 참고)을 인출하고자 할 때 전면(210) 또는 배면(220)을 테이블이나 바닥면과 같은 평평한 지지면(도시되지 않음)에 안착시키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손잡이본체(27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손잡이본체(271)를 탄성이 없는 소재로 제조하되, 손잡이본체(271)의 손잡이부(274)만 저면(240)과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손잡이본체(271)의 양측 고정부(275, 276) 사이의 손잡이부(274)에 여분의 길이가 형성되도록 하면, 물품(10, 20)이 포장백(20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저면(240)이 신장되는 경우 손잡이본체(271)에 의해 저면(240)이 신장되는 것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다만, 손잡이본체(271)가 탄성이 없는 소재로 제조된 경우에는 저면(240)이 손잡이부(274)에 형성된 여분의 길이만큼만 신장되고 그 이상 신장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포장백(200)에 수용된 물품(10, 20)의 하중이 다소 큰 경우에 운반손잡이(260)를 파지하고 포장백(20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저면(240)이 과도하게 신장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포장백의 인출스트랩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300)에는 전면(310), 배면(320), 한 쌍의 측면(330, 331), 저면(350) 및 인출수단(390)이 포함된다.
여기서, 전면(310), 배면(320), 한 쌍의 측면(330, 331) 및 저면(350)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의 전면(도 1의 110), 배면(도 1의 120), 한 쌍의 측면(도 1의 130, 131) 및 저면(도 1의 140)과 각각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출수단(390)에는 인출스트랩(391) 및 지지편(392)이 포함된다.
인출스트랩(391)의 일단부는 전면(310)의 내측과 고정부(391a)를 형성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91a)는 저면(35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6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인출스트랩(391)의 중간 부분은 전면(310), 저면(350) 및 배면(3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인출스트랩(391)은 포장백(300)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물(도 2의 10, 도 40의 20)이 수납될 경우 수납물(10, 20)의 세 면을 감싸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인출스트랩(391)의 타단부는 수납물(10, 20)이 수납되었을 때 개방부(360)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36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편(392)은 수납물(10, 20)이 개방부(360)를 통하여 포장백(300) 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인출스트랩(391)의 타단부가 포장백(300) 내로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편(392)은 배면(320) 내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고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편(392)은 인출스트랩(391)의 타단부가 인출스트랩(391)의 길이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되, 그 외의 방향으로는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배면(320)에 인출스트랩(391)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출수단(390)은 아래와 같이 작용된다.
포장백(300) 내에 수납물(도 2의 10, 도 4의 20 참조)이 수용된 상태를 가정할 때, 인출수단(390)의 타단부, 즉 파지부(391b)를 파지한 후 도 9에 T로 표시한 방향으로 당기면 인출스트랩(391)의 중간 부분이 도 8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인출스트랩(39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백(300) 내부에 수용된 수납물(도 2의 10, 도 4의 20 참조)의 세 면을 감싸고 있고, 인출스트랩(391)의 일단부(391a)는 전면(3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출스트랩(391)의 중간 부분의 이동에 따라 수납물(10, 20 참조)이 개방부(360)를 통하여 인출된다.
따라서, 파지부(391b)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하여 포장백(300)에 수용된 수납물(10, 20)이 개방부(360)를 통하여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특히 수납물(10, 20)이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때에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 상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납물(10, 20)을 더욱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저면(350)에 상술한 바와 같은 견인손잡이(도 5의 27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고정부(391a)는 배면(320)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지부(391b) 및 지지편(392)은 전면(3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400)에는 전면(410), 배면(420), 한 쌍의 측면(4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저면(도시되지 않음) 및 운반손잡이(4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면(410), 배면(420), 한 쌍의 측면(430,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및 저면(도시되지 않음)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도 1의 100)의 전면(도 1의 110), 배면(도 1의 120), 한 쌍의 측면(도 1의 130, 131) 및 저면(도 1의 140)과 각각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면(410)에 형성된 덮개부(411) 및 배면(420)에 형성된 덮개부(42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의 덮개부(111)와 구조와 작용이 같으므로, 덮개부(111)에 대한 설명으로 덮개부(411, 421)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여기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덮개부(411, 4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이 구비되어, 덮개부(411, 4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포장백(400) 내부에 수용된 수납물(도 2의 10, 도 4의 20 참조)을 인출하고자 할 때 덮개부(411, 421)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운반손잡이(460)에는 손잡이 스트랩(461, 462) 및 보강패드(463)가 포함된다.
손잡이 스트랩(461, 462) 및 보강패드(463)는 전면(410)에 배치되는데, 손잡이 스트랩(461, 462)는 포장백(40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소재로 제조된다.
손잡이 스트랩(461, 462) 사이에 배치된 보강패드(463)는 운반손잡이(460)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 스트랩(461, 462)의 교차 부분을 파지하였을 때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포장백(400)의 하중이 사용자의 손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면(410)과 상이한 색상 등을 부가하여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운반손잡이(460)는 포장백(400) 내부에 수용된 수납물(10, 20 참조)이 육류나 어류 등이 포장된 상자일 경우와 같이 특정 방향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운반되어야 하는 물품일 경우, 그 상방향에 운반손잡이(460)가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100, 200, 300, 400)은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납물(10, 20 참조)이 수용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수납물(10, 20)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 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참고로, 포장백(100, 200, 300, 400)은 부직포 등과 같이 저렴한 소재가 적용되어,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20: 수납물
100, 200, 300, 400: 포장백
110, 210, 310, 410: 전면
120, 220, 320, 420: 배면
130, 131, 230, 330, 331, 430: 측면
140, 240, 350: 저면
160, 460: 운반손잡이
270: 견인손잡이
390: 인출수단

Claims (8)

  1. 전면, 배면, 한 쌍의 측면 및 저면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연속된 세 변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은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되도록 제조되며,
    일단부는 상기 저면 중 상기 전면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저면 중 상기 배면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된 손잡이본체를 갖는 견인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본체는 비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저면과 이격된
    포장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배면과 나란한 방향의 절첩선이 형성된
    포장백.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배면의 내측 중 상기 저면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전면, 상기 저면 및 상기 배면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 중 상기 개방부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인출스트랩을 포함하는
    포장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 중 상기 인출스트랩의 타단부가 배치된 부분에 결합된 고리 형상의 지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인출스트랩이 그 길이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상기 지지편을 상기 배면 또는 상기 전면의 내측에 고정하는
    포장백.
  7.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상기 배면, 상기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면 중 한 곳 이상에 결합된 투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포장백.
  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의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가 상방향을 향하며 운반되도록 하는 제1 운반손잡이와,
    상기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이 상방향을 향하며 운반되도록 하는 제2 운반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포장백.
KR1020130081077A 2013-07-10 2013-07-10 포장백 KR10152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077A KR101529775B1 (ko) 2013-07-10 2013-07-10 포장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077A KR101529775B1 (ko) 2013-07-10 2013-07-10 포장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03A KR20150007103A (ko) 2015-01-20
KR101529775B1 true KR101529775B1 (ko) 2015-06-29

Family

ID=5257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077A KR101529775B1 (ko) 2013-07-10 2013-07-10 포장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92B1 (ko) 2018-05-31 2019-08-07 김병열 포장용 가방
KR102008297B1 (ko) 2018-05-31 2019-08-07 김병열 포장용 가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622Y1 (ko) * 1988-01-16 1991-03-18 이덕재 신발주머니
JP2001292821A (ja) * 2000-04-14 2001-10-23 Daiya Corporation:Kk 物入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622Y1 (ko) * 1988-01-16 1991-03-18 이덕재 신발주머니
JP2001292821A (ja) * 2000-04-14 2001-10-23 Daiya Corporation:Kk 物入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92B1 (ko) 2018-05-31 2019-08-07 김병열 포장용 가방
KR102008297B1 (ko) 2018-05-31 2019-08-07 김병열 포장용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03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775B1 (ko) 포장백
CA2768294C (en) Carrier for a box
JP2009012830A (ja) 多用途風呂敷
JP5697824B2 (ja) 容器取り出し用シート
JPS5850750Y2 (ja) 水平保持可能な袋
JP2012533480A6 (ja) 箱の運搬具
JP2010194038A (ja) ピザ用持ち帰りバッグ
JP3099417U (ja) キャリーバッグ用の補助バッグ
US11407551B2 (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KR101536407B1 (ko) 휴대용 구획 종이상자
KR200446010Y1 (ko) 택배용 포장가방
JP3187285U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8750277B (zh) 一种便携式套装包装盒
JP2518146Y2 (ja) スーツケース運送用包装体
KR20200000001U (ko) 계란 포장 운반구
JP6636897B2 (ja) キャリーバッグ
KR20110011678U (ko) 포장상자
KR20210112054A (ko) 포장박스용 스트랩
JP3172319U (ja) 使用済み生理用品用収容袋入り携帯ケース
KR200191530Y1 (ko) 연장부가 형성된 쇼핑 백
KR200470366Y1 (ko) 곡물용 포장
JPH08119355A (ja) 引っ越し用包装材
JP4987908B2 (ja) キャリー用補助ポーチ
JP2007044102A (ja) 運搬補助用具
JP3070107U (ja) 物品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