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737B1 -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737B1
KR101529737B1 KR1020097005354A KR20097005354A KR101529737B1 KR 101529737 B1 KR101529737 B1 KR 101529737B1 KR 1020097005354 A KR1020097005354 A KR 1020097005354A KR 20097005354 A KR20097005354 A KR 20097005354A KR 101529737 B1 KR101529737 B1 KR 10152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nanofiber layer
nanofiber
aller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562A (ko
Inventor
워렌 프란시스 노프
다리유즈 브워지미에스 카프카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4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6Mattress underlay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2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me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1Anti-allergen; Anti-m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62Void-containing component has a continuous matrix of fibers only [e.g., porous pap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edding Item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다.
알레르겐 차단 직물, 중합체 나노섬유, 직물 층, 다공성 층, 공기 투과율

Description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NANOFIBER ALLERGEN BARRIER FABRIC}
실내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주된 원인은 먼지 진드기이다. 크기가 10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인 먼지 진드기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핵심 성분인 먼지 진드기 배설물은 훨씬 더 작아서, 10 마이크로미터까지 작아진 크기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먼지, 먼지 진드기 및 이들의 알레르기 유발 입자에 대한 효과적인 차단재가 되도록, 직물 또는 재료는 그의 평표면을 통한 10 마이크로미터 입자의 투과를 제한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예를 들어 문헌[Platts-Mills et al., "Dust Mite Allergens and Asthma: Report of a Second International Workshop," J. Allergy Clin. Immunology, 1992, Vol. 89, pp. 1046-1060 ("몇몇 연구는 공기로 운반되는 그룹 1 진드기 알레르겐의 대부분이 직경이 10 내지 40 Vm인 상대적으로 '큰' 배설물 입자와 연관됨을 증명하였음.")]; 및 우드콕(Woodcoc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50,256호에 논의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문헌[Woodcock et al. "Fungal contamination of bedding" Allergy 2006: 61: 140-142]은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새로운 위협을 상술한다. 먼지 진드기의 배설물 내에서, 직경이 2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인 진균류 포자(fungal spore)가 베개 내부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포자는 베개를 빠져 나와 알레르기 반응을 유 발할 수 있다.
집에서 먼지 진드기 및 진균류 포자의 주요 군집 위치는 침실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보통의 매트리스에서는 2백만 개의 먼지 진드기의 군체가 서식할 수 있다. 베개가 또한 먼지 진드기의 좋은 서식지이다. 6년 된 베개는 전형적으로 그 중량의 25%의 먼지, 먼지 진드기 및 알레르겐을 모은다. 소파 쿠션, 의자 쿠션, 카펫 및 다른 폼(foam) 또는 섬유 충전 용품이 또한 먼지 진드기에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실제로, 모든 집은 먼지 진드기가 번식할 수 있는 많은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먼지 진드기 및 진균류 포자로부터의 알레르겐의 존재는 베개, 매트리스 등이 오래될수록 증가하는 것이 문제이다. 그 수명 동안, 전형적인 먼지 진드기는 그의 순 체중의 최대 200배에 달하는 배설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배설물은 충혈, 적안(red eye), 재채기 및 두통을 비롯한 천식 발작과 알레르기 반응을 촉발시키는 알레르겐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는 먼지 진드기를 이들이 번식하고 있는 재료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심화된다. 베개는 좀처럼 세탁하지 않으며, 한편 대부분의 매트리스는 전혀 세탁하지 않는다.
구매가능한 알레르기 완화 침구류 제품은 알레르겐 차단재로서의 그의 효능에 관하여 많은 품질 설명을 제시한다. 그러나, 라미네이팅된 또는 코팅된 재료는 전형적으로 편안하지 않고, 뻣뻣하며, 감촉이 부드럽지 않고, 소음을 발생시킨다(즉, 시트 또는 베개 상에서 사람이 움직일 때 비교적 큰 바스락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킴). 또한, 비닐, 폴리우레탄, 및 미공성의 코팅된 직물은 베개 또는 매트리 스 겉감(ticking)으로서 사용될 때 통기(venting)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공기 유동이 이들 재료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 재료로 덮인 베개 또는 매트리스는 이들이 통기되지 않는 한, 압축될 때 수축 및 재팽창될 수 없다. 그러나, 이들 직물을 통기시킬 필요성은 (알레르겐이 역시 통기부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효과적인 알레르겐 차단재로서 고려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의문점을 남긴다. 코팅된 및 라미네이팅된 직물은 또한 코팅 탈층으로 인해 제한된 마모수명을 갖는 경향이 있다.
비코팅 면(cotton) 시트가 비록 차단재로서 판촉되고는 있지만, 그 고유의 큰 기공 크기로 인해 알레르겐에 대한 진정한 차단재는 아니다. 알레르기 전문의는 환자에게 그의 침구류 제품을 매주 세탁할 것을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작업은 장기간에 걸친 세탁으로 인해 섬유가 소실되기 때문에 단지 면 시트의 기공 크기를 더욱 확대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
매트리스 및 베개 커버에 사용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punbond/meltblown/spunbond, SMS) 폴리올레핀 부직물이 또한 알레르겐에 대한 차단 보호재로서 사용된다.
우드콕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50,256호는 수증기 투과성 커버를 구비한 알레르겐 방지 침구류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 특허에 기술된 커버 재료는 박센덴 윗코플렉스(Baxenden Witcoflex) 971/973 유형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직조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직물로 제조된다.
쇼트만(Schortmann)(인터내셔날 페이퍼 컴퍼니(International Paper Co.))에 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68,920호는 비다공성의 통기성 차단 직물 및 관련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이 직물은 수증기 투과성이고 액체 및 공기 불투과성인 차단 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직물 기재의 빈 공간을 필름 형성 클레이-라텍스(clay-latex)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생성된다.
댄시(Dancey)의 미국 특허 제5,321,861호는 접착 테이프로 덮이는 해제가능한 체결구, 예컨대 짚-체결구(zip-fastener)에 의해 개방부가 밀봉되는 접합 시임(welded seam)을 갖는, 기공 크기가 0.0005 ㎜ 미만인 미공성 울트라필터(ultrafilter) 재료를 기술한다.
공기의 효율적인 통과를 허용하면서 집 내의 알레르겐에 대한 우수한 차단을 제공하는 알레르겐 차단재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미공성 덮개 재료를 구비하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미공성 덮개 재료는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number average diameter)은 약 50 ㎚ 내지 약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mean flow pore size), 약 1 g/㎡ 내지 약 30 g/㎡의 평량(basis weight),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Frazier air permeability)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allergen-barrier fabric)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약 50 ㎚ 내지 약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약 1 g/㎡ 내지 약 30 g/㎡의 평량,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침대 덮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약 50 ㎚ 내지 약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약 1 g/㎡ 내지 약 30 g/㎡의 평량,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 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겐 침투에 민감한 용품을 위한 라이너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약 50 ㎚ 내지 약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약 1 g/㎡ 내지 약 30 g/㎡의 평량,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약 50 ㎚ 내지 약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약 1 g/㎡ 내지 약 30 g/㎡의 평량,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약 0.01 ㎛ 내지 약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약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된다.
도 1은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웨브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섬유의 웨브로부터 제조된 종래 기술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의 도면.
도 2는 통상의 직물 웨브 위에 나노섬유 웨브가 놓여 있는, 본 발명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의 도면.
본 발명자는 알레르겐 침투에 민감한 용품을 위한 덮개로 사용되는 직물에 중합체 나노섬유들을 함유하는 부직 직물 웨브를 포함시키면 효과적인 알레르겐 차단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중합체 나노섬유 함유 웨브는 하나 이상의 다른 직물 웨브에 접착되어 덮개, 예컨대 매트리스 또는 베개 커버, 매트리스 또는 베개 겉감, 매트리스 패드, 이불(duvet) 커버, 및 심지어 다운 재킷 등의 안감(lining)과 같은 알레르겐을 함유하는 의류를 위한 안감에 사용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겉감은 베개 또는 매트리스의 인조 섬유 솜(fiberfill) 또는 다른 패딩을 둘러싸는 제거 불가능한 직물 덮개이다. 베개 또는 매트리스 커버는 베개 또는 매트리스를 덮는 제거가능한 직물이며, 또한 장식적인 세탁가능한 싸개(encasement)(예컨대, 베갯잇(pillow case))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알레르기 환자를 위해, 베개 커버는 또한 알레르겐 차단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베개 커버 폐쇄구는 대개 지퍼(zipper) 또는 중첩 플랩(overlapping flap)이다. 규격화된 매트리스 커버는 또한 유체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알레르기 환자를 위해, 그러한 커버는 또한 알레르겐 차단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매트리스 커버 폐쇄구는 전형적으로 지퍼 또는 중첩 플랩이다. 매트리스 패드는 매트리스용의 누빈(quilted) 제거가능한 덮개이다. 알레르기 환자를 위해, 패드 내의 최내측 또는 최외측 직물은 알레르겐 차단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중합체 나노섬유 웨브의 알레르겐 감소 효과는,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 웨브 또는 조밀 직조 직물과 같은 보다 통상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과 비교할 때, 그러한 웨브의 평균 유공 크기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도 1은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 웨브와 같은 통상의 종래 기술의 부직 웨브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전형적인 알레르겐 입자의 크기에 대한 섬유들 간의 기공 크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나노섬유 함유 웨브는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약 50 ㎚ 내지 약 1000 ㎚, 심지어 약 200 ㎚ 내지 약 800 ㎚, 또는 심지어 약 300 ㎚ 내지 700 ㎚이고, 평균 유공 크기는 약 0.01 ㎛ 내지 약 10 ㎛, 심지어 약 0.5 ㎛ 내지 약 3 ㎛이다.
통상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에 비한 평균 유공 크기의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웨브의 단위 표면적(및 부피)당 침착된 섬유 수의 큰 증가에 기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겐 차단 직물의 도면으로서, 통상의 부직 웨브 층 위에 나노섬유 층이 놓여 있다. 직물의 주어진 단위 표면적에 침착될 수 있는 나노섬유들의 수가 통상의 직물 웨브의 경우에 비해 훨씬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섬유들 자체 간에 그리고 나노섬유와 아래에 놓인 부직 웨브 섬유 간에 훨씬 더 작은 기공이 형성되어, 웨브를 통한 높은 공기 유동 능력을 유지하면서 훨씬 우수한 알레르겐 차단 특성을 형성한다.
중합체 나노섬유 함유 웨브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일렉트로스피닝(electrospinning) 또는 일렉트로블로잉(electroblowing)과 같은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렉트로스피닝 및 일렉트로블로잉 기술 모두는, 중합체가 상대적으로 온화한 방사 조건(mild spinning condition), 즉 실질적으로 주변 조건의 온도 및 압력에서 용매 중에 용해될 수 있는 한, 매우 다양한 중합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웨브는 중합체, 예컨대 알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티아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아, 비닐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스티렌 중합체,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폴리다이엔, 폴리설파이드, 다당류, 폴리락티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도체 화합물 또는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비닐 부틸렌)을 포함한다.
중합체 용액은 전술한 중합체들에 따라 용매를 선택함으로써 제조된다. 적합한 용매는 물, 알코올, 포름산, 다이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다이메틸 포름아미드를 포함한다. 중합체 용액은 관련 중합체,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가교결합제, 경화제, 반응 개시제, 착색제, 예컨대 염료 및 안료 등과 상용성인 임의의 수지를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대부분의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데에 임의의 특정 온도 범위가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용해 반응을 보조하기 위해 가열이 필요할 수 있다.
일렉트로스피닝으로 공지된 섬유 방사(fiber-spinning) 공정에서, 나노섬유 및 부직 매트(mat)를 생성하기 위해 용액 중의 중합체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중합체 용액은 주사기(syringe) 내로 로딩되고, 이 주사기 내의 용액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주사기 바늘의 끝에 매달린 용액의 소적(droplet)에 전하가 축적된다. 차츰, 이러한 전하가 용액의 표면 장력을 극복함에 따라, 이러한 소적은 길어지면서 테일러 콘(Taylor cone)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용액은 테일러 콘의 끝으로부터 제트(jet)로서 방출되어, 공기를 통해 그의 목표 매체로 이동한다. 미국 특허 제4,127,706호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일렉트로스피닝의 한 가지 단점은 방사 용액의 매우 낮은 처리량이며, 이는 상업적 용도에 충분한 크기의 나노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것이 시간 소모적이고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회전하는 일렉트로스피닝 헤드를 이용하는, 미국 특허 제6,673,136호에 기술된 개선된 일렉트로스피닝도 그 제조 능력면에서 제한된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국제 출원 공개 WO2003/080905호(미국 특허 출원 제10/822,325호)에 개시된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 평량이 적어도 약 1 g/㎡ 또는 그 이상인 나노섬유 웨브가 상업적 용도에 맞는 양으로 용이하게 입수될 수 있다.
일렉트로블로잉 방법은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의 스트림을 저장 탱크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고 중합체 용액이 방출되는 방사구(spinneret) 내의 일련의 방사 노즐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가열되는 압축 공기가 방사 노즐의 측면 또는 주연부에 배치된 공기 노즐로부터 방출된다. 공기는, 새로 방출된 중합체 용액을 둘러싸서 전진시키고 진공 챔버 위의 접지된 다공성 수집 벨트 상에 수집되는 섬유 웨브의 형성을 돕는 블로잉 가스 스트림(blowing gas stream)으로서 대체로 하향으로 지향된다.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에 의해 침착되는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약 1000 ㎚ 미만, 또는 심지어 약 800 ㎚ 미만, 또는 심지어 약 50 ㎚ 내지 약 500 ㎚, 그리고 심지어 약 100 ㎚ 내지 약 400 ㎚이다. 각각의 나노섬유 층은 평량이 약 1 g/㎡ 이상, 심지어 약 1 g/㎡ 내지 약 40 g/㎡, 그리고 심지어 약 5 g/㎡ 내지 약 20 g/㎡일 수 있다. 각각의 나노섬유 층은 두께가 약 20 ㎛ 내지 약 500 ㎛, 그리고 심지어 약 20 ㎛ 내지 약 300 ㎛일 수 있다.
극히 낮은 공기 유동 투과율을 갖는 미공성 필름을 알레르겐 차단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은 약 1.5 ㎥/분/㎡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 ㎥/분/㎡ 이상, 또는 심지어 약 4 ㎥/분/㎡ 이상, 및 심지어 최대 약 6 ㎥/분/㎡의 프래지어(Frazier) 공기 투과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을 통한 많은 공기 유동은 낮은 알레르겐 침투 수준을 계속 유지하면서도 그 통기성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뛰어난 편안함을 제공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형성하게 한다.
알레르겐 차단 직물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나노섬유 층은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에 접착되며, 선택적으로는 나노섬유 층의 양면 상에 하나씩 2개의 직물 층에 접착된다. 추가의 직물 층은, 예컨대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초음파 접합을 사용하는 열 접착; 예컨대 용매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층 부착과 같은 화학적 접착; 또는 예컨대 재봉, 고수압직조(hydroentanglement), 또는 직물 층 상으로의 나노섬유 층의 직접 침착에 의한 부착과 같은 기계적 접착에 의해 나노섬유 층에 접착될 수 있다. 적절하거나 바람직할 경우, 이들 접착 기술들이 또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의 내구성은 이들이 여러 직물 층들의 기계적 분리 또는 탈층 없이 10회 이상의 세탁, 그리고 심지어 최대 50회의 세탁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나노섬유 층에 접착될 수 있는 추가의 직물 층은, 이들이 나노섬유 층의 공기 유동 투과율에 크게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추가의 직물 층은 직조 직물, 편직 직물, 부직 직물, 스크림(scrim) 또는 트리콧(tricot)일 수 있다. 조합된 층의 공기 유동 투과율은 나노섬유 층의 투과율과 동일한 것, 즉 추가의 직물 층이 나노섬유 층의 프래지어 투과율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약 1.5 ㎥/분/㎡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 ㎥/분/㎡ 이상, 또는 심지어 약 4 ㎥/분/㎡ 이상, 그리고 심지어 최대 약 6 ㎥/분/㎡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에 대한 화학적 강화 처리는 영구적 항미생물성 가공제(permanent antimicrobial finish) 및/또는 유연성 불소화합물계 가공제(flexible fluorochemical finish)의 적용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영구적"이라는 것은 제품의 수명 동안의 개개의 가공제의 효과가 지속됨을 지칭한다. 임의의 적합한 항미생물성 또는 불소화합물계 가공제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가공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4,822,667호 참조).
적합한 항미생물성 가공제의 일례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3-(트라이메톡시실릴)-프로피다이메틸옥타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화합물(다우 코닝(Dow Corning) 5700)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제는 박테리아 및 진균류에 대해 직물을 보호하며, 악취 유발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한다. 이는 박테리아(스트렙토코커스 파에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케이. 뉴모니애(K. pneumoniae)), 진균류(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 창상 단리균(wound isolate)(시트로박터 디베르수스(Citrobacter divers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및 소변 단리균(urine isolate)(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이. 콜라이(E. coli))에 대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불소화합물계 가공제는 본 발명의 알레르겐 차단 직물의, 예컨대 액체 유출물(liquid spill)로부터의 방오성(stain resistance)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체 반발성을 부여하는 영구적인 초박형의 유연성 불소화합물계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 차단재에 사용되는 나노섬유 층(들)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국제 출원 공개 WO2003/0809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을 평가하는 데 하기의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평량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ASTM D-3776에 따라 측정하여 g/㎡ 단위로 기록하였다.
섬유 직경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각각의 나노섬유 층 샘플에 대한 10매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를 5,000x 배율로 촬영하였다. 이 사진으로부터 11개의 명확하게 구별가능한 나노섬유의 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결함(즉, 나노섬유들의 덩어리, 중합체 드롭(polymer drop), 나노섬유들의 교차)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평균 섬유 직경을 계산하였다.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은 다공성 재료의 공기 투과율의 측정치이며, ft3/분/ft2 단위로 기록된다. 이는 124.5 ㎩ (0.5 인치 (12.7 ㎜)의 수주)의 차압(differential pressure)에서 재료를 통한 공기 유동 체적을 측정한다. 샘플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측정가능한 양으로 제한하기 위해 오리피스를 진공 시스템 내에 장착한다. 오리피스의 크기는 재료의 다공도에 따른다. 프래지어 투과율을 보정된 오리피스를 구비한 셔먼 더블유 프래지어 컴퍼니(Sherman W. Frazier Co.)의 이중 압력계를 사용하여 ft3/분/ft2 단위로 측정하고, ㎥/분/㎡ 단위로 변환한다.
평균 유공 크기는, 모세관 유동 기공측정기(capillary flow porosimeter)(미 국 뉴욕주 이타카 소재의 포러스 머티리얼즈, 인크.(Porous Materials, Inc.; PMI)의 모델 번호 CFP-34RTF8A-3-6-L4)를 사용하여 ASTM 규정 F 316의 자동 기포점 방법(automated bubble point method)을 사용함으로써 0.05 ㎛ 내지 300 ㎛의 기공 크기 직경을 갖는 멤브레인의 기공 크기 특징을 근사적으로 측정하는 ASTM 규정 E 1294-89 "자동 액체 기공측정기를 사용하는 멤브레인 필터의 기공 크기 특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Standard Test Method for Pore Siz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ilters Using Automated Liquid Porosimeter)에 따라 측정하였다. 개별 샘플을 저 표면 장력 유체(16 다인(dyne)/㎝의 표면 장력을 갖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펜 또는 "갈위크"(Galwick))로 습윤시켰다. 각각의 샘플을 홀더 내에 배치시키고, 공기의 차압을 인가하여 샘플로부터 유체를 제거하였다. 습윤 유동(wet flow)이 건조 유동(dry flow)(습윤 용매가 없는 유동)의 절반과 동일해지는 차압은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평균 유공 크기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로우스(Lowe's)로부터 입수가능한 표준 지이(GE) 세탁기로 세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직물을 온/냉 설정에서 5회 세탁의 10번의 사이클 동안 세탁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열풍 건조 없이 사이클들 간에 완전히 건조시켰다. 세탁 중에 비누 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샘플의 기계적 결함 또는 탈층을 시각적으로 검사하였다.
실시예 1
약 400 ㎚의 수평균 섬유 직경, 약 10 gsm의 평량, 6 ㎥/분/㎡의 프래지어 투과율, 및 1.8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유공 직경을 갖는 나일론-6,6의 나노섬유 층 의 제1 면에,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225 면번수(cotton count)의 직조 평직 면직물(woven plain weave cotton fabric)을 다공성 시트의 제1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nip)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나노섬유 층의 제2 면에, 동일한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120 면번수의 직조 평직 면직물을 나노섬유 층의 제2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구조물의 프래지어 투과율은 1.8 ㎥/분/㎡이었으며, 평균 유공 크기는 1.5 마이크로미터였다.
실시예 2
약 400 ㎚의 수평균 섬유 직경, 10 gsm의 평량, 6 ㎥/분/㎡의 프래지어 투과율, 및 1.8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유공 직경을 갖는 나일론-6,6의 나노섬유 층의 제1 면에,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나일론 트리콧을 나노섬유 층의 제1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나노섬유 층의 제2 면에, 동일한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나일론 부직 립스톱(ripstop)을 나노섬유 층의 제2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구조물의 프래지어 투과율은 3.9 ㎥/분/㎡이었다. 이러한 공정을 약 450 ㎚, 약 700 ㎚, 및 약 1000 ㎚의 수평균 섬 유 직경을 갖는 나일론-6,6의 나노섬유 층으로 반복하였다. 생성된 구조물의 프래지어 투과율은 각각 4.7, 5.4 및 5.9 ㎥/분/㎡이었다.
실시예 3
약 400 ㎚의 수평균 섬유 직경, 10 gsm의 평량, 6 ㎥/분/㎡의 프래지어 투과율, 및 1.8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유공 직경을 갖는 나일론-6,6의 나노섬유 층의 제1 면에,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225 면번수의 직조 평직 면직물을 나노섬유 층의 제1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나노섬유 층의 제2 면에, 동일한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17 gsm 폴리에틸렌 부직 시트를 나노섬유 층의 제2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구조물의 프래지어 투과율은 1.8 ㎥/분/㎡이었으며, 평균 유공 크기는 2.9 마이크로미터였다.
실시예 4
약 400 ㎚의 수평균 섬유 직경, 10 gsm의 평량, 6 ㎥/분/㎡의 프래지어 투과율, 및 1.8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유공 직경을 갖는 나일론-6,6의 나노섬유 층의 제1 면에,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나일론 트리콧을 나노섬유 층의 제1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나노섬유 층의 제2 면에, 동일한 패턴화된 도포 롤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 용액을 도포하였다. 폴리에스테르 립스톱을 나노섬유 층의 제2 면과 동연적으로 동시에 접촉시켰다. 이어서, 이 구조물을 닙을 통해 캘린더링하여 24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 구조물을 20 × 25 ㎝ (8 × 10 인치) 시트로 절단하여 세탁 시험하였다. 어떠한 탈층 또는 기계적 결함도 관찰되지 않았다. 세탁 시험 후 프래지어 투과율은 1.8 ㎥/분/㎡으로 측정되었다.

Claims (23)

  1. 미공성 덮개 재료를 구비하는 매트리스로서,
    상기 미공성 덮개 재료는,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부직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number average diameter)은 50 ㎚ 내지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mean flow pore size), 1 g/㎡ 내지 30 g/㎡의 평량(basis weight),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Frazier air permeability)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
    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미공성 덮개 재료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나노섬유 층은 매트리스 겉감에 포함되는 매트리스.
  3.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베개로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부직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50 ㎚ 내지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1 g/㎡ 내지 30 g/㎡의 평량,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
    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베개 겉감에 포함되는 베개.
  5.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침대 덮개로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부직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50 ㎚ 내지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1 g/㎡ 내지 30 g/㎡의 평량,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
    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침대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침대 스프레드(bedspread)에 포함되는 침대 덮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이불 커버에 포함되는 침대 덮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매트리스 커버에 포함되는 침대 덮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매트리스 패드에 포함되는 침대 덮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베개 커버에 포함되는 침대 덮개.
  11. 알레르겐 차단 직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겐 침투에 민감한 용품을 위한 라이너로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부직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50 ㎚ 내지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1 g/㎡ 내지 30 g/㎡의 평량,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
    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라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알레르겐 침투에 민감한 상기 용품은 다운 재킷인 라이너.
  13. 알레르겐 차단 직물로서,
    중합체 나노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층을 포함하는 부직 나노섬유 층 -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50 ㎚ 내지 1000 ㎚이며, 상기 나노섬유 층은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1 g/㎡ 내지 30 g/㎡의 평량,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가짐 - ;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상부의 직물 층; 및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나노섬유 층 하부의 선택적인 직물 층
    을 포함하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알레르겐 차단 직물이 0.01 ㎛ 내지 10 ㎛의 평균 유공 크기, 및 1.5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도록 상기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열 접착, 화학적 접착 또는 기계적 접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노섬유 층에 접착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층들의 기계적 분리 또는 탈층 없이 10회 이상의 세탁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들의 수평균 직경은 300 ㎚ 내지 800 ㎚인 알레르겐 차단 직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0.5 ㎛ 내지 3 ㎛의 평균 유공 크기를 갖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2 g/㎡ 내지 30 g/㎡의 평량을 갖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차단 직물은 2 ㎥/분/㎡ 이상의 프래지어 공기 투과율을 갖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알킬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티아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아, 비닐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스티렌 중합체,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폴리다이엔, 폴리설파이드, 다당류, 폴리락티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유도체 화합물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직물 층 및 선택적인 하부의 직물 층은 직조 직물, 편직 직물, 부직 직물, 스크림(scrim) 또는 트리콧(trico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22. 제13항에 있어서, 항미생물성 가공 처리제(antimicrobial finish treatm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23. 제13항에 있어서, 유체 저항성 가공 처리제(fluid-resistant finish treatm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레르겐 차단 직물.
KR1020097005354A 2006-08-17 2007-08-14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 KR101529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06,022 2006-08-17
US11/506,022 US20080120783A1 (en) 2006-08-17 2006-08-17 Nanofiber allergen barrier fabric
PCT/US2007/017871 WO2008021293A1 (en) 2006-08-17 2007-08-14 Nanofiber allergen barrier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562A KR20090043562A (ko) 2009-05-06
KR101529737B1 true KR101529737B1 (ko) 2015-06-17

Family

ID=3869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354A KR101529737B1 (ko) 2006-08-17 2007-08-14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120783A1 (ko)
EP (1) EP2051607B1 (ko)
JP (1) JP5389648B2 (ko)
KR (1) KR101529737B1 (ko)
CN (1) CN101505636B (ko)
BR (1) BRPI0714536B8 (ko)
ES (1) ES2376596T3 (ko)
WO (1) WO2008021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8263A1 (en) * 2006-11-03 2008-05-08 Conley Jill A Breathable waterproof fabrics with a dyed and welded microporous layer
US20110092122A1 (en) * 2006-11-03 2011-04-21 Conley Jill A Wind resistant and water vapor permeable garments
JP5072870B2 (ja) * 2008-01-18 2012-11-14 グンゼ株式会社 複合ファブリック
DE09702443T1 (de) * 2008-01-18 2011-04-07 MMI-IPCO, LLC, Lawrence Verbundgewebe
GB2463264A (en) * 2008-09-04 2010-03-10 Laurence Millar Scented pillow case
US20110033673A1 (en) 2009-08-10 2011-02-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urable nonwoven allergen barrier laminates
US20110033686A1 (en) * 2009-08-10 2011-02-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urable high performance adhesive-bonded allergen barrier laminat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459333Y1 (ko) * 2009-08-21 2012-03-22 형상 문 알레르겐을 차단하는 침구 커버
CZ305230B6 (cs) * 2011-04-28 2015-06-24 Česká Včela s.r.o. Bariérová textilie
CN102922858A (zh) * 2012-06-15 2013-02-13 佛山市南海必得福无纺布有限公司 静电纺丝纳米复合无纺布的复合方法
DK2762043T3 (da) * 2013-02-01 2015-09-14 Bodet & Horst Gmbh & Co Kg Stof og betræk til madras, topmadras, skånestykke, sengetæppe eller pude, samt kærne til madras, topmadras, skånestykke, pude eller sengetæppe.
CZ2014888A3 (cs) * 2014-12-11 2016-04-27 Nafigate Corporation, A.S. Síť proti průniku hmyzu a mechanických a biologických nečistot obsažených ve vzduchu
CN108024645A (zh) * 2015-07-12 2018-05-11 F·克莱因 带多层睡眠表面和多室内体芯的枕头
DK3325703T3 (da) 2016-08-02 2019-10-28 Fitesa Germany Gmbh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kke-vævede polymælkesyrestoffer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EP3305258B1 (fr) * 2016-10-04 2020-07-0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atch antiallergene
US11785916B1 (en) * 2017-12-04 2023-10-17 Maranda Enterprises Animal cooling mat
US11585025B2 (en) * 2018-03-08 2023-02-21 Nxtnano, Llc Microporous nanofiber films
CN113619231B (zh) * 2021-07-23 2023-06-02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跑绒羽绒服拉链布带的生产工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7601A (en) * 1998-01-29 2000-01-25 Amsel; Allan D. Allergen-barrier cover
US6277770B1 (en) * 1997-10-08 2001-08-21 Precision Fabrics Group, Inc. Durable, comfortable, air-permeable allergen-barrier fabrics
WO2003064745A1 (en) * 2002-01-21 2003-08-07 Allergy C & C Co., Ltd. Washing-enduring high density micro-fiber fabric
US20060094320A1 (en) * 2004-11-02 2006-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radient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2605A (en) * 1974-09-26 1978-08-23 Ici Ltd Preparation of fibrous sheet product
GB8730252D0 (en) * 1987-12-29 1988-02-03 Woodcock A Bedding system
US4822667A (en) * 1988-03-04 1989-04-18 Precision Fabrics Group Woven medical fabric
US5321920A (en) * 1990-05-23 1994-06-21 Sichel Gerald M S Roof gutter screen
JPH07246144A (ja) * 1994-03-09 1995-09-26 Unitika Ltd 耐アレルゲン性寝具カバー
JPH10183457A (ja) * 1996-12-24 1998-07-14 Kao Corp 防ダニシート
ES2219824T3 (es) * 1997-10-08 2004-12-01 Precision Fabrics Group, Inc. Tejidos anti-alergenos permeables al aire, duraderos y comodos.
WO2000019867A1 (en) * 1998-10-02 2000-04-13 Precision Fabrics Group, Inc. Durable, comfortable, air-permeable allergen-barrier fabrics
US6673136B2 (en) * 2000-09-05 2004-01-06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ration arrangements having fluted media constructions and methods
US20030172458A1 (en) * 2000-10-02 2003-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covering sheet having odour reduction proper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770B1 (en) * 1997-10-08 2001-08-21 Precision Fabrics Group, Inc. Durable, comfortable, air-permeable allergen-barrier fabrics
US6017601A (en) * 1998-01-29 2000-01-25 Amsel; Allan D. Allergen-barrier cover
WO2003064745A1 (en) * 2002-01-21 2003-08-07 Allergy C & C Co., Ltd. Washing-enduring high density micro-fiber fabric
US20060094320A1 (en) * 2004-11-02 2006-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radient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4536B1 (pt) 2019-08-13
ES2376596T3 (es) 2012-03-15
EP2051607A1 (en) 2009-04-29
JP5389648B2 (ja) 2014-01-15
JP2010500898A (ja) 2010-01-14
BRPI0714536A2 (pt) 2013-04-30
BRPI0714536B8 (pt) 2023-01-31
CN101505636B (zh) 2011-06-15
US20080120783A1 (en) 2008-05-29
EP2051607B1 (en) 2011-11-16
CN101505636A (zh) 2009-08-12
KR20090043562A (ko) 2009-05-06
WO2008021293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737B1 (ko) 나노섬유 알레르겐 차단 직물
US8980772B2 (en) Barrier fabric
EP3607126B1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increased oil absorbing capability
EP3607124B1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different sets of pores
JP2002155448A (ja) 耐久性がある快適な通気性アレルゲンバリヤー布
US11326283B2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homogeneously merged fibers
ES2864644T3 (es) Tela de fibra de celulosa no tejida con distribución de diámetro de fibra
US20200164616A1 (en) Optically transparent wet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EP2464511B1 (en) Durable high performance adhesive-bonded allergen barrier laminat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WO1999056588A2 (en) An improved fabric for bedding products and upholstered furniture
JP5774002B2 (ja) 耐久性のある不織布アレルゲンバリア積層体
EP0827450B1 (en) Allergen particle exclusion and/or retention covering
CZ22513U1 (cs) Bariérová textilie
EP3385432A1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extremely low heavy metal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