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245B1 -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45B1
KR101529245B1 KR1020107015924A KR20107015924A KR101529245B1 KR 101529245 B1 KR101529245 B1 KR 101529245B1 KR 1020107015924 A KR1020107015924 A KR 1020107015924A KR 20107015924 A KR20107015924 A KR 20107015924A KR 101529245 B1 KR101529245 B1 KR 10152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ining
tongues
clamp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978A (ko
Inventor
도미니카 리자라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이조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955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92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이조베르 filed Critical 쌩-고벵 이조베르
Publication of KR2010010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12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framework of roof purlins or rafters
    • E04D13/1637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framework of roof purlins or rafters the roof purlins or rafters being mainly insulated from the interior, e.g. the insulating material being fixed under or suspended from the 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9Plas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부속물은,
- 축방향이라고 언급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12)로서, 상기 몸체(12)의 일 단부는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13, 18)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2)의 다른 단부는 라이닝 지지부(6, 7)와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19, 25)을 구비하는 몸체(12)와,
- 상기 몸체(12)를 둘러싸는 2개의 집게들(19, 34)과,
- 상기 2개의 집게들을 축방향으로 클램핑하여 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21, 25, 35)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STRUT ACCESSORY FOR LINING A WALL AND INCLUDING MEMBRANE CLAMPING CLAWS, AND WALL LINING DEVICE INCLUDING SUCH ACCESSOR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절연이나 미화를 위해 벽을 라이닝(lining)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드라이 라이닝(dry lining)이 라이닝될 벽으로부터 떨어져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라이닝될 벽과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된 스페이서 부속물(spacer accessory)에 관한 것이다.
빌딩의 수직 벽, 천장 또는 지붕과 같은 벽은 빌딩이나 특정 룸에 음향 차단이나 단열을 제공하거나 이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수리하거나 신축하는 동안 종종 라이닝(lined)된다. 이를 위해, 드라이 라이닝(내부 파티션이나 보조 천장)이 라이닝될 벽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이 벽의 구조적 요소에 고정된 라이닝 지지부(lining studwork)에 부착된다. 라이닝될 벽과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는 {종종 절연 복합물(insulation complex)이라고 알려져 있는} 단열 및/또는 음향 차단 시트가 삽입된다.
절연 시트는 일반적으로 한편으로는 광물면(mineral wool)과 같은 섬유 절연 물질로 된 하나 이상의 층들과,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장벽이나 증기 장벽막(membrane)을 포함한다. 이 막은 일반적으로 2개의 섬유 물질 층들 사이에 삽입된 라이닝에 대해 통상적으로 위쪽에 이 섬유 물질 층과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 삽입된다.
이 라이닝 지지부는 균일하게 이격된 스페이서 부속물을 사용하여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고정된다. 각 스페이서 부속물은 라이닝될 벽에 그리고 드라이 라이닝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 형태인 메인 바디를 포함하며, 이 몸체의 일 단부는 이 몸체를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고정하여 이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 몸체의 다른 단부는 라이닝 지지부와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 부속물은 예를 들어 문헌 WO 2006/061538에 알려져 있다.
설치하는 동안, 절연 시트는 스페이서 부속물의 몸체로 관통되어 섬유 물질 층들 그리고 적절한 경우 막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멍을 뚫는 것은 특히 영구적이거나 선택적인 막의 밀봉 기능이 손상되기 때문에 이 막에 손상을 준다. 또한 이렇게 막을 뚫는 것은 인장력이 막에 가해지는 경우 확산될 수 있는 찢어짐을 일으키는 출발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이닝 지지부와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 라이닝 지지부의 내측에 막을 위치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 부속물이 막을 통과하지 않아, 이 막은 적어도 초기에는 손상 없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단지 부분적이다. 드라이 라이닝을 라이닝 지지부에 고정하는 것은 패스너(스테이플, 나사, 못 등)를 사용하여 막을 뚫는 것을 수반하며, 이는 더 적은 범위이긴 하지만 막의 밀봉 기능을 손상시킨다.
라이닝 지지부의 전방에 막을 위치시키는 것은 다른 기술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즉 이것은 막과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 갭을 남기지 않는다. 오늘날, 드라이 라이닝 뒤에는 수도 파이프작업, 통기 파이프 작업, 전기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여러 케이블이나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이때 막과 드라이 라이닝 사이에 케이블과 배선 부속물을 연장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은 어렵다. 케이블은 실제 막에 개구들이 만들어져 있는 경우에만 적절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막이 케이블이나 중계선, 고정이나 연결 부속물에 의해 손상되거나 비틀릴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명백히 이들 케이블은 막 뒤에 위치될 수 있으나, 여기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나 또는 막을 제거함이 없이 또는 막에 구멍을 만드는 일이 없이 배선 구성을 변정하기 위해서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없을 수 있다. 나아가, 로지스틱 상의 이유로 또는 요구조건이나 기술 상의 변화로 인해 벽이 라이닝된 후에 케이블이나 배선 작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은 마찬가지로 벽 라이닝과 절연에 있어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이 아닌 계약자들(contractors)로 하여금 막에 구멍을 내거나 막을 제거하게 강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막을 장기간 보존하고 배선을 설치하기 위해 드라이 라이닝 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남길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기술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라이닝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스페이서 부속물로서,
축방향이라고 언급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로서, 상기 몸체의 일 단부는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다른 단부는 라이닝 지지부와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둘러싸는 2개의 집게들과,
상기 2개의 집게들을 축방향으로 클램핑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부속물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집게들은 고정된 후 몸체로 막을 관통시켜 생긴 구멍의 주변을 트랩핑(trap)하여 이 개구를 제한하는 일종의 보호 아이릿(eyelet)을 형성한다. 이 개구의 폭은 막에서 관통된 개구를 통해 공기나 증기가 순환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제거하도록 제어된다. 나아가, 집게들은 막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며, 이것은 특히 막에서 찢어짐을 일으키는 출발점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벽을 라이닝하기 위한 라이닝 디바이스로서,
- 몸체를 구비하며, 이 몸체의 일 단부는 몸체를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 몸체의 다른 단부는 드라이 라이닝과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속물과,
- 공기 장벽 막, 증기 장벽 막 또는 증기 차단 장벽 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스페이서 부속물의 몸체로 관통되는 막
을 포함하는 벽을 라이닝하기 위한 라이닝 디바이스에 있다.
스페이서 부속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된 특징들에 따라 고정된 후 막에서 관통된 관련 개구의 주변에서 2개의 집게들 사이에서 막을 트랩핑하는 2개의 집게들이다.
유리하게, 이 막은 드라이 라이닝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라이닝 지지부 뒤에서 스페이서 부속물의 집게들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드라이 라이닝과 막 사이에 빈 공간이 보존되며 이 빈 공간에 배선이나 설비가 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부속물의 비제한적이고 유리한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스페이서 부속물은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몸체 사이에 밀봉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것은 충진 상자의 방식으로 스페이서 몸체가 통과하는 영역에 막의 밀봉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집게들은 고정된 후 연속적이고 자체 위에 폐쇄된 상호 접촉 영역(라인이나 스트립)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막은 막에 있는 구멍을 에워싸는 접촉 영역을 따라 트랩핑되어, 연속적이고 기계적인 압박과 밀봉이 관통된 구멍의 전체 주변에 달성된다;
- 집게 고정 수단은 집게들을 서로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탄성 복귀 수단은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집게의 고유 탄성(inherent elasticity)으로 구성된다; 고정 수단은 이 고유 탄성의 응력으로 작동한다;
- 스페이서 부속물은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몸체에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집게들을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은 유리하게는 고정 수단과 일치하며, 그리고 한편으로는 라이닝될 벽에 가장 가까운 집게가 더 이상 이 벽 쪽으로 더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에 배열된 축방향 단부 멈춤부와, 다른 한편으로 탄성 복귀 수단의 응력에 따라 다른 집게와 맞물릴 수 있는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멈춤부를 구비하며, 이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멈춤부는 배열 후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다른 집게의 수축 력에 대항하도록 몸체 상에 배열된다;
- 라이닝 지지부에 몸체를 고정하는 수단은 집게들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막을 장기간 보존하고 배선을 설치하기 위해 드라이 라이닝 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남길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 제한적인 예를 통해 주어진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무엇인지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달성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절연된 지붕을 갖는 빌딩의 지붕 공간의 내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부속물을 지붕의 도리들보(purlins)에 횡방향인 수직한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부속물을 세로보(stringers)에 횡방향인 수직한 면으로 절단한 분해도.
도 4는 복수의 스냅식 고정 판을 구비하는 관통용 부속물의 몸체의 후방 단부에 대한 상세 평면도.
전체적인 제안은 빌딩의 벽에 절연 인테리어 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이것은 보다 구체적으로 빌딩의 지붕 공간을 절연하는 것과 이를 위해 이 빌딩의 외부 벽(1)과 지붕(2)을 라이닝하는 것을 수반한다.
여기서 지붕(2)은 종래 방식으로 지붕 요소(5)가 안착하는 서까래(rafters) (4)를 지지하는 도리들보(purlins)(3)로 구성된 목제 프레임(wooden framework)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디바이스는 지붕 프레임에 그리고 외부 벽에 부착된다. 이 라이닝 디바이스는, 한편으로는 지붕을 라이닝하기 위한 수평 누름대(battens)(6)와, 다른 한편으로는 벽(1)을 라이닝하기 위한 수직 누름대(7)로 구성된 라이닝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들 누름대는 일반적으로 펄링(furring)으로 알려져 있다.
라이닝 누름대(6, 7)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속물(10, 11)에 의하여 지붕(2)의 구조적 요소에 그리고 라이닝될 벽(1)에 각각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은 몸체(12)를 구비하며, 이 몸체(12)의 일 단부는 후방 단부라고 알려져 있으며 지붕(2)이나 벽(1)에 몸체를 돌출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이 몸체(12)의 다른 단부는 전방 단부라고 알려져 있으며 부속물을 제 위치에 고정하는 누름대(6, 7)와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장착시, 몸체(12)는 지붕(2)이나 벽(1)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행거(hanger)라고도 알려져 있는 스페이서 부속물(10)은 지붕을 라이닝하는 역할을 하며 서까래(4)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이 스페이서 부속물(10)들은, 몸체(12)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적절한 서까래(4)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는 길이방향 고정판(13)을 각각 포함한다. 스페이서 부속물(11)은, 몸체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고 벽(1)에 나사 고정된 횡방향 고정판(18)에 의하여 벽(1)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유리한 특징에 따라, 장착 전에 스페이서 부속물(10)은 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하는 일련의 고정판을 포함한다. 이런 특정된 경우에 3개의 고정판, 즉 하나의 고정판(13)과 2개의 고정판(14, 15)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4개 이상의 고정판이나 특히 12개 내지 15개의 구멍을 갖는 이와 균등한 수단을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약한 영역(frangible regions)(16, 17)이 이들 고정판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영역은 누름대(6)의 방향으로 더 낮은 기계적인 휨 강도를 가지고 있어, 원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손으로 또는 사이드 커터를 사용하여 이 영역을 구부려서 이 고정판(14 또는 15)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적응성은 특히 제조된 후 분배되어야 하는 부속물의 모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또 사이트에서 늦게 눈에 띤다면 작업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주문이나 배달 에러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각 스페이서 부속물은,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들 고정판을 모두 구비할 때에는 200밀리미터 내지 350밀리미터의 전체 길이(그 길이방향으로 가장 먼 점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를 가지고 있고, 마지막 고정판만이 남아 있을 때에는 80밀리미터 내지 150밀리미터의 전체 길이를 가지고 있다.
대안적으로서, 스페이서 부속물은 예를 들어 부속물이 서까래에 고정되는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의도된 바람직하게는 나사 구멍으로 구성된 다수의 길이방향 표식을 구비하는 탭 형상의 단일 판을 포함한다. 약함을 조장하는 약한 라인이나 다른 표식이 유리하게는 약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의 전방 단부는 이 경우에 지붕을 라이닝하기 위한 수평 누름대(6)인 대응하는 누름대와 몸체를 조립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들 조립 수단은 몸체(12)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 여기서는 키(key)라고 알려진, 캡(cap)(19)을 포함한다.
이 캡을 몸체(12)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맞물림 후에 캡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대항하며, 캡이 몸체(12)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런 특정된 경우에, 이들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클립(clip) 같이 동작한다. 환형 그루브(25)가 몸체(12)의 전방 단부 상에 형성되며 축방향 단부 멈춤부(end stop)를 형성하는 후방 측면(26)과 전방 측면(27)을 구비한다. 캡(19)은 중앙 개구(20)를 구비하며, 이 중앙 개구(20)를 통해 캡이 몸체(12)의 전방 단부 상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캡이 일단 난곡점(hard point)을 지나고 나면 캡이 클립 같이 힘으로 그루브(25)와 강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이 캡의 중앙 개구에는 제한부(21)가 형성된다. 이 난곡점은 그루브(25)의 전방에 형성된 원추형 칼라(28)에 의해 구현되며 클립 고정 경사로(clip-fastening ramp)를 형성한다.
조립 수단은 마지막으로 캡(19)을 누름대(6, 7)에 클립 고정하게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각 누름대(6, 7)는 여기서 캡(19)에 속하는 연관 노치(22) 내에 클립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서로를 향하게 안쪽으로 굽은 에지(8)들을 가지는 C 자형 부분을 갖는 금속 프로파일 부분 또는 펄링 형태로 제조된다. 누름대의 에지(8)를 노치(22) 내에 클립 고정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캡(19)은 누름대의 브랜치들을 탄성적으로 서로 멀어지게 강제하기 위해 경사로로 작용하는 볼록한 전방면을 구비한다.
각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몸체(12)는 그루브(25)와 고정판(13, 14, 15)의 일체 부분으로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캡(19)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와 같은 중합체나 공중합체가 몸체(12)와 캡(19)에 사용될 수 있다.
BA 13 플라스터보드 타입의 라이닝 물질의 시트로 만들어진 드라이 라이닝(30)이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누름대(6, 7)에 의해 형성된 라이닝 지지부에 부착되고 고정된다.
단열 및/또는 음향 차단 시트는 라이닝될 벽{벽(1) 및 지붕(2)}과 드라이 라이닝(30) 사이에 삽입된다. 이 시트는 동물이나 식물에서 기원한 광물면(mineral wool)과 같은 섬유 절연 물질의 두꺼운 층(31)을 포함한다. 이 층(31)은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몸체(12)로 관통된 폭을 갖는 일련의 절연 펠트나 패널로 구성된다. 이들 절연 펠트나 패널은 통상 65, 75, 85, 100, 200 또는 240밀리미터의 두께로 이용가능하다.
상기 라이닝 장치의 절연 시트는, 두꺼운 절연층(31)과 누름대(6, 7) 사이에 두꺼운 절연층(31)에 접하여 연장하며, 공기 장벽 막, 증기 장벽 막 또는 증기 차단 장벽 막을 포함하는 막(32)으로서, 스페이서 부속물(10,11)의 몸체로 관통되는 막(32)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 막은 예를 들어 문헌 FR2884843 및 WO96/33321에 기술된 것과 같은 주위 습기(humidity)에 따라 변하는 수분 증기 투과율을 가지는 수분 조절 타입이다.
섬유 물질 층과 그 막과 함께 전체 절연 시트는 일반적으로 절연 복합물(insulating complex)라고 알려져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절연 복합체는 여러 개의 섬유 물질 층과 여러 개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복합물은 몸체(12)로 관통되기 때문에, 이 막(32)은 각 스페이서 부속물(10, 11) 주위에서 천공되며 본 발명에 따라 이 막의 공기 장벽, 증기 장벽 또는 증기 차단 장벽 기능의 손상 없음(intactness)을 재수립하고 내구성 있게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각 스페이서 부속물은 몸체를 둘러싸는 2개의 환형 집게들과, 이 2개의 집게들을 축방향으로 클램핑하여 서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 2개의 집게들은 고정된 후에 막에서 관통된 관련 개구의 주변에서 2개의 집게들 사이에서 막(32)을 트랩핑한다.
이러한 트랩핑은 연속적이고 자체 위에 폐쇄된 상호 접촉 영역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접촉 영역은 이 경우에 집게들과 같이 환형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호 접촉 영역에서 원형이 아닌 임의의 형상, 예를 들어,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의 전체 루프를 형성하는 집게들의 다른 형상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특정 경우에 이들 2개의 집게들 중 하나는 몸체(12)의 전방 단부 상에 클립 고정되는 캡(19)으로 구성된다. 이 캡(19)은 그리하여 2개의 기능, 즉 라이닝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해 스페이서 부속물(10,11)과 누름대(6, 7)를 조립하는 기능과, 막에서 관통된 개구를 봉쇄하고 틀어막기 위해 막(32)을 트랩핑하거나 "샌드위치"시키는 억제 기능의 2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집게는 중앙 개구(35)를 가지는 와셔(washer)(34)로 이루어지며, 이 와셔(34)의 에지는 몸체(12)의 고정 그루브(25) 내에 클립 고정된다. 이 와셔(34)는 원추형 형상이며 평평하게 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와셔(34)의 고유 탄성(inherent elasticity)은 캡(19)의 후면(23)으로 이 와셔를 복귀시킨다. 이런 특정 경우에 와셔는 금속, 예를 들어 연한(mild)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그러나 이 와셔는 캡(19)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동일하게 만들어지거나 또는 다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장착시, 와셔(34)는 두꺼운 절연층(31)이 몸체(12)로 관통된 후에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몸체(12)로 밀려들어간다. 와셔(34)는 몸체(12)의 칼라(28)를 지나 강제로 밀려들어간 후, 층(31)의 전방에 위치되며, 이때 이 중앙 개구(35)의 에지는 고정 그루브(25)의 후방 측면(26)에 안착된다.
막(32)은 몸체(12)의 단부로 관통되며 와셔(34)와 층(31)으로 단단히 압착된다.
이후 캡(19)이 몸체(12)의 단부에 강제로 밀려들어가서 막(32)을 와셔(34) 쪽으로 압박한다. 이렇게 밀어넣어 장착하는 것은 강제로 수행되며 캡(19)의 제한부(21)는 칼라(28)에 의해 구현된 난곡점(hard point)을 횡단한다. 초기에는 원추형인 와셔(34)는 그 주변이 캡(19)의 평평한 후면(23)에 의해 뒤로 밀려들어가서 와셔(34)의 고유 탄성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변형되며 이 캡(19)과 함께 막에서 관통된 개구 주위에서 이 막(32)을 트랩핑한다. 캡(19)이 몸체(12)의 단부에 적절히 클립 고정되면, 막(32)은 와셔(34)와 캡(19)에 의해 트랩핑되며 이로 일정하고 미리 결정된 트랩핑 압력과 보상된 공차를 제공한다.
캡(19)과 와셔(34)는 환형 그루브(25)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막(32)은 이에 따라 드라이 라이닝(3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누름대(6, 7) 뒤에서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와셔(34)와 캡(19)에 의해 고정된다. 이 드라이 라이닝과 막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그리하여 이 막을 손상시킴이 없이 이 공간 내에 배선, 파이프 또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으로 형태에서, 클립 조립 시스템 대신에, 나사 고정(screw-fastening)이나 대안적으로 베이오닛 고정 시스템(bayonet-fastening system)에 의하여 몸체(12)의 전방 단부와 협력하도록 캡(19)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베이오닛 타입의 1/4 회전 나사 고정 시스템(quarter-turn screw-fastening system)의 경우에, 캡(19)은 와셔(34)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귀의 응력에 따라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1/4 회전 고정 시스템의 원치않는 맞물림 해제에 대항하기 위하여 회전 금지 멈춤부가 몸체(12)에 형성되며, 이 맞물림 해제는 전술된 탄성적인 축방향 진행을 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의 상기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와 그 몸체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1 : 외부 벽 2 : 지붕
3 : 도리들보 4 : 서까래
5 : 지붕 요소 6 : 수평 누름대 또는 라이닝 지지부
7 : 수직 누름대 또는 라이닝 지지부 8 : 안쪽으로 굽은 에지
10, 11 : 스페이서 부속물 12 : 몸체
13, 14, 15 : 고정판 16, 17 : 약한 영역
18 : 고정판 19 : 캡 또는 집게
20 : 중앙 개구 21 : 제한부
22 : 노치 25 : 그루브
26 : 후방 측면 27 : 전방 측면
28 : 원추형 칼라 30 : 드라이 라이닝
31 : 두꺼운 절연 층 32 : 막
34 : 와셔 또는 집게 35 : 개구

Claims (17)

  1. 벽(1,2)을 라이닝(lining)하기 위한 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 몸체(12)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속물(10,11)로서, 상기 몸체의 일 단부는 라이닝될 벽(1,2)의 구조적 요소에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13-15, 18)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다른 단부는 드라이 라이닝(30)과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속물(10,11)과;
    - 공기 장벽 막, 증기 장벽 막 또는 증기 차단 장벽 막을 포함하는 막(32)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11)의 몸체(12)로 관통되는 막(32)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부속물(10,11)은 상기 몸체(12)를 둘러싸는 2개의 집게들(19, 34)과, 이 2개의 집게들을 몸체(12)의 축방향으로 클램핑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수단(21, 25, 35)을 포함하며, 이들 2개의 집게들(19, 34)은 이 2개의 집게들(19, 34)이 서로 고정된 후 이들 2개의 집게들 사이에서 막(32)을 막이 관통되는 개구의 주변에서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11)의 집게들(19, 34)은 고정된 후 연속적이고 자체 위에 폐쇄된 상호 접촉 영역을 구비하는 라이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11)의 집게들(19, 34)을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집게들(19, 34)을 서로 몸체(12)의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34)을 포함하는 라이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수단(34)은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11)의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집게(34)의 고유 탄성(inherent elasticity)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25, 21)은 상기 고유 탄성의 응력으로 작동하는 라이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집게들(19, 34) 중 적어도 하나의 집게를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몸체(12)에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집게들을 몸체(12)의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수단(21, 25, 35)을 포함하는 라이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집게들을 고정하는 수단과 일치하는 라이닝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집게들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은, 한편으로는, 라이닝될 벽(1, 2)에 가장 가까운 집게(34)가 더 이상 이 벽 쪽으로 더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12) 상에 배열된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6)와, 다른 한편으로, 탄성 복귀 수단(34)의 응력에 따라 다른 집게(19)와 맞물릴 수 있는 대향하는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7)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하는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7)는 배열된 후 탄성 복귀 수단(34)에 의해 가해지는 다른 집게(19)의 수축 력에 대항하도록 몸체(12) 상에 배열되는 라이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단부 멈춤부(27)는 몸체(12)에 고정되거나 몸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거나 몸체와 일체된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다른 집게(19)는 난곡점(hard point)을 통과하여 상기 대향하는 단부 멈춤부와 강제로 맞물리는 라이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다른 집게는 1/4 회전 조립 시스템을 통해 상기 대향하는 단부 멈춤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대향하는 단부 멈춤부와 협력하며, 상기 1/4 회전 조립 시스템은 맞물린 후에는 상기 대향하는 단부 멈춤부가 탄성 복귀 수단의 응력에 따라 몸체(12)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1/4 회전 조립 시스템이 맞물림 해제되는 것에 대항하는 회전 방지 단부 멈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2)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인해서만 횡단될 수 있는 라이닝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몸체를 라이닝 지지부(lining studwork)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라이닝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32)은 드라이 라이닝(3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라이닝 지지부(6, 7) 뒤에서 스페이서 부속물(10, 11)의 집게들(19, 34)에 의해 고정되는 라이닝 장치.
  12. 라이닝 지지부(6, 7)를 라이닝될 벽(1, 2)의 구조적 요소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스페이서 부속물로서,
    몸체(12)의 축방향이라고 언급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12)로서, 상기 몸체(12)의 일 단부는 라이닝될 벽의 구조적 요소에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13-15, 18)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12)의 다른 단부는 라이닝 지지부(6, 7)와 몸체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19, 25)을 구비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를 둘러싸는 2개의 집게들(19, 34)과;
    상기 2개의 집게들(19, 34)을 몸체(12)의 축방향으로 클램핑하여 서로 고정하는 수단(21, 25, 35)
    을 포함하며,
    상기 집게들(19, 34)을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집게들(19, 34)을 서로 몸체(12)의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수단(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부속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들(19, 34)은 고정된 후 연속적이고 자체 위에 폐쇄된 상호 접촉 영역을 구비하는 스페이서 부속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집게(34)의 고유 탄성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25, 21)은 상기 고유 탄성의 응력으로 작동하는 스페이서 부속물.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들(19, 3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몸체(12)에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집게들을 몸체(12)의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수단(21, 25, 35)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부속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수단은, 한편으로는, 라이닝될 벽(1,2)에 가장 가까운 집게(34)가 더 이상 이 벽 쪽으로 더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12) 상에 배열된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6)와, 다른 한편으로, 탄성 복귀 수단(34)의 응력에 따라 다른 집게(19)와 맞물릴 수 있는 대향하는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7)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하는 몸체(12)의 축방향 단부 멈춤부(27)는 배열된 후 탄성 복귀 수단(34)에 의해 가해지는 다른 집게(19)의 수축 력에 대항하도록 몸체(12) 상에 배열되는 스페이서 부속물.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라이닝 지지부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집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부속물.
KR1020107015924A 2007-12-28 2008-12-24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KR101529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9170 2007-12-28
FR0709170A FR2925929B1 (fr) 2007-12-28 2007-12-28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comportant des machoires de pincement d'une membrane isolante et dispositif de doublage de paroi comportant un tel accessoire
PCT/FR2008/001825 WO2009103911A2 (fr) 2007-12-28 2008-12-24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comportant des mâchoires de pincement d'une membrane et dispositif de doublage de paroi comportant un tel accesso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978A KR20100100978A (ko) 2010-09-15
KR101529245B1 true KR101529245B1 (ko) 2015-06-17

Family

ID=3979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924A KR101529245B1 (ko) 2007-12-28 2008-12-24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468762B2 (ko)
EP (3) EP3441539A3 (ko)
JP (1) JP5583596B2 (ko)
KR (1) KR101529245B1 (ko)
CN (1) CN101960078B (ko)
CA (1) CA2710852C (ko)
DK (2) DK2238303T3 (ko)
EA (1) EA022949B1 (ko)
ES (1) ES2693124T3 (ko)
FR (1) FR2925929B1 (ko)
PL (2) PL3112547T3 (ko)
TR (1) TR201815136T4 (ko)
UA (1) UA100135C2 (ko)
WO (1) WO20091039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929B1 (fr) * 2007-12-28 2017-01-27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comportant des machoires de pincement d'une membrane isolante et dispositif de doublage de paroi comportant un tel accessoire
AT12600U1 (de) * 2009-10-28 2012-08-15 Schnabl Stecktechnik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festlegen eines befestigungselements
FR3001746B1 (fr) * 2013-02-04 2017-11-24 Ateliers Lr Etanco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un element d'ossature a distance d'un element de structure d'une paroi.
FR3003585B1 (fr) 2013-03-22 2022-12-09 Ateliers Lr Etanco Dispositif de fixation d'une membrane etanche a un support sans percement de la membrane
FR3021683B1 (fr) * 2014-05-28 2016-06-03 Chabanne Sas Suspente pour l'accrochage d'un rail de fixation d'un element de doublage en combinaison avec un materiau isolant et une membrane d'etancheite
FR3027326A1 (fr) * 2014-10-16 2016-04-22 Knauf Insulation Dispositif d'entretoisement pour la fixation d'un profile de support d'une cloison de doublage d'une paroi a isoler
FR3034443B1 (fr) * 2015-04-01 2017-03-24 Francois Six Dispositif d'entretoisement, construc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revetement d'une surface de reference a l'aide d'un tel dispositif d'entretoisement
DE102015106285A1 (de) 2015-04-23 2016-10-27 Saint-Gobain Isover G+H Ag System für die Innendämmung von Gebäuden, insbesondere von Schrägdächern, sowie Montageverfahren für eine solche Innendämmung
DE102015106286A1 (de) 2015-04-23 2016-10-27 Saint-Gobain Isover G+H Ag System für die Innendämmung von Gebäuden, insbesondere von Schrägdächern, sowie Montageverfahren für eine solche Innendämmung
EP3095928A1 (de) * 2015-05-22 2016-11-23 Rogger Fasteners AG Montagehilfe und verfahren dafür
FR3042520B1 (fr) * 2015-10-14 2019-08-09 Thierry Azerad Suspente pour materiau d'isolation a verrou reversible
FR3042521A1 (fr) * 2015-10-16 2017-04-21 Knauf Insulation Systeme d'isolation
FR3043111B1 (fr) 2015-10-28 2019-08-30 Saint-Gobain Isover Dispositif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structure
US10745917B2 (en) 2015-12-23 2020-08-18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bridge-free insulation assembly
FR3046617B1 (fr) * 2016-01-11 2018-01-19 Saint-Gobain Isover Systeme d'etancheite pour membrane
ITUB20160511A1 (it) * 2016-01-26 2017-07-26 Carpi Tech Bv Metodo e dispositivo per la posa di una geomembrana
RU169020U1 (ru) * 2016-04-15 2017-03-01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Прохоров Пластмассовая насадка для крепёжного элемента типа саморез
FR3055914B1 (fr) * 2016-09-14 2019-09-13 Saint-Gobain Isover Dispositif d'entretoisement reglable en longueur
CA2980628C (en) * 2016-09-30 2023-11-21 Pliteq Inc. Ceiling isolation hanger and floating ceiling construction employing same
RU2738063C2 (ru) 2016-09-30 2020-12-07 Сёртнтид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ы,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золирова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а, прилегающего к верхней части чердака
FR3061216B1 (fr) * 2016-12-22 2019-05-31 Pieces Et Accessoires Industriels - P.A.I. Ensemble de suspension pour suspendre un faux plafond a membrane etanche
RU172001U1 (ru) * 2017-01-30 2017-06-26 Виталий Евгеньевич Чекалин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обрешетки
RU2669689C2 (ru) * 2017-02-08 2018-10-12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Прохор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RU176384U1 (ru) * 2017-02-08 2018-01-17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Прохоров Насадка для крепёжного элемента
USD837038S1 (en) 2017-03-31 2019-01-01 Certainteed Corporation Insulation hanger
FR3110923B1 (fr) * 2020-05-27 2022-10-21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FR3134832A1 (fr) 2022-04-22 2023-10-27 Saint-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FR3140393A1 (fr) 2022-10-03 2024-04-05 Zifort Dispositif d’entretoisement réglable en longueur pour la fixation d’une ossature de doublage sur une structure à doub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37A (ko) * 1992-09-17 1994-04-27 한만엽 라이닝기의 몸체조립장치
KR20100100978A (ko) * 2007-12-28 2010-09-15 쌩-고벵 이조베르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6279A (en) * 1943-09-27 1945-05-15 Schlenkert John Erwin Ceiling hanger
DE1400816A1 (de) * 1963-09-17 1968-12-12 Fa Artur Fischer Vorrichtung zur Abstandsbefestigung von Bauteilen
US3426489A (en) * 1965-10-07 1969-02-11 Paul Henri Lambert False ceiling
CH445794A (fr) * 1965-10-07 1967-10-31 Lambert Paul Faux plafond
CH598438A5 (en) * 1976-12-23 1978-04-28 Braendli August Clamp for facing and internal lining panels for wall or ceiling
US4302913A (en) * 1978-03-16 1981-12-01 Freuhauf Corporation Roof structure having meat rail hangers
NO793519L (no) * 1979-11-01 1981-05-05 Protan & Fagertun As Fremgangsmaate ved festing av isolerende og tettende sjikt samt anordning for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US4297825A (en) * 1980-02-12 1981-11-03 Pittsburgh-Des Moines Corporation Strut for space frames
GB8316327D0 (en) 1983-06-15 1983-07-20 Itw Ltd Screws and clamp plates
US4635423A (en) 1984-10-03 1987-01-13 Ward Lonnie R Building insulation and wall covering system and method
US4744187A (en) 1987-01-27 1988-05-17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Mechanical roof fastener
CH683858A5 (de) 1991-06-03 1994-05-31 Jachen Dorta Stützkörper.
US5441230A (en) * 1993-12-21 1995-08-15 William W. Sambleson Decorative accessory wall suspension system
DE19514420C1 (de) 1995-04-19 1997-03-06 Fraunhofer Ges Forschung Dampfbremse für den Einsatz zur Wärmedämmung von Gebäuden
JPH09256531A (ja) * 1996-03-26 1997-09-30 Kawatetsu Steel Prod Corp デッキプレート用天井吊りハンガー
JPH1132815A (ja) * 1997-07-17 1999-02-09 Ykk Corp スナップボタンおよびその取付方法
FR2822179B1 (fr) * 2001-03-14 2003-05-23 Saint Gobain Isover Element pour maintenir et regler la distance a une paroi d'un profile destine a recevoir un parement
US6453633B1 (en) * 2001-09-26 2002-09-24 Eps Specialties Ltd., Inc. Overhead panel installations
FR2852989B1 (fr) * 2003-03-26 2005-05-06 Saint Gobain Isover Systeme de maintien et reglage rapide de la distance a une paroi d'un profile destine a l'appui d'un parement
FR2878876B1 (fr) 2004-12-06 2007-02-09 Saint Gobain Isover Sa Doublage de paroi a installation ergonomique
FR2884843B1 (fr) 2005-04-22 2007-06-15 Saint Gobain Isover Sa Membrane pare-vapeur utilisable pour l'isolation des batiments
US7562690B1 (en) * 2006-03-15 2009-07-21 Janine M Loweth Suspended bed 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37A (ko) * 1992-09-17 1994-04-27 한만엽 라이닝기의 몸체조립장치
KR20100100978A (ko) * 2007-12-28 2010-09-15 쌩-고벵 이조베르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2547A1 (fr) 2017-01-04
EP2238303B1 (fr) 2016-06-22
DK2238303T3 (en) 2016-09-19
EP3112547B1 (fr) 2018-08-15
EA201070808A1 (ru) 2010-12-30
EP3441539A3 (fr) 2019-02-20
FR2925929B1 (fr) 2017-01-27
EP2238303B2 (fr) 2023-11-22
CN101960078B (zh) 2013-02-06
CN101960078A (zh) 2011-01-26
CA2710852C (fr) 2016-08-02
JP2011508123A (ja) 2011-03-10
ES2693124T3 (es) 2018-12-07
EA022949B1 (ru) 2016-03-31
EP3441539A2 (fr) 2019-02-13
US20110016816A1 (en) 2011-01-27
FR2925929A1 (fr) 2009-07-03
WO2009103911A3 (fr) 2010-01-07
PL2238303T3 (pl) 2017-05-31
EP2238303A2 (fr) 2010-10-13
CA2710852A1 (fr) 2009-08-27
UA100135C2 (uk) 2012-11-26
KR20100100978A (ko) 2010-09-15
PL3112547T3 (pl) 2019-01-31
JP5583596B2 (ja) 2014-09-03
WO2009103911A2 (fr) 2009-08-27
DK3112547T3 (en) 2018-11-19
US8468762B2 (en) 2013-06-25
TR201815136T4 (tr)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245B1 (ko)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막을 클램핑하는 집게들을 구비하는 지주 부속물 및 이 지주 부속물을 구비하는 벽 라이닝 장치
US9085907B2 (en) Lath furring strips
US10920416B2 (en) Drywall and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connection joint of a drywall
US8627628B2 (en) Over-purlin insulation system for a roof
US6324808B1 (en)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insulation material
US20170342723A1 (en) Insulating Structure For Buildings
EP2781668B1 (en) Fix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 lining framework to a structural element
US8776466B2 (en) Lath furring strips
US7107732B2 (en) Purlin clip for an insulated ceiling of a metal building
JP2007239446A (ja) 横葺き段付金属屋根部材
US8833019B2 (en) Lath furring strip
US8365490B2 (en) Purlin clip for blown-in insulated ceilings
US11078664B1 (en) Apparatuses for mounting and supporting insulation
US11648427B2 (en) Fire-protection collar
AU2018219971B2 (en) Spacer
JP5010361B2 (ja) 大型壁パネルの設置構造
JP2021191938A (ja) 壁表面ライニングブレーシングアクセサリ
DK3156560T3 (en) PROFILISTS FOR CONNECTING A WALL AND A SURFACE ELEMENT
GB2370987A (en) A seal for a fire barrier
JPH03250139A (ja) ロックウール止め付け用野縁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