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38B1 -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038B1
KR101529038B1 KR1020140112190A KR20140112190A KR101529038B1 KR 101529038 B1 KR101529038 B1 KR 101529038B1 KR 1020140112190 A KR1020140112190 A KR 1020140112190A KR 20140112190 A KR20140112190 A KR 20140112190A KR 101529038 B1 KR101529038 B1 KR 10152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nit
power
power supp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양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
주식회사 은성건업
최덕환
양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 주식회사 은성건업, 최덕환, 양기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
Priority to KR102014011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는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운반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바 형태의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복수의 전원공급레일홈과, 복수의 상기 전원공급레일홈들과 연통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마스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절연재질의 파워덕트; 및 상기 운반구와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전극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원공급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브러시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운반구와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된 집전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power supplying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시공 및 보수 작업성이 개선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는 공사 현장에서 건물이 상부로 증축되어 감에 따라 확장 설치되며, 건물의 층별로 승강 및 하강 동작하는 운반구와, 운반구의 승강 및 하강 경로가 되는 마스트를 구비한다. 운반구는 마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운반구에는 운반구 구동에 따른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케이블이 연결된다. 전원케이블은 외부로 노출된 연선형태로써, 일단이 지상의 전원공급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운반구로 연결되며, 전원케이블의 중도는 마스트 상단의 로울러에 걸쳐지게 된다. 운반구의 승하강 동작시 이러한 연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은 충분한 여유분을 갖도록 길게 마련된다.
그러나 전원케이블을 통해 운반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구조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케이블이 자외선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사용 도중에 전원케이블을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길게 늘어진 전원케이블은 운반구의 승강동작의 영향이나 강풍에 의해 쉽게 꼬일 수 있었으며, 건물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무게가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단락 우려도 높았다.
또한 길게 늘어지면서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전원케이블의 경우 길이와 함께 저항이 커지게 되면서 전압강하 현상을 일으켜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에도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근래 건설용 리프트 중에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마스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전원공급레일과, 운반구와 함께 승하강 동작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집전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전원공급구조를 채용하여 운반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것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전원공급구조는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을 우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 케이블 연결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316호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는 복선 방식의 전원회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원공급레일들이 각기 개별적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각각의 전원공급레일마다 개별적으로 밀폐구조를 적용시켜야 하는 등 복수의 전원공급레일을 개별적으로 취급해야 했기 때문에, 시공 및 보수작업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으로 운반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시공 및 보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운반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바 형태의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복수의 전원공급레일홈과, 복수의 상기 전원공급레일홈들과 연통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마스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절연재질의 파워덕트; 및 상기 운반구와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전극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원공급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브러시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운반구와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된 집전기;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워덕트는 복수의 덕트단위유닛이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으로 적층식으로 조립되어 마련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덕트단위유닛에 고정된 단위전극들이 상기 덕트단위유닛들의 적층 조립시 길이방향으로 접속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덕트단위유닛은 플라스틱 압출물로 마련된 중앙의 몸체와, 상기 덕트단위유닛 사이의 연결을 위해 상기 몸체 양단에 결합된 고무재질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덕트단위유닛 사이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연결부재 사이에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1요철식 조립부가 마련되고, 상호 대응하는 단위전극 사이에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요철식 조립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위전극은 중앙의 강관과, 상기 강관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철식 조립부는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요철식 조립부는 한쪽의 상기 전극단자에 마련된 홈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다른 한쪽의 상기 전극단자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 내부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 둘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력접촉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집전기에는 상기 운반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를 통해 상기 운반구 쪽으로 연장된 운반구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 내측에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개구를 탄력적으로 가리기 위한 탄성재질의 차단막이 다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끝단이 탄력적으로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차단날개를 포함하고, 다중의 상기 차단막 사이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운반구 연결부 둘레에는 상기 파워덕트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개구를 외측에서 가리기 위한 차단플레이트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가 통과하는 지점의 상기 개구 주변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파워덕트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일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곡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파워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절곡연장부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운반구의 상승방향으로 상기 파워덕트의 최상단을 덮도록 상기 운반구의 상승방향으로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일단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된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는 운반구에 슬라이딩 접촉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덕트에 다중의 전극바들이 집약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공성 및 보수작업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가 채용된 건설용 리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의 파워덕트의 구조를 건설용 리프트의 마스트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서 덕트단위유닛 사이의 적층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로도, 덕트단위유닛 사이가 적층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서 단위전극 사이의 적층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도 4와 다른 방향으로 단면 처리한 것이며, 단위전극 사이가 적층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단위전극 사이가 적층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서 파워덕트의 최상단 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서 보호캡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파워공급장치(10)가 채용되는 건설용 리프트(1)는 공사 현장에서 건물이 상부로 시공되어 감에 따라 확장 설치되면서 자재나 인력을 수송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2)와, 마스트(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동작하는 운반구(3)를 구비한다. 운반구(3)는 마스트(2) 한 쪽에 하나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마스트(2) 양쪽에 한 쌍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운반구(3)에는 마스트(2)를 따라 승하강하는 운반구(3)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미도시) 및 구동모터(미도시)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마스트(2)에는 랙기어가 설치될 수 있고, 운반구(3)에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될 수 있으며, 피니언기어가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운반구(3)는 마스트(2)를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건물의 각 층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설용 리프트(1)에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는 운반구(3)의 구동을 위해 구동모터(미도시)나 브레이크(미도시)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 역시 운반구(3)의 숫자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파워덕트(100) 내부의 집약적인 전극(120) 배치구조를 통해 한 쌍의 건설용 리프트 전원공급장치는 마스트(2) 일측의 좁은 공간에 함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는 마스트(2)와 평행하게 설치된 절연재질의 파워덕트(100)와, 운반구(3)와 연결된 상태에서 파워덕트(10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운반구(3)와 함께 승강하는 집전기(200)를 구비한다.
파워덕트(100)에는 운반구(3)의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바 형태의 복수의 전극(120)을 수용하는 복수의 전원공급레일홈(101)과, 복수의 전원공급레일홈(101)들과 연통된 상태로 일측이 파워덕트(100) 측방으로 개방된 슬라이딩안내홈(102)이 다발형태로 파워덕트(10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집전기(200)는 각각의 전극(120)에 접촉된 상태로 전원공급레일홈(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브러시(211)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안내홈(102)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마련된다.
바 형태의 전극(120)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본 실시 예의 경우 전극(120)은 R,S,T,N 상이 전달되도록 4개로 마련된다. 이와 달리 전극(120)들의 숫자는 전원의 상의 수에 따라 3개나 2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극(120)은 구리나 구리합금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철재표면을 구리로 도금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브러시(211)는 진퇴식 연결부(212)를 통해 집전기(200)에 진퇴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러시(211)와 집전기(200) 사이는 진퇴식 연결부(212) 둘레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13)를 통해 탄성지지되고, 이에 따라 브러시(211)는 끝단을 통해 전극(12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접촉되어 집전기(20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도 전극(120)으로부터 이격 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집전기(200)에는 운반구(3)와 연결되도록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를 통해 운반구(3) 쪽으로 연장된 운반구 연결부(220)가 연결되고, 집전기(200) 및 운반구 연결부(220)의 내부에는 전극(120)과 브러시(211) 간의 접촉에 의해 얻어진 전원을 운반구(3)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미도시)이 배선된다. 운반구 연결부(220) 내부에는 전원선의 보호를 위해 유리섬유가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 형태로 마련된 복수의 전극(120)들이 하나의 파워덕트(100) 내에 함께 입설된 상태로 고정되고, 각 전극(12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브러시(211)들이 일체로 연결된 집전기(200)가 운반구(3)와 연결된 상태에서 운반구(3)의 승강동작시 파워덕트(100)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는 운반구(3)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전극(120)의 지지 및 설치구조를 집약적으로 단일화시킬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간편해짐은 물론 시공에 따른 경제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파워덕트(100)를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파워덕트(100)는 복수의 덕트단위유닛(110)이 운반구(3)의 승강방향으로 적층식으로 조립되어 마련되고, 전극(120)은 덕트단위유닛(110)에 고정된 단위전극(121)들이 덕트단위유닛(110)들의 적층 조립시 자연스럽게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덕트단위유닛(110)은 플라스틱 압출물로 마련된 중앙의 몸체(111)와, 덕트단위유닛(110) 사이의 연결을 위해 몸체(111) 양단에 결합된 고무재질의 연결부재(112,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와(111) 및 연결부재(112,113)가 모두 절연재질로 마련되는 덕트단위유닛(110)은 전극(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감전사고의 우려 없이도 상호간의 적층이 가능하게 되어 파워덕트(100) 연장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113) 상부 일측으로는 마스트 결합부(113a)가 연장될 수 있으며, 덕트단위유닛(110)은 이러한 마스트 결합부(113a)를 통해 마스트(2)에 결합될 수 있다. 마스트 결합부(113a)는 덕트단위유닛(110)을 반대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도 마스트(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덕트단위유닛(110) 양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마스트 결합부(113a)에는 마스트와 결합을 위한 나사형태의 체결부(113b)가 연장될 수 있다.
고무재질의 연결부재(112,113)는 연이어 적층되는 덕트단위유닛(110)들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덕트단위유닛(110)들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덕트단위유닛(110) 사이의 실링 성능을 높임으로써, 별도의 방수처리 없이도 파워덕트(100)의 덕트단위유닛(110)들 사이가 안전하게 밀폐되도록 한다. 또 단부가 연질의 연결부재(112,113)로 마감 처리된 덕트단위유닛(110)은 상호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연결부재(112,113)의 신축변형작용을 통해 중도에 위치한 것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쉽게 분리해 낼 수 있게 되므로, 파워덕트(100)의 보수작업성도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웃하는 덕트단위유닛(110) 사이는 간단한 끼움방식을 통해 상호 적층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웃하여 적층되는 덕트단위유닛(110)들의 연결부재(112,113) 사이에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1요철식 조립부(114)가 마련되고, 이웃하여 적층되는 덕트단위유닛(110)들의 단위전극(121) 사이에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요철식 조립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요철식 조립부(114)는 한 쪽의 연결부재(112)에 마련된 제1홈부(114a)와, 제1홈부(114a)에 끼워지도록 다른 한 쪽의 연결부재(113)에 마련된 제1돌기부(114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덕트단위유닛(110) 별로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12,113)는 제1홈부(114a)가 형성되도록 몸체(111) 하단에 마련된 제1연결부재(112)와, 제1돌기부(114b)가 형성되도록 몸체(111) 상단에 마련된 제2연결부재(113)로 구분될 수 있다.
또 제2요철식 조립부(122)는 한 쪽의 단위전극(121) 단부에 마련된 제2홈부(122a)와, 제2홈부(122a)에 끼워지도록 다른 한 쪽의 단위전극(121) 단부에 마련된 제2돌기부(12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요철식 조립부(122)는 덕트단위유닛(110)에 함께 고정되는 복수의 단위전극(121)들 숫자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단위유닛(110)들은 파워덕트(100)를 형성하도록 상호 적층됨과 동시에 제1요철식 조립부(114)와 제2요철식 조립부(122)들에 의한 끼움동작을 통해 상호 끼움방식으로 간단히 체결되어 적층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워덕트(100)의 시공 및 보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단위전극(121)들은 덕트단위유닛(110)에 대해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와 도 6을 함께 참고하면, 개별 단위전극(121)은 중앙의 강관(121a)과, 강관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전극단자(121b, 121c)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 단위전극(121)에 있어서 강관(121a)은 덕트단위유닛(110)의 해당 전원공급레일홈(101)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전극단자(121b, 121c)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된 단자고정부(121d)를 구비하여 강관 상단과 하단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단자고정부(121d)를 통해 덕트단위유닛(110)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121d)는 체결부재(300)를 통해 덕트단위유닛(1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전극(121b,121c)은 각각 강관(121a)의 단부 내쪽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삽입부(121e)를 통해 강관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위전극(121)의 구조에서는 단위유닛에 대한 전극단자(121b,121c)의 결합을 해제함에 따라 단위전극(121)을 해당 덕트단위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게 됨은 물론 단위전극(121)의 분해가 가능하게 되어 덕트단위유닛(110) 내의 일부 단위전극(121)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단위전극(121)만을 선택하여 쉽게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요철식 조립부(122)는 상호 인접하여 조립되는 전극단자(121b. 121c) 사이를 통해 마련될 수 있으며, 단위전극(121) 별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전극단자(121b,121c)는 제2홈부(122a)가 형성되도록 강관(121a) 상단에 마련된 제1전극단자(121b)와, 제2돌기부(122b)가 형성되도록 강관(121a) 하단에 마련된 제2전극단자(121c)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요철식 조립부(122)의 구조에서 제2홈부(122a)에는 제2돌기부(122b)가 내부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제2돌기부(122b)의 둘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접속되도록 탄력접촉부재(123)가 설치될 수 있다.
탄력접촉부재(123)는 제2홈부(122a) 바닥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베이스부(123a)와, 베이스부(123a) 둘레를 따라 세워지도록 마련된 벽부(123b)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벽부(123b)는 제2돌기부(122b)의 측면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베이스부(123a) 둘레에 외향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며, 외부로 벌어진 상태에서 내부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벽부(123b)의 둘레 일측은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력접촉부재(123)는 베이스부(123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23c)를 통해 제2홈부(122a)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부(122a)에 이와 같은 탄력접촉부재(123)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덕트단위유닛(110) 사이의 적층과정에서 제2돌기부(122b)가 제2홈부(122a)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탄력접촉부재(123)가 제2돌기부(122b)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접촉되므로, 단위전극(110) 사이는 제2요철식 조립부(122)에 의한 끼움결합 과정에서 보다 신속하게 접속될 수 있게 되며, 전극(120)을 구성하도록 접촉된 단위전극(121) 사이는 파워덕트(100)에 바람이나 외부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호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탄력접촉부재(123)의 벽부(123b) 상부 둘레에는 저부로 외향 밴딩되도록 밴딩부(123d)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밴딩부(123) 덕트단위유닛(110)의 적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고, 덕트단위유닛(110) 사이의 적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덕트단위유닛(110) 사이를 완충적으로 지지하여 덕트단위유닛(110) 사이의 접촉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전극(120)들이 단일의 파워덕트(100)를 통해 설치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는 하나로 구성되는 파워덕트(100)의 최상단과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에만 차단구조물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장치 전체적으로 방수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장치 내부로의 이무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 내측에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220)의 슬라이딩 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개구(102a)를 탄력적으로 가리기 위한 탄성재질의 차단막(400)이 다중으로 마련되고, 운반구 연결부(220)에는 파워덕트(100)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개구(102a)를 외측에서 가리기 위한 차단플레이트(500)가 일체로 마련되며, 운반구(3)의 상승방향으로 파워덕트(100)의 최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운반구(3)의 상승방향으로 덕트단위유닛(110)의 일단에는 보호캡(600)이 결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차단막(400)은 끝단이 탄력적으로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차단날개(410,4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102a) 양측에는 각 차단날개(410,420) 일단의 장착돌기(430)가 개구(10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장착홈(118)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차단날개(410,420)는 덕트단위유닛(110)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어 개별 덕트단위유닛(110)에 장착되며, 덕트단위유닛(110)의 적층 과정에서 이웃하는 덕트단위유닛(110)의 차단날개(410,420)들은 적층방향을 따라 인접한 것들끼리 상호 밀착된 상태로 연이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차단날개(410,420)는 연질의 재질적 특성상 소모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공사현장에서 사용이 완료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10)를 다른 공사현장에 재 설치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차단날개(410,420)은 새것으로 교체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단막(400)은 한 쌍의 차단날개(410,420) 사이가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집전기(200)의 승강동작시 운반구 연결부(220)가 지나게 되는 구간만 부분적으로 벌어지면서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로 눈, 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집전기(20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어 있던 차단날개(410,420) 사이를 가르면서 차단막(400)과 마찰하게 되는 운반구 연결부(220)의 외면에는 차단막(400)과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세라믹재질의 코팅층(221)이 코팅될 수 있으며, 다중을 이루는 차단막(400)들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각 차단막(400)의 차단날개(410,420)는 대응하는 것끼리 연결부(440)를 통해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차단날개(410,420)를 통해 구성되는 차단막(400)은 복수개가 운반구 연결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됨으로써, 파워덕트(100)의 개구(102a)를 다중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차단플레이트(500)는 다중의 차단막(400)으로 차단된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를 외측에서 가리도록 마련된 것으로, 운반구 연결부(200)와 일체로 마련된 상태에서 운반구 연결부(220)가 통과하면서 차단날개(410,420) 사이가 벌어지는 구간을 집중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이를 통해 집전기(200)의 슬라이딩동작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안내홈(102)의 개구(102a)가 거의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7에서 차단플레이트(500)는 운반구 연결부(220)가 통과하는 부위의 차단막(400) 구조를 보이기 위해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차단플레이트(500)는 운반구 연결부(220)가 통과하는 지점의 개구(102a) 주변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운반구 연결부(220)의 단면적보다 넓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차단플레이트(500)는 개구(102a)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파워덕트(100)의 일면을 덮을 수 있게 넓게 마련되어 파워덕트(100)의 개구 쪽 일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500)가 파워덕트(1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안내홈(102) 개구(102a)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차단플레이트(500)의 일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된 절곡 연장부(510)가 마련되며, 절곡연장부(510)에 대응하는 파워덕트(100)의 일측 외면에는 절곡 연장부(510)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걸리도록 운반구(3)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걸림홈(119)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걸림홈(119)은 덕트단위유닛(110)을 반대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도 차단플레이트(5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덕트단위유닛(110) 양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단플레이트(500)는 슬라이딩 과정에서 덕트단위유닛(110)들의 기울어짐을 바로잡아 보상하는 기능도 담당하게 되므로, 파워덕트(100)의 직립상태도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600)과 덕트단위유닛(110) 상단 사이에는 상기 제1요철식 조립부(114)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캡(600)은 덕트단위유닛(110)의 구조변경 없이도 파워덕트(100)의 최상단에 그대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시공과정 중 파워덕트(100)의 높이를 높일 때는 기존 파워덕트(100)의 최상단에 덕트단위유닛(110)을 하나 더 적층하게 되는데, 상기 보호캡(600)은 추가되는 덕트단위유닛(110)이 적층되기 전에 기존 파워덕트(100)의 최상단으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덕트단위유닛(110)이 추가 적층된 상태에서 길이가 연장된 파워덕트(100)의 최상단을 다시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함께 참고하면, 보호캡(600)은 덕트단위유닛(110)과의 체결을 위해 제1요철식 조립부(114)의 제1홈부(114a)가 마련된 저부의 체결파트(610)와, 커버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체결파트(610)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파트(620)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파트(610)에는 파워덕트(100)의 슬라이딩안내홈(102)과 통하도록 통기공(611)이 형성되며, 통기공(611) 상부 둘레로 체결파트(610)에는 통기관(630)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파트(620)는 통기관(630) 상부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지지대(641)를 통해 통기관(630) 상부에 통기관(630)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커버파트(6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체결파트(610)와 커버파트(620)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복수의 제2지지대(64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호캡(600)은 파워덕트(100) 상부를 가리면서도, 집전기(200)가 파워덕트(100)를 따라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파워덕트(100)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파워덕트(100)의 통기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빗물이나 이물 등이 파워덕트(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통기관(63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통기관(630) 상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는 연장가림부(6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워덕트(100)는 다중의 차단막(400), 차단플레이트(500), 보호캡(600)을 통해 측방의 개구와 상부가 거의 완전하게 가려짐에 따라 히터와 같은 별도의 가온수단이 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온도변화로 인해 전극(120) 주변으로 결로가 형성될 우려가 없게 된다.
10: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100: 파워덕트
101: 전원공급레일홈 102: 슬라이딩안내홈
102a: 개구 110: 덕트단위유닛
111: 몸체 112: 제1연결부재
113: 제2연결부재 114: 제1요철식 조립부
114a: 제1홈부 114b: 제1돌기부
120: 전극 121: 단위전극
121a: 강관 121b: 제1전극단자
121c: 제2전극단자 122: 제2요철식 조립부
122a: 제2홈부 122b: 제2돌기부
200: 집전기 211: 브러시
400: 차단막 410,420: 차단날개
500: 차단플레이트 600: 보호캡

Claims (10)

  1.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운반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바 형태의 복수의 전극을 수용하는 복수의 전원공급레일홈과, 복수의 상기 전원공급레일홈들과 연통된 상태로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마스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절연재질의 파워덕트; 및
    상기 운반구와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전극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원공급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브러시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운반구와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된 집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파워덕트는 복수의 덕트단위유닛이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으로 적층식으로 조립되어 마련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덕트단위유닛에 고정된 단위전극들이 상기 덕트단위유닛들의 적층 조립시 길이방향으로 접속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덕트단위유닛은 플라스틱 압출물로 마련된 몸체와,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웃하는 상기 덕트단위유닛들 사이는 상부 쪽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하부 쪽 상기 연결부재와 하부 쪽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상부 쪽 상기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에 끼워지도록 상부 쪽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하부 쪽 상기 연결부재와 하부 쪽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상부 쪽 상기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제1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요철식 조립부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직결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덕트단위유닛 사이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단위전극 사이에는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요철식 조립부가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극은 중앙의 강관과, 상기 강관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철식 조립부는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요철식 조립부는 한쪽의 상기 전극단자에 마련된 홈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다른 한쪽의 상기 전극단자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 내부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 둘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력접촉부재가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기에는 상기 운반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를 통해 상기 운반구 쪽으로 연장된 운반구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 내측에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개구를 탄력적으로 가리기 위한 탄성재질의 차단막이 다중으로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끝단이 탄력적으로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홈의 개구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차단날개를 포함하고,
    다중의 상기 차단막 사이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구 연결부 둘레에는 상기 파워덕트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개구를 외측에서 가리기 위한 차단플레이트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상기 운반구 연결부가 통과하는 지점의 상기 개구 주변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운반구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파워덕트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일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곡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파워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절곡연장부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운반구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걸림홈이 마련된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구의 상승방향으로 상기 파워덕트의 최상단을 덮도록 상기 운반구의 상승방향으로 상기 덕트단위유닛의 일단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된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20140112190A 2014-08-27 2014-08-27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152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90A KR101529038B1 (ko) 2014-08-27 2014-08-27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90A KR101529038B1 (ko) 2014-08-27 2014-08-27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038B1 true KR101529038B1 (ko) 2015-07-08

Family

ID=5379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90A KR101529038B1 (ko) 2014-08-27 2014-08-27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38B1 (ko) * 2016-01-15 2016-06-08 최덕환 천정크레인용 레일 구조체
KR101691357B1 (ko) * 2015-07-27 2017-01-02 주식회사 이영 트롤리바 전력공급용 레일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77U (ko) * 1997-12-11 1999-07-05 유무성 다수개 연결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KR101036496B1 (ko) * 2009-01-23 2011-05-24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비접촉식 전원 공급장치
KR101169716B1 (ko) * 2010-05-25 2012-08-03 이경영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JP2012206853A (ja) * 2011-03-30 2012-10-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ヤードクレーンの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77U (ko) * 1997-12-11 1999-07-05 유무성 다수개 연결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KR101036496B1 (ko) * 2009-01-23 2011-05-24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비접촉식 전원 공급장치
KR101169716B1 (ko) * 2010-05-25 2012-08-03 이경영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JP2012206853A (ja) * 2011-03-30 2012-10-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ヤードクレーンの給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57B1 (ko) * 2015-07-27 2017-01-02 주식회사 이영 트롤리바 전력공급용 레일 연결구조
KR101628338B1 (ko) * 2016-01-15 2016-06-08 최덕환 천정크레인용 레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0772T3 (es) Torre con sistema de guía para módulos de potencia
US20120152469A1 (en) Photovoltaic blind window
KR101529038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US20160359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on-board wiring
JP2018112053A (ja) ウィンドウブラインド
BE1018182A3 (nl) Dakpanconstructie met geintegreerd fotovoltaisch element.
JP2021523581A (ja) ダブル発電ユニットシングルセル式モジュール
JP6917262B2 (ja) 太陽電池ブラインド
ITVR20050028A1 (it) Dispositivo di appoggio e di guida di un cavo aereo portante-traente per mezzo di un bilanciere a collegamento di accoppiamento elastico,ed installazione di risalita meccanica del tipo seggiovia o cabinovia comprendente un tale dispositivo
TR201815008T4 (tr) Bir optoelektronik cihazda fotoaktif bölgelerin bağlantısı.
PT2876232T (pt) Abrigo modular para veículos
JP5574740B2 (ja) 屋根構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軒先取付け具
CN202059135U (zh) 一种电缆支架在电缆隧道内的布置结构
ES2636237T3 (es) Estructura de catenaria
KR102193871B1 (ko) 일체형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CN102730514B (zh) 电梯
RU2016147663A (ru) Опор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ой панели
US20130327373A1 (en) Aggregated frame for solar photovoltaic laminates
CN205335630U (zh) 机柜用走线装置、机柜
KR101577983B1 (ko)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KR102193870B1 (ko) 일체형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ES2695155T3 (es) Teja plana fotovoltaica
CN209930676U (zh) 一种油田站场电控机柜
KR102074915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