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716B1 -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716B1
KR101169716B1 KR20100048886A KR20100048886A KR101169716B1 KR 101169716 B1 KR101169716 B1 KR 101169716B1 KR 20100048886 A KR20100048886 A KR 20100048886A KR 20100048886 A KR20100048886 A KR 20100048886A KR 101169716 B1 KR101169716 B1 KR 10116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ode
contact
suppor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316A (ko
Inventor
유경남
이재성
정동준
정홍구
이경영
Original Assignee
이경영
주식회사 리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영, 주식회사 리프텍 filed Critical 이경영
Priority to KR2010004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7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에 연결된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전원공급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연결된 집전기(20)로 구성되어, 매우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공간확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원선을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에 끼워 보호하는 구조에 비해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에 강하여 내부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촉식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er}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2009년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과제번호:S1057720, 과제명:접촉식전원공급장치 리프트)에 의해 수행된,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자동화 설비라인이나, 컨베이어벨트, 자동차 조립공정, 하수 오폐수 처리장, 항만의 컨테이너 크레인, 건설현장의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왕복운동되는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비에 충분한 길이의 전원선을 연결하고, 상기 전선의 외부에 절첩식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을 끼워, 장비의 왕복운동시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이 적절히 접히면서 전선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절첩식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은 강도가 낮아서 외력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 자체 뿐 아니라, 내부에 삽입된 전선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외에 설치되는 장비의 경우,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이 비나 눈에 노출되어 더욱 빨리 손상되고 이에따라 케이블이 비나 눈에 노출되어 합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연결된 전원선을 대치하여, 공간확보가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높을 뿐 아니라, 비나 눈에 의해 합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왕복운동되는 장비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11a)가 형성된 덕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비의 왕복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지지덕트(11)와,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고정되며 전원에 연결된 도체재질의 전극(12)을 포함하며, 지지브라켓(1)에 고정설치되는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비에 연결되어 장비와 함께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12)에 밀착되는 도체재질의 브러쉬(23)가 구비된 집전기(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길이가 긴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면이 지지덕트(11)의 개구부(11a) 양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개구부(11a)를 덮도록 연장된 탄성재질의 혼입방지플랩(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극(12)의 배면에는 전극(12)을 가열하는 가열선(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집전기(20)의 브러쉬(2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1)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21)이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로울러(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양단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덕트(11)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11a)의 반대쪽 단부를 절개하여 상기 전극(12)이 노출되도록 한 노출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11d)에는 전극(12)을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30)는 내부에 공간부(31a)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전극(12)이 통과하는 결합공(31b)이 형성된 본체(31)와, 판형상의 도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결합공(31b)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된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통전패널(32)과, 상기 통전패널(32)에 연결되어 통전패널(32)이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양단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덕트(11)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11a)의 반대쪽 단부를 절개하여 상기 전극(12)이 노출되도록 한 노출부(11d)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에는 상기 노출부(11d)를 덮어 가리는 연결부 덮개(4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 덮개(40)는, 상호 나사(43,44)로 고정결합되는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지지덕트(11)의 연결부 외부에 끼워지는 오목부(41h)가 형성된 통형상의 덮개본체(41a,41b)와,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어 덮개본체(41a,41b)와 지지덕트(11)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42)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41a,41b)는 상기 오목부(41h)를 나누도록 형성된 절개선(41c)에 의해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에 연결된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전원공급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연결된 집전기(20)로 구성되어, 매우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공간확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원선을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에 끼워 보호하는 구조에 비해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에 강하여 내부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레일과 집전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레일과 집전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집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레일과 조인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조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조인트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덮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덮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좌, 우조립패널의 내측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덮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덮개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왕복운동되는 도시안된 장비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는, 지지브라켓(1)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전원공급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비에 결합되어 장비와 함께 왕복운동하여 장비에 전원을 인가하는 집전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개구부(11a)가 형성된 덕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비의 왕복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지지덕트(11)와,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고정되며 전원에 연결된 도체재질의 전극(12)과, 상기 지지덕트(11)에 구비된 혼입방지플랩(13)과, 상기 전극(12)의 배면에 구비된 가열선(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덕트(11)는 절연체인 합성수지재를 압출성형하여 구성되며 둘레면을 감싸는 클램프(1a)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1)에 고정설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전극(12)이 결합되는 결합부(11c)가 형성되고, 개구부(11a) 양측에는 상기 혼합방지패킹(42)이 끼워지는 결합홈(11b)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12)은 상기 지지덕트(11)에 비해 조금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1c)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혼합방지패킹(42)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길이가 긴 판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일측면이 결합홈(11b)에 결합되고 타측은 개구부(11a)를 덮도록 연장되어 비나 눈 같은 수분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지지덕트(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선(14)은 상기 전극(12)의 배면에 밀착되어 전극(12)을 가열하므로써 온도변화에 의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집전기(20)는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비에 구비된 브라켓(2)에 고정설치되어 장비와 함께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양측에 구비된 로울러(22)와,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12)에 밀착되는 도체재질의 브러쉬(23)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은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일측의 연장부(21b)가 지지덕트(11)의 개구부(11a)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2)에 고정된다. 상기 로울러(22)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양측에 각각 3개씩 구비되어,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21)이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브러쉬(2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1)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가압되어 선단부가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전극(12)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원선(25)에 의해 장비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12)에 공급된 전원을 전원선(25)을 통해 장비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장비가 왕복운동하면, 상기 집전기(20)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장비와 함께 왕복운동하면서, 가이드레일에 인가된 전기를 장비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수와 같은 수로 구성되어 상호 평행하게 상기 지지브라켓(1)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집전기(20) 역시 상기 전원공급레일(10)과 같은 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전원공급레일(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비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전원이 R, S, T, N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장비의 브라켓(2)에 고정된다. 반대로 전원이 3상 또는 2상 전원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3개 또는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2~3m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어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연결되어 필요한 길이로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덕트(11) 양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a)의 반대쪽 단부를 절개하여 상기 전극(12)이 노출되도록 한 노출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상기 노출부(11d)에 의해 노출된 전극(12)을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30)와, 상기 노출부(11d)를 덮어 가리는 연결부 덮개(40)가 구비된다.
상기 조인트(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31a)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전극(12)이 통과하는 결합공(31b)이 형성된 본체(31)와, 판형상의 도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결합공(31b)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된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통전패널(32)과, 상기 통전패널(32)에 연결되어 통전패널(32)이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31)는 부도체인 합성수지재의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31a)의 내부에는 채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도전체 재질의 지지부재(31c)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31b)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극(12)을 상기 결합공(31b)에 손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패널(32)은 구리판과 같은 판형상의 도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31a)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배치되어 상기 결합공(31b)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된 전극(12)의 상면에 밀착되므로써, 전극(1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통전패널(32)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극(12)의 밀착방향 반대쪽(본 실시예의 경우 상측) 라운드지게 연장된 연장부(32a)가 형성되어, 전극(12)이 상기 결합공(31b)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전극(12)의 단부가 라운드진 연장부(32a)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통전패널(32)이 상측으로 들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통전패널(3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공간부(31a)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전패널(32)을 하향가압하므로써, 통전패널(32)이 전극(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탄성재질의 금속판을 파형으로 절곡성형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레일(10)을 상호 연결할 때, 연결부 조인트(30)를 상호 연결되는 전극(12)의 단부에 끼우면 통전패널(32)이 전극(12)의 상면에 밀착되며, 이에따라, 전극(12)이 상기 통전패널(32)과 지지부재(31c)의 사이에 밀착가압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덮개(40)는, 상호 나사(43,44)로 고정결합되는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지지덕트(11)의 연결부 외부에 끼워지는 오목부(41h)가 형성된 통형상의 덮개본체(41a,41b)와,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어 덮개본체(41a,41b)와 지지덕트(11)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본체(41a,41b)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11d)와 조인트(30)를 덮어 가릴 수 있을 정도로 큰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의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목부(41h)를 좌, 우로 나누도록 형성된 절개선(41c)에 의해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41h)는 상기 덮개본체(41a,41b)의 하면과 측면을 상기 지지덕트(11)의 둘레면에 대응되도록 U자형으로 절개하여 구성되어, 오목부(41h)를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 외부에 끼우면, 덮개본체(41a,41b)가 지지덕트(11)의 노출부(11d)를 완전히 덮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둘레부에는 리브(41d)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나사(43,44)가 결합되는 나사공(41e,41f)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43,44)는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둘레부에서 상기 오목부(41h) 형성위치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나사(43)와, 상기 제1 나사(43)의 고정위치로부터 상기 오목부(41h)쪽으로 근접되도록 결합되는 제2 나사(44)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공(41e,41f)은 상기 제1 나사(43)가 결합되는 제1 나사공(41e)과 상기 제2 나사(44)가 결합되는 제2 나사공(41f)으로 나뉘어져, 각 나사(43,44)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리브(41d)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11)의 양측면에는 걸림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오목부(41h) 외측단부, 특히, 오목부(41h)의 입구쪽 둘레부에 연장된 리브(41d)의 인접면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11e)에 결합되는 돌출부(41g)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상기 패킹(42)은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1d)의 인접면에 폐루프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홈(41i)에 끼워지는 것으로, 좌, 우조립패널(41a,41b)을 조립할 때, 좌, 우조립패널(41a,41b) 사이의 공간과, 좌, 우조립패널(41a,41b)과 지지덕트(11)의 둘레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돌출부(41g)를 지지덕트(11)의 걸림부(11e)에 각각 걸어놓고, 좌, 우조립패널(41a,41b)이 상호 밀착되도록 조립한 후, 각각의 나사공(41e,41f)에 나사(43,44)를 끼워 조이므로써,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접촉식 전원공급장치는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원에 연결된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전원공급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는 장비에 연결된 집전기(20)로 구성되어, 매우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공간확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원선(25)을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보호관에 끼워 보호하는 구조에 비해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에 강하여 내부의 전극(12)이 외부로 노출되어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서로 다른 상의 전원을 각기 분리하여 서로 다른 전원공급레일(10)과 집전기(20)를 통해 장비로 공급하므로, 전원공급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여러상의 전기중에서 일측의 전기를 공급하는 라인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해당 라인만을 선택적으로 수리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레일(10)에는, 지지덕트(11)를 덥는 혼입방지플랩(13)이 구비되어 내부로 비나 눈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혼입방지플랩(13)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집전기(20)가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이동할 때, 혼입방지플랩(13)이 지지덕트(11)의 개구부 전체를 막은 상태에서 혼입방지플랩(13)의 일부만이 지엽적으로 변형되므로써, 집전기(20)의 이동시 지지덕트(11)의 개구부(11a)가 개방되는 부위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12)의 배면에는 전극(12)을 가열하는 가열선(14)이 구비되어, 겨울철에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발생된 결로현상에 의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전기(20)의 브러쉬(2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1)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가압되어 브러쉬(23)가 전극(12)에 밀착되므로써, 집전기(20)가 슬라이드될 때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21)이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로울러(22)가 구비되어, 집전기(20)가 슬라이드될 때 집전기(20)가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끼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에는 전극(12)을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30)가 구비되므로, 전원공급레일(10)을 상호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에는 상기 노출부(11d)를 덮어 가리는 연결부 덮개(4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덕트(11)의 개구부(11a)를 통해 비나 눈 또는 먼지가 지지덕트(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전원공급레일 20. 집전기
30. 조인트 40. 연결부 덮개

Claims (8)

  1. 왕복운동되는 장비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11a)가 형성된 덕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비의 왕복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지지덕트(11)와,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고정되며 전원에 연결된 도체재질의 전극(12)을 포함하며, 지지브라켓(1)에 고정설치되는 전원공급레일(10)과;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비에 연결되어 장비와 함께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12)에 밀착되는 도체재질의 브러쉬(23)가 구비된 집전기(20);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12)의 배면에는 전극(12)을 가열하는 가열선(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상기 개구부(11a)를 덮도록 지지덕트(11)의 개구부(11a)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혼입방지플랩(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기(20)의 브러쉬(2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1)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21)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덕트(11)의 내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21)이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로울러(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덕트(11)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11a)의 반대쪽 단부를 절개하여 상기 전극(12)이 노출되도록 한 노출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11d)에는 전극(12)을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30)는 내부에 공간부(31a)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전극(12)이 통과하는 결합공(31b)이 형성된 본체(31)와, 판형상의 도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되어 결합공(31b)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된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통전패널(32)과, 상기 통전패널(32)에 연결되어 통전패널(32)이 전극(1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은 양단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다수개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에는 상기 개구부(11a)의 반대쪽 단부를 절개하여 상기 전극(12)이 노출되도록 한 노출부(11d)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레일(10)의 연결부에는 상기 노출부(11d)를 덮어 가리는 연결부 덮개(4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 덮개(40)는, 상호 나사(43,44)로 고정결합되는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지지덕트(11)의 연결부 외부에 끼워지는 오목부(41h)가 형성된 통형상의 덮개본체(41a,41b)와, 상기 좌, 우조립패널(41a,41b)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어 덮개본체(41a,41b)와 지지덕트(11)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42)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41a,41b)는 상기 오목부(41h)를 나누도록 형성된 절개선(41c)에 의해 좌, 우조립패널(41a,41b)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KR20100048886A 2010-05-25 2010-05-25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KR10116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8886A KR101169716B1 (ko) 2010-05-25 2010-05-25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8886A KR101169716B1 (ko) 2010-05-25 2010-05-25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16A KR20110129316A (ko) 2011-12-01
KR101169716B1 true KR101169716B1 (ko) 2012-08-03

Family

ID=4549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8886A KR101169716B1 (ko) 2010-05-25 2010-05-25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38B1 (ko) * 2014-08-27 2015-07-08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1619903B1 (ko) * 2013-11-14 2016-05-12 정명화 물류운반기기 구동용 파워 레일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68B1 (ko) * 2006-10-17 2007-04-18 쓰리피시스템(주) 평판 디스플레이의 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68B1 (ko) * 2006-10-17 2007-04-18 쓰리피시스템(주) 평판 디스플레이의 반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03B1 (ko) * 2013-11-14 2016-05-12 정명화 물류운반기기 구동용 파워 레일유닛
KR101529038B1 (ko) * 2014-08-27 2015-07-08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16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673B1 (ko)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US10330289B2 (en) Cover for the support arrangement of a strip light system and strip light system
CN102535769A (zh) 用于建筑物特别是公寓、大厦和/或住宅的屋顶结构
US20150322987A1 (en) Cable tray segments with integrated splice plates
KR20050026980A (ko) 하우징을 갖는 전기 가열 장치
CN103814484A (zh) 插塞连接器
US10027077B2 (en) Contact point for connecting a flat conductor to a conductor element
KR101169716B1 (ko) 접촉식 전원공급장치
CN102037617A (zh) 插式连接器的插塞
US20120250311A1 (en) Mounting Bracket for Linear Fluorescent Wet Location Fixture
US20160301361A1 (en) Housing for Solar Panel Electric Connection
EP2113716A1 (en) A light fitting to be recessed into a suspended power distribution track
KR101169714B1 (ko)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조인트
CN105263746A (zh) 绝缘型材、滑接导线和用于制造滑接导线的方法
JP5120636B2 (ja) 配線装置及び配線ダクトシステム
KR101806113B1 (ko) 물류운반기기 구동용 파워 레일유닛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CN209913420U (zh) 桥架线槽组件
WO2010150173A1 (en) Junction module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US20210381682A1 (en) Luminaire connection and luminaire strip
KR101619903B1 (ko) 물류운반기기 구동용 파워 레일유닛
KR20080090906A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CN105202494A (zh) 安装模块、灯具组合
KR200461880Y1 (ko) 난방용 카본 발열 장치
EP2602891A2 (en) Hermetic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