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673B1 - 불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불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673B1
KR101528673B1 KR1020130101526A KR20130101526A KR101528673B1 KR 101528673 B1 KR101528673 B1 KR 101528673B1 KR 1020130101526 A KR1020130101526 A KR 1020130101526A KR 20130101526 A KR20130101526 A KR 20130101526A KR 101528673 B1 KR101528673 B1 KR 10152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guide
movable
pl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962A (ko
Inventor
이유엽
김도균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흥식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가의 CNC선반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주물품 등의 대상물의 불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원반 형상의 주물품 및 원반 형상의 주물품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의 불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 장비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용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N UNNECESSARY PORTION}
본 발명은 고가의 CNC선반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주물품 등의 대상물의 불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원반 형상의 주물품 및 원반 형상의 주물품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의 불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 장비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불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반형 주물 제품은 자동차 부품, 기계 장치 부품 등에 폭넓은 형태로 존재하고 있고, 거의 대부분의 제품이 공통적으로 불용물의 절삭 가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표적인 원반형 주물 제품의 사례로 자동차용 휠, 브레이크 관련 부품 등을 들 수 있으며, 원반형 주물 제품의 불용물 가공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상면 가공과 측면 가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원반형 주물 제품의 제조과정 중에 상기 원반형 주물 제품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탕구, 탕도, 버(burr) 등의 불필요한 부분을 의미하는 불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CNC 선반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CNC 선반은 시중에 고가로 유통되는 관계로 작업자가 구입하여 사용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4208호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111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고가의 CNC선반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주물품 등의 대상물의 불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원반 형상의 주물품 및 원반 형상의 주물품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의 불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 장비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불용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불용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고정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방향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하이동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상태인 상기 대상물의 불용물을 제거하는 스핀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구비되는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와;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전후이동용 구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된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가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이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과 함께 좌우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대상물이 고정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고정몸체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 및 상기 좌우이동판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좌우이동용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전면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의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이 각각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스핀들부가 구비되는 상하이동판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몸체의 전측에 상기 상하이동판의 후면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직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스핀들부와 함께 상기 상하이동판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와;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상하이동용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에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가이드몸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이 상기 가이드몸체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에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상기 좌우이동판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에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불용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면에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전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상측가이드홈과; 상기 상측가이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가이드홈의 하부에 상기 상측가이드홈을 따라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고, 전후폭이 상기 상측가이드홈의 전후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측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의 상부에서 상기 대상물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대상물의 상부에 수평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판의 하부 외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수평안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가이드홈 및 상기 하측가이드홈내에 각각 수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측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측가이드홈내에 수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후이동부재와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주물품 등의 대상물의 불용물을 스핀들부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CNC 선반 등을 사용하여 주물품 등의 대상물의 불용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원반 형상의 주물품에 한정되지 않고 원반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의 불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 장비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용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전후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우측면도이고,
도 5는 좌우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6은 상하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용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불용물 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전후이동부재(20), 좌우이동부재(30), 상하이동부재(40) 및 스핀들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캐스터 등의 바퀴부재(101)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 중간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고정판(102)이 일체형으로 수평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2)의 전측에는 상기 고정판(102)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102)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수직연장판(103)이 일체형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2)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고정판(102)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102)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10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이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3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는 불용물(도 7의 31)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도 7의 3)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3)은 가령, 자동차용 휠, 브레이크 관련 부품과 같은 원반 형상의 주물품 등의 자동차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반 형상의 주물품에 한정되지 않고 원반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불용물(31)은 특히 주물 제품의 제조과정 중에 상기 주물 제품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탕구, 탕도, 버(burr) 등의 불필요한 부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4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방향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핀들부(5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40)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40)를 따라 상하이동한다.
상기 스핀들부(5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상태인 상기 대상물(3)의 불용물(31)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스핀들부(50)는 가령, 밀링스핀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밀링스핀들의 툴 스핀들(51)의 하측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대상물(3)의 상측에 형성된 불용물(31)을 제거하기 위한 각 종류의 공구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툴 스핀들(51)의 하측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는 선삭용 공구, 구멍을 뚫고 그대로 계속하여 나사절삭을 할 수 있는 드릴탭, 평면을 절삭 가공할 때 사용하는 절삭공구인 페이스 밀, 원기둥 및 밑면에 바이트(날)가 있고, 홈절삭, 측면절삭 등에 사용되는 엔드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핀들부(5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밀링스핀들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728282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전후이동부재(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부재(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 및 전후이동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 상부 중간에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수직연장판(10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연장판(103)의 외주면 중간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의 전측에 결합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의 후측은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보조고정판(104)의 중심부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고정판(102)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가이드몸체(23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가이드몸체(2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하부면 중간부위에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가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몸체(232)가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에 의해 상기 가이드몸체(231)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판(230)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30)가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좌우이동부재(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몸체(310), 고정몸체(320),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좌우이동판(340),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및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31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의 상부 면 전측과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상부면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의 상부면에 4개의 상기 가이드몸체(31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몸체(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320)는 상기 가이드몸체(3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의 상부면 중간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은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하부면 후측에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40)은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상부에는 상기 대상물(3)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일측면 하부에서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수직연장판(341)이 일체형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는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하부면 중간부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의 중간부위는 상기 고정몸체(3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의 타측은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타측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보조고정판(342)의 중심부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는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수직연장판(34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연장판(341)의 외주면 중간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정역회선시킬 시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와 함께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및 상기 좌우이동판(340)이 좌우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상하이동부재(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몸체(410),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 상하이동판(430),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 및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41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410)는 도 1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411), 일측판(412) 및 타측판(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411)은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후측 상부방향에 상기 고정판(102)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412) 및 상기 타측판(413)은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면 타측에서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판(412)의 하측 및 상기 타측판(413)의 하측은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02)의 상부면 후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은 상기 지지몸체(410)의 일측판(412)의 전면과 상기 지지몸체(410)의 타측판(413)의 전면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 일측과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 타측에 각각 가이드몸체(4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에 4개의 상기 가이드몸체(431)가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 각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몸체(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는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 중간에는 상하이동몸체(432)가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전측에서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상하이동몸체(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전면에는 상기 스핀들부(5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이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에 상기 스핀들부(50)가 수직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이동판(430)과 함께 상기 하우징(200) 및 상기 스핀들부(50)는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기 스핀들부(50)의 툴 스핀들(51)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일측판(401), 타측판(도 1의 402) 및 상부판(4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401) 및 상기 타측판(402)은 각각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403)은 상기 일측판(401)의 상측과 상기 타측판(402)의 상측 사이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00)는 구동모터(301), 회전체(302) 및 감김부재(3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01)는 상기 지지부재(400)의 상부판(403)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2)는 전측회전체(302a)와 후측회전체(3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체(302a)는 상기 스핀들부(50)의 툴 스핀들(5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회전체(302b)는 상기 구동모터(301)의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303)의 전측은 상기 전측회전체(302a)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303)의 후측은 상기 후측회전체(302b)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01)의 구동축과 함께 상기 후측회전체(302b)가 정역회전할 시 상기 후측회전체(302b)의 정역회전력은 상기 감김부재(303)를 통해 상기 전측회전체(302a)로 전달되어 상기 전측회전체(302a)와 함께 상기 툴 스핀들(51)이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체(302)는 풀리, 스프로켓, 타이밍 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303)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타이밍 기어에 감겨지는 타이밍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회전체(302)가 타이밍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김부재(303)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회전체(302)와 상기 감김부재(303)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는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측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상하이동몸체(432)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스핀들부(50)와 함께 상기 상하이동판(430)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는 상기 지지몸체(410)의 상부판(411)의 상부면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상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가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가령,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전측에서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가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가이드몸체(231)와 접촉하여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가이드몸체(231)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의 정역회전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시켜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후측에서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거리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의 타측면 중간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보조고정판(342)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조고정판(342)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핀(343)이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가령,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및 상기 좌우이동판(340)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가 상기 연장핀(343)과 접촉하여 상기 연장핀(343)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는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의 정역회전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시켜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및 상기 좌우이동판(340)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가이드몸체(310)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상기 가이드몸체(3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상측의 반대측인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가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가령,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상측에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가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와 접촉하여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는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의 정역회전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시켜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하측에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거리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령,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누름식버튼방식 또는 다이얼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전후이동거리값,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좌우이동거리값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상하이동거리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누름식버튼방식 또는 다이얼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상부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의 일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상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작동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한 경우, 최초 상기 전후이동판(230), 상기 좌우이동판(340)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원점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판(230)은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좌우이동판(340)과 함께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및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하이동판(430)은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의 상측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가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가이드몸체(231),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수직연장판(341)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와 접촉하여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가이드몸체(231),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수직연장판(341)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가이드몸체(431)를 각각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 및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는 작동중지되고, 이로서, 상기 전후이동판(230), 상기 좌우이동판(340)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원점으로 최초 이동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원점위치로 최초 이동된 상태인 상기 전후이동판(230), 상기 좌우이동판(340)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판(230), 상기 좌우이동판(340) 및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원점으로 최초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전후이동거리값만큼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전후이동거리값과 대응되는 횟수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좌우이동판(340)과 함께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및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좌우이동거리값만큼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는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좌우이동거리값과 대응되는 횟수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하이동거리값만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는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하이동거리값만큼 대응되는 횟수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는 불용물(31)을 제거하고자 하는 상기 대상물(3)을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90)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전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9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가이드홈(910)과 하측가이드홈(9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은 상기 상측가이드홈(9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하부에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을 따라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전측에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후측까지의 전후폭은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전측에서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후측까지의 전후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상기 대상물(3)의 상부 전측과 상기 대상물(3)의 상부 후측에 각각 대칭된 상태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3)을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일예로, 중간판(810), 상부판(820), 하부판(830), 볼트부재(840) 및 너트부재(8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810)은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대상물(3)의 하부 후측 및 상기 대상물(3)의 하부 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820)은 상기 중간판(810)의 상부에서 상기 대상물(3)의 상부 후측 및 상기 대상물(3)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상기 대상물(3)의 상부 후측 및 상기 대상물(3)의 상부 전측에 각각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830)은 상기 중간판(810)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판(810)의 하부 외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840)는 상기 하부판(830)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가이드홈(910) 및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각각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850)는 상기 볼트부재(840)의 하측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850)의 상측에서 상기 너트부재(850)의 하측까지의 상하폭은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상측에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하측까지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볼트부재(8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너트부재(850)는 상승하여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상측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 상기 대상물(3)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볼트부재(8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의 상측 내주면에 밀착된 상기 너트부재(850)의 밀착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고정부재(80)를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켜 위치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다른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밀링바이스(860), 상기 볼트부재(840) 및 상기 너트부재(8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링바이스(86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는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밀링바이스(860)의 상부에는 상기 대상물(3)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밀링바이스(860)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20-0445996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볼트부재(840)는 상기 밀링바이스(860)의 일측 하부 중간과 상기 밀링바이스(860)의 타측 하부 중간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가이드홈(910) 및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각각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주물품 등의 상기 대상물(3)의 불용물(31)을 상기 스핀들부(5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CNC 선반 등을 사용하여 주물품 등의 대상물(3)의 불용물(31)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원반 형상의 주물품에 한정되지 않고 원반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주물품 등의 가공제품의 불용물(31)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 장비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전후이동부재,
30; 좌우이동부재, 40; 상하이동부재,
50; 스핀들부.

Claims (12)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구비되는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와,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회전시키는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와,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가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판(230)으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몸체(310)와, 상기 가이드몸체(3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320)와,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좌우이동하며 상부에 불용물(31)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고정되는 좌우이동판(340)과, 상기 고정몸체(32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및 상기 좌우이동판(340)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회전시키는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로 구성되는 좌우이동부재(30)와;
    상부판(411)과 상기 상부판(411)의 히부면 일측과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면 타측에서 각각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일측판(412) 및 타측판(413)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측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몸체(410)와,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면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이 각각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이동판(430)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측에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직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상하이동판(430)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와,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회전시키는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4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40)의 상하이동판(4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40)를 따라 상하이동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상태인 상기 대상물(3)의 불용물(31)을 제거하는 스핀들부(5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가이드몸체(310)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상기 가이드몸체(3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40)의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불용물(31)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80)와;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전후이동거리값,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좌우이동거리값,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상하이동거리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각각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90)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전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90)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상측가이드홈(910)과;
    상기 상측가이드홈(9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하부에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을 따라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고, 전후폭이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전후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측가이드홈(9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80)는 중간판(810)과, 상기 중간판(810)의 상부에서 상기 대상물(3)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대상물(3)의 상부에 수평안착되는 상부판(820)과, 상기 중간판(810)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판(810)의 하부 외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수평안착되는 하부판(830)과, 상기 하부판(830)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가이드홈(910) 및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각각 수용되는 볼트부재(840)와, 상기 볼트부재(840)의 하측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수용되는 너트부재(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물 제거장치.
  2.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구비되는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와,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를 회전시키는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와,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부재(2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가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판(230)으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몸체(310)와, 상기 가이드몸체(3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320)와,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좌우이동하며 상부에 불용물(31)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고정되는 좌우이동판(340)과, 상기 고정몸체(32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 및 상기 좌우이동판(340)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와,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를 회전시키는 좌우이동용 구동부재(360)로 구성되는 좌우이동부재(30)와;
    상부판(411)과 상기 상부판(411)의 히부면 일측과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면 타측에서 각각 상기 상부판(41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일측판(412) 및 타측판(413)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측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몸체(410)와,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면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이 각각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이동판(430)과,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몸체(410)의 전측에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후면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직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상하이동판(430)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와,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회전시키는 상하이동용 구동부재(450)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4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40)의 상하이동판(4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40)를 따라 상하이동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조절된 상태인 상기 대상물(3)의 불용물(31)을 제거하는 스핀들부(5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가이드몸체(310)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이 상기 가이드몸체(31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서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20)의 전후이동판(23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용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40)의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용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원점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원점확인용 리미트센서(7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불용물(31)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80)와;
    상기 전후이동판(230)의 전후이동거리값, 상기 좌우이동판(340)의 좌우이동거리값, 상기 상하이동판(430)의 상하이동거리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탈선방지용 리미트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용 리드스크류(210), 상기 좌우이동용 리드스크류(350), 상기 상하이동용 리드스크류(440)를 각각 역방향으로 일정횟수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90)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전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90)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일측에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상측가이드홈(910)과;
    상기 상측가이드홈(9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하부에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을 따라 일정깊이로 좌우연장형성되고, 전후폭이 상기 상측가이드홈(910)의 전후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측가이드홈(9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8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좌우이동판(34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부에 상기 대상물(3)이 고정되는 밀링바이스(860)와, 상기 밀링바이스(860)의 일측 하부 중간과 상기 밀링바이스(860)의 타측 하부 중간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가이드홈(910) 및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수직으로 수용되는 볼트부재(840)와, 상기 볼트부재(840)의 하측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측가이드홈(920)내에 수용되는 너트부재(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물 제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01526A 2013-08-27 2013-08-27 불용물 제거장치 KR10152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26A KR101528673B1 (ko) 2013-08-27 2013-08-27 불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26A KR101528673B1 (ko) 2013-08-27 2013-08-27 불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962A KR20150024962A (ko) 2015-03-10
KR101528673B1 true KR101528673B1 (ko) 2015-06-15

Family

ID=5302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526A KR101528673B1 (ko) 2013-08-27 2013-08-27 불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012A (ko) * 1999-06-22 2001-03-15 추후제출 내측 코너를 절삭하는 방법 및 그 공구
KR20040059199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탈선 시티카 자동복구장치
KR20060104955A (ko) * 2006-07-27 2006-10-09 한재형 3차원 프레스 로봇시스템 및 3차원 프레스 로봇시스템을이용한 프레스 소재 운반방법
KR100864854B1 (ko) * 2007-11-14 2008-10-23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2차원 벤딩된 파이프용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012A (ko) * 1999-06-22 2001-03-15 추후제출 내측 코너를 절삭하는 방법 및 그 공구
KR20040059199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탈선 시티카 자동복구장치
KR20060104955A (ko) * 2006-07-27 2006-10-09 한재형 3차원 프레스 로봇시스템 및 3차원 프레스 로봇시스템을이용한 프레스 소재 운반방법
KR100864854B1 (ko) * 2007-11-14 2008-10-23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2차원 벤딩된 파이프용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962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0323B (zh) 一种数控磨面倒角滚圆一体机
CN110640230B (zh) 数控立卧复合式五轴联动铸件加工用的去毛刺机床
CN105328247A (zh) 一种吊装铣床装置
CN210937313U (zh) 一种新型铣床
CN109531218B (zh) 一种用于输送辊道上的铝合金轮毂自动铣毛刺夹具装置
KR101213319B1 (ko) 멀티호닝머신
KR101462555B1 (ko) 소재 커팅 및 버 제거장치
CN108788931B (zh) 一种汽车制动盘的精加工装置
CN202106430U (zh) 木材铣型加工中心
CN211439305U (zh) 一种盘式刹车片内外弧边缘倒角磨床
KR101528673B1 (ko) 불용물 제거장치
CN203843614U (zh) 一种数控移动龙门双磨头圆台平面磨床
CN110936245B (zh) 一种盘式刹车片内外弧边缘倒角磨床
CN206047595U (zh) 一种适用于竖式车铣复合加工的车床
CN111469005A (zh) 一种切割刀片背面刮痕处理装置
CN108746714B (zh) 一种自动钻孔装置
CN105150058A (zh) 一种可自动急停的磨床
CN211306618U (zh) 一种数控木工机床的多功能加工机构
CN210731251U (zh) 数控立卧复合式五轴联动铸件加工用的去毛刺机床
JP4809023B2 (ja) 加工装置
JPWO2006061910A1 (ja) 竪型両頭平面研削盤における砥石の初期位置設定方法
CN108655891B (zh) 一种用于光学模具成品磨削装置
CN217252846U (zh) 高低斜轨数控车床
CN212553142U (zh) 一种压力感应自动打磨机
CN118089633B (zh) 一种推车机链轮量柱测量距自动测量装置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