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98B1 -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98B1
KR101528198B1 KR1020130053205A KR20130053205A KR101528198B1 KR 101528198 B1 KR101528198 B1 KR 101528198B1 KR 1020130053205 A KR1020130053205 A KR 1020130053205A KR 20130053205 A KR20130053205 A KR 20130053205A KR 101528198 B1 KR101528198 B1 KR 10152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cid
hpv
extract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725A (ko
Inventor
곽종환
문치웅
김영봉
전유경
Original Assignee
구을리주식회사
문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을리주식회사, 문치웅 filed Critical 구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98B1/ko
Priority to EP13796984.6A priority patent/EP2788311A4/en
Priority to US14/366,093 priority patent/US20140363530A1/en
Priority to PCT/KR2013/004698 priority patent/WO2013180462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를 억제하여 상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및 후두암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결장암, 자궁경부암 등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강력한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s and inhibition of HPV}
본 발명은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를 억제하고 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가지는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1] Kalechman et al., Synergistic anti-tumoral effect of paclitaxel (Taxol)+AS101 in a murine model of B16 melanoma:association with ras-dependent signal-trasduction pathways. Int . J. Cancer, 86, pp.281-288, 2000;
[문헌 2] Gamet-Payractre et al., Sulforaphane a naturally occurring isothiocyanate, induced arrest an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Cancer Res ., 60, pp.1426-1433, 2000),
[문헌 3] Piao et al., Induction of G(2)/M phase arrest and apoptosis by a new synthetic anti-cancer agent, DW2282, i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Bio chem Pharmacol, 62, pp.1439-1447, 2001).
[문헌 4] Vanchieri, C., IARC Publishes Data on Worldwide Cancer Case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5(13), 1028-1029(1993)),
[문헌 5] Munoz, N. and Bosch, F. X., Epidemiology of cervical cancer. In: Human Papillomaviruses and Cervical Cancer, eds. Munoz, N., Bosch, F. X. and Jensen, O. M. IARC Scientific Publications, Lyon, 9-40(1989)).
[문헌 6] Broker et al., Papillomaviruses: Retrospectives and Prospectives, Cancer cells 4/DNA tumor viruses, Cold Spraing Harbor Laboratory, USA, 17-36(1989))
[문헌 7] Durst, M. et al., Papillomavirus DNA from a cervical carcinoma and its prevalence in cancer biopsy sampl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Proc. Natl. Acad. Sci., USA, 80. 3812-9-2 1019950024886, 3815(1983)),
[문헌 8] Hausen, H., Viruses in human cancers, Science, 254, 1173-1187(1991))
[문헌 9] Galloway, D. A. et al., Human papillomaviruses and carcinomas, Adv. Virus Res., 37, 125-171(1990)
[문헌 10] Lorincz, A. T. et 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of the Cervix: Relative Risk Associations of 15 Common Anogenital Types, Obsterics and Gynecology, 79, 328-337(1992)
[문헌 11]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 II , pp194-195, 1996
[문헌 12] Kang, T.H., Jeong, S.T.,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 pp321-323, 2000
[문헌 13] Jung, M.J., Chung, H.Y.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6(6), pp458-462
[문헌 14] Kaneta M., Hikichi H. et a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4, pp1407, 1980
[문헌 15] Woo W.S., Kang S.S.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49, pp547-549, 1984
[문헌 16] Woo W.S., Lee E.B. et al., Kor . J. Pharmacogn , 12, pp153, 1981
[문헌 17] Yang M.S., Ha Y.L. et al.,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8, pp584, 1995
[문헌 18] Yoo J.S., Jang J.S. et al., KOR . J. Pharmacogn , 26, pp355, 1995
[문헌 19] 赤松金芳저, 신정 화한약, pp664-665, 1980
[문헌 20] 御影雅幸저, 日本生藥學雜誌, p 336, 1991
[문헌 21] Skehan, P. etal., J. National Cancer Institute, 82 : 1107(1990)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1983년 이후로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제 1위의 질병으로서 연간 약 10만 명 이상이 진단되고, 약 6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이러한 암의 유발 인자인 발암물질로는 흡연, 자외선, 화학물질, 음식물, 기타 환경인자들이 있으나, 그 유발 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제의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제의 효과 또한 각기 다르다.
현재 사용되는 항암제로는 효소제제 또는 백신 등의 생물학적 제제, 순수합성 의약품 및 천연물 유래의 의약품 등이 있으며, 이 중 유전자, 효소, 백신 등을 이용한 항암제는 실용단계에 있는 상태가 아니며 화학요법에 의해 개발된 항암제는 상당한 독성을 지니고 있고, 암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암 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도 파괴시키는 부작용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에 대한 암 세포의 내성이 발생되어 암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암의 발생 후 이의 치료뿐 아니라, 암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독성이 적고, 암 세포의 내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세포사멸(Apoptosis)은 대부분의 항암제가 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작용기작으로(Kalechman et al., Synergistic anti-tumoral effect of paclitaxel (Taxol)+AS101 in a murine model of B16 melanoma:association with ras-dependent signal-trasduction pathways. Int . J. Cancer, 86, pp.281-288, 2000; Gamet-Payractre et al., Sulforaphane a naturally occurring isothiocyanate, induced arrest an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Cancer Res ., 60, pp.1426-1433, 2000),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능동적인 세포의 죽음을 의미하며, 생체 내에서 세포증식과 세포죽음 사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Piao et al., Induction of G(2)/M phase arrest and apoptosis by a new synthetic anti-cancer agent, DW2282, i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Bio chem Pharmacol, 62, pp.1439-1447, 2001).
자궁경부암은 자궁암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악성종양 유발 바이러스로 한국 여성에 있어서 발생 및 사망 빈도가 가장 높은 암 질환인데, 최근 들어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의 감염이 발암 기전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자궁암은 현재 개발도상국에 있어 여성의 암중 발생률이 가장 높으며(Vanchieri, C., IARC Publishes Data on Worldwide Cancer Case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5(13), 1028-1029(1993)), 매년 새로 발생하는 환자의 수가 약 50 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Munoz, N. and Bosch, F. X., Epidemiology of cervical cancer. In: Human Papillomaviruses and Cervical Cancer, eds. Munoz, N., Bosch, F. X. and Jensen, O. M. IARC Scientific Publications, Lyon, 9-40(1989)). 서울대 의대 연구팀(김진복과 안윤옥, 1993)의 우리나라 서울 지역에서의 1991년 7월부터 1993년 6월까지 2년간의 암 발생률 조사 결과에 의하면, 여성은 10만 명당 123명이 연간 암에 걸리며 이중 자궁암이 22%, 위암 18%, 유방암 12.9%로 우리나라에서도 자궁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필로마바이러스는 동물의 여러 조직의 상피세포에 감염하여 손, 발, 피부, 후두 등에 흔히 사마귀로 불리우는 양성종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들 파필로마바이러스는 현재 인간에 있어서 70종류 정도의 유전자형이 밝혀져 있는데, 여러 유전자형이 그 감염조직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Broker et al., Papillomaviruses: Retrospectives and Prospectives, Cancer cells 4/DNA tumor viruses, Cold Spraing Harbor Laboratory, USA, 17-36(1989)).
이러한 여러 유전자형의 파필로마바이러스 대부분은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감염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기는 하지만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바이러스의 특정형, 특히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 16형과 18형은 남녀 생식기, 구강, 피부 등에서의 악성 종양과 관련되며 여성 자궁암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주요인자로 작용할 뿐 아니라, 6b형과 11형은 곤지름(condyloma acuminata)으로 일컬어지는 남녀 생식기의 양성 종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역학조사 결과 자궁암이 주로 성적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인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Durst, M. et al., Papillomavirus DNA from a cervical carcinoma and its prevalence in cancer biopsy sampl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Proc. Natl. Acad. Sci., USA, 80. 3812-9-2 1019950024886, 3815(1983)), 자궁내막상피이상증(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m, CIN)으로 명명된 전구암 병소의 85 내지 100%에 파필로마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다는 것 등, 파필로마바이러스가 자궁암 유발에 관련된다는 많은 증거들이 밝혀짐으로 해서(Hausen, H., Viruses in human cancers, Science, 254, 1173-1187(1991)), 파필로마바이러스의 발암 기작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를 이용한 진단제 및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Galloway, D. A. et al., Human papillomaviruses and carcinomas, Adv. Virus Res., 37, 125-171(1990)).
한편, 자궁암 환자에게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 16형과 18형의 감염율은 일반적으로 16형이 50 내지 70% 정도로 이르고 18형은 15 내지 25%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전이암의 경우에는 16형에 감염된 암환자의 25%, 그리고 18형에 감염된 암환자의 50% 이상이 전이암 환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Lorincz, A. T. et 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of the Cervix: Relative Risk Associations of 15 Common Anogenital Types, Obsterics and Gynecology, 79, 328-337(1992)).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 중에 솔잎은 한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불면증, 강장, 흥분, 이뇨, 진통, 구충제 등의 민간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 II , pp194-195, 1996).
최근 솔잎에서 많은 화학적 성분이 분리되고 그 구조가 밝혀지고 있다 (Kang, T.H., Jeong, S.T.,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71, pp321-323, 2000; Jung, M.J., Chung, H.Y.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6(6), pp458-462). 예를 들면 솔잎 성분에 관한 연구는 껍질에서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인 퀴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quercetin 3-O-galactoside), 퀴르세틴-3-O-람노사이드(quercetin 3-O- rhamnoside), 3,4,7- 트리하이드록시 플라본 (trihydroxyflavone)과 알파 -스피나터리 배당체 (a-spinastery glucoside), 수종의 트리테르페노이드 (triterpenoid), 사포닌 (saponin) 및 리그난 (lignan) 성분 등이 분리되었으며 (Kaneta M., Hikichi H. et a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4, pp1407, 1980; Woo W.S., Kang S.S.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49, pp547-549, 1984), 이외에도 꽃에서 플라보놀 배당체 (flavonol glycosides)인 퀘르시트린 (quercitrin)과 이소퀘르시트린 (isoquercitrin) 이 분리되었다. 또한 솔잎 성분의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는 사포닌 분획(saponin fraction)에서 자궁수축작용 증가 (Woo W.S., Lee E.B. et al., Kor . J. Pharmacogn , 12, pp153, 1981), 항균활성(Yang M.S., Ha Y.L. et al.,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 38, pp584, 1995), 설사억제 효과(Yoo J.S., Jang J.S. et al., KOR . J. Pharmacogn , 26, pp355, 1995), 및 플라보놀 배당체 (flavonol glycoside)에 의한 수면 효과등이 있다.
소나무는 피너스 (Pinus)속으로 세계에 약 80-90종이 있으나 이들중 피너스 팔루스트리스 밀러 (P. palustris Miller : 북미), 피너스 피나스터에이톤 (P. pinaster Aiton : 프랑스), 피너스 실베스트리스 (P. sylvestris L. : 유럽전역), 피너스 라리시드 포이렛 (P. laricid Poiret : 오스트리아), 피너스 론기폴리아 룩스버그 (P. longifolia Rocvurgh : 인도), 피너스 덴시플로라 시엡 (P. densiflora Sieb. et Zucc. : 한국, 일본), 피너스 던베리 팔라토레 (P. thunberii Palatore : 해송, 일본) 등에서 채취한 테르펜등이 주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솔잎의 주요성분은 테르펜틴 오일 (Terpentine oil), 시네올 (Cineole), 살리니그린 (Salinigrin), 코니페린 (Coniferin), 피-사이멘 (P-Cymen), 덴시피마릭산 (Densipimaric acid), 레텐 (Retene) 등과 엽록소, 단백질, 노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및 비타민 C 등이며, 주요성분은 종과 채취한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피너스 덴시플로라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의 잎(Needle)에서 얻은 정유에는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캄페네 (camphene), 펠란드렌 (phellandrene), 보르네올 (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 (bornylacetate), 카리오필렌 (caryophyllene), 카디넨 디테르펜 (cadinene diterpene), 세스퀴테르펜 (sesquiterpen), 세스퀴테르펜알콜 (sesquiterpenalcohol), 세릴알콜 (cerylalcohol), 밀납에는 쥬니퍼산 (juniperic acid), 사비니산 (sabinic acid), 헥사데칸디올 (hexadecane-diol), 프리아콘타놀 (triacontan-1-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마츄스테린 (matsusterin), 피토스테린 (phytosterin), 시닉산 (chinic acid), 시키믹산 (shikimic acid), 퀘르세틴 (quercetine), 캄페롤 (kaempf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赤松金芳저, 신정 화한약, pp664-665, 1980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과 중에서 잣나무 잎은 민간요법에서 임질과 매독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御影雅幸저, 日本生藥學雜誌, p 336, 1991), 솔잎의 여러 가지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지 동상 및 피부의 타박상부위에 대해서 응혈된 피부를 빨리 원상으로 회복 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습진, 옴 및 땀띠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종갑 저, 한방대의전, p134, 1984; 문화방송편저, 한국민간요법대전, p21, 1988). 또한 명의별록에는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고 언급되어있으며, 목초강목에는 부스럼, 모발개선, 내장을 튼튼하게 하여주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소취효과, 불면증 치유효과 및 피부 미용효과등도 있으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솔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이 자궁암을 비롯한 각종 암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에 대해서는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 화합물을 대상으로바이오루미네센스(SEAP) 검색법을 사용하여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억제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후두암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결장암, 자궁경부암 등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강력한 항암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 내지 (5)의 엔트-랍드-8(17)-엔-15,18-디오익 에시드(ent-labd-8(17)-ene-15,18-dioic acid, 1), 13-옥소-15,16-디노르랍다-8(17),11이-디엔-19-오익 에시드(13-oxo-15,16-dinorlabda-8(17),11E-dien-19-oic acid, 2), 13-하이드록시-8,11,13-포도칼파트리엔-18-오익 에시드(13-hydroxy-8,11,13-podocarpatrien-18-oic acid, 3), 7알파-하이드록시칼리티리직 에시드(7α-hydroxycallitirisic acid, 4) 그리고 7-옥소-15-하이드록시데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7-oxo-15-hydroxydehydroabietic acid, 5)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41532788-pat00001
<1>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조추출물, 분획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분획 추출물은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 추출물 및 극성용매 가용 분획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 추출물은 상기 조주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에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로, 바람직하게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비극성용매에 가용한 분획 추출물을 포함하고; 극성용매 가용 분획 추출물은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정제물을 제거하고 남은 조추출물을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을 수행하여 얻은 극성용매에 가용한 분획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정제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약 1 내지 30 배량(w/w),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배량(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12 배량(w/w)의 정제수를 넣고 상기 정제수의 중량과 동일 중량의 수용성 물질의 분리정제에 사용되는 SP207, HP20SS, Diaion HP 20, SP-850 resin, 활성탄, Amberlite XAD-2,4, 바람직하게는 Diaion HP 20, SP-850 resin, Amberlite XAD-2,4 등의 흡착성 수지(resin)를 이용한 흡착크로마토그래프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가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이동상을 순차적으로 극성을 낮추는 에탄올, 아세톤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로 용출시켜 차례로 용출시켜 얻은 물 용출 정제물(이하, S11-HPO 라 함), 3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30라 함), 5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50이라 함), 7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70이라 함), 95%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95이라 함), 아세톤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출 정제물(이하 S11-HPAM이라 함)들을 포함한다.
솔잎은 적송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해송 (Pinus thunbergii Parlatore), 테에다송 (Pinus taeda L.), 리기다송 (Pinus rigida Mill.) 또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등 Pinus 속 식물의 잎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암질환은 폐암, 난소암, 피부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후두암, 위암, 유방암, 비소 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 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바람직하게는, 폐암, 난소암, 피부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후두암,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으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내성자궁경부암 또는 후두암을 포함한다.
상기한 자궁경부암, 내성자궁경부암 또는 후두암은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로 기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하며 하기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제조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발명의 조추출물은 솔잎 시료 총 중량의 약 1배 내지 200배(w/w),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w/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2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발명의 비극성용매 및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에탄올 조추출물 중량의 약 0.0005 내지 0.005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정제물; 및 부탄올, 물 등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 정제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발명의 정제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약 1 내지 30배량(w/w),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량(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12배량(w/w)의 정제수를 넣고 상기 정제수의 중량과 동일 중량의 수용성 물질의 분리정제에 사용되는 SP207, HP20SS, Diaion HP 20, SP-850 resin, 활성탄, Amberlite XAD-2,4, 바람직하게는 Diaion HP 20, SP-850 resin, Amberlite XAD-2,4 등의 흡착성 수지(resin)를 이용한 흡착크로마토그래프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가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이동상을 순차적으로 극성을 낮추는 에탄올, 아세톤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로 용출시켜 차례로 물 용출액(이하, S11-HPO 라 함), 30% 에탄올 용출액(이하 S11-HP30라 함), 50% 에탄올 용출액(이하, S11-HP50이라 함), 70% 에탄올 용출액(이하 S11-HP70이라 함), 95% 에탄올 용출액(이하, S11-HP95이라 함), 아세톤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출액(이하 S11-HPAM이라 함)을 각각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솔잎 시료 총 중량의 약 1배 내지 200배(w/w),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w/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2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조추출물에 약 1 내지 30배량(w/w),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량(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12배량(w/w)의 정제수를 넣고 상기 정제수의 중량과 동일 중량의 수용성 물질의 분리정제에 사용되는 SP207, HP20SS, Diaion HP 20, SP-850 resin, 활성탄, Amberlite XAD-2,4, 바람직하게는 Diaion HP 20, SP-850 resin, Amberlite XAD-2,4 등의 흡착성 수지(resin)를 이용한 흡착크로마토그래프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가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이동상을 순차적으로 극성을 낮추어 에탄올, 아세톤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로 용출시키는 제 2단계 정제 단계를 포함하는 물 용출 정제물(이하, S11-HPO 라 함), 3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30라 함), 5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50이라 함), 70%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70이라 함), 95% 에탄올 용출 정제물(이하, S11-HP95이라 함), 아세톤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출 정제물(이하 S11-HPAM이라 함)을 각각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 3 rd Ed ., pp6-7, 1998).
본원 발명의 공지화합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화학 합성 방법 또는 솔잎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기한 솔잎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연속적으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7:1~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10:10:5)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1:1) 등 총 3가지 전개용매 조건으로 용출시키고 8,9번 분획(A)과 10번 분획(B), 11번 분획(C), 13번 분획(D) 그리고 15,16번 분획(E)은 각각을 다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8,9번 분획(A)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 5:1, 3:1, 1:1)의 용출액으로 한 실리카겔과 LiChroprep RP-18 (40-63㎛, Merck, U.S.A.)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60% 아세토니트릴, 60% 메탄올)로 분리하여 화합물 1을 수득하고 10번 분획(B)은 실리카겔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의 용출액으로 한 실리카겔과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각각 70% 메탄올과 60% 아세토니트릴)로 분리하여 화합물 2를 수득하고 11번 분획(C)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 5:1, 3:1, 1:1)의 용출액으로 한 실리카겔과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50% 아세토니트릴), 세파덱스 LH-20(용출액:메탄올)로 분리하여 화합물 3을 수득하고, 13번 분획(D)은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각각 70%, 60% 아세토니트릴)로 분리하여 화합물 4를 수득하고 15,16번 분획(E)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 7:1, 5:1, 3:1, 1:1)의 용출액으로 한 실리카겔과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50% 아세토니트릴)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5를 수득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일한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 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및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 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 화합물은 바이오루미네센스(SEAP) 검색법을 적용한 결과, 공지 화합물이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를 억제하여 상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기인한 자궁경부암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결장암, 자궁경부암 등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강력한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솔잎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도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암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02 내지 5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및 정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정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구조식 (1) 내지 (5)의 엔트-랍드-8(17)-엔-15,18-디오익 에시드(ent-labd-8(17)-ene-15,18-dioic acid, 1), 13-옥소-15,16-디노르랍다-8(17),11이-디엔-19-오익 에시드(13-oxo-15,16-dinorlabda-8(17),11E-dien-19-oic acid, 2), 13-하이드록시-8,11,13-포도칼파트리엔-18-오익 에시드(13-hydroxy-8,11,13-podocarpatrien-18-oic acid, 3), 7알파-하이드록시칼리티리직 에시드(7α-hydroxycallitirisic acid, 4) 그리고 7-옥소-15-하이드록시데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7-oxo-15-hydroxydehydroabietic acid, 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자궁경부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암질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적당한 방법으로 과립상으로 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여 조제하거나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직접 압축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미리 만든 과립에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혹은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압축성형하여 조제하거나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분말을 용매로 습윤시키고, 습윤된 분말을 저압으로 틀에 넣어서 성형한 후,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조제한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넣을 수 있으며,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 가능하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고르게 섞은 것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한 것 또는 입상으로 한 것에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한 것을 그대로 또는 가볍게 성형하여 충전하여 조제하며, 연질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넣은 것을 젤라틴 등 적당한 캅셀기제에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을 넣어 소성을 높인 캅셀기제로 피포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캅셀기제에 착색료 보존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환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구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만들고 될 수 있는 대로 입자를 고르게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착향료, 교미제 등을 넣을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μm), 14호 (1410 μm) 및 45호 (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은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이어야 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료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 화합물은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를 억제하고 또한 여러 암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냄으로써, 자궁경부암을 비롯한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화합물 1,2,3,4,5의 농도별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솔잎 에탄올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강원도산 솔잎 2kg을 95% 에탄올(주정) 20L로 50℃에서 2회 반복하여 온침으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338.8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솔잎 분획물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1.8L에 현탁하고 동량의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각각 3회 상법에 따라 차례로 분획하여 헥산 분획(95.18g),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19.42g), n-부탄올 분획(57.94g) 그리고 물 분획(90.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솔잎 에탄올 추출물의 HP -20 컬럼을 이용한 소분획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이 얻어진 솔잎 에탄올 추출물 30g을 30ml의 물에 현탁한 후, Diaion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먼저 물 2L를 이동상으로 가하여 용출액을 얻고 다시 차례로 30% 에탄올 2L, 50% 에탄올 2L, 70% 에탄올 2L, 95% 에탄올 2L, 아세톤 2L, 메틸렌클로라이드 1.5L를 가하여 각각의 용출액을 얻었다. 이때 얻어진 용출액 7종 중 아세톤 용출액과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출액을 혼합하고 감압 농축하여 HP0(물, 7.95g), HP30(30% 에탄올, 3.44g), HP50(50% 에탄올, 2.97g), HP70(70% 에탄올, 1.75g), HP95(95% 에탄올, 6.35g), HPAM(아세톤과 메틸렌클로라이드, 6g)의 소분획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솔잎 분획물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각각 헥산:에틸 아세테이트(7:1~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10:10:0.5) 그리고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1: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용출시켰다. 그 중 594.4mg의 8,9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 5:1, 3:1, 1:1)의 용출액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148.3의 11번 분획을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60% 아세토니트릴)하여 61.9mg의 1번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 1번 분획을 다시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60% 메탄올)하여 5.6mg의 화합물 1을 수득하였다. 위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에서 494.4mg의 10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의 용출액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380.7mg의 6번 분획을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70% 메탄올)하여 93.7mg의 2,3번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 2,3번 분획을 다시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60% 아세토니트릴)하여 15.4mg의 화합물 2를 수득하였다. 위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에서 954.3mg의 11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10:1, 7:1, 5:1, 3:1, 1:1, 2:1)의 용출액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145.6mg의 6번 분획을 가지고 LiChroprep RP-18 (40-63㎛, Merck, U.S.A.) 크로마토그래피을 사용하여 50% 아세토니트릴의 용출액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2번 분획(13.3mg)을 수득하였다. 이 2번 분획을 세파덱스 LH-20(용출액:메탄올)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7.9mg의 화합물 3을 수득하였다. 위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에서 761.3mg의 13번 분획을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70% 아세토니트릴)하여 368.8mg의 12,13번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 12,13번 분획을 다시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60% 아세토니트릴)하여 20.2mg의 화합물 4를 수득하였다. 위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46.11g)에서 1.92g의 15,16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 7:1, 5:1, 3:1, 1:1)의 용출액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257.6mg의 5번 분획을 LiChroprep RP-18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50% 아세토니트릴)하여 53.6mg의 화합물 5를 수득하였다. 화합물 1,2,3,4,5의 화학구조는 공지된 자료와 스펙트럼을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1 내지 5은 하기에 인용된 참고문헌과 스펙트럼의 분석결과의 비교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1) 엔트-랍드-8(17)-엔-15,18-디오익 에시드(ent-labd-8(17)-ene-15,18-dioic acid, 이하 화합물 1로 표시)[참고문헌 : Wen-Chiung Su, et al., Phytochemistry, 41(1), 1996, 255-261; Jose S. Calderon, et al., Phytochemistry, 26(9), 1987, 2639-2641]
[α]D +23.3 (CHCl3, c0.15)
ESI MS(positive) m/z 359 [M+Na]+
1H-NMR (CDCl3, 500 MH) δ 0.70(H-20), 0.97(H-16), 1.15(H-15), 4.50, 4.82(H-17)
13C-NMR (CDCl3, 125 MH) δ 14.9(C-20), 16.5(C-2), 18.6(C-16), 20.1(C-11), 20.9(C-6), 27.0(C-18), 30.9(C-13), 35.7(C-12), 37.3(C-3), 38.0(C-1), 38.2(C-7), 39.2(C-10), 41.3(C-14), 47.7(C-4), 49.7(C-5), 57.2(C-9), 107.2(C-17), 148.1(C-8), 178.9(C-15), 184.7(C-19)
(2) 13-옥소-15,16-디노르랍다-8(17),11이-디엔-19-오익 에시드(13-oxo-15,16-dinorlabda-8(17),11E-dien-19-oic acid, 이하 화합물 2로 표시)[참고문헌 : Takahiro Katoh, et al., Chem. Pharm. Bull, 50(12), 2002, 1625-1629; Jim-Min Fang, et. al., Phytochemistry, 41(5), 1996, 1361-1365]
[α]D +22.52 (CHCl3, c0.1)
ESI MS(positive) m/z 313 [M+Na]+
1H-NMR (CDCl3, 500 MH) δ 0.92(H-20), 1.20(H-19), 2.28(H-14), 4.44, 4.81(H-17), 6.10(H-12), 6.84(H-11)
13C-NMR (CDCl3, 125 MH) δ 15.5(C-19), 16.8(C-6), 18.2(C-2), 25.6(C-20), 27.6(C-14), 36.3(C-7), 37.3(C-3), 38.8(C-10), 39.8(C-1), 47.5(C-4), 48.7(C-5), 60.8(C-9), 109.5(C-17), 134.0(C-12), 145.7(C-11), 147.9(C-8), 184.5(C-18), 198.2(C-13)
(3) 13-하이드록시-8,11,13-포도칼파트리엔-18-오익 에시드(13-hydroxy-8,11,13-podocarpatrien-18-oic acid, 이하 화합물 3로 표시)[참고문헌 : E. J. Alavarez-Manzaneda, et al., Tetrahedron letters, 47, 2006, 2577-2580; H.T. Andrew Cheung, et al., Tetrahedron, 49(36), 1993, 7903-7915]
[α]D +12.4 (CHCl3, c 0.9)
ESI MS(positive) m/z 294 [M+Na]+
1H-NMR (CDCl3, 500 MH) δ 1.191(H-20), 1.28(H-19), 6.48(H-14), 6.60(H-12), 7.09(H-11)
13C-NMR (CDCl3, 125 MH) δ 16.4(C-19), 18.7(C-2), 21.8(C-6), 25.4(C-20), 30.1(C-7), 36.8(C-10), 36.9(C-1), 38.3(C-5), 44.9(C-3), 47.5(C-4), 113.2(C-12), 115.1(C-14), 125.7(C-11), 136.8(C-8), 142.2(C-9), 153.2(C-13), 184.5(C-18)
(4) 7알파-하이드록시칼리티리직 에시드(7α-hydroxycallitirisic acid, 이하 화합물 4로 표시)[참고문헌 : Ching-Kuo Lee, et al., Pytochemistry , 4, 1994, 983-986]
m.p. 111.5~113.5
[α]D +47.6 (CHCl3, c0.1)
ESI MS(positive) m/z 340 [M+Na]+
1H-NMR (CDCl3, 500 MH) δ 1.22(H-16, H-17), 1.23(H-20), 1.27(H-19), 2.28(H-7), 7.10(H-12) 7.14(H-11), 7.38(H-14)
13C-NMR (CDCl3, 125 MH) δ 16.5(C-19), 18.6(C-6), 24.1(C-16), 24.2(C-17), 25.6(C-20), 32.9(C-2), 33.9(C-15), 36.5(C-1), 37.7(C-7), 38.1(C-10), 43.6(C-5), 47.4(C-4), 70.8(C-3), 124.3(C-11), 125.4(C-14), 126.0(C-12), 137.6(C-8), 146.7(C-13), 146.8(C-9), 184.0(C-18)
(5) 7-옥소-15-하이드록시데하이드로아비에틱 에시드(7-oxo-15-hydroxydehydroabietic acid, 이하 화합물 5로 표시)[참고문헌 :William A. ayer and John B. macaulay, Canadian Journal of Chemistry, 65(7), 1987, 7-14; Xian-Wen Yang, et al., Bioorg . Med . Chem ., 18, 2010, 744-754]를 분리하였다.
[α]D +16.79 (CHCl3, c0.3)
ESI MS(positive) m/z 323 [M+Na]+
1H-NMR (CDCl3, 500 MH) δ 1.25(H-20), 1.33(H-18), 1.56(H-16, H-17), 7.33(H-12), 7.70(H-11), 8.04(H-14)
13C-NMR (CDCl3, 125 MH) δ 16.4(C-18), 18.3(C-2), 23.8(C-20), 31.7(C-16), 31.7(C-17), 36.7(C-5), 37.2(C-1), 37.5(C-3), 37.9(C-10), 43.7(C-6), 46.5(C-4), 72.5(C-15), 123.4(C-12), 123.8(C-14), 130.6(C-11), 130.9(C-8), 147.5(C-13), 154.0(C-9), 182.8(C-19), 198.9(C-7)

참고예 1. 실험 준비
1-1. 세포준비
: HPV pseudovirus 생산과 in vitro assay를 위해 사용한 293TT (human embryonic kidney cell을 adenovirus E1a가 transform되게 조작하여 만들어진 293T 세포에, SV40 large T antigen를 발현 시킨 세포 주, Schiller Lab으로부터 제공 받음.),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SH30243, Hyclone, UT, USA))에 heat inactivated 10% FBS (26140079, Hyclone, UT, USA)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해 배양되었으며 5%의 CO2 가 공급되는 37℃ 조건에서 유지되었다.
1-2. HPV -16 슈도바이러스(pseudovirus)의 생산
1-2-1. 플라스미드 (Plasmid)
: In vitro antiviral assay를 위하여 HPV-SEAP 슈도바이러스를 생산하였으며, In vivo challenge test를 위하여 HPV-Luc PV를 생산하였다. HPV-SEAP PV 생산을 위하여 p-SEAP 와 p16L1L2 plasmid, HPV-Luc PV를 생산을 위하여 pc-Luc와 p16L1L2 plasmid 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plasmid는 Schiller Lab(Laboratory of Cellular Oncology, Center for Cancer Research,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USA)으로부터 제공 받았다.
1-2-2. 감염 (Transfection)
: 293TT cell을 5 X 106개로 75T flask에 seeding 하여 37°C, 5% CO2에서 16시간 incubation 한 후, 19 μg의 p16L1/L2와 19 μg의 pSEAP 또는 pc-Luc plasmid를 Lipofectin Reagent (18292-011, 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co-transfection 하였다. Transfection 6시간 후 complete media로 교환하고 37°C, 48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화(trypsinization)하여 수확하였다. 수확한 세포는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14190-250, Invitrogen, CA, USA)로 washing 하였다.
1-2-3. 세포수확 및 비리온(virion) 성숙(maturation)
: DPBS 1ml로 재현탁 후, 5% Triton X-100 (9002-93-1, Sigma, MO, USA), 25mM의 ammonium sulphate (pH 9) (A4418, Sigma-Aldrich, MO, USA) 0.2%의 벤조나제 (9025-65-4, Benzonas, Sigma, UK)를 첨가하여 넣고, 24시간 동안 37°C에서 incubation하여 virus를 성숙(maturation) 시켰다.
1-2-4. 염추출 (Salt extraction)
: 성숙 비리온(maturated virion)을 5분간 얼음에서 냉각시킨 후, 5N NaCl을 0.17 volume으로 넣고 다시 20분간 얼음에서 배양한다. 이후 비리온(virion) 용액을 모두 모아 e-튜브(tube)로 옮기고 4℃,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만을 모아 opti-prep ultracentrifugation하거나, -80℃에 보관한다.
1-2-5. 정제
: SIGMA density gradient medium 77ml에 23ml DPBS/0.8M NaCl을 혼합하여 46%의 optiprep gradient용액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37%, 33%, 39%의 gradient용액을 DPBS/0.8M NaCl 용액으로 만든다 (27% : 9.3ml DPBS/0.8M NaCl+13.2ml 46% Optiprep, 33% : 6.4ml DPBS/0.8M NaCl+16.1ml 46%, 39% : 3.4ml DPBS/0.8M NaCl+19ml 46%). 5ml 의 Beckman ultracentrifuge tube (361625, Beckman Coulter, USA)에 각 1ml 씩의 39%, 33%, 27% gradient 용액을 조심스레 넣어 층이 깨어지지 않게 하고, 그 위에 virion 상층액 1ml을 로딩(loading)한다. Ultracentrifuge (Optima L 90K, Beckman Coulter Ultracentrifuge, USA)를 이용하여, 47,800rpm, 16℃에서 4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비리온 분획(virion fraction)을 모아서 -80°C에 보관 하였다.
1-2-6. HPV PVs의 titration
: 293TT cell을 5 × 103씩 96-well plate에 seeding하여 37°C, 5% CO2에서 16시간 incubation 하였다. HPV PVs를 5-fold serial dilution 후, 각 well의 세포에 infection 하여, 72시간 동안 incubation 하였다. HPV-SEAP PV의 titer 측정은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Great EscAPE™ SEAP Chemiluminescence Kit (631738, Clontech, CA, USA)를 이용하여 secreted alkaline phosphatase (SEAP)의 활성을 확인 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또한 HPV-Luc PV 의 titer 측정은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BioLux®Gaussia Luciferase Assay Kit (0301008, New England biolabs, MA, USA)를 이용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확인하였다. Chemiluminescent detection은 Luminescence coulter (Micro beta triLux 1450, PerkinElmer, CT, USA)를 이용하여 relative light units (RLU) 값을 얻어, 각각의 HPV PVs titer를 산출하였다.
1-3. In vitro antiviral assay
: 천연물질에 대한 screening assay와 HPV inhibition assay는 Shaneyfelt의 방법(Shaneyfelt et al., 2006)과 Schiller Lab의 방법(Roden et al., 1996, Unckell et al., 1997, Touze et al., 1998, Selinka et al., 2003, and Klasse et al., 2002)을 응용하였다. In vitro antiviral assay 시작 전, 293TT cell을 5 × 103씩 96-well plate에 seeding하여 37°C, 5% CO2 incubation하였다. 16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extract를 100μg/ml 또는 50μ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μl씩 cell에 분주하였다. Extract를 16시간 처리 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하였다. 106RLU/ml의 HPV PVs를 100μl씩 세포에 감염시켜, 48시간 동안 37°C, 5% CO2 incubation하였다. Antiviral activity 측정은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Great EscAPE™ SEAP Chemiluminescence Kit (Clontech, CA, USA)를 이용하여 secreted alkaline phosphatase (SEAP)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SEAP activity는 Luminescence coulter (Micro beta triLux 1450, PerkinElmer, CT, USA)를 이용하여 relative light units (RLU) 값을 얻었으며, extract를 처리하지 않은 cell과 extract를 처리한 cell에서의 RLU 값을 비교하여, SEAP activity의 감소를 HPV PVs에 대한 inhibition 효과로 간주하였다.
실험예 1. 바이러스 저해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루시페라제-함유 HPV 바이러스 접촉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 저해 활성은 HPV16 슈도비리온이 감염된 293TT 세포에서 바이오루미네센스(SEAP) 검색법; 화합물에 대한 screening assay와 HPV inhibition assay는 Shaneyfelt의 방법(Shaneyfelt et al., 2006)과 Schiller Lab의 방법 (Roden et al., 1996, Unckell et al., 1997, Touze et al., 1998, Selinka et al., 2003, and Klasse et al., 2002)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293TT cell을 5 x 103으로 접종(seeding)하고 16시간 배양한다. 다음날 시료를 50ug, 100ug/ml의 농도로 배지에 섞어주고 16시간 동안 처리한다. PBS 100ul로 2회 세척한 후, 106 RLU/ml의 HPV 슈도비리온을 100 μl씩 세포에 감염시켜, 48시간 동안 37°C, 5% CO2 배양하였다.
Great EscAPE™ SEAP Chemiluminescence Kit (631738, Clontech, CA, USA)의 5X lysis buffer를 1X로 만든 후, 1X lysis buffer 45 ul와 세포 배양액 15 ul 을 취하여 96-웰 플레이트 (3912, Costar, NY, USA)에 넣는다. Great EscAPE™ SEAP Chemiluminescence kit 내의 substrate를 60 ul씩 첨가하고, Luminescence coulter(Micro beta triLux 1450, PerkinElmer, CT, USA)를 이용하여 relative light units (RLU) 값을 얻는다. extract를 처리하지 않은 cell과 extract를 처리한 cell에서의 RLU 값을 비교하여, SEAP activity의 감소를 HPV PVs에 대한 inhibition 효과로 간주하였다.
본 실험 결과, 화합물 1,2,3,4,5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를 강력하게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참조)
실험예 2.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조 : Skehan, P. etal., J. National Cancer Institute, 82 : 1107(1990)].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6개의 분획물을 가지고 MES-SA(human uterine carcinoma), MES-SA/DX5(multidrug resistant carcinoma subline of MES-SA)의 자궁경부암 및 내성자궁경부암에 대한 활성(세포독성)을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표 1].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6개의 소분획을 가지고 MES-SA(human uterine carcinoma), MES-SA/DX5(multidrug resistant carcinoma subline of MES-SA)의 자궁경부암 및 내성 자궁경부암에 대한 활성(세포독성)을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표 2].
또한 실시예 4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이 HCT15(인간 결장 선암), HCT15/CL02(인간 내성 결장 선암), MES-SA(인간 자궁경부암) 및 MES-SA/DX5(인간 내성 자궁경부암)의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활성(세포독성)을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표 3].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독성 검색방법은 sulforhodamin B bioassay (SRB)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세포독성을 위해 4종의 인체 암 세포주[HCT15(인간 결장 선암, NCI), HCT15/CL02(인간 내성 결장 선암, NCI), MES-SA(인간 자궁경부암, NCI) 및 MES-SA/DX5(인간 내성 자궁경부암, NCI)]를 사용하였다. 계대중인 암세포들은 트립신-이디티에이(trypsin-EDTA) 용액으로 기기부착 면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96-웰 프레잇 바텀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flat bottom microplate)에 각 well 당 세포수가 5× 103 (A-549, HCT15), 1× 104 (SK-MEL-2), 5× 103 (SK-OV-3)개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분주된 암세포들은 CO2 인큐베이터(MCO-20AIC, SANYO Electric Co., LTd.)에서 배양하고 바닥에 부착시킨 후 아스피레이터로 미디아를 제거하고 6가지 농도의 로그 도스로 희석한 검체용액들을 암세포가 들어있는 well에 100㎕씩 3배수로 넣어주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시킨 후에 각 well의 미디아(media)를 제거하고 10% 트라이클로로아세틱 에시드(trichloroacetic acid)를 100㎕씩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세포들을 plate의 바닥 면에 고정시켰다. 세포고정이 끝난 후에 plate를 증류수로 5~6회 정도 세척하여 남아 있는 트라이클로로아세틱 에시드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실온에서 남은 물기가 없도록 건조시켰다. 완전히 건조된 plate는 well 당 100㎕의 1% 아세틱 에시드(acetic acid) 용액에 0.4% SRB(sulforhodamine B, Sigma)용액을 녹인 염색액을 가하여 30분간 세포를 염색한 후 다시 1% 아세틱 에시드로 5~6회 세척하여 세포에 결합하지 않은 과량의 SRB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염색된 cell plate들을 다시 실온에서 건조 후 well 당 100㎕의 10mM 트리스마 베이스(trisma base) 용액을 가하고 타이터 플레이트 쉐이커(titer plate shaker, KOMA Orbital Shaker KE011, KOMABIOTech)로 10분 동안 흔들어 염색액을 용출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Sunrise, TECAN)를 사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 및 솔잎 분획물인 헥산 분획,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n-부탄올 분획, 물 분획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의 자궁경부암 및 내성자궁경부암에 대한 세포독성
세포주 IC50(㎍/ ml)
에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n-부탄올 분획 물 분획 doxorubicin
MES-SA 22.69 11.04 11.73 112.47 257.39 >300.0 0.0002
MES-SA/DX5 23.14 16.28 12.92 186.94 >300.0 >300.0 0.4122
비* 1.02 1.47 1.10 1.66 - - 2061
* 비는 MES-SA/DX5의 수치 값을 MES-SA의 수치 값으로 나눈 것이다.
소분획 HP0, HP30, HP50, HP70, HP95, HPAM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의 자궁경부암 및 내성자궁경부암에 대한 세포독성
세포주 IC50(㎍/ ml)
HP0 HP30 HP50 HP70 HP95 HPAM doxorubicin
MES-SA >300.0 >300.0 188.63 56.67 13.44 15.83 0.0002
MES-SA/DX5 >300.0 >300.0 286.32 81.35 11.94 16.70 0.4122
비* - - 1.52 1.44 0.89 1.05 2061
* 비는 MES-SA/DX5의 수치 값을 MES-SA의 수치 값으로 나눈 것이다.
화합물 1,2,3,4,5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의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화합물 IC50(㎍/ ml)
HCT15 HCT15/CL02 비* MES-SA MES-SA/DX5 비**
1 >30.0 21.47 <0.72 >30.0 >30.0 -
2 >30.0 27.64 <0.92 >30.0 >30.0 -
3 >30.0 26.37 <0.88 >30.0 25.84 <0.86
4 >30.0 >30.0 - 26.81 27.44 1.02
5 >30.0 >30.0 - >30.0 >30.0 -
Doxorubicin 0.1073 2.1082 19.65 0.0012 0.0541 45.08
* 비는 HCT15/CL02의 수치 값을 HCT15의 수치 값으로 나눈 것이다.
** 비는 MES-SA/DX5의 수치 값을 MES-SA의 수치 값으로 나눈 것이다.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1,2,3,4,5는 HCT15(인간 결장 선암), HCT15/CL02(인간 내성 결장 선암), MES-SA(인간 자궁경부암) 및 MES-SA/DX5(인간 내성 자궁경부암)의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강력한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합물 1 --------------------------------------------------- 30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합물 5 --------------------------------------------------- 30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화합물 3 --------------------------------------------------- 3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합물 4 -------------------------------------------------- 30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화합물 2 -------------------------------------------------- 30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화합물 3 -------------------------------------------------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슘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화합물 1 ------------------------------------------------- 1000 ㎎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 내지 (3)의 엔트-랍드-8(17)-엔-15,18-디오익 에시드(ent-labd-8(17)-ene-15,18-dioic acid, 1), 13-옥소-15,16-디노르랍다-8(17),11이-디엔-19-오익 에시드(13-oxo-15,16-dinorlabda-8(17),11E-dien-19-oic acid, 2), 또는 13-하이드록시-8,11,13-포도칼파트리엔-18-오익 에시드(13-hydroxy-8,11,13-podocarpatrien-18-oic acid, 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내성자궁경부암, 결장선암 또는 내성결장선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112015019652227-pat00002

    <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 내지 (3)의 엔트-랍드-8(17)-엔-15,18-디오익 에시드(ent-labd-8(17)-ene-15,18-dioic acid, 1), 13-옥소-15,16-디노르랍다-8(17),11이-디엔-19-오익 에시드(13-oxo-15,16-dinorlabda-8(17),11E-dien-19-oic acid, 2), 또는 13-하이드록시-8,11,13-포도칼파트리엔-18-오익 에시드(13-hydroxy-8,11,13-podocarpatrien-18-oic acid, 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내성자궁경부암, 결장선암 또는 내성결장선암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Figure 112015019652227-pat00003

    <1>
  6. 삭제
KR1020130053205A 2012-05-31 2013-05-10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152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05A KR101528198B1 (ko) 2013-05-10 2013-05-10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EP13796984.6A EP2788311A4 (en) 2012-05-31 2013-05-29 COMPOSITION COMPRISING PIN NEEDLE EXTRACT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PAPILLOMAVIRUS VIRUS (HPV) AND USES THEREOF
US14/366,093 US20140363530A1 (en) 2012-05-31 2013-05-29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PCT/KR2013/004698 WO2013180462A1 (en) 2012-05-31 2013-05-29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05A KR101528198B1 (ko) 2013-05-10 2013-05-10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25A KR20140133725A (ko) 2014-11-20
KR101528198B1 true KR101528198B1 (ko) 2015-06-17

Family

ID=5245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05A KR101528198B1 (ko) 2012-05-31 2013-05-10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98B1 (ko)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0, 45, 811-816 *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0, 45, 811-816*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2011, 5(8),1382-1389 *
Phytochemistry, 2010, 71, 528-1533 *
Phytochemistry, 2010, 71, 528-15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25A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353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ine tree lea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by inhibiting hpv virus and the uses thereby
WO2012099247A1 (ja) 美白剤
WO200909665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isolated from the flower extract of daphne genkw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disease and the use thereof
KR101440855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화합물을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8198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1609231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1440853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로 기인한 자궁경부암, 또는 후두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2587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418164B1 (ko) 자외선을 처리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81730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억제 및 암질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JP5588408B2 (ja) 美白剤
KR101477966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궁경부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5017B1 (ko) 선녀배(Dudleya britton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선녀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KR20050047208A (ko) 생강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질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3214154B (zh) 三聚苄基异喹啉生物碱、其制法和药物组合物与用途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028076A (ko) 항암 활성을 갖는 유안후아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06831B1 (ko) 메로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101090196B1 (ko) 에르고스타-7,22-디엔-3베타,5알파,6알파-트리올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546859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육박나무에서 분리한 란시폴라이드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0434426C (zh) 盐肤木内酯a,其制备方法和其在制药中的应用
KR20090087684A (ko)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643058B1 (ko) 슈도사이펠라리아 코리아세아 추출물, 또는 피스키오스포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220115759A (ko) 클로렐라(Chlorella sp.)추출물 및 이의 페오피틴화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수득한 폴피린계 또는 카로테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