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32B1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32B1
KR101528132B1 KR1020140157901A KR20140157901A KR101528132B1 KR 101528132 B1 KR101528132 B1 KR 101528132B1 KR 1020140157901 A KR1020140157901 A KR 1020140157901A KR 20140157901 A KR20140157901 A KR 20140157901A KR 101528132 B1 KR101528132 B1 KR 10152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device
spectacle lens
len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주
Original Assignee
윤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철주 filed Critical 윤철주
Priority to KR102014015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32B1/ko
Priority to PCT/KR2015/009984 priority patent/WO20160765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glasse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렌즈 도수 측정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기준도형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렌즈를 통해 보이는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00);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배율을 산출하는 단계(S300); 상기 산출된 배율 및 미리 정해진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도수에 대한 1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상기 1차계산 된 도수가 포함된 범위에 적용되는 곡률을 파악하고, 상기 곡률 및 상기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도수에 대한 2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본인의 렌즈 도수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해 안경주문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안경 도수를 측정할 수 없어서 안경테만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력의 변화가 적은 성인들은 시력을 다시 측정할 필요 없이 기존 안경렌즈의 도수를 알면 안경을 맞출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기존에 착용하는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함으로써 렌즈가 구비된 안경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THE METHOD FOR MEASURING THE POWER OF GLASS LENS BY PERSONAL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기준도형을 이용하여 안경렌즈를 통과하지 않은 이미지와 안경렌즈를 통과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광학 기기를 렌즈 미터(Lens Meter)라 하고, 이러한 렌즈 미터로는 수동으로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수동식 렌즈 미터와 자동으로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자동식 렌즈 미터가 있다. 렌즈 미터와 관련하여, '광학계 특성을 이용한 렌즈 굴절력 측정 방법'에 대한 공개특허 제10-2012-0076800호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렌즈 굴절력 측정 장치인 렌즈 미터를 통하여 렌즈의 굴절력 측정 시 광원의 일부가 손실되어도 광학계 특성을 이용하여 렌즈의 굴절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측정 광학계에서의 광학계 특성을 이용한 렌즈 굴절력 측정방법이다. 상기 자동식 또는 수동식 렌즈미터는 가격이 비싸서 일반인들이 보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렌즈미터는 사용방법이 어려워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 수동식 렌즈 미터의 경우, 시각적 관측 장치를 이용하여 광학계로 측정되어 표시되는 눈금을 조절하며 그 특성을 읽어내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동식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렌즈 미터를 능숙하게 사용하기까지 일정 기간의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이 착용하는 안경의 렌즈도수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에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렌즈미터를 구비한 안경점이나 안과에 방문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안경점 또는 안과에 방문하여야만 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문제점에 의해, 안경의 구입도 안경점에 방문하여서만 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안경점이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 사는 사람은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과 안경의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다.
사용자가 안과나 안경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유한 카메라를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기준도형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렌즈를 통해 보이는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배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배율 및 미리 정해진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도수에 대한 1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1차계산 된 도수가 포함된 범위에 적용되는 곡률을 파악하고, 상기 곡률 및 상기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도수에 대한 2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계산 및 2차계산에 상기 정점간거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점간거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로부터 안경렌즈까지의 거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점간거리 측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측정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원하는 정점간거리 값을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정점간거리에서 상기 길이에 상응하는 가이드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안경렌즈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안경렌즈와 이격되어 배치된 기준길이의 기준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 내의 상기 기준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기준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 실측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 내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실측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도형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배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에 포함된 동일한 위치의 상기 선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배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 길이의 비율을 평균하여, 평균값을 상기 배율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도형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는 상기 가이드라인과 상기 기준도형의 외곽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도형의 외곽선과 상기 가이드라인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이미지 또는 상기 제2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을 통해 값비싼 렌즈미터를 구입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안과나 안경점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디바이스로 기준도형을 포함한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촬상하는 것만으로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쉽고 간편하고 사용자가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촬상할 기준도형만 가지고 있으면 어디에서나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본인의 렌즈 도수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해 안경주문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안경 도수를 측정할 수 없어서 안경테만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력의 변화가 적은 성인들은 시력을 다시 측정할 필요 없이 기존 안경렌즈의 도수를 알면 안경을 맞출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기존에 착용하는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함으로써 렌즈가 구비된 안경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 안경렌즈 및 기준도형이 순서대로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도형의 일 형태인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선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획득한 제1이미지의 예시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기준체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의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의 도수에 따른 최적 곡률의 예시표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 정점간거리 또는 곡률의 변화에 따라 안경렌즈의 도수를 산출한 예시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안경렌즈(300)의 도수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 안경렌즈(300) 및 기준도형(200)이 순서대로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도형(200)의 일 형태인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선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획득한 제1이미지의 예시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300)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기준체(500)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의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따른 최적 곡률의 예시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 정점간거리(400) 또는 곡률의 변화에 따라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산출한 예시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렌즈 도수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안경렌즈(300)의 도수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렌즈 도수 측정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도형(200)이 촬상된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안경렌즈(300)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기준도형(200)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렌즈(300)를 통해 보이는 상기 기준도형(200)이 촬상된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00);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배율을 산출하는 단계(S300); 상기 산출된 배율 및 미리 정해진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대한 1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상기 1차계산 된 도수가 포함된 범위에 적용되는 곡률을 파악하고, 상기 곡률 및 상기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대한 2차계산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안경렌즈(300)의 배율계산수식을 이용한다. 안경렌즈(300)의 배율계산수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109288221-pat00001
위 수식에서 SM은 배율(Percentage Spectacle Magnification), Df는 상기 안경렌즈(300)의 전면곡률(Front base curve, 이하 곡률이라고 한다), D는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The power of glass lens), h는 정점간거리(400)(vertex distance (미터 단위)), t 는 상기 안경렌즈(300)의 두께 (thickness (미터 단위)), n은 상기 안경렌즈(300)의 굴절률 (index of material)에 해당한다. 상기 곡률 및 상기 도수 값은 디옵터(Diopter)에 해당한다. 상기 디옵터는 렌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말로서, 초점 거리(미터 단위)의 역수이다.
또한, 상기 배율은, 렌즈가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한 이미지(retinal image of a remote object in the uncorrected eye)를 제1이미지라고 하고, 렌즈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획득한 이미지(retinal image size of a remote object in the corrected eye)를 제2이미지라고 할 때,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크기 비율(배율)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정점간거리(400)는, 안경렌즈(300)의 후정점에서 각막정점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안경렌즈(300)의 후면까지 거리로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경 렌즈 도수를 계산하여야 하므로, 상기 안경렌즈(300)의 배율계산수식을 D(도수)에 대해서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수식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109288221-pat00002
상기 수식2에서 배율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독립변수는 상기 배율, 상기 굴절률, 상기 두께, 상기 곡률 및 상기 정점간거리(400)이다. 상기 안경렌즈(300)는 표준규격에 따라서 제작되므로, 상기 표준규격의 허용도수편차 범위 내에 도수 계산값이 변하는 변수는 상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안경렌즈(300)가 ISO8990 표준으로 정의한 허용도수편차 0.12 Diopter 범위 내에서 생산되었다고 가정하면, 허용도수편차인 0.12 Diopter 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도수 값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요소들은 상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굴절률 및 상기 두께는 0.12 Diopter 범위 내에서 도수를 변화시키므로, 상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렌즈(300) 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경렌즈(300)의 배율, 곡률 및 정점간거리(400)를 측정하여야 한다.
먼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도형(200)이 촬상된 제1이미지를 획득한다(S100).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되어 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말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기준도형(200)은 상기 안경렌즈(300)의 배율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말한다. 상기 제1이미지는 상기 안경렌즈(300)가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준도형(200)을 획득한 이미지이다. 즉,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준도형(200)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에 상기 도수를 측정할 안경을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준도형(200)을 포함하는 전방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안경렌즈(300)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기준도형(200)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렌즈(300)를 통해 보이는 상기 기준도형(200)이 촬상된 제2이미지를 획득한다(S200).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안경렌즈(300)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기준도형(20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도형(200)을 포함하여 획득한 이미지이다. 즉,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준도형(200)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에 상기 도수를 측정할 안경을 배치하여 기준도형(200)을 포함하는 전방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기준도형(200)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서 획득되어야 한다.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할 때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한 후에 바로 이어서 상기 안경렌즈(300)를 상기 기준도형(200)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에 배치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기준도형(200)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도형(200) 전체가 카메라 내에 포함되는 거리가 적절하다. 또한, 상기 안경렌즈(300)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안경렌즈(300) 내에 상기 기준도형(200)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는 위치가 적절하다.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배율을 산출한다(S300).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기준도형(200) 내 동일한 부분을 상호 비교하여 배율을 계산한다. 상기 배율은,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비율이므로, 상기 제2이미지에서 측정된 크기를 상기 제1이미지에서 측정된 크기로 나누어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배율을 산출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 상기 기준도형(200)이, 도 3에서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인 경우, 상기 배율을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에 포함된 동일한 위치의 상기 선 길이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미지에 해당하는 도4a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하나의 선길이와 상기 제2이미지에 해당하는 도 4b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동일한 위치의 선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배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배율을 산출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 상기 다이어그램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상기 선 길이의 비율을 평균 계산하여, 평균값을 상기 배율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다이어그램의 특정 선 길이만을 비교하여 상기 배율을 측정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기울어짐 등의 요인에 의해서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선길이 비율을 평균하여 상기 배율로 적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배율 및 미리 정해진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대한 1차계산을 수행한다(S400). 상기 1차계산은 상기 안경렌즈(300)의 곡률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상기 곡률을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업계에서 예시한 표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따라 적용된 최적의 곡률을 파악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상기 수식2에 따른 도수 계산 결과의 예시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배율 및 상기 정점간거리(400)에 비해서 상기 곡률은 상기 도수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므로, 소정의 곡률을 계산식에 적용하여도 상기 도 5의 예시표에서 도수가 포함되는 범위는 달라지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소정의 곡률 및 상기 산출된 배율을 적용하여 도수계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곡률로 기본값 4.0 디옵터를 적용하여, 대략적인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1차계산 된 도수가 포함된 범위에 적용되는 곡률을 파악하고, 상기 곡률 및 상기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에 대한 2차계산을 수행한다 (S500). 먼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1차계산 된 도수를 도 5에서 제시된 예시표에 적용하여 최적의 곡률을 파악한다. 그 후, 상기 최적의 곡률과 상기 산출된 배율을 상기 수식2에 적용하여 도수 계산(2차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점간거리(400)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계산 및 2차계산에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점간거리(4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로부터 상기 안경렌즈(300)까지의 거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식2의 독립변수에 정점간거리(40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점간거리(400)를 획득하여 상기 1차계산 및 2차계산 시에 상기 수식2에 대입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점간거리(400) 측정으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구비한 다양한 센서에 따라 다양한 비접촉 거리 측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센서에 따라서 적외선 방식, 초음파방식, 및 영상처리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방식에는 반사광측정방식과 삼각측정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반사광측정방식은 900nm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LED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 양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반사량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사량이 많으면 센서와 물체와의 거리는 가까운 것이며, 반대로 반사량이 적으면 거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방식은 초음파 송신기에서 초음파를 발사한 후, 수신기에 반사된 초음파가 들어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초당 340m 진행하는 공식에 넣어 센서와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식은 카메라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을 통해 영상 내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영상에서 물리적인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렌즈와 센서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intrinsic parameters)를 파악해야한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를 파악하는 과정을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mera calibration)이라고 하며, 3차원 또는 2차원의 물체를 이용해서 여러 장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플러레이터 또는 거리센서를 구비한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측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점간거리(400)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경렌즈(30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원하는 정점간거리(400) 값을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정점간거리(400)에서 상기 길이에 상응하는 가이드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경렌즈(300)(또는 안경테)의 실측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정점간거리(400)에서 이미지 획득 시 나타나는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라인으로 표시하여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맞추어주는 방식이다.
먼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경렌즈(300)(또는 안경)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측정한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자입력부 조작으로 상기 측정된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받는 음성입력모듈과 사용자의 음성의 의미를 파악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측정한 상기 길이를 음성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원하는 정점간거리(400) 값을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상기 안경렌즈(300)를 배치하여 상기 제2이미지를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한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의 특성(내부 파라미터)을 바탕으로, 상기 입력된 정점간거리(400)에서 상기 실측길이가 이미지 상에 나타나는 길이를 산출한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산출된 길이에 상응하는 가이드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점간거리(400)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안경렌즈(300)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안경렌즈(300)와 이격되어 배치된 기준길이의 기준체(500)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제2이미지 내의 상기 기준체(500)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기준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400)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체(500)는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있는 물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경우, 규격이 정해져 있어 모든 카드가 가로 85mm, 세로54mm에 해당하므로, 상기 카드를 기준체(500)로 선택하면 상기 물체의 실측을 하지 않아도 된다.
먼저, 상기 기준체(500)를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안경렌즈(300)와 동일한 거리에 상기 안경렌즈(300)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2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이미지 내의 상기 기준체(500)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의 특성(내부 파라미터)을 바탕으로,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기준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400)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이 정해져 있는 기준체(500)의 크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해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체(500) 선택을 통해, 상기 기준체(500)를 이용하여 상기 정점간거리(400)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점간거리(400)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경렌즈(300)의 가로 또는 세로 실측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 내 상기 안경렌즈(30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실측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400)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경렌즈(300)의 가로 또는 세로 실측길이를 입력받는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가 측정한 길이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자입력부 조작으로 상기 측정된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2이미지 내 상기 안경렌즈(30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측정한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의 특성(내부 파라미터)을 바탕으로,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실측길이를 비교하여 정점간거리(400)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경렌즈(300)(또는 안경)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것만으로 다른 기준체(500)가 없더라도 상기 정점간거리(400)를 계산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도 실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실제 스케일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길이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므로, 다른 부수적인 장치나 물건없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만으로 길이 측정을 수행할 수 있어 간편하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무선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도형(200)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도형(200)을 인쇄물의 형태로 이용하는 대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른 디바이스에 표시하여 상기 안경렌즈(300) 도수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동일한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수신한 상기 기준도형(2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와이파이망에 연결하고, 상기 가정 내의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바이스도 동일한 와이파이 망에 연결한다.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안경렌즈(300)도수를 측정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쇄물 형태의 기준도형(200) 이용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된 기준도형(200) 이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된 기준도형(200) 이용을 선택하는 경우, 동일한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제시하여 주고, 사용자의 디바이스 선택을 받아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도형(2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준도형(200)을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는 화면상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기준도형(200)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 측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동일한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한 외부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기준도형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프린터를 보유하지 않거나 인쇄된 기준도형(200)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를 가진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안경렌즈(300) 도수 측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기준도형(200)과 닮은 도형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이미지 획득 시에 이미지 내 동일한 위치에 상기 기준도형(200)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도형(200)이, 도 3에서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인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은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이어그램과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선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는 상기 가이드라인과 상기 기준도형(200)의 선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이미지 내의 상기 기준도형(200)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배율 계산 시에 길이 비를 계산하여야 하는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 내의 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준도형(200)의 외곽선과 상기 가이드라인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이미지 또는 상기 제2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기준도형(200)과 상기 가이드라인이 일치하거나 동일선상에 있음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제1 또는 제2이미지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들고 제1 또는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손 흔들림 등으로 상기 가이드라인과 상기 기준도형(200)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간편하게 상기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을 통해 값비싼 렌즈미터를 구입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안과나 안경점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인이 예전에 착용하던 안경이 현재 안경의 도수와 동일한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예전 안경과 현재 안경의 도수를 측정하여 비교해보아 착용하기에 적절한 지 판단해볼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기준도형(200)을 포함한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촬상하는 것만으로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쉽고 간편하고 사용자가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촬상할 기준도형(200)만 가지고 있으면 어디에서나 안경렌즈(300)의 도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본인의 렌즈 도수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해 안경주문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안경 도수를 측정할 수 없어서 안경테만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력의 변화가 적은 성인들은 시력을 다시 측정할 필요 없이 기존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알면 안경을 맞출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기존에 착용하는 안경렌즈(300)의 도수를 측정함으로써 렌즈가 구비된 안경을 온라인으로 유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모바일 디바이스
200 : 기준도형
300 : 안경렌즈
400 : 정점간거리
500 : 기준체

Claims (11)

  1. 모바일 디바이스와 기준도형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기준도형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기준도형이 촬상된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내 상기 기준도형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2이미지의 배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배율 및 미리 정해진 제1곡률을 렌즈공식에 적용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제1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도수가 포함된 도수범위에 대응하는 제2곡률을 파악하고, 상기 제2곡률 및 상기 배율을 상기 렌즈공식에 적용하여 제2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안경렌즈 내에 배치된 상기 기준도형을 촬상한 이미지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점간거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로부터 안경렌즈까지의 거리이며,
    상기 정점간거리 획득단계는,
    상기 제1도수 산출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제1도수 산출단계 및 상기 제2도수 산출단계는,
    획득된 상기 정점간거리를 상기 렌즈공식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간거리 획득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측정방식으로 상기 정점간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간거리 획득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특정한 상기 정점간거리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정점간거리에서 상기 가로 또는 세로 길이에 상응하는 가이드라인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경렌즈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안경렌즈와 이격되어 배치된, 기준길이를 갖는 기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점간거리 획득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 상에 나타나는 상기 기준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기준길이 간의 비율을 바탕으로 상기 정점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 실측길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 상에 나타나는 상기 안경렌즈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와 상기 실측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정점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도형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방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율 산출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선의 길이를 비교하여, 길이비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산출 단계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상기 선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길이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길이비율을 평균 계산하여 상기 배율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디바이스로 상기 기준도형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가이드라인과 상기 기준도형의 외곽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촬상된 이미지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도형의 외곽선과 상기 가이드라인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이미지 또는 상기 제2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KR1020140157901A 2014-11-13 2014-11-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KR10152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01A KR101528132B1 (ko) 2014-11-13 2014-11-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PCT/KR2015/009984 WO2016076530A1 (ko) 2014-11-13 2015-09-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01A KR101528132B1 (ko) 2014-11-13 2014-11-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132B1 true KR101528132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901A KR101528132B1 (ko) 2014-11-13 2014-11-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8132B1 (ko)
WO (1) WO201607653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344A (ko) 2015-08-25 2017-03-07 전자부품연구원 비행 가이드 정보 표시 가능한 스마트 안경
WO2017125902A1 (en) 2016-01-23 2017-07-27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KR20180101885A (ko) 2017-03-06 2018-09-14 김선영 안경 렌즈의 수명 예측 시스템
KR20190045617A (ko) * 2017-10-24 2019-05-03 (주)에스엠에스 실시간으로 거리값과 렌즈 초점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거리측정 방법
US10670494B2 (en) 2015-05-10 2020-06-02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684191B2 (en) 2015-05-10 2020-06-16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685B2 (en) 2016-05-18 2018-07-31 Jand, Inc. Fixtureless lensmete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0557773B2 (en) 2016-05-18 2020-02-11 Jand, Inc. Fixtureless lensmeter system
US10413172B2 (en) 2017-12-11 2019-09-17 1-800 Contacts, Inc. Digital visual acuity eye examination for remote physician assessment
EP3730919A1 (de) 2019-04-23 2020-10-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essen der lokalen brechkraft oder der brechkraftverteilung eines brillenglases
EP3730918A1 (de) * 2019-04-23 2020-10-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essen der lokalen brechkraft und/oder der brechkraftverteilung eines brillenglases
US11488239B2 (en) 2019-08-26 2022-11-01 Warby Parker Inc. Virtual fitting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acles
US11676347B2 (en) 2020-04-15 2023-06-13 Warby Parker Inc. Virtual try-on systems for spectacles using reference fram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986A (ja) * 2002-01-21 2003-07-30 Nikon-Essilor Co Ltd 眼鏡レンズの度数の決定方法、眼鏡レンズ及び計算機プログラム
JP3497191B2 (ja) * 1992-12-02 2004-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倍率演算方法
JP2010207279A (ja) * 2009-03-06 2010-09-24 Nidek Co Ltd 眼内レンズ度数決定方法及び眼内レンズ度数決定装置
KR20130083117A (ko) * 2012-01-12 2013-07-22 (주)미토스 곡률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형상 및 굴절률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222A (ja) * 2000-12-28 2002-07-19 Hoya Corp 眼鏡レンズ測定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191B2 (ja) * 1992-12-02 2004-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倍率演算方法
JP2003214986A (ja) * 2002-01-21 2003-07-30 Nikon-Essilor Co Ltd 眼鏡レンズの度数の決定方法、眼鏡レンズ及び計算機プログラム
JP2010207279A (ja) * 2009-03-06 2010-09-24 Nidek Co Ltd 眼内レンズ度数決定方法及び眼内レンズ度数決定装置
KR20130083117A (ko) * 2012-01-12 2013-07-22 (주)미토스 곡률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형상 및 굴절률 측정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4336B2 (en) 2015-05-10 2021-07-06 6OVER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876923B2 (en) 2015-05-10 2020-12-29 6 Over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684191B2 (en) 2015-05-10 2020-06-16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876921B2 (en) 2015-05-10 2020-12-29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712233B2 (en) 2015-05-10 2020-07-14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US10670494B2 (en) 2015-05-10 2020-06-02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KR20170024344A (ko) 2015-08-25 2017-03-07 전자부품연구원 비행 가이드 정보 표시 가능한 스마트 안경
EP3405767A4 (en) * 2016-01-23 2019-10-16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GLASS
AU2017210251B2 (en) * 2016-01-23 2022-05-26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EP4105629A1 (en) * 2016-01-23 2022-12-21 6 Over 6 Vision Lt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WO2017125902A1 (en) 2016-01-23 2017-07-27 6 Over 6 Vision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one or more optical parameters of a lens
JP2019511699A (ja) * 2016-01-23 2019-04-25 6 オーバー 6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レンズの1つ以上の光学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003041B2 (ja) 2016-01-23 2022-01-20 6 オーバー 6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レンズの1つ以上の光学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2058457A (ja) * 2016-01-23 2022-04-12 6 オーバー 6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レンズの1つ以上の光学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101885A (ko) 2017-03-06 2018-09-14 김선영 안경 렌즈의 수명 예측 시스템
KR102028107B1 (ko) * 2017-10-24 2019-10-02 (주)에스엠에스 실시간으로 거리값과 렌즈 초점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거리측정 방법
KR20190045617A (ko) * 2017-10-24 2019-05-03 (주)에스엠에스 실시간으로 거리값과 렌즈 초점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거리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6530A1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13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도수 측정방법
US1112601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of an optical equipment
US8690326B2 (en) Method and system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KR102190812B1 (ko) 시각적 보상 장치를 맞춤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 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EP3918974B1 (en) Computerized refraction and astigmatism determination
EP33717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20070118428A1 (en) Spectacle lens supply system, spectacle wearing parameter measurement apparatus, spectacle wearing test system,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US10222634B2 (en) Optical measurement aid device
KR102050647B1 (ko) 안경 장용 파라미터 측정 시스템, 측정용 프로그램, 및 그 측정 방법, 그리고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AU2015218530A1 (en) Multiple-referenc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eyeglasses
CN111512217B (zh) 用于确定镜片的光学参数的方法
CN108369448A (zh) 用于确定眼科参数的方法
CN112748587B (zh) 眼镜镜片的设计方法、眼镜镜片的制造方法及眼镜镜片
KR20190024861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안경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AU2010249222A1 (en) Configuration of lenses
CN109804301B (zh) 用于确定光学设备的参数的方法
KR20100110087A (ko) 렌즈처방을 위한 매개변수 측정장치
JP2006105868A (ja) レンズメータ
US10591752B1 (en) Method for adjusting prescription eyeglasses at a remote location based on measured data of a user's of the eyeglasses
KR101937327B1 (ko) 증강된 안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59330A (ko) Vr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안경 주문 장치 및 방법
KR100359892B1 (ko) 온라인 안경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67038A (ja) 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装置、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制御方法
CN114730101A (zh) 使用面部特征的3d扫描来调整库存眼镜框架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