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71B1 -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71B1
KR101527171B1 KR1020140077696A KR20140077696A KR101527171B1 KR 101527171 B1 KR101527171 B1 KR 101527171B1 KR 1020140077696 A KR1020140077696 A KR 1020140077696A KR 20140077696 A KR20140077696 A KR 20140077696A KR 101527171 B1 KR101527171 B1 KR 10152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flow rate
cylinder
check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Original Assignee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사)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사)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14007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는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유입구 측의 본체에 결속된 실린더와 실린더의 하단 측벽에 형성된 통수구와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폐쇄부위에 결속하는 막대톱니와 상기 막대톱니와 맞물려 상기 막대톱니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톱니와 상기 회전톱니의 중심에 결속되며 본체 외부로 말단이 노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반하여 회전하는 지시침 및 상기 지시침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눈금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통해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개폐밸브들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계적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며 특히, 내수격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개폐밸브 중 하나를 배제함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계측형 체크밸브{A check valve of water-flow measuring type}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밸브(check valve)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단방향 유통 밸브로 주로 급배수관에 사용된다.
옥내소화전시스템 또는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소화펌프 토출 측 배관에는 소방방재청장이 고시한 국가화재안전기준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술기준(NFSC 102) 및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술기준(NFSC 103)에서는 각각 소화펌프를 설치하는 경우 당해 소화펌프의 토출 측 배관의 체크밸브와 개폐밸브 사이에서 분기된 배관에 당해 펌프 운전시의 토출량을 변화시키면서 그 때의 토출량을 계측하는 유량계를 설치하도록 정하고 있고, 통상의 체크밸브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어 체크밸브를 통해 흐르고 있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도 1 유량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종래 소화펌프를 포함하는 수계소화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소화펌프(P)를 포함하는 수계소화시스템의 경우, 유량측정 내지 소화펌프의 토출량 검사를 위해 체크밸브(CV)의 후단에 유량측정장치(D)와 함께 유량측정장치(D)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개폐밸브(V1, V2)를 설치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전단의 개폐밸브(V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성능시험 시에는 후단의 개폐밸브(V2)를 폐쇄한 다음 전단의 개폐밸브(V1)를 완전개방하고, 그 시점부터 소화펌프(P)를 운전시킴과 동시에 후단의 개폐밸브(V2)를 서서히 개방함에 따라 변하는 소화펌프(P)의 토출유량을 유량측정장치(D)에서 측정한다.
만약 후단의 개폐밸브(V2)를 배제하고 전단의 개폐밸브(V1)만을 서서히 개방하면서 유량을 측정하는 경우 전단 개폐밸브(V1)의 유수통 면적이 매우 작은 상태에서 시작되므로 그 상태에서 전단의 개폐밸브(V1)를 통과하는 유수는 빠른 유속으로 인해 통과된 물은 난류성이 너무 크게 되어 유량측정장치(D)에서 보다 정확한 유량의 측정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유량측정장치(D)의 전단 및 후단에 개폐밸브(V1, V2)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의 개폐밸브(V1)를 완전개방 후 후단의 개폐밸브(V2)를 서서히 개방함으로써 유량측정장치(D)에서는 난류성이 상당히 작은 유수 상태에서 유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종래 수계소화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급배수시스템에서 유량측정 및 토출량 측정을 위해서는 유량측정장치(D)와 개폐밸브(V1, V2)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유량측정장치(D)와 개폐밸브(V1, V2)의 추가로 인해 설치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유량을 자체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20-2005-0037178호 (2005년 12월 30일자 출원), 고안의 명칭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란 고안의 명칭으로 출원된 선행기술문헌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알람 기능과 과압 방지 기능을 가질 뿐 체크밸브를 유통하고 있는 유수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기재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급배수시스템의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측정장치의 후단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대체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계적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설치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과 상통하는 구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되고 하단이 상기 유입구 측의 본체에 결속된 실린더; 상기 유입구 측의 물이 상기 유출구 측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하단 측벽에 형성된 통수구; 상단 또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기 실린더의 측벽을 따라 상하이동 하여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는 피스톤; 상기 통수구의 높이이상이 되는 길이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과 동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속하는 막대톱니; 상기 막대톱니와 맞물려 상기 막대톱니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톱니; 상기 회전톱니의 중심에 결속되어 회전톱니와 동반하여 회전하고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에 말단이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반하여 회전하는 지시침; 및 상기 지시침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눈금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피스톤의 외벽과 실린더의 내벽이 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이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피스톤의 내측으로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피스톤의 내벽과 실린더의 외벽이 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통수구를 폐쇄한 위치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상호 간에 물의 누설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스톤의 하단과 접하는 본체의 대향면 사이에 내재되는 밀봉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한 윤활성을 제공하고 본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내재되어 측벽 간의 충돌을 완화하는 완충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통해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측정장치 후단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적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내수격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이에 필요한 개폐밸브를 대체함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유량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종래 소화펌프를 포함하는 수계소화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피스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회전톱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유량계측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각종 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포함한 수계소화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1)는 본체(10), 실린더(20), 통수구(30), 피스톤(40), 막대톱니(50), 회전톱니(60), 회전축(70), 지시침(80) 및 유량표시눈금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과 상통하는 구조의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0)와 피스톤(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이 가능하나 녹에 강한 다양한 금속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2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되고 하단이 상기 유입구(11) 측의 본체(10)에 결속된다.
즉, 도 3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서 유입구(11)와 결속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2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유입구(11) 측의 물이 상기 유출구(12) 측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20)의 하단 측벽(22)에 다수의 통수구(30)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20) 역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로 구현이 가능하나 녹에 강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수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이 될 수 있으나 상기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스톤(40)의 이동으로 상기 통수구(30)가 개방될 시 개방되는 면적을 보다 용이하게 산출하고 마찰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40)은 상단 또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기 실린더(20)의 측벽을 따라 유입구(11)와 유출구(12)의 압력차에 의해 상하이동 하여 상기 실린더(20)에 형성된 통수구(3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피스톤(40)은 도 4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피스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된 구조를 갖거나,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구조를 갖거나,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이 모두 폐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형태의 피스톤(40)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0)이 실린더(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피스톤(40)이 실린더(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피스톤(40)의 외벽과 실린더(40)의 내벽이 서로 대향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통수구(30)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피스톤(4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5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40)은 캡 형상으로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피스톤(40)의 내측으로 상기 실린더(20)가 삽입되어 피스톤(40)의 내벽과 실린더(20)의 외벽이 서로 대향하면서 피스톤(40)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피스톤(40)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피스톤(40)과 달리 실린더(20)의 외측에서 통수구(30)를 개폐한다.
상기 막대톱니(50)는 상기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0)의 통수구(30)가 모두 개방될 수 있도록 통수구(30)의 높이 이상이 되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0)과 동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40)의 폐쇄부위에 결속한다.
따라서, 막대톱니(50)는 막대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하여 피스톤(4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톱니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톱니(6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측면에 상기 막대톱니(50)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막대톱니(50)와 맞물려 상기 막대톱니(5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도 6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회전톱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톱니(50)의 이동거리, 즉 피스톤(40)이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40)이 도 6(b)와 같이 상승하면, 막대톱니(50)에 맞물려 있는 회전톱니(60)가 막대톱니(50)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70)은 상기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톱니(60)와 지시침(70)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회전톱니(60)의 중심에 결속되어 회전톱니(60)와 동반하여 회전하며,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말단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지시침(80)은 상기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70)의 말단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축(70)과 동반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지시침(80)은 상기 회전톱니(60)가 막대톱니(5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한 만큼 회전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량표시눈금판(90)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시침(8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수구(30)를 통과하는 유량을 표시한다.
상기 유량표시눈금판(90)은 토출되는 유량을 수치로 표시하거나, 통수구(30)의 개방비를 퍼센트(%)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유량계측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유량표시눈금판(90)의 지시침(80)은 영점 상태가 되고, 상기 도 7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 측에 비해 유출수의 발생으로 유출구(12) 측의 압력이 떨어지면, 실린더(20)의 통수구(30)를 막고 있던 피스톤(40)이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면서 통수구(30)를 점차적으로 개방시키기 시작하고, 이때 상기 피스톤(40)에 결속된 막대톱니(50)가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톱니(60)를 회전시키고, 회전톱니(60)에 회전축(70)으로 연결된 지시침(80)이 회전을 하며, 회전된 양에 따른 토출량을 표시한 유량표시눈금판(90)을 통해 유량 계측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도 7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0)이 회전톱니(60)에 의해 더 이상 이동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실린더(20)의 통수구(30)를 완전 개방하는 경우 지시침(80)은 최대 토출량을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에 부가되는 씰(seal)을 설명한다.
도 8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의 각종 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는 완충씰(100), 밀봉씰(200) 및 밀폐씰(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씰(10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0)와 피스톤(40)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내재되어 측벽 간의 충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봉씰(20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0)이 통수구(30)를 폐쇄한 위치에서 유입구(11)와 유출구(12) 상호 간에 물의 누설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스톤(40)의 하단과 접하는 본체(10)의 대향면 사이에 내재되어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밀봉씰(200)은 유입구(11) 측의 본체(10)와 면접하는 피스톤(20) 부위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씰(30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관통하는 회전축(70)과 상기 본체(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70)의 회전에 대한 윤활성을 제공하고 본체(10)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바와 같은 완충씰(100), 밀봉씰(200) 및 밀폐씰(300)은 역할 및 기능에 맞게 다양한 씰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는 유량계측이 가능함에 따라 도 9 본 발명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포함한 수계소화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1)를 설치함으로써 소화펌프(P)의 토출량 내지 토출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어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량 계측을 위한 유량측정장치(D)와 개폐밸브(V2)의 설치를 요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10 : 본체
11 : 유입구
12 : 유출구
20 : 실린더
22 : 하단 측벽
30 : 통수구
40 : 피스톤
50 : 막대톱니
60 : 회전톱니
70 : 회전축
80 : 지시침
90 : 유량표시눈금판
100 : 완충씰
200 : 밀봉씰
300 : 밀폐씰

Claims (6)

  1. 체크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과 상통하는 구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되고 하단이 상기 유입구 측의 본체에 결속된 실린더;
    상기 유입구 측의 물이 상기 유출구 측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하단 측벽에 형성된 통수구;
    상단 또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기 실린더의 측벽을 따라 상하이동 하여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는 피스톤;
    상기 통수구의 높이 이상이 되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과 동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속하는 막대톱니;
    상기 막대톱니와 맞물려 상기 막대톱니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톱니;
    상기 회전톱니의 중심에 결속되어 회전톱니와 동반하여 회전하고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에 말단이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속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반하여 회전하는 지시침; 및
    상기 지시침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통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눈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피스톤의 외벽과 실린더의 내벽이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피스톤의 내측으로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피스톤의 내벽과 실린더의 외벽이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내재되어 측벽 간의 충돌을 완화하는 완충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통수구를 폐쇄한 위치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상호 간에 물의 누설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스톤의 하단과 접하는 본체의 대향면 사이에 내재되는 밀봉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한 윤활성을 제공하고 본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KR1020140077696A 2014-06-24 2014-06-24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KR10152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96A KR101527171B1 (ko) 2014-06-24 2014-06-24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96A KR101527171B1 (ko) 2014-06-24 2014-06-24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171B1 true KR101527171B1 (ko) 2015-06-09

Family

ID=5350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96A KR101527171B1 (ko) 2014-06-24 2014-06-24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028A (zh) * 2016-06-17 2017-12-26 奚勇 一种无回流旋转式流量计
KR102150463B1 (ko) 2020-02-03 2020-09-01 신동민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2129U (ko) * 1975-11-26 1977-05-30
JPS5563459U (ko) * 1978-10-24 1980-04-30
JPS55102466U (ko) * 1979-01-11 1980-07-17
JPH0993927A (ja) * 1995-09-19 1997-04-04 Origin Electric Co Ltd 直流高電圧発生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多出力直流高電圧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2129U (ko) * 1975-11-26 1977-05-30
JPS5563459U (ko) * 1978-10-24 1980-04-30
JPS55102466U (ko) * 1979-01-11 1980-07-17
JPH0993927A (ja) * 1995-09-19 1997-04-04 Origin Electric Co Ltd 直流高電圧発生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多出力直流高電圧発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028A (zh) * 2016-06-17 2017-12-26 奚勇 一种无回流旋转式流量计
KR102150463B1 (ko) 2020-02-03 2020-09-01 신동민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171B1 (ko)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AU2017201273A1 (en) Flow metering valve
WO2016164442A1 (en) Integrity monitoring of 4-way diverter valve
Bergant et al. Dynamic behaviour of air valves in a large-scale pipeline apparatus
WO2005116789A1 (en) Bi-directional dual chamber orifice fitting
CN105865550A (zh) 一种可在线校准的气体喷速管流量测量装置
RU2558008C2 (ru) Двойная изоляция для двухкамерного измерителя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RU2606541C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со встроенным блоком расходомера
AU2015286219A1 (en) Measurement of flow through pipelines
US3738153A (en) Valveless prover
CN105864446B (zh) 阀门
CN207717158U (zh) 可双向使用的孔板式流量计
CN207231557U (zh) 一种双向流插入式ab对称流量计
DE102019001466A1 (de) Dosiermesssensor
CN106370243A (zh) 孔口装置及将孔板从其内移除或者安装在其内的方法
KR101200040B1 (ko) 센서 일체형 수문
KR20160142055A (ko) 캡구동형 역류방지밸브
CN208595352U (zh) 泄压堵头
CN205639673U (zh) 一种密封性良好的新型消防闸阀
KR102608664B1 (ko)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RU173352U1 (ru) Четырехходовой кран
KR100817310B1 (ko) 바이패스 유량계
KR102268472B1 (ko) 체크 밸브 겸용 유량계
CN205898214U (zh) 一种可在线校准的气体喷速管流量测量装置
KR101385112B1 (ko) 컨트롤타입 유압엑츄에이터용 테스트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