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64B1 -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64B1
KR102608664B1 KR1020210109992A KR20210109992A KR102608664B1 KR 102608664 B1 KR102608664 B1 KR 102608664B1 KR 1020210109992 A KR1020210109992 A KR 1020210109992A KR 20210109992 A KR20210109992 A KR 20210109992A KR 102608664 B1 KR102608664 B1 KR 102608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eakage
lifting member
lifting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800A (ko
Inventor
이종민
기성도
Original Assignee
이종민
기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기성도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10202101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6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유입통로와, 타측의 배출통로를 구비한 연결관; 이 연결관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통하게 하거나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비한 개폐수단;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연결하여 설치된 압력관, 이 압력관에 수용된 유체, 압력관의 유입통로측 부위에 수용된 제1승강부재, 압력관의 배출통로측 부위에 수용된 제2승강부재, 연결관의 개방 또는 개폐시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제1,2감지센서로부터 개방 또는 개폐시 제1,2승강부재의 높이와 페쇄동안 제1,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누설 여부를 누설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누설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누설되는 경우와 안 되는 경우의 유입통로 및 배출통로의 압력차에 의한 제1,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누설 여부를 판단하고, 누설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Control valve integrated with leakage detecting means}
본 발명은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센서를 밸브에 일체형으로 통합하여 유체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및 화학 플랜트 등 산업설비에는 수많은 제어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밸브에서 누설이 발생하면, 막대한 에너지가 손실되고 설비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유독 물질 및 방사성 물질이 방출되는 등 산업설비 운전에 엄청난 손실과 사고가 초래된다.
이러한 제어밸브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유체의 누설을 진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밸브에 직접 설치하여 유량 레벨감소, 압력계를 이용한 입출구 압력차, 온도 및 습도 측정법, 가압 및 감압시험, 고감도의 음향센서를 이용한 음향방출 비파괴검사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누설 진단 방법들은 설치가 복잡하고,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에 문제가 제기되는 등의 많은 애로 사항이 있다. 이로 인해, 누설 진단이 신속하고 진단결과의 신뢰도가 높으며 정밀진단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9779호(2004.09.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29호(2016.08.17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의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설치하고, 유입통로 및 배출통로의 압력차로 인해 연결관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밸브들의 승강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누설 감지는 물론 누설량을 측정하도록 된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는 일측의 유입통로와, 타측의 배출통로를 구비한 연결관; 이 연결관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통하게 하거나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비한 개폐수단;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연결하여 설치된 압력관, 이 압력관에 수용된 유체, 압력관의 유입통로측 부위에 수용된 제1승강부재, 압력관의 배출통로측 부위에 수용된 제2승강부재, 연결관의 개방 또는 개폐시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제1,2감지센서로부터 개방 또는 개폐시 제1,2승강부재의 높이와 페쇄동안 제1,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누설 여부를 누설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누설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누설판단부는 개폐되어 정상 작동인 상태에서 유입통로 및 배출통로의 압력차에 의해 제1승강부재가 하강하고 제2승강부재가 상승한 높이를 기준으로, 제1,2승강부재의 높이가 변하면 누설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력관은 유입통로측 부위의 직경이 배출통로측 부위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와 연동하여 제1승강부재의 단면적이 제2승강부재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누설감지수단은 압력관의 유입통로측 및 배출통로측 외면에 설치된 전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은 연결관의 개방시 전기가 인가되면 제1,2승강부재를 끌어당겨 제1,2승강부재의 상면이 연결관의 바닥면과 평평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누설시 제1,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 정도를 토대로 순간 누설량을 산출하고, 이 순간 누설량에 누설 지속 시간을 연산하여 누적 누설량을 산출하는 누설량 산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의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연결하여 연결관이 설치되고, 유입통로와 배출통로에 위치한 연결관의 양단부에 각각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가 설치되며, 연결관의 중간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개폐된 상태에서 누설이 안 되는 정상인 경우의 제1,2승강부재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누설되는 비정상인 경우의 제1,2승강부재의 변화된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제어밸브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고, 신속한 교체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누설이 발생하면, 제1,2승강부재의 높이가 변화된 시각과, 변화된 높이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누적된 누설량을 측정함으로써, 누설량의 한계치 이내에서 안정밸브의 교체를 유도하고, 사고를 예방 또는 대비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의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어밸브의 개폐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2승강밸브의 변화된 높이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밸브의 누설 감지를 위한 제어부에 관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이하의 실시 예에서의 제어밸브는 볼밸브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다양한 밸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는 도 1에서 보듯이, 연결관(100), 개폐수단(200)과 누설감지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연결관(100)은 유체 등이 유동하는 유동관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연결관(100)은 일측 유동관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110)와, 타측 유동관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통로(120)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수단(200)은 연결관(100)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고,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상호 통하도록 개방하거나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개폐수단(200)은 연결관(10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개방 또는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재(210)와, 이 개폐부재(210)를 외부에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손잡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손잡이(220)가 배제되거나, 개폐부재(21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210)는 일례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몸통에 구멍이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210)가 회전하여 구멍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통하게 하면 유체가 유동하게 되고, 구멍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막으면 유체의 이동이 개폐될 수 있다.
끝으로, 누설감지수단(300)은 연결관(100)의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연결관(100)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고, 누설량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누설감지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압력관(310), 제1승강부재(320), 제2승강부재(330), 밀폐링(340), 전자석(350), 센서부(360)와 제어부(370)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관(310)은 도 1에서 보듯이 연결관(100)의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연결하면서 통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압력관(310)의 양측부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어느 한쪽이 더 넓을 수 있다. 일례로, 압력관(310)에서 유입통로(110)측 부위의 직경은 배출통로(120)측 부위의 직경보다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는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 차이로 연계되고, 이는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의 압력차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가 높이가 변하면,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가 제1승강부재(320)의 높이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 압력관(310)의 유입통로(110)측 부위의 직경은 배출통로(120)측 부위의 직경보다 좁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압력관(310)의 내부에는 유체(311)가 수용되고, 이 유체(311)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가 연계되어 승하강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320)는 연결관(100)의 유입통로(110)측 일단 부위에 수용되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승강부재(320)는 압력관(310)의 내면과의 틈새로 누수가 방지되도록 1개 이상의 밀폐링(340)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은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승강부재(320)는 유입통로(110)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배출통로(120)의 압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제2승강부재(330)는 연결관(100)의 배출통로(120)측 타단 부위에 수용되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승강부재(330)는 압력관(310)의 내면과의 틈새로 누수가 방지되도록 1개 이상의 밀폐링(340)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은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이러한 제2승강부재(330)는 배출통로(120)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유입통로(110)의 압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 차이와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의 승강 높이 변화 차이는 비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이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에 비해 큰 비율만큼, 제1승강부재(320)가 하강한 높이에 비해 제2승강부재(330)는 비례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승강부재(330)의 미세한 높이 변화를 좀 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승강부재(330)는 도 2에서처럼, 유입통로(110)의 고압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가 하강한 높이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때, 배출통로(120)의 바닥보다 더 높게 올라와 위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승강부재의 단면적 : 제2승강부재의 단면적 = 2 : 1인 경우, 제1승강부재의 하강 높이 : 제2승강부재의 상승높이 = 1 : 2일 수 있다. 이외에도 압력관(310)은 전체에 대해 동일한 직경이고, 제1,2승강부재(320,330)의 단면적 역시 동일할 수도 있다.
밀폐링(340)은 제1,2승강부재(320,330)의 외면과 압력관(310)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연결관(100)을 유동하는 유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밀폐링(340)은 제1,2승강부재(320,330)의 상단을 포함하여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100)의 개방시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의 상면이 연결관(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가 된 상태가 되면,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와 압력관(310)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링(340)이 개폐하므로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보장될 수 있다.
전자석(350)은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를 지정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압력관(310)의 외면이면서 연결관(10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전자석(350)은 전기가 인가되면 인력(引力)이 작용하게 되고, 제1,2승강부재(320,330)를 끌어당겨 지정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2승강부재(320,330)는 전자석(350)에 반응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관(100)이 개방되기 직전에 전자석(350)에 전기가 인가되고, 이 전자석(350)의 인력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는 상면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의 내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복귀되고, 밀폐링(340)에 의해 제1,2승강부재(320,330)와 압력관(310) 내면 간의 틈새가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100)을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제1승강부재(320) 또는 제2승강부재(330)에 의한 방해는 물론, 제1,2승강부재(320,330)와 압력관(310) 내면 간의 틈새에 의한 방해가 방지될 수 있다.
센서부(360)는 위치감지센서이고,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압력관(310)에 각각 제1위치감지센서(361)와 제2위치감지센서(362)를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2위치감지센서(361,362)는 일례로, 연결관(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2승강부재(320,330)의 상면이 연결관(100)의 바닥 내면과 동일하게 위치한 높이를 1차 감지하고, 연결관(100)이 개폐된 상태에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변화된 높이를 2차 감지하며, 개폐되었지만 누설된 상태에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변화된 높이를 3차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제1위치감지센서(361)는 제1승강부재(320)의 높이를, 제2위치감지센서(362)는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60)는 연결관(100)이 개폐된 상태에서 개방되기 직전까지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를 통해 배출통로(120)에서의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센서부(360)에서 감지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높이의 변화를 연산하여 누설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70)는 누설판단부(371)와 누설량 산출부(37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누설판단부(371)는 센서부(360)에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변화에 따라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재(210)에 의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가 완전히 개폐되어 밀폐된 상황에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고,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가 감지되면 누설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역으로 설명하자면, 완벽히 밀폐된 경우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와, 누설된 경우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변화를 토대로 누설판단부(371)는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량 산출부(372)는 누설판단부(371)에서 누설이라고 판단하는 시점에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제1,2승강부재(320,330)의 시간당 높이 변화 및 시간 등을 기록하고,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변화와 지속된 시간을 연산하여 누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승강부재(330)이 조금 내려가면 누설량이 작은 것이므로, 내려간 길이에 해당하는 누설량에 누설이 지속된 시간을 곱하여 총 누적 누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듯, 제어부(370)는 누설판단부(371)에서의 누설 여부의 판단과, 누설량 산출부(372)에서 산출된 누출량을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 및 PC 등에 전송하여 경고와 제어밸브의 교체를 포함한 추후 조치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먼저, 도 1에서처럼 연결관(100)이 개방되고, 유입통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개폐부재(210)를 통과하여 배출통로(120)로 배출되는 상태에서 누설감지수단(3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전자석(350)에 전기가 인가되어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상면이 연결관(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와 압력관(310) 사이의 틈새는 밀폐링(340)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를 지나가는 기체 및 유체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감지센서(261)와 제2위치감지센서(362)는 제1승강부재(320)의 높이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관(100)의 개방시 제1위치감지센서(361)와 제2위치감지센서(362)의 높이는 개폐시 높이 변화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처럼 연결관(100)이 개폐되고, 개폐부재(210)에 의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가 개폐된 상태에서 누설감지수단(3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전자석(350)에 인가되던 전기가 개폐되면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가 각각 유입통로(110) 또는 배출통로(120)의 압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유입통로(110)에는 유체가 가득 차서 배출통로(120)보다 고압의 상태가 되고, 이 고압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가 하강하게 될 수 있다. 또, 배출통로(120)에는 빈 공간이 되므로 유입통로(110)보다 저압의 상태가 되므로, 제1승강부재(320)가 하강하면 유체(311)를 매개체로 하여 제2승강부재(33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2승강부재(330)의 상승 높이는 제1승강부재(320)의 하강 높이에 대해 좁은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과 넓은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에 반비례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처럼 연결관()이
이러한 때, 제1위치감지센서(361)와 제2위치감지센서(362)는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370)의 누설판단부(37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들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는 연결관(100)이 개폐된 상태에서, 전자석(350)에 전기가 인가되기 직전 또는, 제1승강부재(320) 및 제2승강부재(330)의 상면이 연결관(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100)이 개폐된 상태에서 유입통로(110)의 유체가 배출통로(120)로 누설되면, 배출통로(120)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한 압력만큼 제2승강부재(330)가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때의 제2승강부재(330)의 하강된 높이 변화를 제2위치감지센서(362)가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370)의 누설판단부(371)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2승강부재(330)의 하강은 제1승강부재(320)의 상승으로 연동되고, 이 제1승강부재(320)의 상승된 높이 변화를 제1위치감지센서(361)가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370)의 누설판단부(37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70)는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에 대해 개방 또는 개폐된 때, 개폐시 정상 또는 누설된 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조건에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된 연결관(100)의 개폐시 누설되지 않는 정상 작동시와 누설시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높이 변화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도 2에서처럼, 연결관(100)의 개폐시 누설되지 않는 정상 작동시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높이가 h1과 h2라고 하면, 누설이 발생하면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높이는 H1과 H2가 될 수 있고, 이때 H1의 높이는 h1보다 높고, H2의 높이는 h2보다 낮을 수 있다.
끝으로 제어부(37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누설판단부(371)는 연결관(100)의 개폐되어 정상 작동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와, 개폐되었지만 누설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를 대비하여 그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산출된 값을 토대로 누설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 및 PC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량 산출부(372)는 누설판단부(371)에서 누설로 판단되면 정상인 때와 누설인 때의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와 누설 중인 시간을 연산하여 누설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누설량 산출부(372)는 누설된 시점부터 현재시간을 지속 연산하여 누적 누설량을 지속적으로 산출하고, 교체시까지의 총 누적 누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누설량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 및 PC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연결관
110:유입통로 120:배출통로.
200:개폐수단
210:개폐부재 220:손잡이.
300:누설감지수단.
310:압력관 311:유체
320:제1승강부재 330:제2승강부재
340:밀폐링 350:전자석
360:센서부 361:제1위치감지센서
362:제2위치감지센서 370:제어부
371:누설판단부 372:누설량산출부.

Claims (4)

  1. 일측의 유입통로(110)와, 타측의 배출통로(120)를 구비한 연결관(100);
    상기 연결관(100)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통하게 하거나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재(210)를 구비한 개폐수단(200);
    상기 유입통로(110)와 배출통로(120)를 연결하여 설치된 압력관(310), 이 압력관(310)에 수용된 유체(311), 압력관(310)의 유입통로(110)측 부위에 수용된 제1승강부재(320), 압력관(310)의 배출통로(120)측 부위에 수용된 제2승강부재(330), 연결관(100)의 개방 또는 개폐시 제1승강부재(320)와 제2승강부재(33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센서(361) 및 제2위치감지센서(362)를 구비한 센서부(360)와, 제1,2위치감지센서(361,362)로부터 개방 또는 개폐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와 페쇄동안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누설 여부를 누설판단부(371)에서 판단하는 제어부(370);를 구비한 누설감지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누설판단부(371)는 개폐되어 정상 작동인 상태에서 유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의 압력차에 의해 제1승강부재(320)가 하강하고 제2승강부재(330)가 상승한 높이를 기준으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가 변하면 누설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2. 청구항 1에서,
    상기 압력관(310)은 유입통로(110)측 부위의 직경이 배출통로(120)측 부위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르고,
    상기 제1승강부재(320)의 단면적이 제2승강부재(330)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다른 것으로 하는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3. 청구항 1에서,
    상기 누설감지수단(300)은 압력관(310)의 유입통로(110)측 및 배출통로(120)측 외면에 설치된 전자석(3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350)은 연결관(100)의 개방시 전기가 인가되면 제1,2승강부재(320,330)를 끌어당겨 제1,2승강부재(320,330)의 상면이 연결관(100)의 바닥면과 평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370)는 누설시 제1,2승강부재(320,330)의 높이 변화 정도를 토대로 순간 누설량을 산출하고, 이 순간 누설량에 누설 지속 시간을 연산하여 누적 누설량을 산출하는 누설량 산출부(372)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KR1020210109992A 2021-08-20 2021-08-20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KR10260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92A KR102608664B1 (ko) 2021-08-20 2021-08-20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92A KR102608664B1 (ko) 2021-08-20 2021-08-20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00A KR20230027800A (ko) 2023-02-28
KR102608664B1 true KR102608664B1 (ko) 2023-11-30

Family

ID=8532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92A KR102608664B1 (ko) 2021-08-20 2021-08-20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6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779B1 (ko) 2001-11-29 2004-09-22 김교설 이물질에 의한 누수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볼밸브
KR20160001590U (ko) * 2014-11-05 2016-05-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 공기 유동을 이용한 이중배관 밀폐 손상 탐지 장치
KR101648429B1 (ko) 2015-04-21 2016-08-17 주식회사 화성 캠형식의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00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52B1 (ko) 유체 유동 제어기
EP3835494A1 (en) System for monitoring backflow preventer condition
CA2623096C (en) Accoustic leak detector with insertable plate for use in a process valve
CN100543628C (zh) 利用控制环路操作控制阀并对该控制环路执行诊断的方法和装置
US6283138B1 (en) Pressure relief valve monitoring device
US9400223B2 (en) Retrievable pressure sensor
US67637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eaks at the seal of a valve
RU2712955C1 (ru) Обнаружение неорганизованных выбросов
KR101478008B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수명시험 방법
JP6120975B2 (ja) 井戸におけるプランジャの位置を識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078838A (ja) 漏洩検知装置
KR102608664B1 (ko) 누설감지수단을 통합한 제어밸브
US20190277672A1 (en) System and device for measuring fluid flow within a conduit
CN216198061U (zh) 一种钻井溢流漏失监测装置
KR101853912B1 (ko) 누수 감지 기능이 구비된 밸브유닛
JP2020020625A (ja) 燃料配管用バルブの検査治具
KR20100110487A (ko) 앵글밸브
KR101527171B1 (ko)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JPS58213227A (ja) 油圧機器の異常診断方法
KR102135642B1 (ko) 솔레노이드 래칭밸브
KR101785370B1 (ko) 영점 보정기능이 포함된 개도율 측정모듈을 가지는 컨트롤 밸브
JP2835669B2 (ja) スチ―ムトラップの作動判定装置
JP2000514554A (ja) 設備要素内における液体の検出器および漏出を検出するための該検出器の使用
KR102597315B1 (ko) 밸브 상태 자가진단 밸브 시스템
CA2997995C (en) System and device for measuring fluid flow within a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