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463B1 -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463B1
KR102150463B1 KR1020200012566A KR20200012566A KR102150463B1 KR 102150463 B1 KR102150463 B1 KR 102150463B1 KR 1020200012566 A KR1020200012566 A KR 1020200012566A KR 20200012566 A KR20200012566 A KR 20200012566A KR 102150463 B1 KR102150463 B1 KR 10215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fluid
tension
tens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신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민 filed Critical 신동민
Priority to KR102020001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유닛(inlet unit); 일측을 통해 인렛 유닛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임시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챔버 유닛(chamber unit); 및 챔버 유닛의 타측을 관통하여, 인렛 유닛의 일단을 가압하는 텐션 포스를 조절하여, 챔버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텐션 프레싱 유닛(tension pressing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fluid pressure by adjusting tension force}
본 발명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압력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해서 유체의 압력을 콘트롤하여 유체를 자동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밸브는 과로의 도중에 용기를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로 물이나 증기, 공기, 가스 등의 유체 배관의 유량을 제어하고 유로를 개폐하며 배관의 안전 유지와 같은 목적으로 밸브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유압 회로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적당히 감압하여 회로의 압력을 설정된 작업 순서에 따라 변화시켜 유압 회로내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가 필요하다.
안전밸브(safety valve)는 배관 압력 용기, 각종 압력기기 등 압력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이 규정의 최고 사용압력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유체를 자동으로 방출하여 규정 이상의 압력이 되어 폭발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자동밸브이다.
안전밸브는 광범위한 산업설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인명과 공정 설비,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증기 및 압축공기, 액체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증기 및 온수 보일러, 압력 용기, 저장 탱크 등의 일반 산업 설비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안전밸브의 종류에는 주로 증기 또는 가스의 발생장치에 안전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고 유체의 압력이 기준치를 넘었을 때 순간적으로 자동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안전밸브와, 주로 액체에 사용하고 액체의 압력이 기준치에 도달하면 그 압력의 상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열리는 기능을 가진 릴리프밸브(relief valve), 주로 배관계통에 설치하며 용도에 따라 기체 또는 액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 릴리프 밸브(safety relief valve) 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정밀제어용 체크밸브(등록번호 제10-1514916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마찰을 최소화하여 설정된 최소한의 압력에도 개방될 수 있으며,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정밀한 일 방향 단속이 가능한 정밀제어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유입구 하부에 반 구형의 개폐부가 구비되며, 하부 외주면에 결합부가 다단을 이루게 구비된 상부 본체와; 상부 본체의 개폐부에 삽입되게 반 구형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상부에서 내측 중앙으로 경사지고 타공되는 개폐부재와; 개폐부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지지단턱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개폐부재를 지지하며,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하부에 가이드 부가 구비되는 가이드커버와; 상부본체의 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되게 구비되고, 결합홈 하부에 지지홈이 구비되며, 지지홈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슬라이드 홈 하부에 배출홈이 구비되며, 결합홈, 지지홈, 슬라이드 홈, 배출홈이 다단으로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가이드커버의 지지단턱 하부 및 하부본체의 지지홈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부재 및 가이드커버를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안전밸브 (공개번호 제10-2017-0096835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에 사용하는 밸브 보디를 테스트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안전밸브로서, 테스트에 필요한 압력조절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조립한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은 실질적으로 개폐 작용하는 슬리브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의 한쪽을 지지하는 조절 링의 길이에 따라 탄성 스프링의 길이 조절을 통해 슬리브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절 링의 길이 조절로 쉽고 신속하며 미세하게 압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은 슬리브의 바깥쪽에 체결 방식으로 고정 부재를 장착한 다음, 이 고정 부재를 스냅 링으로 고정하므로, 고정 부재가 이동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한 번 설정한 조절 압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한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유량 계측형 체크밸브(등록번호 제10-1527171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는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유입구 측의 본체에 결속된 실린더와 실린더의 하단 측벽에 형성된 통수구와 통수구를 개폐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폐쇄부위에 결속하는 막대톱니와 막대톱니와 맞물려 막대톱니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톱니와 회전톱니의 중심에 결속되며 본체 외부로 말단이 노출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말단에 결속되어 회전축과 동반하여 회전하는 지시침 및 지시침의 회전각도에 따라 통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눈금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통해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개폐밸브들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계적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며 특히, 내수격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계측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종래 유량측정장치와 개폐밸브 중 하나를 배제함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특허문헌들에서 개시된 안전밸브는 압력의 조절 범위가 넓기 때문에 정확한 압력을 설정하여 압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압력 설정하여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안전 밸브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1514916호 공개번호 제10-2017-0096835호 등록번호 제10-1527171호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압력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고자 한다.
둘째, 텐션 포스의 조절하여 초과 압력을 설정하고 배관의 유체의 압력이 초과 압력 이상에 도달할 경우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을 작동하고자 한다.
셋째,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을 통해 유체를 방출하여 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유닛(inlet unit); 일측을 통해 상기 인렛 유닛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임시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챔버 유닛(chamber unit); 및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인렛 유닛의 일단을 가압하는 텐션 포스를 조절하여, 상기 챔버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텐션 프레싱 유닛(tension press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인렛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렛 유닛의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파이프부; 상기 인렛 파이프부를 상기 챔버 유닛의 일측에 고정 결합시키는 픽싱부; 및 상기 인렛 파이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이너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픽싱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인렛 파이프부와 상기 챔버 유닛 사이로부터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는 프레싱 헤드부; 텐션 포스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싱 헤드부를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 가압부; 및 상기 텐션 가압부의 타단을 가압하는 뎁스(depth)를 조절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프레싱 헤드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의 전면(全面)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파이프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뎁스의 임의 조절이 이루어져, 상기 텐션 가압부가 상기 프레싱 헤드부를 가압하는 텐션 포스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텐션 가압부의 일단을 상기 텐션 가압부의 수축 방향 혹은 팽창 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하는 이너 프레싱부;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의 몸체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이너 프레싱부의 유동을 조절하는 스크류부;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의 몸체의 외부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픽싱 너트부; 및 상기 스크류부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 회전 되면 상기 스크류부의 유동 조절을 통해 상기 이너 프레싱부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스크류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챔버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되고 체결되는 인렛 개공부;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제공하는 아웃렛 개공부; 및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으로 관통되는 상기 프레싱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프레싱 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상기 챔버 유닛은,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프레싱 헤드부가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는 상기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해,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 대비 상기 챔버 유닛의 상기 아웃렛 개공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압력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텐션 포스의 조절하여 초과 압력을 설정하고 배관의 유체의 압력이 초과 압력 이상에 도달할 경우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을 통해 유체를 자동으로 방출하여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챔버 유닛 내부에 배치된 프레싱 헤드부와 이너 파이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챔버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텐션 프레싱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챔버 유닛 내부에 배치된 프레싱 헤드부와 이너 파이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챔버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텐션 프레싱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을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이 규정 압력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해서 유체의 압력을 콘트롤 하여 유체를 자동으로 외부로 토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체(fluids)는 고체에 비해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 변형이 쉽고 자유로이 흐를 수 있는 액체와 기체와 플라즈마를 총칭하는 말로, 유체는 외부압력에 저항하는 성질인 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흐르는 성질인 유동성을 가진다. 유체는 고체와는 다르게 치밀성과 강성을 가지지 않으며 아주 작은 전단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텐션 포스(tension force)는 물체 내에 임의의 면이 양측부분으로 면에 수직으로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하며, 물체에 연결된 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줄은 물체에서 멀어지면서 물체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 결과 줄은 팽팽해진 긴장상태가 되고 이러한 줄에 작용한 힘을 텐션 포스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은 인렛 유닛(100)(inlet unit), 챔버 유닛(200)(chamber unit) 및 텐션 프레싱 유닛(300)(tension pressing unit)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인렛 유닛(100)은 유입되는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게 된다.
인렛 유닛(100)을 형성하는 유체의 관로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중온(中溫)이나 중압(重壓)에서는 청동(bronze)을 사용하고, 고온고압에서는 단동, 대형에는 압력과 온도의 고저에 의해 청동, 주철, 주동, 합금강 등이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인렛 유닛(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파이프부(110), 픽싱부(120) 및 이너 파이프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인렛 파이프부(110)는 챔버 유닛(2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인렛 유닛(100)의 관로를 형성하게 된다.
인렛 파이프부(110)를 통해 유체가 챔버 유닛(20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관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렛 파이프부(110)의 내부에는 유체의 압력과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픽싱부(120)는 인렛 파이프부(110)를 챔버 유닛(200)의 일측에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픽싱부(120)는 이너 파이프부(13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인렛 파이프부(110)와 챔버 유닛(200) 사이로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하게 된다.
픽싱부(120)의 강한 고정 결합을 통해 높은 압력의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유출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너 파이프부(130)는 인렛 파이프부(1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챔버 유닛(20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챔버 유닛(200)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게 된다.
도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프레싱 유닛(300)은 챔버 유닛(200)의 타측을 관통하여, 인렛 유닛(100)의 일단을 가압하는 텐션 포스(tension force)를 조절하여, 챔버 유닛(200)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텐션 프레싱 유닛(300)은 프레싱 보디부(301), 조인트부(302), 프레싱 헤드부(310), 텐션 가압부(320) 및 프레싱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프레싱 보디부(30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프레싱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프레싱 보디부(301)는 내부에 프레싱 헤드부(310) 일부와 텐션 가압부(320)와 프레싱부(330)의 일부를 구비할 공간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조인트부(302)는 텐션 프레싱 유닛(300)을 챔버 유닛(200)의 타측에 연결하여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조인트부(302)는 프레싱 보디부(301) 외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싱 헤드부(310)는 챔버 유닛(200)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챔버 유닛(200)의 내부로 침투하여 이너 파이프부(130)의 일단을 가압하게 된다.
프레싱 헤드부(310)는 이너 파이프부(13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의 전면(full face)을 커버하도록 이너 파이프부(130)를 가압하게 된다.
프레싱 헤드부(310)는 텐션 포스를 받게 되면 챔버 유닛(20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헤드부(310)가 이너 파이프부(130)를 가압하는 압력을 통해 평상시에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데, 프레싱 헤드부(310)가 이너 파이프부(130)를 가압하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가진 유체가 존재할 경우,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프레싱 헤드부(310)는 밀려나게 되고, 유체는 이너 파이프부(130)를 통해 챔버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며 이를 통해 높은 압력의 유체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아울어, 프레싱 헤드부(310)이 표면은 테프론 등의 마찰이 적은 소재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프레싱 헤드부(310)의 표면은 최소한의 마찰력을 가지며, 이를 통해 마찰력이 감소된 프레싱 헤드부(310)의 표면은 프레싱 헤드부(310)와 이너 파이프부(130)의 미세한 틈새를 잘 막을 수 있게 해준다.
텐션 가압부(320)는 텐션 포스를 구비하여 프레싱 헤드부(310)를 이너 파이프부(130)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텐션 가압부(320)의 텐션 포스는 외부의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며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탄성이 강한 힘을 말한다. 텐션 포스는 외부의 힘과 그에 따른 변위의 곱이 탄성변형시 흡수되고 축적된 에너지이며, 이동하중을 억제하거나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힘을 가하면 에너지가 저장된다.
텐션 가압부(320)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구조체가 될 수 있다.
텐션 가압부(320)에서 압력을 조절할 때, 텐션 가압부(320)는 범위별로 세분화되어 미세한 압력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텐션 가압부(320)는 인렛 파이프부(110)에 구비된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와 연동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로부터 유체의 압력과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터는 텐션 가압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텐션 가압부(320)가 프레싱 헤드부(310)를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연동된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장치를 통해 체크하여 수동으로 텐션 가압부(32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는 유체의 온도가 기준 범위보다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압력의 변화도 함께 일어나기 때문에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수동으로 텐션 가압부(32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싱부(330)는 텐션 가압부(320)의 타단을 가압하는 뎁스(depth)를 조절하게 된다.
프레싱부(330)는 뎁스의 임의 조절이 이루어져, 텐션 가압부(320)가 프레싱 헤드부(310)를 가압하는 텐션 포스가 조절되도록 하게 된다.
프레싱부(330)는 뎁스의 임의 조절 통해 텐션 포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텐션 포스가 설정된 텐션 가압부(320)가 프레싱 헤드부(310)를 가압하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프레싱부(3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싱부(331), 스크류부(332), 픽싱 너트부(333) 및 스크류캡부(334)를 포함하게 된다.
이너 프레싱부(331)는 텐션 가압부(320)의 일단을 텐션 가압부(320)의 수축 방향 혹은 팽창 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하게 된다.
스크류부(332)는 텐션 프레싱 유닛(300)의 몸체에 회전 체결되어 이너 프레싱부(331)의 유동을 조절하게 된다.
스크류부(332)를 조이거나 풀면서 이너 프레싱부(331)의 유동을 조절하고, 이너 프레싱부(331)는 텐션 가압부(320)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픽싱 너트부(333)는 텐션 프레싱 유닛(300)의 몸체의 외부에 고정 부착되어, 스크류부(332)의 외주면에 체결되게 된다.
스크류캡부(334)는 스크류부(332)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 회전 되면 스크류부(332)의 유동 조절을 통해 이너 프레싱부(331)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하게 된다.
도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유닛(200)은 일측을 통해 인렛 유닛(100)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임시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챔버 유닛(200)은 이너 파이프부(13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프레싱 헤드부(310)가 이너 파이프부(130)의 일단을 가압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해, 이너 파이프부(13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대비 챔버 유닛(200)의 아웃렛 개공부(230)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의 챔버 유닛(200)은 하우징부(210), 인렛 개공부(220), 아웃렛 개공부(230) 및 프레싱 개공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하우징부(210)는 챔버 유닛(200)의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인렛 개공부(220)는 챔버 유닛(20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이너 파이프부(130)의 일단이 삽입되고 체결되게 된다.
아웃렛 개공부(230)는 이너 파이프부(13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아웃렛 개공부(230)에는 내부에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어, 유체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졌거나, 유체의 압력을 유지해야할 경우에, 차단막이 내려와 챔버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싱 개공부(240)는 챔버 유닛(200)의 타측으로 관통되는 프레싱 헤드부(310)가 삽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렛 유닛
110: 인렛 파이프부
120: 픽싱부
130: 이너 파이프부
200: 챔버 유닛
210: 하우징부
220: 인렛 개공부
230: 아웃렛 개공부
240: 프레싱 개공부
300: 텐션 프레싱 유닛
301: 프레싱 보디부
302: 조인트부
310: 프레싱 헤드부
320: 텐션 가압부
330: 프레싱부
331: 이너 프레싱부
332: 스크류부
333: 픽싱 너트부
334: 스크류캡부

Claims (9)

  1. 유입되는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유닛(inlet unit);
    일측을 통해 상기 인렛 유닛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임시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챔버 유닛(chamber unit); 및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인렛 유닛의 일단을 가압하는 텐션 포스를 조절하여, 상기 챔버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텐션 프레싱 유닛(tension press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인렛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렛 유닛의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파이프부;
    상기 인렛 파이프부를 상기 챔버 유닛의 일측에 고정 결합시키는 픽싱부; 및
    상기 인렛 파이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이너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인렛 파이프부와 상기 챔버 유닛 사이로부터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는 프레싱 헤드부;
    텐션 포스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싱 헤드부를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 가압부; 및
    상기 텐션 가압부의 타단을 가압하는 뎁스(depth)를 조절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헤드부는,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의 전면(全面)을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 파이프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뎁스의 임의 조절이 이루어져, 상기 텐션 가압부가 상기 프레싱 헤드부를 가압하는 텐션 포스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텐션 가압부의 일단을 상기 텐션 가압부의 수축 방향 혹은 팽창 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하는 이너 프레싱부;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의 몸체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이너 프레싱부의 유동을 조절하는 스크류부;
    상기 텐션 프레싱 유닛의 몸체의 외부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픽싱 너트부; 및
    상기 스크류부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 회전 되면 상기 스크류부의 유동 조절을 통해 상기 이너 프레싱부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스크류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유닛은,
    상기 챔버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상기 챔버 유닛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되고 체결되는 인렛 개공부;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제공하는 아웃렛 개공부; 및
    상기 챔버 유닛의 타측으로 관통되는 상기 프레싱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프레싱 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유닛은,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프레싱 헤드부가 상기 이너 파이프부의 일단을 가압하는 상기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해,
    상기 이너 파이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 대비 상기 챔버 유닛의 상기 아웃렛 개공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KR1020200012566A 2020-02-03 2020-02-03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KR10215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566A KR102150463B1 (ko) 2020-02-03 2020-02-03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566A KR102150463B1 (ko) 2020-02-03 2020-02-03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463B1 true KR102150463B1 (ko) 2020-09-01

Family

ID=7246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566A KR102150463B1 (ko) 2020-02-03 2020-02-03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698A (ko) * 2021-10-29 2023-05-09 이종혁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선택적 위치의 시료 분배 기능이 구비된 샘플링 컨트롤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67Y1 (ko) *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KR101514916B1 (ko) 2014-01-23 2015-04-23 주식회사 티에스피 정밀제어용 체크밸브
KR101527171B1 (ko) 2014-06-24 2015-06-09 이상록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KR101551474B1 (ko) * 2014-11-24 2015-09-09 주식회사 썬프리시즌 수동밸브 기능이 구비된 안전밸브
KR20160033223A (ko) * 2013-07-22 2016-03-25 오벤트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동 조절 밸브
KR20170096835A (ko) 2016-02-17 2017-08-25 (주)에이디티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67Y1 (ko) *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KR20160033223A (ko) * 2013-07-22 2016-03-25 오벤트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동 조절 밸브
KR101514916B1 (ko) 2014-01-23 2015-04-23 주식회사 티에스피 정밀제어용 체크밸브
KR101527171B1 (ko) 2014-06-24 2015-06-09 이상록 유량계측형 체크밸브
KR101551474B1 (ko) * 2014-11-24 2015-09-09 주식회사 썬프리시즌 수동밸브 기능이 구비된 안전밸브
KR20170096835A (ko) 2016-02-17 2017-08-25 (주)에이디티 안전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698A (ko) * 2021-10-29 2023-05-09 이종혁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선택적 위치의 시료 분배 기능이 구비된 샘플링 컨트롤 시스템
KR102590283B1 (ko) * 2021-10-29 2023-10-16 이종혁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선택적 위치의 시료 분배 기능이 구비된 샘플링 컨트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961B2 (en) Surge relief valve
US5396923A (en) Surge relief apparatus and method
CA1276521C (en) Fluid flow control valve
US8327871B1 (en) Multi-valve cartridge pressure regulator
US6019115A (en) Safety excess flow valve system with adjustable closing flow rate settings
RU2529777C2 (ru) Седло клапан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фиксацией положени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устройствами управления расходом текучей среды
EP0684414A1 (en) Plate valve
NO309691B1 (no) Roterende fluidstyringsventil og stöy-attenuatorkombinasjon
JP2016157469A (ja) 負荷調整装置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内部逃し弁装置
KR102150463B1 (ko) 텐션 포스의 조절을 통한 유체 압력 콘트롤 시스템
US5215121A (en) Tube separator
US4915127A (en) Compressed gas regulator with pressurized sealed bonnet
KR100661446B1 (ko) 맥동 댐핑 조립체 및 방법
US20150075649A1 (en) Pressure regulator
FI101741B (fi) Yksiviputyyppinen, vivun sulkeutumisliikkeen aiheuttaman paineiskun es tolaitteella varustettu sekoitusventtiili
US4957136A (en) Non-flowing modulating pilot operated relief valve
NZ500060A (en) Safety excess flow valve system with adjustable closing flow rate settings via threaded member moving camming member laterally so as to move corresponding member on valve poppet longitudinally
CA2416218A1 (en) Direct-acting pressure regulator
KR100769087B1 (ko) 케미컬 관체 개폐밸브의 개폐량 표시장치
US4905727A (en) Non-flowing modulating pilot operated relief valve
US68051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intaining a fluid pressure in a defined volume
JP2022528923A (ja) パッキン荷重アッセンブリを用いたパッキン材を自動的に付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33669B2 (en) Bi-directional flow control valve
RU2615892C1 (ru) Клапан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повы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RU2560651C2 (ru) Динамически устойчивый дренажно-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