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692B1 - 전동카트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692B1
KR101526692B1 KR1020130119519A KR20130119519A KR101526692B1 KR 101526692 B1 KR101526692 B1 KR 101526692B1 KR 1020130119519 A KR1020130119519 A KR 1020130119519A KR 20130119519 A KR20130119519 A KR 20130119519A KR 101526692 B1 KR101526692 B1 KR 10152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sket
leg
diago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717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692B1/ko
Priority to JP2014096175A priority patent/JP6289994B2/ja
Priority to CN201410257777.6A priority patent/CN104512443B/zh
Priority to DE102014211284.2A priority patent/DE102014211284B4/de
Priority to US14/477,102 priority patent/US91023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4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03Multidirec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물건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구니; 상기 바구니의 하방으로 직립형성된 복수의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 일단은 상기 바구니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다리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측링크와 하측링크로 구분되며 하측링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측링크에는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링크결합부가 형성된 대각링크; 일단은 상기 대각링크의 링크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다리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보조링크; 및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휠;을 포함하는 전동카트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전동카트장치 {APPARATUS OF ELECTRIC CAR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용이하게 상하차 가능한 전동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마트에서 장을 보기 위해서는 사람은 자동차를 이용해 마트로 이동한 후 카트를 끌고 다니며 필요한 물건을 카트에 담아 계산 후 다시 물건을 트렁크에 싣고 집으로 돌아와 트렁크에서 직접 물건을 꺼내 집으로 옮기는 방식이므로 힘이 많이 들고 불편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공개번호 2004-299494 A의 "접이식 쇼핑 카트"에서는 차량에 탑재 가능한 접이식 쇼핑 카트에 있어서, 후측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하로 늘어나는 사용위치와 후측에 솟아 올려졌다 접히는 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한 상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하부 양측에 일단부가 밀리는 동시에 다단부가 각각의 전륜이 마련된 좌우 1쌍의 전륜 지지다리와 상하로 늘어나는 사용위치와 그것보다 후측에서 상측으로 상하로 늘어나 접이식 쇼핑 카트의 사이에 이동되도록 2개의 링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후하부양측에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하단부에 각각 뒷바퀴가 마련된 좌우 1쌍의 후륜 지지다리와 상기 전류 지지다리의 밀리는 위치보다 전후에 상기 프레임의 전하단부에 설치된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쇼핑카트를 개시한다.
그러나, 바퀴와 연결된 링크들이 바구니의 하부에 접히면서 균형이 잡히지 않아 주행 중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쇼핑 카트가 넘어져 내용물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10-2004-29949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퀴와 연결된 링크들이 바구니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아 주행 중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이 용이한 전동카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트장치는 물건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구니; 상기 바구니의 하방으로 직립형성된 복수의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 일단은 상기 바구니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다리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측링크와 하측링크로 구분되며 하측링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측링크에는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링크결합부가 형성된 대각링크; 일단은 상기 대각링크의 링크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다리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보조링크; 및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구니의 후방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의 후단부 하측모서리에는 바구니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하면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구니의 경사부의 하측에는 상기 대각링크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다리가 결합되어 결합부를 형성하고, 차량에 수납 또는 인출 시 결합부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에는 중심측에 관절부가 형성되고, 관절부를 중심으로 상측 다리가 하측 다리에 수납 또는 인출됨으로써, 상기 바구니가 관절부를 중심으로 승하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에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구니가 관절부를 주심으로 승하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다리에는 중심측에 관절부가 형성되어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절곡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하단에는 각각의 다리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보강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각링크는 상기 바구니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두 대각링크의 링크결합부를 좌우방향으로 서로 잇는 지지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각링크와 보조링크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링크와 보조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항상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대각링크의 상측링크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링크에는 상측링크의 제1연장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가 형성되어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제1스토퍼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각링크의 하측링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각링크의 상측링크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제2스토퍼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은 메카넘 휠일 수 있다.
상기 바구니, 전방 다리, 후방 다리, 대각링크, 보조링크 및 휠은 전기적으로 하나의 신호로 연결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각 부분이 각각 혹은 동시에 락 또는 언락되도록 선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에는 수신장치가 장착되며, 외부에 송신장치가 형성되어 수신장치가 송신장치의 신호를 검지하여 송신장치를 추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카트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카트를 밀고 다니지 않아도 카트가 사용자를 추종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으며, 무거운 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상하차 할 때에도 가볍게 손잡이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고, 무거운 물건을 옮겨 담는 등의 불편이 제거되며 트렁크의 높이가 높은 SUV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카트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 동작 1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 동작 2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 동작 3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 동작 4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 동작 5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동카트장치의 하강 시 동작 1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전동카트장치의 하강 시 동작 2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동카트장치의 하강 시 동작 3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동카트장치가 추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카트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카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전동카트장치의 하강 시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전동카트장치가 추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량 중 특히 SUV(Sport Utility Vehicle)의 트렁크에 수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카트장치로써, 4절 링크 구조를 바탕으로 하며, 물건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구니(100); 상기 바구니(100)의 하방으로 직립형성된 복수의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 일단은 상기 바구니(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다리(200)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측링크(410)와 하측링크(430)로 구분되며 하측링크(4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431)이 형성되고, 상측링크(410)에는 슬라이딩홈(431)을 따라 이동되는 링크결합부(411)가 형성된 대각링크(400); 일단은 상기 대각링크(400)의 링크결합부(411)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다리(300)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보조링크(500); 및 상기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휠(600);을 포함한다.
상기 바구니(100)는 사용자가 마트 등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통상적인 바구니(100)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바구니(100)의 후방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휠(600)은 메카넘 휠로 구성되어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전동카트장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구니(100), 전방 다리(200), 후방 다리(300), 대각링크(400), 보조링크(500) 및 휠(600)은 전기적으로 하나의 신호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액추에이터(AC)에 의해 각 부분이 각각 혹은 동시에 락 또는 언락되도록 선택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액추에이터(AC)는 동작하는 각 부분에 각각 형성되거나, 혹은 하나의 액추에이터(AC)가 복수의 부품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바구니(100)의 후단부 하측모서리에는 바구니(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하면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10)의 하측에는 상기 대각링크(400)의 상측링크(410)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 경사부(110)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부분으로써, 바구니(100)의 단부가 아닌 바구니(100)의 단부에서 바구니(100)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경사부(110)의 하측에 상측링크(410)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차량에 전동카트장치를 수납 시 전방 다리(200), 후방 다리(300) 및 링크들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며 전방 다리(200), 후방 다리(300) 및 링크들이 완전하게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되어 트렁크에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구니(100)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다리(200)가 결합되어 바구니(100)와 전방 다리(200) 사이에 결합부(210)를 형성하고, 전동카트장치를 차량에 수납 시 결합부(210)가 회전중심축이 되어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히 트렁크(T)의 좌면까지 회전되어 수납되게 되고, 인출 시에는 결합부(210)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출되게 된다.
상기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에는 중심측에 관절부(230,310)가 형성되고, 관절부(230,310)를 중심으로 다리(200,300)의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수납 또는 인출되되 상기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에는 관절부(230,310)에 액추에이터(AC)가 마련되어 액추에이터(AC)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구니(100)가 관절부(230,310)를 주심으로 승하강되어 전동카트장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측 다리(200)와 하측 다리(300)의 수납 및 인출 관계는 반대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방 다리(300)에 형성된 관절부(310)는 후방 다리(300)를 관절부(310)를 중심으로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에 수납 시 후방 다리(200)의 부피를 줄여 거의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트렁크(T)에 수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의 하단에는 각각의 다리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보강링크(7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전동카트장치가 카트로 이용될 때 이동 시 전동카트장치를 보다 단단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대각링크(400)와 보조링크(500)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이루는 각도는 항상 소정의 각도(D)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대각링크(400)는 상기 바구니(100)의 하면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두 대각링크(400)의 링크결합부(411)를 좌우방향으로 서로 잇는 지지링크(413)가 형성되어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에 수납 또는 인출 시 전방 다리(200) 및 후방 다리(300)가 회전될 때 보다 단단하게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이루는 소정의 각도(D)는 전동카트장치를 차량에 수납 또는 인출 시 전방 다리(200), 후방 다리(300) 및 링크들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전동카트장치는 바구니(100)의 각 모서리부분에 하측으로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가 형성되고, 다리(200,300)의 하단부에는 각각 휠(600)이 마련된다. 또한,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의 사이에 대각선의 방향으로 대각링크(400)와 보조링크(500)가 형성되어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일정한 각도(D)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전동카트장치를 수납 시 보조링크(500)가 후방 다리(300)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방 다리(200)의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가 완전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카트로 사용 시나 수납 또는 인출 시 이상적인 모양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의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전동카트장치의 상차 시에 먼저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에 밀착시킨 후 트렁크(T)의 내측으로 전동카트장치를 가압하게 된다.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되면, 전방 다리(200)의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가 회전을 시작하되, 상기 대각링크(400)의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형성하는 각도(D)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 및 링크들이 회전하여 트렁크(T)에 수납되게 된다. 여기서 링크들의 연결접점의 위치와 링크 사이의 거리는 설계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에 상차 시, 상기 대각링크(400)의 상측링크(410)와 하측링크(430)가 형성하는 각도가 현재 유지되는 각도보다 더 커지게 되면 4절링크 동작이 되지 않으므로 상측링크(410)와 하측링크(430)가 형성하는 각도는 더 커지지 않도록 해야하며 상측링크(410)와 하측링크(430)가 형성하는 각도가 더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는 도 8에 도시하였으며 후술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전동카트장치의 높낮이 조절을 하여 바구니(100)의 하강 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의 좌면의 높이가 높은 SUV에서 하차한 후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높이를 낮추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하였다.
도 7은 트렁크(T)에서 인출된 직후의 전동카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전방 다리(200)의 관절부(230), 후방 다리(300)의 관절부(310) 및 링크결합부(411) 등의 부분들이 모두 락킹된 상태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측링크(410), 하측링크(430) 및 보조링크(500)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동카트장치를 이용 시에 전동카트장치가 넘어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동카트장치의 전방 다리(200), 후방다리(300) 및 링크의 접접들은 모두 락킹된 상태로 유지되며 단단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대각링크(400)의 상측링크(41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415)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링크(500)에는 상측링크(410)의 제1연장부(415)에 대응하는 지점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510)가 형성되어 제1연장부(415)와 제2연장부(510)가 제1스토퍼(530)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락킹 상태에서는 결합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언락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는 링크결합부(411)를 통해 결합되고, 링크결합부(411)는 하측링크(430)의 슬라이딩홈(431) 내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다. 전동카트장치를 트렁크(T)에 수납 시 상측링크(410)와 하측링크(430)가 일정한 각도(D)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대각링크(400)의 하측링크(43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433)가 형성되고, 상기 대각링크(400)의 상측링크(41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417)가 형성되어, 제1돌출부(433)와 제2돌출부(417)가 제2스토퍼(419)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것처럼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의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수납되게 됨에 따라 보조링크(500)와 후방 다리(300) 사이에 결합된 부분의 락킹이 해제된다. 보조링크(500)와 후방 다리(300) 사이의 락킹이 해제되더라도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와의 각도(D)는 계속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링크결합부(411)가 슬라이딩홈(431)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가 점점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AC)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여 갑작스럽게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되게 되고, 링크결합부(411)가 슬라이딩홈(431) 내를 점점 슬라이딩함에 따라 하측링크(430)의 단부가 후방 다리(300)측으로 점점 돌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은 바구니(100)의 하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전방 다리(200)와 후방 다리(300)의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완전히 수납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링크결합부(411)는 하측링크(430)의 슬라이딩홈(431) 내에서 완전히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전, 중, 후에도 상측링크(410)와 보조링크(500)는 일정한 각도(D)를 지속적으로 유지한채 하강이 완료되게 된다.
도 11은 전동카트장치가 추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카트장치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800)로 활용될 수 있는 센서,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등의 부품을 장착하고, 사용자가 송신장치(900)를 소지하여 송신장치(900)를 통해 수신장치(800)에 신호를 송신하면 수신장치(800)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장치(9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를 추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전동카트장치를 밀고 다니지 않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전동카트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카트를 밀고 다니지 않아도 카트가 사용자를 추종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으며, 무거운 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상하차 할 때에도 가볍게 손잡이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고, 무거운 물건을 옮겨 담는 등의 불편이 제거되며 트렁크의 높이가 높은 SUV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바구니 110 : 경사부
200 : 전방 다리 210 : 결합부
230 : 관절부 300 : 후방 다리
310 : 관절부 400 : 대각링크
410 : 상측링크 411 : 링크결합부
413 : 지지링크 415 : 제1연장부
417 : 제2돌출부 419 : 제2스토퍼
430 : 하측링크 431 : 슬라이딩홈
433 : 제1돌출부 500 : 보조링크
510 : 제2연장부 530 : 제1스토퍼
600 : 휠 700 : 보강링크
800 : 수신장치 900 : 송신장치

Claims (16)

  1. 물건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구니;
    상기 바구니의 하방으로 직립형성된 복수의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
    일단은 상기 바구니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다리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측링크와 하측링크로 구분되며 하측링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측링크에는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링크결합부가 형성된 대각링크;
    일단은 상기 대각링크의 링크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다리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보조링크; 및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에는 중심측에 관절부가 형성되고, 관절부를 중심으로 상측 다리가 하측 다리에 수납 또는 인출됨으로써, 상기 바구니가 관절부를 중심으로 승하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의 후방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의 후단부 하측모서리에는 바구니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하면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의 경사부의 하측에는 상기 대각링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다리가 결합되어 결합부를 형성하고, 차량에 수납 또는 인출 시 결합부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에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구니가 관절부를 주심으로 승하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다리에는 중심측에 관절부가 형성되어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하단에는 각각의 다리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보강링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각링크는 상기 바구니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두 대각링크의 링크결합부를 좌우방향으로 서로 잇는 지지링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각링크와 보조링크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링크와 보조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항상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각링크의 상측링크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링크에는 상측링크의 제1연장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가 형성되어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제1스토퍼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각링크의 하측링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각링크의 상측링크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제2스토퍼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은 메카넘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전방 다리, 후방 다리에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되고, 전방다리, 후방다리, 대각링크, 보조링크 및 휠은 전기적으로 하나의 신호로 연결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각 부분이 각각 혹은 동시에 락 또는 언락되도록 선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에는 수신장치가 장착되며, 외부에 송신장치가 형성되어 수신장치가 송신장치의 신호를 검지하여 송신장치를 추종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장치.
KR1020130119519A 2013-10-07 2013-10-07 전동카트장치 KR10152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519A KR101526692B1 (ko) 2013-10-07 2013-10-07 전동카트장치
JP2014096175A JP6289994B2 (ja) 2013-10-07 2014-05-07 電動カート装置
CN201410257777.6A CN104512443B (zh) 2013-10-07 2014-06-11 电动推车装置
DE102014211284.2A DE102014211284B4 (de) 2013-10-07 2014-06-12 Elektrowagen
US14/477,102 US9102343B2 (en) 2013-10-07 2014-09-04 Electric car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519A KR101526692B1 (ko) 2013-10-07 2013-10-07 전동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717A KR20150040717A (ko) 2015-04-15
KR101526692B1 true KR101526692B1 (ko) 2015-06-05

Family

ID=5269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519A KR101526692B1 (ko) 2013-10-07 2013-10-07 전동카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02343B2 (ko)
JP (1) JP6289994B2 (ko)
KR (1) KR101526692B1 (ko)
CN (1) CN104512443B (ko)
DE (1) DE10201421128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2508B2 (en) * 2013-07-18 2016-08-02 Terry D. Cothern Pivotal support frame and transport device for ceramic cookers, grills, and smokers
CN112918533A (zh) * 2021-01-25 2021-06-08 银龙 一种建筑工地用短钢筋运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58A (ja) * 1990-04-27 1992-01-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車格納式手押し台車
JP2006155039A (ja) * 2004-11-26 2006-06-15 Toshiba Corp 店舗ロボット
JP4211459B2 (ja) * 2003-03-31 2009-01-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折り畳み式買い物カート
KR101304721B1 (ko) * 2011-07-15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전방향 바퀴를 가지는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8628A (en) * 1967-10-04 1970-03-03 Weil Burt Cart for conveying and using articles of merchandise
US4192541A (en) 1978-02-08 1980-03-11 Burt Weil Cart having extensible auxiliary wheels
JPH09240481A (ja) * 1996-03-13 1997-09-16 Combi Corp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KR20030084458A (ko) 2002-04-26 2003-11-01 (주)테놉스 휴대용 쇼핑 카트
EP1630063A1 (de) 2004-08-27 2006-03-01 Wolf A. Dr. Dobinsky Transport-/Lager- Vorrichtung für Waren
TW200815168A (en) * 2006-09-18 2008-04-01 Durq Machinery Corp Fold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able type tool
US8083253B1 (en) 2007-12-03 2011-12-27 Jill Butler Shopping cart assembly with folding legs
WO2010125509A1 (en) 2009-04-28 2010-11-04 Christoff Erasmus Jooste A trolley
KR20120040435A (ko) * 2010-10-19 201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드 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58A (ja) * 1990-04-27 1992-01-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車格納式手押し台車
JP4211459B2 (ja) * 2003-03-31 2009-01-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折り畳み式買い物カート
JP2006155039A (ja) * 2004-11-26 2006-06-15 Toshiba Corp 店舗ロボット
KR101304721B1 (ko) * 2011-07-15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전방향 바퀴를 가지는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2443B (zh) 2018-04-27
KR20150040717A (ko) 2015-04-15
JP6289994B2 (ja) 2018-03-07
JP2015074442A (ja) 2015-04-20
DE102014211284A1 (de) 2015-04-09
US9102343B2 (en) 2015-08-11
CN104512443A (zh) 2015-04-15
US20150097358A1 (en) 2015-04-09
DE102014211284B4 (de)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7756A1 (en) Rollaway storage cart with collapsible legs
US10696314B1 (en) Foldable cart system and method
US9126610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apparatus
US20200086906A1 (en) Foldable Cart Frame
USRE47616E1 (en) Hand truck
US9604660B1 (en) Foldable stroller to form a trolley
US20170066463A1 (en) Foldable truck
US20130153616A1 (en) Weight-Bearing Frame For Hand-Propelled Cart
US11931303B1 (en) Foldable tiltable wheelchair and frame therefor
KR101436284B1 (ko) 자전거용 다용도 트레일러
US20190126966A1 (en) Motorized kayak cart
KR101526692B1 (ko) 전동카트장치
US10035529B2 (en) Cart with lifting assistance
US20150203136A1 (en) Foldable luggage carrier
WO2006094958A1 (en) Shopping cart
CN110167822B (zh) 用于推车的可折叠摇摆装置、设置有该装置的推车及用于该装置的方法
KR101504724B1 (ko) 운반용 카트
CN210707487U (zh) 一种折叠式载物车
CN205292748U (zh) 一种婴儿手推车
US2442620A (en) Folding two-wheeled baby carriage
KR101526691B1 (ko) 전동카트장치
AU2017383363A1 (en) Trolley with vehicle storage device
RU2646019C1 (ru) Ручная тележка и погрузоразгрузочный механизм
WO2017137574A1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oldable vehicle and foldable vehicle
CN217804801U (zh) 载物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