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459B1 -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 Google Patents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459B1
KR101526459B1 KR1020130097987A KR20130097987A KR101526459B1 KR 101526459 B1 KR101526459 B1 KR 101526459B1 KR 1020130097987 A KR1020130097987 A KR 1020130097987A KR 20130097987 A KR20130097987 A KR 20130097987A KR 101526459 B1 KR101526459 B1 KR 10152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dangerous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898A (ko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김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중 filed Critical 김대중
Priority to KR102013009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대상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동적인 모니터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하던 것에서 벗어나 위험대상 주변에 존재하는 일반인에게 위험요소를 통지하여 능동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할 수 있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Mobile electronic devices for dangerous target's wearing, system and method for dangerous target access notification}
본 발명은 위험대상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동적인 모니터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하던 것에서 벗어나 위험대상 주변에 존재하는 일반인에게 위험요소를 통지하여 능동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할 수 있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많은 범죄가 발생하고 있고, 사회적 약자인 여성이나 아동이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을 예방하고자 특히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공개하거나 성범죄자에게 전자 위치 추적(전자 발찌) 장치를 착용하도록 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처럼 지금까지는 위험인물의 위험 행동을 제약하기 위해 이동전자기기를 신체일부에 부착을 시켜 이동전자기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관할 센터에서 위험 대상물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관리 방법은 위험인물에게 이동전자기기를 부착시켜 위험인물의 위치를 기지국이나 GPS 수신기를 통해 해당 이동전자기기의 위치를 통해 파악하고 어떤 사고가 발생시 또는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의 온 오프 또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상태로만 위험인물을 관리하는 수동적인 모니터링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의 위험인물 관리방법은 무엇보다도 일반인들이 자신의 주변으로 위험인물이 근접함에도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범죄상황과 같이 어떠한 일이 발생한 경우 관리대상 위험인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야하지만 주변기지국 위치기반 기술 및 GPS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통해 위험인물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오차가 많아 필요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더욱이, 위험인물의 행동패턴분석이 안되어 관리를 관할하는 센터에서는 수동적인 위험인물 관리기능밖에 수행할 수밖에 없어 비용대비 사회적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도 현재의 위험인물 관리방법은 문제가 많다할 것이다.
그러므로 범죄가 발생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위험인물을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대상에게 착용하게 할 이동전자기기를 초소형화하여 팔목이나 발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형 중계기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대상 주변에 있는 일반인들에게 위험대상의 근접 정보를 통보하여 위험환경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상황 발생시에도 위험대상이 착용한 이동전자기기와 근접 이동단말기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기존방식의 위치기반의 위치오류를 최소화 하여 위험대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 등 관계기관에 정확한 위치를 통보함으로써 빠른 구난이 가능한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대상이 착용한 이동전자기기의 행동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대상의 위험요소를 주변인에게 바로 통보하여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되어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등록이동전자기기 및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송신할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황판단부;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GPS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위험상황판단부가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가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된 후,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관제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OFF 되면 작동하여 상기 이동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위험대상접근정보 및 긴급위험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고, 위험상황발생시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하는 관제서버; 및 이동전자기기가 착용된 위험대상의 개인정보,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관찰대상기기정보,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이용자정보, 상기 이용자 소유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기기정보,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관계기관정보, 및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자기기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일정거리가 20m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위험상황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이동전자기기가 수신하여 송신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대상접근정보 처리부,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정보을 포함한 분석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위험대상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요청 처리부는 상기 이동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착용한 위험대상과의 거리가 20m이내 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가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 관제서버가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위험대상접근정보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자기기가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 또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요청단계는 관제서버가 상기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정거리는 20m 이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거리가 10m 미만인 조건, GPS상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전자기기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가 5분 이상 이동이 없는 조건,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에 적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험대상접근정보가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되는 단계의 각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면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여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 또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요청단계는 상기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상기 이동전자기기와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거리가 10m 미만인 조건, GPS상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전자기기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가 5분 이상 이동이 없는 조건, 상기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대상에게 착용하게 할 이동전자기기를 초소형화하여 팔목이나 발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형 중계기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대상 주변에 있는 일반인들에게 위험대상의 근접 정보를 통보하여 위험환경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상황 발생시에도 위험대상이 착용한 이동전자기기와 근접 이동단말기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기존방식의 위치기반의 위치오류를 최소화 하여 위험대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 등 관계기관에 정확한 위치를 통보함으로써 빠른 구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대상이 착용한 이동전자기기의 행동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대상의 위험요소를 주변인에게 바로 통보하여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자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의 개략적인 통신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의 이동에 따른 개략적인 패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를 위한 위치모니터링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특징이 종래 전자팔찌 등으로 위험인물에 대한 수동적인 모니터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하던 것에서 벗어나 위험대상 주변에 존재하는 일반인에게 위험요소를 통지하여 능동적으로 위험대상을 관리할 수 있는 구성의 이동전자기기, 그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및 방법에 있으므로 이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자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는 법원의 판단 등 사회적 합의에 의해 위험대상으로 확정되어 위치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위험인물에게 착용시키는 이동전자기기로서 전자팔찌 및 전자발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가능하면 이동전자기기를 착용하는 위험대상은 착용된 이동전자기기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형 중계기로 작용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1), 위험상황판단부(12), 경보발생부(13),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전자기기(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이동전자기기(10)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에서 무선통신부(11)는 이동전자기기(10)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20)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 관제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이동전자기기(1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통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GPS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어디에나 설치되어 있는 무선 랜(LAN)을 이용한 통신방식 즉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RF, FM, AM, TRS, 적외선(IrDa) 등의 일반적인 무선통신이 될 수도 있고, 블루투쓰 UWB 등의 보다 지능화된 디지탈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모듈일 수도 있으며, 이중의 일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쓰 통신의 경우 각각의 블루투쓰 이동전자기기들은 할당받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과 선택에 따라 블루투쓰 이동전자기기들은 주변의 타 이동전자기기들 중의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다수의 주변 이동전자기기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모듈은 이동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GPS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동전자기기(1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여 얻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의 무선통신부(11)가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및 GPS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위치파악을 위한 기지국과 이동전자기기 간의 위치측량방식과 이동전자기기에 포함된 GPS모듈을 통한 위치정보에 더하여 어디에나 설치 되어있는 무선랜 장비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모듈을 통해 무선랜 AP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이동전자기기가 착용된 위험대상의 거의 정확한 위치에 해당하는 근사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위험대상에 대해 정확한 위치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무선랜에 접속하기위해서는 접근 암호가 있어야 하나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는 별도의 접근암호가 없어도 자동으로 모든 무선랜 장비에 연결이 되어 위치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도록 설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중망에 무선랜이 연결이 안 된 무선랜 장비도 있으므로 무선랜 장비가 공중망에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연결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접속을 자동으로 끊고 근접 무선랜 장비에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가 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면 일시적인 이동망의 단절 또는 신호이상이 발생시 무선랜 망을 이용하여 위험대상접근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주변의 일정거리에 위치한 위험대상접근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가 보유한 스마트폰, PDA, 스마트패드, 넷북 등을 포함하는 각종 이동전자기기 즉 임시보호대상으로 설정되는 등록이동단말기기로부터 등록이동단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모든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이 되도록 즉 무선랜 장비들이 해당 이동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위험대상접근서비스 가입시 등록이동전자기기의 무선랜 접속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1)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이동전자기기(10) 주변의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들(20)로부터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이동형 중계기처럼 자유롭게 수신한다. 여기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는 특히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등록이동단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위험대상접근서비스를 통제하는 관제서버(30)로 송신된다. 특히 이동전자기기(10)는 무선통신부(11)를 통해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부(11)를 통해 이동전자기기(1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이동전자기기(10)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및 위험상황판단부(12)가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에서 위험상황판단부(12)는 이동전자기기(10)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제서버(30)로 송신할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은 이동전자기기(10)와 등록이동전자기기(20)의 거리가 10m 미만인 조건, GPS상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이동전자기기(10) 및 등록이동전자기기(20)가 5분 이상 이동이 없는 조건, 이동전자기기(10)의 전원이 꺼지는 조건 등일 수 있는데, 그 밖에 다양한 위험상황발생조건이 메모리부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관제서버(30)가 분석한 위험대상의 행동패턴정보를 근거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험상황판단부(12)는 이동전자기기(10)의 현재상태 즉 현재위치정보 및 기 저장된 이동전자기기(10)소유자의 행동패턴정보, 등록이동전자기기(20)의 현재위치정보를 근거로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무선통신부(11)를 통해 관제서버(3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위험상황판단부(12)는 제어부와 연계되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어부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발생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경보발생부(13)는 위험상황판단부(12)에서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가 무선통신부(11)를 통해 관제서버(30)로 송신된 다음, 다시 관제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동전자기기(1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등록이동전자기기(20)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고음의 경보를 울리게 할 수 있는 오디오출력부일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는 이동전자기기(10)의 각종 기능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예를 들어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이동전자기기(10)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이동전자기기(10)의 식별정보와 지정위치정보 및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전자기기(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이동전자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의 제어부와 연관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적절히 분배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단일의 고속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도 안테나를 제외한 대부분의 회로들이 제어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단일의 칩으로 집적되어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10)가 보조배터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배터리(14)는 이동전자기기(10)의 전원이 OFF 되면 작동하여 이동전자기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동전자기기(10)가 착용된 위험대상이 본인의 의지로 이동전자기기(10)의 전원을 OFF하거나 사고로 이동전자기기(10)의 전원이 OFF되는 경우에도 이동전자기기(10)의 위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공지된 구성의 배터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의 개략적인 통신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전자기기의 이동에 따른 개략적인 패턴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1)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자기기(10), 관제서버(30) 및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1)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1)이 구현될 수 있다.
위험대상착용용 이동전자기기(10)는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가능한 소형이고 착용이 용이한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자기기(10)는 이동전자기기(10)를 중심으로 20m범위 내에 존재하는 위험대상접근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등록이동전자기기(21 내지 28)로부터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관제서버(30)로 송신한다. 이동전자기기(10)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뿐만 아니라 이동전자기기(1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이동전자기기(10)의 측정된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또한 관제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이동전자기기(10)는 등록이동전자기기(28)의 경우 이동전자기기(10)로부터 10m이내의 거리에 있으므로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또한 관제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관제서버(30)는 이동전자기기(10)와 통신하여 이동전자기기(10)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20)로 위험대상접근정보 및 긴급위험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고, 위험상황발생시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이동전자기기(10)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등록이동전자기기(20)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전자기기(10)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해당 이동전자기기(10)의 동선을 파악하고 유사시 이동패턴을 분석하여 이동전자기기(10)와 근접하여 위치한 일반인 중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게 위험요소를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제서버(30)는 위험대상접근정보처리부 및 긴급구조요청처리부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메모리부, 유,무선통신부 등 공지된 서버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관제서버(30)의 위험대상접근정보처리부는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등록이동전자기기(20)로부터 이동전자기기(10)가 수신하여 송신한 등록이동전자기기(20)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이동전자기기(1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이동전자기기(10)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등록이동전자기기(20)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위험대상접근정보처리부가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게 되면 관제서버(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이동전자기기(20)로 이동전자기기(10)를 착용한 위험대상과의 거리가 20m이내 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송신하여 위험을 통보한다.
관제서버(30)의 긴급구조요청처리부는 이동전자기기(10)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등록이동전자기기(20)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할 뿐만 아니라, 이동전자기기(10)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등록이동전자기기(28)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21 내지 27)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필요한 경우 긴급구조요청처리부는 이동전자기기(10)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이동전자기기(10)로 송신할 이동전자기기(10)의 경보발생부(13)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하여 송신한다.
관제서버(30)의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부는 이동전자기기의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정보을 포함한 분석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에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위험대상의 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된 결과는 위험대상의 위험요소를 발견할 수 있게 하며 데이터베이스(40) 및 이동전자기기(10)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이동전자기기가 착용된 위험대상의 개인정보,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관찰대상기기정보,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이용자정보, 상기 이용자 소유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기기정보,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관계기관정보, 및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며, 관제서버(30)와 연동되어 관제서버(30)가 적절하게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구성의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자기기(10)를 착용한 위험대상이 이동하게 되면 이동전자기기(10)의 이동에 따라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은 일정 구역으로 구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은 이동전자기기가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관제서버가 이동전자기기로부터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 단계, 관제서버가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관제서버가 위험대상접근정보를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동전자기기가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관제서버가 긴급위험정보,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긴급구조요청단계는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자기기(10)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켜져 있지 않으면 위험상황발생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70), 켜져 있으면 이동전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현재 위치정보가 없으면 현재위치정보를 측정 또는 수신하여 관제서버로 통보한다(S121). 현재 위치정보가 있으면 이동전자기기(10)가 착용된 위험대상의 거주지로 등록된 지정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지정위치이면 이동전자기기(10)를 중심으로 20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에 가입된 주변 등록이동전자기기를 검색하여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에 통보하고 필요한 경우 위험상황발생조건인지여부를 판단한다(S140).
지정위치가 아니면 현재위치정보를 측정 또는 수신하여 관제서버로 통보한다(S150).
그 후 이동전자기기(10)를 중심으로 20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에 가입된 주변 등록이동전자기기를 검색하여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에 통보한다(S160).
그 후 위험상황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이 때 위험상황조건의 발생여부는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이동전자기기와 등록이동전자기기의 거리가 10m 미만인 조건, GPS상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이동전자기기 및 등록이동전자기기가 5분 이상 이동이 없는 조건,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위험상황조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위치모니터링을 통해 관제서버에 통보하고 관제서버는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여 주변등록이동전자기기로 통보한다(S210). 주변 등록이동전자기기는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음을 출력한다(S211).이 때 관제서버는 위치모니터링 정보를 갱신하고 위험대상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행동패턴분석결과 또한 갱신할 수 있다.
위험상황조건이 발생했으면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관제서버로 통보한다(S180). 관제서버는 긴급위험정보를 생성하여 위험상황에 처한 등록이동전자기기로 통보한다(S220). 위험상황에 처한 등록이동전자기기는 사용자가 긴급위험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음을 출력한다(S211).
또한 관제서버는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계기관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이동전자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소방서, 경찰서 등 관계기관에 통보한다(S230). 긴급구조요청신호를 받은 소방서 및 경찰서 등 관계기관은 긴급구조요청신호를 통해 출동해야할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다(S231).
경우에 따라서는, 관제서버가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동전자기기로 통보할 수 있다(S240). 이동전자기기는 경보발생부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발생부를 제어하여(S241) 경보를 발생시켜 위험상황에 처한 등록이동전자기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주변인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S242).
여기서, S220, S230, S240은 동시에 일어나거나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를 위한 위치모니터링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에서 이루어지는 위치모니터링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대상이 착용한 이동전자기기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이동전자기기를 이동형 중계기로 삼아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 즉 20m 이내에 위치한 위험대상접근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관제서버로 송신하고 관제서버는 송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임시DB로 등록하는 동시에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위험요소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치가 변경되면 쓸모 없어진 임시DB는 삭제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험요소가 발견되면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등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험요소접근통지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포함된 각 단계 및 위험요소접근통지시스템(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위험대상접근통지프로그램이 관제서버(30)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고, 관제서버(30)의 제어부가 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위험요소접근통지방법을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대상접근통지프로그램이 이동전자기기(10)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10 : 이동전자기기 11 : 무선통신부
12 : 위험상황판단부 13 : 경보발생부
20 : 주변등록이동전자기기 30 : 관제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되어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등록이동전자기기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송신할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황판단부;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GPS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위험상황판단부가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가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된 후,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관제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OFF 되면 작동하여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6.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위험대상접근정보 및 긴급위험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고, 위험상황발생시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하는 관제서버; 및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가 착용된 위험대상의 개인정보,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관찰대상기기정보,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이용자정보, 상기 이용자 소유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기기정보, 긴급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관계기관정보, 및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는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일정거리가 20m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위험상황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한 위험상황발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일정거리가 20m 이내인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가 수신하여 송신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에 기저장된 식별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대상접근정보 처리부,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정보을 포함한 분석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위험대상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위험대상 행동패턴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요청 처리부는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를 착용한 위험대상과의 거리가 20m이내 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시스템.
  12.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가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에 가입된 등록이동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위험대상 접근 통지서비스 관제서버가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의 식별정보 및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수신된 임시보호대상기기정보 및 임시관찰대상기기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위험대상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대상접근정보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가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의 특정상황이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험상황발생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긴급위험정보 또는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관계기관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와 근접한 다른 등록이동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긴급구조요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긴급구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요청단계는 관제서버가 상기 위험상황발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로 송신할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의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거리는 20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험상황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와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의 거리가 10m 미만인 조건, GPS상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 및 상기 등록이동전자기기가 5분 이상 이동이 없는 조건, 상기 위험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대상접근통지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97987A 2013-08-19 2013-08-19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KR10152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87A KR101526459B1 (ko) 2013-08-19 2013-08-19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87A KR101526459B1 (ko) 2013-08-19 2013-08-19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98A KR20150020898A (ko) 2015-02-27
KR101526459B1 true KR101526459B1 (ko) 2015-06-05

Family

ID=5257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987A KR101526459B1 (ko) 2013-08-19 2013-08-19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3444A (ko) * 2010-09-30 2012-04-09 서재하 휴대폰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101282790B1 (ko) * 2013-03-15 2013-07-05 이정인 성범죄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110037129A (ko) * 2009-10-06 2011-04-13 천홍구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3444A (ko) * 2010-09-30 2012-04-09 서재하 휴대폰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101282790B1 (ko) * 2013-03-15 2013-07-05 이정인 성범죄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98A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7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 user
JP5972858B2 (ja) ターゲット捜索システム及びその捜索方法
CN104574805B (zh) 监视事件和人员位置的系统和方法
KR101792339B1 (ko)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06085280A2 (en) Monitoring system
CA3028331A1 (en) Location system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s
US201800899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al Tamper Reset in a Monitoring System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US10033457B2 (en) Blind spot determination
JP2017005668A (ja) 防犯及び防災システム
KR101324933B1 (ko)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03997713A (zh) 一种利用基站定位的手表
KR101166075B1 (ko)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9728A (ko) 노약자의 생체 및 정밀위치 정보의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한 노약자 안전관리시스템
KR101526459B1 (ko)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JP2008192096A (ja) 情報監視装置、情報監視システム、情報監視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40139183A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KR101487208B1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KR101537815B1 (ko) 위치 및 단말 정보 기반 사용자 위험 상황 예측 시스템
KR101537814B1 (ko) 위치 및 시간 기반 사용자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KR101009928B1 (ko) 모바일 통신망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및위치추적 시스템
US20190164401A1 (en) Object tracking system
KR101489839B1 (ko) 전자구속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과 방법
KR20170095556A (ko) 조난 알림 모듈 및 방법
KR101537816B1 (ko) 위치 및 단말 정보 기반 사용자 위험 상황 예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