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242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242B1
KR101526242B1 KR1020120114277A KR20120114277A KR101526242B1 KR 101526242 B1 KR101526242 B1 KR 101526242B1 KR 1020120114277 A KR1020120114277 A KR 1020120114277A KR 20120114277 A KR20120114277 A KR 20120114277A KR 101526242 B1 KR101526242 B1 KR 10152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iner
cosmetics
metal plat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921A (ko
Inventor
송지성
이수근
정재윤
서동민
박광일
이가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용기 본체; 외부와 유체 연통되게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 위에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체결구가 형성된 체결면 및 상기 체결면의 이면에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의 체결부가 모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 형상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요홈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세트로 구성된 화장품을 하나로 묶음 구비되도록 하고, 한 번의 동작으로 여러 종류의 화장품 용기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어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 본체에 화장품의 변질을 체크할 수 있는 산화 감지기를 구비함으로써, 변질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캡에 휘발량이 일정한 액체를 구비하여 화장품이 공기에 노출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의 화장품을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하나 당, 한 종류의 화장품을 보관함으로써 각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즉, 보관이 용이하도록 여러 종류의 화장품을 하나의 묶음으로 구비하고자 할 때, 하나의 통에 두 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두 개의 배출구 사이의 일 지점에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되고, 구획된 각각의 내부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품이 하나로 형성된 통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한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통을 반전시키면 다른 종류의 화장품이 같이 쏟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화장품에 따라 유통기한이 상이한 경우, 동일한 통에 구비되기 때문에 한 종류의 화장품에 변질이 발생하더라도 변질이 발생하지 않은 화장품을 다 사용하기 전에는 통을 교체할 수 없었다. 또한, 내부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화장품의 변질 여부도 통상적인 유통기한으로 잡는 방법 외에 실질적으로 화장품이 변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출구에 별도의 뚜껑을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담긴 배출구만 개방하더라도, 통의 상하를 반전시키게 되면 사용하지 않는 화장품 역시 지속적으로 뚜껑 쪽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밀폐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장품이 누출된다. 또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뚜껑과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화장품이 끼면서 화장품이 소량씩 지속적으로 누출된다. 또한, 냄새를 맡아 보거나 실제로 화장품의 질감을 감지하는 방법 외에는 화장품의 변질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세트로 구성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미사용 화장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 전에 화장품의 변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 종의 화장품을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품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용기 본체;
외부와 유체 연통되게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 위에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체결구가 형성된 체결면 및 상기 체결면의 이면에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의 체결부가 모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 형상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요홈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의 상기 접촉면 중 일 체결부의 접촉면과, 상기 일 체결부의 상기 접촉면에 접하는 타 체결부의 접촉면 형상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 체결부의 접촉면과 상기 타 체결부의 상기 접촉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에는 인접한 타 용기 본체와 접하도록 형성된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의 이면에 형성된 용기 디자인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 중, 일 용기 본체의 결합면은, 상기 일 용기 본체의 상기 결합면과 접하는 타 용기 본체의 결합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 용기 본체의 상기 결합면과, 상기 타 용기본체의 상기 결합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면에는 각각 자석이 결합되되,
상기 자석은 각각의 상기 결합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면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디자인면의 둘레를 따라 탈장착 가능하게 체결된 본체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디자인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의 화장품과 연통되는 관통로, 상기 관통로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된 반응공간, 및 상기 반응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의 산화물과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되는 반응부를 포함하는 산화 감지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부는, pH에 따라 색이 변하는 지시약, 상기 관통로 측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화장품의 산화물보다 산소와의 반응성이 큰 제1금속판, 상기 지시약과 상기 제1금속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속판에 자유전자를 공급하는 제2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금속판은, 마그네슘 또는 나트륨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에는 단위 시간당 휘발량이 일정한 액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액체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에는 상기 액체를 흡수하는 심지, 및 상기 심지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액체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장식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물은 꽃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트로 구성된 화장품을 하나로 묶음 구비되도록 하고, 한 번의 동작으로 여러 종류의 화장품 용기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어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 본체에 화장품의 변질을 체크할 수 있는 산화 감지기를 구비함으로써, 변질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캡에 휘발량이 일정한 액체를 구비하여 화장품이 공기에 노출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여러 종류의 하나로 체결함으로써, 사용 용도가 비슷하거나 사용 순서가 인접한 화장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한 번의 개폐로 세트로 구비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종래의 다용도 화장품 용기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하나의 세트로 구비할 때 개선해야할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더욱이 화장품의 변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변질된 화장품을 피부에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
외부와 유체 연통되게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110) 위에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체결구(122)가 형성된 체결면(121a, 121b) 및 상기 체결면(121a, 121b)의 이면에 형성된 접촉면(123a, 123b)을 포함하는 체결부(120); 및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의 체결부(120)가 모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부(120) 형상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132)가 형성된 체결요홈(135)이 형성된 캡(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각 종류에 따른 화장품을 담는 용기 본체(110)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용기 본체(110)를 체결하는 캡(130)은 하나로 구비함으로써, 기초화장을 위해 사용되는 스킨 로션과 같이 한 과정의 피부관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단계의 화장품이 한번에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계의 화장품을 사용할 때 캡(130)을 열고 닫는 과정을 줄일 수 있어 캡(130)을 만지는 과정에서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 오염되지 않은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라인, 예를 들어 기초화장용이나, 기초 화장용 중 피부타입별로 구분된 화장품을 혼동하지 않고 용이하게 구분하거나, 남성용 또는 여성용의 화장품을 구비함으로써, 커플용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스킨과 로션을 하나의 세트로 구비할 수도 있고, 여성용 스킨과 남성용 스킨 또는 여성용 로션과 남성용 로션 등으로 화장품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세트로 구비된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체결부(120)는 각각의 체결부(120a, 120b)에 구비된 접촉면(123a, 123b)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 개의 체결부(120a, 120b)의 상기 접촉면(123a, 123b) 중, 일 체결부(120a)의 접촉면(123a)은, 상기 일 체결부(120a)의 상기 접촉면(123a)에 접하는 타 체결부(120b)의 접촉면(123b)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 체결부(120a)의 접촉면(123a)이 곡선의 형태로 구비된다면, 타 체결부(120b)의 접촉면(123b)은 일 체결부(120a)의 접촉면(123a)의 곡선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함으로서, 복수 개의 체결부(120a, 120b)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하나의 캡(130)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110a, 110b)에는 인접한 타 용기 본체(110a, 110b)와 접하도록 형성된 결합면(113a, 113b) 및 상기 결합면(113a, 113b)의 이면에 형성된 용기 디자인면(111a, 111b)이 구비된다. 즉, 상기 체결부(12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a, 110b)가 서로 밀착상태를 유지할 때 인접한 용기 본체(110a, 110b)와 접하는 결합면(113a, 113b)과, 용기 본체(110a, 110b)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용기 디자인면(111a, 111b)으로 용기 본체(110a, 110b)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면(113a, 113b) 역시 인접한 용기 본체(110a, 110b)의 결합면(113a, 113b)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일 용기 본체(110a)의 결합면(113a)이 곡선으로 형성된다면 타 용기 본체(110b)의 결합면(113b) 역시 일 용기 본체(110a)의 결합면(113a)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구비되어 일 용기 본체(110a)와 타 용기 본체(110b)가 서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체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체결부(120)는 체결부(120)를 덮는 캡(130)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부(120)의 형상에 따라 캡(130)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체결부(120)가 삽입되는 체결요홈(135)에는 제2체결구(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체결구(132)는 각각의 체결부(120a, 120b, 120c)에 형성된 제1체결구(122a, 122b, 122c)와 요철결합된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구(122a, 122b, 122c)와 제2체결구(132)가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방향에 따라 캡(130)이 체결부(120a, 120b, 120c)와 결합되거나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체결요홈(135)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20a, 120b, 120c)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 형상이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세트로 구비되는 체결부(120a, 120b, 120c)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원통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캡(130)이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일 체결부(120a)의 상기 접촉면(123a)과 상기 타 체결부(120b, 120c)의 상기 접촉면(123b, 123c)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세트로 구비된 체결부(120)에 형성된 제1체결구(122)는 인접한 체결부(120)와 서로 연속되는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체결부(120a, 120b, 120c)에 형성된 제1체결구(122a, 122b, 122c)가 제2체결구(132)에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제1체결구(122a, 122b, 122c)와 제2체결구(132)가 단순히 요철결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캡(130)이 회전구동과 관계없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체결부(120a, 120b, 120c)와 결합여부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c처럼 단순히 체결부(120a, 120b)가 서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 도 2d처럼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는 원통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요철결합 후 회전구동하는 방식으로 캡(130)과 체결부(120a, 120b, 120c)가 서로 체결되거나 해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1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 중, 일 용기 본체(110a)의 결합면(113a)은, 상기 일 용기 본체(110a)의 상기 결합면(113a)과 접하는 타 용기 본체(110b)의 결합면(113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용기 본체(110a)의 상기 결합면(113a)과, 상기 타 용기 본체(110b)의 상기 결합면(113b)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a, 110b)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는,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디자인면(111a, 111b)의 둘레를 따라 탈장착 가능하게 체결된 본체 고정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a, 110b)를 서로 묶어주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a, 110b)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잇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13a, 113b)을 나선형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면(113a, 113b)에는 각각 자석(114a, 114b)이 결합되되, 상기 자석(114a, 114b)은 각각의 상기 결합면(113a, 113b)이 서로 인력에 의해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위치의 결합면(113a, 113b)에에 자석(114a, 114b)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석(114a, 114b)을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110)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용기 본체(110a, 110b)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자석(114a, 114b) 및 본체 고정구(140)는 용기 본체(110)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복수개의 용기 본체(110) 및 체결부(120)를 하나의 세트로 구비하는 것 외에도 화장품의 선도를 직접 피부에 적용하지 않아도 확인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 디자인면(111a, 111b)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의 화장품과 연통되는 관통로(152), 상기 관통로(152)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된 반응공간(154), 및 상기 반응공간(154) 내에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의 산화를 판독하는 반응부(153)를 포함하는 산화감지기(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반응부(153)는, 산화된 상태임을 판독하는 지시약(153z), 상기 관통로(152) 측에 위치한 제1금속판(153x), 및 상기 지시약(153z)과 상기 제1금속판(153x)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속판보다 반응성이 크고, 상기 제1금속판(153x)에 자유전자를 공급하면서 산화되는 제2금속판(153y)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장품과 접촉하고 있는 반응부(153)가 변질될 경우, 반응부(153)의 변질에 의해 화장품의 변질이 더 촉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품과 접촉하고 있는 제1금속판(153x)에 자유전자를 공급하는 제2금속판(153y)을 구비함으로써, 화장품의 산화물과 제1금속판(153x)이 접촉하고 있더라도 제1금속판(153x)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금속판(153y)으로는 마그네슘 또는 나트륨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된 상태임을 판독하는 지시약(153z)이 제1금속판(153x)과 제2금속판(153y)에 의해 화장품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금속판(153x)에 자유전자를 공급한 제2금속판(153y)은 산화되어 반응공간(154) 중 방사상 최외측에 위치한 지시약(153z)의 색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산화감지기(150)는 용기 디자인면(111a, 111b)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지시약(153z)이 변색되는 것을 외관으로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캡(1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화장품이 변질되지 않더라도 화장품을 구매한 이후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캡(130)에 액체(137)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0)의 체결요홈(135)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의 액체(137)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색 또는 무색의 투명한 재질이나 기타 재질 등으로 캡(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캡(130)에 눈금(133) 및 상기 눈금(133)에 따른 경과시간 등을 형성함으로써, 액체(137)의 잔류량에 따라 화장품 개봉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캡(130)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137)가 휘발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되, 캡(130)의 상하를 반전시켜도 액체(137)가 쏟아지지 않도록 통공을 작게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0)에 구비된 액체(137)를 흡수하는 심지(138a, 138a'), 및 상기 심지(138a, 138a')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액체(137)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장식물(138, 138')을 구비함으로써, 장식물(138, 138')이 팽창하는 정도에 따라 화장품의 개봉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식물(138, 138')을 꽃 형상으로 구비할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심지(138a, 138a')에서 액체(137)를 흡수한 양이 많아지면 봉오리 상태의 장식물(138)이 만개한 꽃 형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장식물(138, 138')과 심지(138a, 138a')의 형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체결요홈(135)을 삭제하였지만, 도 5b의 캡(130) 역시 도 5a와 마찬가지로 체결요홈(1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137)는 체결요홈(135)과 캡(1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하여 심지(138a, 138a')를 액체(137)에 담근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110a, 110b, : 용기 본체
111a, 111b: 용기 디자인면
113a, 113b: 결합면
114a, 114b: 자석
120, 120a, 120b, 120c: 체결구
121a, 121b: 체결면
122, 122a, 122b: 제1체결구
123a, 123b: 접촉면
130: 캡
132: 제2체결구
133: 눈금
135: 체결요홈
137: 액체
138, 138': 장식물
138a, 138a': 심지
140: 본체 고정구
150: 산화감지기
152: 관통로
153: 반응부
153x: 제1금속판
153y: 제2금속판
153z: 지시약
154: 반응공간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화장품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용기 본체;
    외부와 유체 연통되게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 위에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체결구가 형성된 체결면 및 상기 체결면의 이면에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의 체결부가 모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 형상에 대응되는 제2체결구와 체결요홈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용기 본체에는 인접한 타 용기 본체와 접하도록 형성된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의 이면에 형성된 용기 디자인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용기 본체 중, 일 용기 본체의 결합면은, 상기 일 용기 본체의 상기 결합면과 접하는 타 용기 본체의 결합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 디자인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의 화장품과 연통되는 관통로, 상기 관통로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된 반응공간, 및 상기 반응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의 산화를 판독하는 반응부; 를 포함하는 산화 감지기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부는, 산화된 상태임을 판독하는 지시약, 상기 관통로 측에 위치한 제1금속판, 및 상기 지시약과 상기 제1금속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속판보다 반응성이 크고, 상기 제1 금속판에 자유전자를 공급하면서 산화되는 제2금속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판은, 마그네슘 또는 나트륨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114277A 2012-10-15 2012-10-15 화장품 용기 KR10152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77A KR101526242B1 (ko) 2012-10-15 2012-10-15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77A KR101526242B1 (ko) 2012-10-15 2012-10-15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1A KR20140047921A (ko) 2014-04-23
KR101526242B1 true KR101526242B1 (ko) 2015-06-09

Family

ID=5065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277A KR101526242B1 (ko) 2012-10-15 2012-10-15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897B1 (ko) * 2015-01-21 2017-02-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의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011Y1 (ko) * 2000-04-03 2000-11-15 강봉윤 다중 용기
JP2005091008A (ja) * 2003-09-12 2005-04-07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酸素インジケ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袋、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011Y1 (ko) * 2000-04-03 2000-11-15 강봉윤 다중 용기
JP2005091008A (ja) * 2003-09-12 2005-04-07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酸素インジケ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袋、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1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053B2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refill container having sealing ring
EP2975967B1 (en) Compact using applicator as pushbutton
US4270659A (en) Reclosable dispensing blister card package
CN103906449A (zh) 可再填充的抽吸式安瓿容器
US20120125948A1 (en) Cardboard tube container of which the contents can be refilled
UA94256C2 (ru) Набор для сборки потребителем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отребительских изделий,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многократ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и подобный контейнер
US20100078341A1 (en) Container with two opposing lids
KR101526242B1 (ko) 화장품 용기
DE602004026148D1 (de) Behältnis zum Spenden von unterschiedlichen Medien
US20090081925A1 (en) Brasserie with scented member and dispenser therefore
WO2006023063A3 (en) Product container with removably attached magnet
KR102310817B1 (ko) 내용물 용기
JP2010094409A (ja) 化粧料用容器
JP5719307B2 (ja) ヒンジ蓋を有する容器
US5803097A (en) Single-dose cosmetic element
KR101918480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BRPI0413301A (pt) tampa de fechamento para um recipiente de despejo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US20230056378A1 (en) Portable and slender cosmetic container
CN105947395A (zh) 一种新型包装瓶盖
KR20100087528A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US11241073B2 (en)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refillable inner container
JPH0133180Y2 (ko)
JPS6131708Y2 (ko)
Smith et al. The roar on the other side of silence: A postmodern perspective on women and 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