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528A -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 Google Patents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528A
KR20100087528A KR1020090006586A KR20090006586A KR20100087528A KR 20100087528 A KR20100087528 A KR 20100087528A KR 1020090006586 A KR1020090006586 A KR 1020090006586A KR 20090006586 A KR20090006586 A KR 20090006586A KR 20100087528 A KR20100087528 A KR 20100087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ase
powder
side wall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881B1 (ko
Inventor
배명학
Original Assignee
배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학 filed Critical 배명학
Priority to KR102009000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8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화장료를 수납하는 화장료수납체를 구비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수납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면을 둘러서 고정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밑면을 밀봉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상하 운동이 가능한 밑면부; 및 상기 밑면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밑면부를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수납된 분말 화장료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케이스본체, 화장료수납체, 화장료, 조정부

Description

분말용 화장품케이스{Powder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 파우더팩트와 같은 분말성분의 화장료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 파우더팩트와 같은 분말성분의 화장료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의 일측과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케이스뚜껑과 케이스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화장료를 수납하는 화장료수납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케이스에 수납되는 분말 화장료는 케이스본체 내에 구비된 퍼프(puff)를 사용하여 찍어 바르기 방법으로 얼굴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화장료수납체에 수납된 화장료를 마지막까지 남김없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것은 퍼프(puff)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화장료수납체의 구석에 담겨진 화장료를 묻히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의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 화장료수납체가 일체로제조됨으로써, 화장료수납체만을 독립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것이 어렵고, 제품 의 제조 및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의 재활용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된 분말 화장료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한 화장료수납체를 개발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화장료수납체가 케이스본체와 착탈이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과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케이스뚜껑과,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수납체를 구비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화장료수납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면을 둘러서 고정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밑면을 밀봉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상하 운동이 가능한 밑면부; 및 상기 밑면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밑면부를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는, 중공 원통의 형태로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밑면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이며, 상기 원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면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조정부는, 회동에 의해 상기 밑면부를 상기 원판 형태의 중 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밑면부는, 하부면의 중심에 볼록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내측면의 일부 둘레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부는, 상부면의 중심에 상기 볼록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홈부재가 형성되고, 외측면의 일부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여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수나사산을 상기 암나사산과 치합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재를 상하 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밑면부의 볼록부재는, 외측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부의 홈부재는, 개방구의 내측의 둘레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상기 볼록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정부는, 하부면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하부면에는 상기 조정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밑면부의 상부면에는, 수납되는 화장료를 홀딩하는 홀딩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내측면에 사전에 정해진 문양을 형성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밑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나누어져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섹터의 모양에 대응하여 돌출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조정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섹터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수납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화장료수납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조정부의 회동에 의해 화장료가 수납된 밑면부가 상하 이동하는 화장료수납체를 구비함으로써, 분말 화장료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화장료수납체를 독립적인 모듈로서 케이스본체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장료수납체만을 독립적으로 제작하거나 유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화장료수납체의 밑면부의 상부면에 화장료를 홀딩하는 홀딩부재를 구비하여, 화장료를 화장료수납체에 안정적으로 점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제조업체의 로고등을 격벽으로 표시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화장료수납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 및 제조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의 전체사시도이고, 도2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조정부를 동작시키기 전 도면이고, 도3은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조정부를 동작시킨 후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에 대해 설명한다.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는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케이스뚜껑(20)과, 케이스본체(10) 내부에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수납체(30)를 구비한다..
케이스본체(10)는 외부 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추가적으로, 퍼프(40), 퍼프(40)와 화장료수납체(30) 사이에 개재되어 화장료를 보호해 주는 중간뚜껑(50)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본체(10)에는, 후술하는 화장료수납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통 형태의 수용공간의 내측에 화장료수납체(30)가 수용된다. 그리고, 케이스본체(10)의 내부 측면에는 화장료수납체(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362)이 케이스본체(10)의 내측, 원통 형태의 수용공간의 하부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턱(362)은,케이스본체(10)로부터 수용공간의 하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화장료수납체(30)의 측벽부(32)와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턱(362)의 상부면에 별도의 결합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수납체(3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 는 케이스본체(10)의 고정턱(362)과 측벽부(32)의 결합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였으나, 이것은 공지의 착탈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본체(10)의 내부 측면에 고정홈을 마련하고, 이 고정홈에 대응하여 측벽부(32)의 외측면에 결합부재로서 탄성소재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홈 및 탄성소재의 돌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부 측면 및 측벽부(32)의 외측면에 2개 이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장료수납체(30)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케이스본체(10)에 화장료수납체(30)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화장료수납체(30)는, 케이스본체(1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화장료수납체(30)는 전술한 케이스본체(10)의 내측면 및 고정턱(3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수납체(30)는 측벽부(32)와 밑면부(34)와 조정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측벽부(32)는, 전체적인 형태가, 중공 원통의 형태로서 외측면이 케이스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고, 측벽부(32)의 하부면은 전술한 고정턱(362)의 상부면에 설치된 결합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32)를, 결합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턱(362)에 장착 및 탈거함으로써 케이스본체(10)에 화장료수납체(30)의 착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측벽부(32)의 내측면의 일부 둘레에는 암나사산(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조정부(36)의 수나사산(362)과 치합되어 회동한다.
밑면부(34)는, 화장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측벽부(32)의 밑면을 밀봉하고, 측벽부(32)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측벽부(32)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밑면부(34)는 측벽부(32)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여 원판의 형태이며, 원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측벽부(32)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부(34)의 하부면의 중심에는 볼록부재(34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정부(36)의 홈부재(364)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볼록부재(344)의 걸림턱(344a)은, 후술하는 조정부(36)의 홈부재(364)에 마련된 돌출턱(364a)에 걸려 홀딩되며, 밑면부(34)는 홈부재(364)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밑면부(34)는 화장료수납체(30)에 수납된 화장료를 안정되게 점착시키기 위한 홀딩부재(346)를 구비한다.
조정부(36)는, 전술한 밑면부(34)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밑면부(34)를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킨다. 여기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부(34)가 원판 형태인 경우, 조정부(36)는 회동에 의해 밑면부(34)를 원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정부(36)는, 상부면의 중심에 전술한 밑면부(34)의 볼록부재(344)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홈부재(36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정부(36)는 외측면의 일부 둘레에, 암나사산(322)에 대응하는 수나사산(362)이 형성되어, 회동에 의해 암나사산(322)에 수나사산(362)이 치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홈부재(364) 및 볼록부재(344)에 의해 결합된 밑면부(34)를 상하 운동시킨다. 이에 의 해, 밑면부(34)가 측벽부(32)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상하 운동하게 된다. 도2는 조정부(36)에 의해 밑면부(34)가 상승하기 전 도면이고, 도3은 조정부(36)에 의해 밑면부(34)가 상승한 후 도면이다.
또한, 조정부(36)는, 하부면이 케이스본체(10)의 하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하부면에는 조정부(36)를 회동하기 위한 손잡이부재(366)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부재(366)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파지된 상태에서 조정부(36)에 회전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손잡이부재(366)는 조정부(36)의 하부면에 일자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마련 될 수 있으며, 조정부(36)의 하부면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는, 조정부(36)의 회동을 통해 화장료가 담긴 밑면부(34)를 측벽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화장료수납체(30)에 담긴 화장료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밑면부(34)에 홀딩부재(346)가 형성되어 있어 화장료수납체(30)에 수납된 화장료가 안정되게 점착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는 케이스본체(10)로부터 화장료수납체(30)를 , 독립적인 모듈로서 케이스본체(10)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장료수납체(30)만을 독립적으로 제작하거나 유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2)의 전체사시도이고, 도5 및 도6은 도4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2)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와 동일하게,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케이스뚜껑(20)과, 화장료수납체(3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케이스(2)는, 제1 실시예에와 동일하게 화장료수납체(30)가 케이스본체(10)와 착탈이 가능하고, 조정부(36)의 회동에 의해 밑면부(34)가 측벽부(3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2)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32)는, 내측면에 사전에 정해진 문양을 형성하는 격벽(324)을 구비한다. 도4 및 도6은 알파벳 대문자 "H"자의 문양의 격벽(324)이 측벽부(32)에 형성된 것이다. 물론, 만들수 있는 문양은 알파벳과 같은 문자 외에도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여기서, 격벽(324)을 포함한 측벽부(32)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밑면부(34)에는, 전술한 격벽(324)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된 섹터의 모양에 대응하는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분은 조정부(36)의 회동에 의해 상기 섹터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섹터에 담긴 화장료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도5는 조정부(36)에 의해 밑면부(34)가 상승하기 전 도면이고, 도6은 조정부(36)에 의해 밑면부(34)가 상승한 후 도면이다.
이와 같이, 격벽(324)의 형성이 가능한 측벽부(32)를 이용하여, 화장료수납 체(30)에 수납된 화장료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자의 식별표지로 이용할 수 있고, 제품 자체의 시각적 장식미를 제고할 수 있다.
더불어,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1,2)에 포함되는 화장료수납체(30)의 전부 및 일부 구성을,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품의 경량화, 제작비의 절감 및 제작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는, 화장품제조분야 및 화장품 용기의 제조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각각 조정부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4의 B-B에 따른 단면도로서, 각각 조정부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2 :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10 : 케이스본체
12 : 고정턱 20 : 케이스뚜껑
30 : 화장료수납체 32 : 측벽부
322 : 암나사산 324 : 격벽
34 : 밑면부 344 : 볼록부재
346 : 홀딩부재 36 : 조정부
362 : 수나사산 364 : 홈부재

Claims (9)

  1.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과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케이스뚜껑과,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화장료수납체를 구비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수납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면을 둘러서 고정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밑면을 밀봉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면서 상하 운동이 가능한 밑면부; 및
    상기 밑면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밑면부를 상기 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중공 원통의 형태로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밑면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 모양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이며, 상기 원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며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조정부는, 회동에 의해 상기 밑면부를 상기 원판 형태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운동시키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부는, 하부면의 중심에 볼록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내측면의 일부 둘레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부는, 상부면의 중심에 상기 볼록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홈부재가 형성되고, 외측면의 일부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여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수나사산을 상기 암나사산과 치합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재를 상하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부의 볼록부재는, 외측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부의 홈부재는, 개방구의 내측의 둘레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상기 볼록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부면이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하부면에는 상기 조정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부의 상부면에는, 수납되는 화장료를 홀딩하는 홀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내측면에 사전에 정해진 문양을 형성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밑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나누어져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섹터의 모양에 대응하여 돌출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조정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섹터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수납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착탈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수납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KR1020090006586A 2009-01-28 2009-01-28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KR10109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586A KR101091881B1 (ko) 2009-01-28 2009-01-28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586A KR101091881B1 (ko) 2009-01-28 2009-01-28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528A true KR20100087528A (ko) 2010-08-05
KR101091881B1 KR101091881B1 (ko) 2011-12-09

Family

ID=4275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586A KR101091881B1 (ko) 2009-01-28 2009-01-28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6724A (ja) * 2014-06-02 2015-12-17 花王株式会社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2020162794A (ja) *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162B2 (ja) 1998-10-29 2003-02-04 カネボウ株式会社 化粧料容器
JP2002282041A (ja) 2001-03-27 2002-10-02 Key Tranding Co Ltd パウダー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6724A (ja) * 2014-06-02 2015-12-17 花王株式会社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2020162794A (ja) *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881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385854B1 (ko) 단일 핸들을 갖는 다중 어플리케이터 패키지
KR101521340B1 (ko) 비틀림 가능한 뚜껑을 가진 화장품 콤팩트
KR101684243B1 (ko) 뚜껑에 개폐버튼이 구비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US11564480B2 (en) Product containers for integration with devices and accessories
CN211431425U (zh) 化妆品容器
KR200479844Y1 (ko) 자석의 자기력을 활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2000262320A (ja) 異なるタイプの少なくとも2つの製品を備えたメークアップ用コンパクト
KR200494153Y1 (ko) 화장품 용기
US20180064229A1 (en) Compacts and apparatuses for holding cosmetics
KR101877139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50865A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WO2015101358A1 (zh) 化妆品包装
KR101091881B1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KR10188978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84166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8300Y1 (ko) 화장품 용기
WO2008001576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et ensemble destiné à suspendre un petit article employant ledit dispositif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170062249A (ko) 파우더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10119977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200274568Y1 (ko) 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