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783B1 - 유량계 - Google Patents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783B1
KR101525783B1 KR1020140049065A KR20140049065A KR101525783B1 KR 101525783 B1 KR101525783 B1 KR 101525783B1 KR 1020140049065 A KR1020140049065 A KR 1020140049065A KR 20140049065 A KR20140049065 A KR 20140049065A KR 101525783 B1 KR101525783 B1 KR 10152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inlet
path member
discharge por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998A (ko
Inventor
켄토 오오모리
나오히로 코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ublication of KR2015001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0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 G01F3/1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reciprocating pistons, e.g. reciprocating in a rotating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0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 G01F3/1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reciprocating pistons, e.g. reciprocating in a rotating body
    • G01F3/16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reciprocating pistons, e.g. reciprocating in a rotating body in stationary cylinders
    • G01F3/18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reciprocating pistons, e.g. reciprocating in a rotating body in stationary cylinders involving two or more cyl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구를 옆쪽 또는 아래쪽으로 설치해도 토출 영역 상부에 발생하는 공기 정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기 용이하며, 첫회 기름이 통과할 때(初回通油時)의 환류량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유량계(1)는 본체 케이싱(2) 내에 형성된 토출 영역(14)과, 급유 노즐로 통하는 토출구(4)와의 사이에 유로부재(21)를 배설하고 있다.

Description

유량계{Flow me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주유소에 설치되는 지상설치형의 급유장치에 이용되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유소에 설치되는 지상설치형의 급유장치에서는 케이스 내에 급유펌프, 급유모터 및 유량계 등이 수납되어 있어 급유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은 압력손실을 적게 하여, 콤팩트화한 급유 유닛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기술(특허문헌 1)은 여전히 유효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유량계의 실린더실에서 연료유가 계량되어, 슬라이드밸브보다 토출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유량계 내의 토출 영역의 상부에 공기 정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토출 영역의 상부에 공기 정체가 있으면, 처음 기름이 통과할 때의 환류량(기름의 흐름이 방향을 바꾸어 되돌아 가는 양)이 많아지게 되어, 초기설정에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12-158377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공기가 빠지기 쉽고, 처음 기름이 통과할 때의 환류량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계(1)는 본체 케이싱(2) 내에 형성된 토출 영역(14)과 급유노즐로 통하는 토출구(4)와의 사이에 유로부재(21)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로부재(21)는 본체 케이싱(2) 내의 상부(토출 영역(14)의 위쪽 영역(38))에 위치하는 곳에 유입구(25,26,27)가 형성되며, 토출구(4)에 위치하는 곳에 유출구(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유출구(24)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로부재(21)는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구(24)에 대하여 중심각이(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위치에 설치된 제1 유입구(25)와, 중심각이 180°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유입구(26)와, 270°의 위치에 설치된 제3 유입구(27)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제3 유입구(25,26,27)와 유출구(24)를 각각 연통하고 있는 제1~제3 유로(28,29,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유입구(25)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1 유로(28) 및 제3 유입구(27)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3 유로(30)는 유로부재(21)의 외주연부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연장하고 있고, 제2 유입구(26)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2 유로(29)는 제2 유로(29)로부터 유로부재(21)의 외주연부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연장하는 영역(32)과, 반지름 방향 안쪽의 영역을 원호 모양으로 연장하는 영역(34)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일면측(유량계(1)의 뚜껑체(11)에 당접하는 측)에는 다리부(3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외주연부에는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립(lip)(3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바깥 지름 치수 및 두께 치수는 유량계(1)의 토출 영역(14)의 안쪽 지름 치수 및 두께 치수에 대하여 소정의 치수(δ)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싱(2) 내에 형성된 토출 영역(14)과 토출구(4)와의 사이에 유로부재(21)를 배설했기 때문에, 본체 케이싱(2) 내의 토출 영역(14)의 상부에 발생한 공기 정체부(38)에 존재하는 공기를(유로부재(21)를 경유하는) 토출구(4)에 의해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토출 영역(14)은 유량계(1)의 실린더실(3)에서 계량된 연료유가 흐르는 영역이기 때문에, 유로부재(21)를 배설해도 유량계(1)의 실린더실(3)의 계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부재(2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계량 정도가 저하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유로부재(21)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2) 내의 상부, 즉 토출 영역(14)의 위쪽 영역에 위치하는 곳에 유입구(25,26,27)가 형성되고, 토출구(14)에 위치하는 곳에 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면, 유량계(1)의 토출 영역(14)의 압력이 토출구(4)의 압력보다도 고압이기 때문에, 유로부재(21)의 유입구(25,26,27) 측의 압력이 유출구(24) 측의 압력보다도 고압이 된다. 그리고, 해당 압력차(유량계(1)의 토출 영역(14)의 압력과 토출구(4) 압력의 압력차, 혹은 유로부재(21)의 유입구(25,26,27) 측의 압력과 유출구(24) 측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유량계(1)의 토출 영역(14)의 위쪽 영역에 존재하는 공기 정체부(38)의 공기가 유량계(1)의 토출구(4)로 배출된다.
또한 유로부재(21)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유출구(24)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유출구(24)의 하류 측 영역의 (연료유의) 흐름이 박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박리에 의한 유출구(24)의 하류 측의 영역과 토출 영역(14)과의 압력차가 감소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공기 정체부(38)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토출 영역(14) 내의 공기 정체부(38)는 유량계(1)의 토출구(4)가 위쪽인 경우 발생이 어렵고, 토출구(4)가 옆쪽인 경우(우측 혹은 좌측을 향해 있는 경우)와, 아래쪽인 경우에 발생한다. 그 때문에, 토출 영역(14)의 공기 정체부(38)와 유량계(1)의 토출구(4)와의 상대위치 관계는 공기 정체부(38)에 대해 토출구(4)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와,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와,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3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부재(21)가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제3 유입구(25,26,27)와, 제1~제3 유로(28,29,30)를 구비하고 있다면, 토출 영역(14)의 공기 정체부(38)와 유량계(1)의 토출구(4)와의 상대위치 관계가 상기 3종류의 어느 것이라도 유로부재(21)의 상기 제1~제3 유입구(25,26,27)의 어느 하나가 공기 정체부(38)에 연통하고, 상기 제1~제3 유로(28,29,30)의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공기 정체부(38)의 공기가 유량계(1)의 토출구(4) 측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유량계(1)의 토출구(4)의 레이아웃에 관계없이, 상술한 단일의 유로부재(2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기 정체부(38)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일면측(유량계(1)의 뚜껑체(11) 측)에 다리부(37)가 형성되어 있다면, 해당 다리부(37)가 유량계(1)의 뚜껑체(11)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유로부재(21)가 유량계(1)의 뚜껑체(11)에 당접하여 배치되며, 유로부재(21)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외주연부에 반지름 방향의 바깥 쪽에 돌출된 립(31)이 설치되어 있다면, 해당 립(31)의 탄성에 의해 유로부재(21)가 유량계(1)의 토출 영역(14) 내벽면에 지지 및 유지되고, 유량계(1) 내에 조립된 후에 유로부재(21)가 이동해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유로부재(21)가 연료유에 의해 수축하여, 그 반지름 방향의 치수가 작아진다고 해도 립(31)의 탄성에 의해 지지력이 확보되어 유로부재(21)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바깥 지름 치수 및 두께 치수가 유량계(1)의 토출 영역(14)의 안쪽 지름 치수 및 두께 치수에 대하여 소정의 치수(δ)만큼 작다면, 유로부재(21)가 연료유에 의해 팽윤하여, 바깥 지름 치수 및 두께 치수가 커지게 된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립(31)이 압축되어 바깥 지름 방향의 치수가 커지게 된 경우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유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로부재의 유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유로부재의 뚜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량계에 유로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우측에 토출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하측에 토출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좌측에 토출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유량계는 전체를 부호 1로 표시하고 있다. 유량계(1)는 본체 케이싱(2)을 구비하며, 본체 케이싱(2)에는 십자모양의 실린더실(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실린더실 (3a)와 (3b)만이 표시되어 있으며, 표시하지 않은 실린더실은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린더실을 포괄적으로 부호 3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실린더실(3a)(3b)에는 피스톤(5)이 배설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피스톤(5a)(5b)만이 표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은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피스톤을 포괄적으로 부호 5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서로 마주 향한 실린더실(3) 내의 피스톤(5)은 피스톤 로드 6(6a,6b)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피스톤 5a,5b는 피스톤 로드 6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 6b는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피스톤(도 1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피스톤)을 연결하고 있다.
본체 케이싱(2)의 측면에 토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의 위쪽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2)에는 유입구 케이싱(7)이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 케이싱(7)에는 유입구(8)가 형성되며, 유입구 케이싱(7) 내에는 슬라이드 밸브(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밸브(9)는 크랭크 축(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 축(10)은 피스톤 로드 6(6a,6b)에 계합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6이 왕복직선운동하면 크랭크 축(10)이 회전하여 슬라이드 밸브(9)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2)에 있어서, 도 1의 아래쪽에는 뚜껑체(11)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체(11)에는 크랭크 축(10)의 축수(12)와, 크랭크 축(10)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피스톤(5)과 뚜껑체(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부분은 토출 영역(14)을 구성하고 있으며, 토출 영역(14)의 뚜껑체(11) 측(도 1에서는 하측)에는 유로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영역(14)은 토출구(4)에 연통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2)에 있어서, 도 1의 좌우 양측 면에는 뚜껑체 C1, C2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케이싱(2) 내에는 유로 L11, L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난 상태에 있어서, 유입구(8)에 유입한 연료유(화살표 t1 참조)는, 슬라이드 밸브(9)의 개방 측(도 1에서는 좌측)의 관통 구멍(h1), 유로 (L11), 뚜껑체(C1) 내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실린더실(3a) 내로 유입한다. 실린더실(3a) 내에 유입한 연료유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5a)이 도 1의 우측으로 압압되어, 피스톤 로드(6a)와 피스톤(5b)이 도 1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6a)와 피스톤(5b)이 도 1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실린더실(3b) 내의 연료유는 가압되어(화살표 t2 참조), 뚜껑체(C2)의 내부공간, 유로(L12)를 통하여 슬라이드 밸브(9) 내의 공간을 흘러 통과한다. 그리고, 화살표 t3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연료유는 토출 영역(14)을 통하여 토출구(4)로부터 토출된다.
토출구(4)로부터 흘러나온(유출된) 연료유는 도시하지 않은 급유관, 급유호스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은 급유노즐로부터 차량의 연료탱크 등에 공급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6a)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 축(10)이 회전하고, 슬라이드 밸브(9)가 회전하여 개방 측이 교체된다.
도 1에 있어서, 토출 영역(14)과 토출구(4)와의 사이의 영역(도 1에서는 아래쪽 영역)에 유로부재(21)가 배설되어 있다. 유로부재(21)에 대해서 도 2~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로부재(21)는 예를 들면 수지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 ~ 도 4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유로부재(21)는 전체가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본체(22)와 뚜껑판(23)을 구비하고 있고, 뚜껑판(23)은 유로본체(22)에 고착되어 있다. 유로본체(22)에는 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부재(21)에는 제1 유입구(25), 제2 유입구(26), 제3 유입구(2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유출구(24), 제1 유입구(25), 제2 유입구(26), 제3 유입구(27)는 유로본체(22)와 뚜껑판(23)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유로본체(22)의 가상중심을 부호 O로 나타내면, 유출구(24), 가상중심(O), 제1유입구(25)는 중심각(θ1)을 형성하고 있고, 해당 중심각(θ1)은 반-시계방향으로 90°이다. 바꿔 말하면, 제1 유입구(25)는 유출구(2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중심각(θ1)이 90°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유출구(24), 가상중심(O), 제2 유입구(26)는 중심각(θ2)을 형성하고 있고, 해당 중심각(θ2)은 반-시계방향으로 180°이다. 바꿔 말하면, 제2 유입구(26)는 유출구(2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중심각(θ2)이 180°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24), 가상중심(O), 제3 유입구(27)는 중심각(θ3)을 형성하고 있고, 해당 중심각(θ3)은 반-시계방향으로 270°이다. 바꿔 말하면, 제3 유입구(27)는 유출구(2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중심각(θ3)이 270°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제1 유입구(25)와 유출구(24)는 제1 유로(28)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유입구(26)와 유출구(24)는 제2 유로(29)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또, 제3 유입구(27)와 유출구(24)는 제3 유로(30)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제1 유입구(25)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1 유로(28)와, 제3 유입구(27)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3 유로(30)는 유로본체(22)의 외주연부(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 연부)를 따라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유입구(26)와 유출구(24)를 연통하는 제2 유로(29)는 영역(32,33,3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영역(32)은, 제2 유입구(26)로부터 유로본체(22)의 외주연부(반지름 방향의 바깥쪽 연부)를 따라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영역(33)은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영역(34)은 제1 유로(28) 혹은 제3 유로(30)의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의 영역(반지름 방향으로 안쪽 연부를 따라)을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재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유로본체(22)의 유출구(24)의 선단 부분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본체(22)의 외주연부(반지름 방향의 바깥쪽 연부)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에 돌출한 립(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유로본체(22)에는 위치결정용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유로본체(22)의 뒷면측(도 2, 도 3에 표시되지 않은 측: 도 5의 아래쪽)에는 다리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유출구(24), 제1 유입구(25), 제2 유입구(26), 제3 유입구(27)는 뚜껑판(23)에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유로본체(22)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도 2, 도 4에 있어서 유출구(2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중심각이 90°가 되는 위치에 제1 유입구(25)가 형성되고, 중심각이 180°가 되는 위치에 제2 유입구(26)가 형성되며, 중심각이 270°가 되는 위치에 제3 유입구(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구(24)의 선단 부분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에 있어서, 유로본체(22)의 돌기(35)(도 3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구멍(36)이 천공되어 있다.
유로부재(21)를 조립할 때에는, 유로본체(22)에 뚜껑판(23)을 위치에 맞추어 양자를 일체화하도록 고착한다. 유로본체(22)와 뚜껑판(23)을 고착하는 방법은 접착, 용접, 그 외의 공지된 기술이 적용가능하다. 유로본체(22)에 뚜껑판(23)을 위치 맞추기할 때에, 유로본체(22)의 돌기(35)를 뚜껑판(23)의 관통구멍(36)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유로본체(22)와 뚜껑판(23)을 정확하게 위치 맞추기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로부재(21)는 본체 케이싱(1)의 토출 영역(14) 내에 배치하고, 유로부재(21)의 유출구(24)를 토출구(4) 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체 케이싱(1)에 뚜껑체(11)를 장치한다. 도 5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 영역(14)에 설치된 유로부재(21)는 유로부재(21)의 다리부(37)가 뚜껑체(11)에 당접하고 있으며, 유로부재(21)의 립(31)이 본체 케이싱(2)의 내벽면(2i)에 당접하고 있다. 여기서, 토출 영역(14) 내에 있어서, 유로부재(21)의 외주면(21s)(반지름 방향 바깥쪽 외주면)은 본체 케이싱(2)의 내벽면(2i)에 대하여, 소정 간격(δ)을 사이에 두고 있다. 바꿔 말하면, 유로부재(21)의 바깥지름 치수는, 그것과 마주하는 본체 케이싱(2)의(내벽면(2i)에 있어서) 안지름 치수보다도 치수 2δ만큼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유로부재(21)의 다리부가 뚜껑체(11)에 당접하여, 립(31)이 본체 케이싱(2)의 내벽면(2i)에 밀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립(31)의 강성(탄성)에 의해, 또 뚜껑체(11)에 의해 눌려지는 것에 의해, 유로부재(21)는 토출 영역(14)의 내벽면에 계속 유지된다. 그 때문에, 유량계(1) 내에 설치된 후에, 유로부재(21)가 본체 케이싱(2)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유로부재(21)가 연료유에 의해 수축한다고 해도, 립(31)의 강성에 의해 내벽면(2i)에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유로부재(21)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소정 간격(δ) 및 립(31)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로부재(21)의 소재인 수지 재료가 연료유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로부재(21)를 설치한 것에 의한 작용에 대해 아래에 설명한다. 공장에서의 검사 시, 주유소에 설치시 및 수리 후 등에서는 유량계(1)는 안에 연료유가 충진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빈-공간의 상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맨 처음 기름이 통과할 때에 연료유가 흐르면, 유량계(1) 내의 공기를 밀어내고 유량계(1) 안이 연료유로 가득 채워지면, 연료유의 유량이 정확하게 계측된다. 유로부재(2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유량계에 있어서, 토출구(4)가 위쪽으로 설치된 경우는 공기는 연료유보다도 비중이 적기 때문에 맨 처음 주유 시 기름이 통과할 때에 유량계 안에 연료유가 흐르는 것에 의해 토출 영역(14) 내의 공기는 토출구(4)로부터 유량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토출 영역(14) 내에 공기 정체가 생기는 일은 없다.
그런데 그 밖의 상황에 있어서 급유장치의 설치 상황에의 대응이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도록 토출구(4)가 수평방향으로 향하여 있는 경우(이른바 "옆쪽"에 있는 경우)나, 토출구(4)가 수직방향의 하측으로 향하여 있는 경우(이른바 "아래쪽"을 향한 경우)에는 도 6 ~ 도 8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 영역(14)의 상부에 공기 정체부(38)가 형성된다. 토출 영역(14)의 상부에 공기 정체부(38)(가벼운 공기가 부상하여 공간의 상부에 모이게 되는 부분을 말한다)가 형성된 경우에는, 공기는 연료유보다도 비중이 적기 때문에, 유량계를 흐르는 연료유가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를 동반하여 토출구(4)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토출 영역(14)의 상부에 공기 정체부(38)가 잔존하고 있으면, 첫회 주유 시 기름이 통과할 때의 환류량이 많아져서 초기설정에 시간이 걸린다. 또, 유량계(1) 내에 공기 정체부(38)가 있으면, 다음 회의 급유시에 급유펌프(41)가 구동될 때에 급유전임에도 불구하고, 공기 정체부(38)의 공기가 압축된 만큼이 계수되어,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되어버리는 현상(이른바 "jumping")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로부재(21)에 있어서 제1~제3 유입구(25~27)의 어느 것이 토출 영역(14) 내부의 공기 정체부(38)에 위치하고 있어,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는 제1~제3 유로(28~30)를 경유하여 유출구(24)로부터 유량계(1)의 토출구(4)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토출 영역(14)의 상부에 공기 정체부(38)가 잔존하지 않아, 환류량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되어 소위 "점핑(jumping)"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 6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구(4)가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출 영역(14) 내의 상부의 공기 정체부(38)는 제1 유입구(25), 제1 유로(28), 유출구(24)를 통하여 토출구(4)에 연통한다. 그리고 연료유가 흐르고 있을 때는, 토출구(4)의 압력보다도 토출 영역(14) 내의 압력이 고압이고, 공기 정체부(38)의 압력은 토출구(4)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관련된 압력차에 의해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는 토출구(4)로 유출된다. 여기서, 유로부재(21)의 유출구(24)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유는 유출구(24)의 하류 측의 영역을 원활하게 흘러서 통과하여, (연료유의) 흐름이 박리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유출구(24)의 하류 측 영역의 흐름의 박리가 방지된다면, 해당 박리에 의해 유출구(24)의 하류 측 영역의 압력과 토출 영역(14)의 압력의 차가 감소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 도 7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구(4)가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는, 토출 영역(14) 내의 상부의 공기 정체부(38)는 제2 유입구(26), 제2 유로(29), 유출구(24)를 통하여 토출구(4)에 연통한다. 그리고 토출구(4)의 압력보다도 토출 영역(14) 내의 압력이 고압이 되기 때문에, 연료유가 흐르면,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는 토출구(4)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도 8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구(4)가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토출 영역(14) 상부의 공기 정체부(38)는 제3 유입구(27), 제 유로(30), 유출구(24)를 통하여 토출구(4)에 연통한다. 그리고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는 토출구(4)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토출 영역(14)의 위쪽의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가 토출구(4)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첫회 주유 시 기름이 통과할 때(初回通油時)의 환류량이 적어도 되어, 초기설정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량계(1) 내의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가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점핑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도 6 ~ 도 8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토출구(4)가 위쪽 이외의 방향(예를 들면, 오른쪽, 아래쪽, 왼쪽)으로 향하고 있다고 해도, 유로부재(2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토출 영역(14)의 위쪽의 공기 정체부(38) 내의 공기가 토출구(4)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유량계(1)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대하며, 여러 가지의 급유장치의 설치 상황에 대응하는 등의 요청에 확실하게 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일한 유로부재(21)에 의해, 토출구(4)가 오른쪽(도 6), 아래쪽(도 7), 왼쪽(도 8)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종류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제조 비용의 증대나, 부품 관리 비용의 증대를 야기하는 일도 없다.
도시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기술은 아님을 덧붙인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급유장치에 포함된 유량계로서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유량계는 급유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액체를 계량하는 용도,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유로 계통에 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1 : 유량계
2 : 본체 케이싱
4 : 토출구
11, C1, C2 : 뚜껑체
14 : 토출 영역
21 : 유로부재
22 : 유로본체
23 : 뚜껑판
24 : 유출구
25 : 제1 유입구
26 : 제2 유입구
27 : 제3 유입구
28 : 제1 유로
29 : 제2 유로
30 : 제3 유로
31 : 립
38 : 공기 정체부

Claims (4)

  1. 실린더실이 형성된 본체 케이싱을 가진 유량계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형성된 토출 영역과, 급유 노즐로 통하는 토출구와의 사이에 유로부재를 배설하고, 상기 토출 영역의 상부에 생긴 공기 정체부와 상기 토출구가 상기 유로부재를 통하여 연통하며, 상기 공기 정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유로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본체 케이싱 내의 상부인 토출 영역에서의 공기 정체부에 위치하는 곳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위치하는 곳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의 유출구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유출구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에 중심각이 90°의 위치에 설치된 제1 유입구와, 중심각이 180°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유입구와, 중심각이 270°의 위치에 설치된 제3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제3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각각 연통하고 있는 제1~제3 유로가 형성되며, 제1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제1 유로 및 제3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제3 유로는, 유로부재의 외주연부를 따라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장하고, 제2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제2 유로는 제2 유로로부터 유로부재의 외주연부를 따라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장하는 영역과, 반지름방향의 안쪽으로 위치하여 연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1 유로 혹은 제3 유로의 반지름 방향 안쪽의 영역을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연장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KR1020140049065A 2013-07-26 2014-04-24 유량계 KR101525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5381A JP5708729B2 (ja) 2013-07-26 2013-07-26 流量計
JPJP-P-2013-155381 2013-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998A KR20150012998A (ko) 2015-02-04
KR101525783B1 true KR101525783B1 (ko) 2015-06-04

Family

ID=5088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065A KR101525783B1 (ko) 2013-07-26 2014-04-24 유량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29850B1 (ko)
JP (1) JP5708729B2 (ko)
KR (1) KR101525783B1 (ko)
TR (1) TR2014067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9602B1 (en) * 2018-09-07 2024-02-14 Tatsuno Corporation Positive displacement flowme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000A (ja) * 1996-01-19 1997-07-29 Tokico Ltd 給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405314A (en) * 1942-06-09 Manly Corporation Fluid pressure system
US1644868A (en) * 1926-10-25 1927-10-11 Ralph N Brodie Liquid meter
US5094106A (en) * 1990-09-04 1992-03-10 Bennett Pump Company Liquid meter for fuel pumps
JP2946855B2 (ja) * 1991-07-19 1999-09-06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流量計
US5811676A (en) * 1995-07-05 1998-09-22 Dresser Industries, Inc. Multiple fluid meter assembly
JP5700284B2 (ja) 2011-02-02 2015-04-15 株式会社タツノ 給油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000A (ja) * 1996-01-19 1997-07-29 Tokico Ltd 給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08729B2 (ja) 2015-04-30
KR20150012998A (ko) 2015-02-04
EP2829850A2 (en) 2015-01-28
JP2015025731A (ja) 2015-02-05
EP2829850B1 (en) 2019-03-27
EP2829850A3 (en) 2015-03-18
TR201406779A2 (tr)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01291A (ja) 弁装置
SE529488C2 (sv) Färgväljarventil
CA2797862A1 (en) Ball valve seal with dynamic c-seal and static c-seal
KR20150095754A (ko) 전자 팽창밸브
US11300336B2 (en) Fluid control assembly
JP2004308838A (ja) フロート弁装置
KR101525783B1 (ko) 유량계
JP2013079591A (ja) 過給機
JP2012058044A (ja) 熱式流体流量測定装置
US20160164118A1 (en) Fuel cell ion exchanger and fuel cell system
JP5137549B2 (ja) 漏洩流体捕集構造および流体漏洩検出システム
JP6853823B2 (ja) 往復動ポンプ
KR20200044817A (ko) 유량 제어 장치
CN203757116U (zh) 比例阀
US11079020B2 (en) Seal ring and seal structure
WO2018139273A1 (ja) フィルタ装置
JP2013079692A (ja) 流量制御弁
KR101171636B1 (ko) 유체 정량 공급 밸브
KR100981984B1 (ko) 피씨브이 밸브
US9714859B1 (en) Inverted oil level sensor assembly
JP2023064782A (ja) 流路アダプター
JP2014199016A (ja) ラジエータキャップ
US20050284802A1 (en) Filtering device with integral filter status indicator
JP6349178B2 (ja) 膜式ガスメータ
JP5874986B2 (ja) 流量計のピス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