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361B1 -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361B1
KR101525361B1 KR1020140146272A KR20140146272A KR101525361B1 KR 101525361 B1 KR101525361 B1 KR 101525361B1 KR 1020140146272 A KR1020140146272 A KR 1020140146272A KR 20140146272 A KR20140146272 A KR 20140146272A KR 101525361 B1 KR101525361 B1 KR 10152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olding door
roller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트(주) filed Critical 위트(주)
Priority to KR102014014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7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풍처럼 접히고 펼쳐져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는 폴딩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절첩되는 폴딩도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에 있어서, 창틀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구비한 가이드부;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가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중앙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부; 하부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및 폴딩도어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연결되고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연결체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씌우고, 롤러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레일과 롤러가 비교적 강도가 강한 스테인레스의 동일 재질로 마찰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레일과 롤러의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되고, 레일 상에 안착되는 롤러가 레일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되는 경사부와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레일 상에 견고하게 안착됨에 따라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조절부를 이동부에 끼움 결합시킴과 동시에 결합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롤러와 폴딩도어가 연결 결합되는 것은 물론 설치 장소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도록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폴딩도어 설치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도어의 이동장치{Sliding apparatus of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풍처럼 접히고 펼쳐져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는 폴딩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는 병풍과 같은 구조로 복수개의 도어가 연결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면서 열리고 닫히는 도어로서 최근 발코니 또는 상가 벽체나 실내를 여러 공간으로 구분하는 칸막이에 적용되고 있으며, 채광 또는 실내를 볼 수 있도록 유리를 적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복수개의 개별도어가 회동되어 접혀지고 펴지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또한 개별도어의 상·하에는 롤러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폴딩도어가 설치되는 도어틀의 상·하에는 개별도어의 롤러가 설치되는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개별도어가 롤러에 의해 도어틀의 안내레일에서 슬라이드 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순차적으로 접혀지거나 펴져 폴딩도어가 설치된 공간을 열고 닫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도어프레임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존재하는 저항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어프레임을 가이드하는 메인레일 이외에 추가로 곡선 형태의 보조레일을 천장면에 구비한 이중 상부 레일 구조를 갖는 폴딩 도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는 대부분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레일을 따라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사용 중에 레일과 롤러의 마찰에 따른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폴딩도어 설치 작업에 있어서, 도어틀에 롤러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상태이거나 도어틀에 결합된 롤러 자체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를 잘못 측정하여 도어틀의 높이가 설치 장소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그 높이를 맞추기 위해 도어틀을 다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918호(2013.10.2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 상에서 롤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레일과 롤러의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동 중에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 장소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절첩되는 폴딩도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에 있어서, 창틀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구비한 가이드부;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가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중앙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부; 하부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및 폴딩도어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연결되고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연결체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캡이 씌워지되, 상기 레일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양측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레일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몸체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테이퍼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폴딩도어와 결합된 상기 결합부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통하여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공과 인접한 연결체의 단부에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은 체결공의 내주까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씌우고, 롤러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레일과 롤러가 비교적 강도가 강한 스테인레스의 동일 재질로 마찰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레일과 롤러의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되고, 레일 상에 안착되는 롤러가 레일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되는 경사부와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레일 상에 견고하게 안착됨에 따라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조절부를 이동부에 끼움 결합시킴과 동시에 결합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롤러와 폴딩도어가 연결 결합되는 것은 물론 설치 장소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도록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폴딩도어 설치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벽체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창틀(F)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절첩되는 폴딩도어(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부(10), 이동부(20), 조절부(30) 및 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0)는 창틀(F)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폴딩도어(1)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부(1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도어(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11)은, 상기 가이드부(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0)의 상부는 상기 레일(11) 사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가이드부(10)를 창틀(F)의 내부에 설치할 때, 창틀(F)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맞추어 상기 가이드부(10)의 상·하부에 형성된 레일(11) 상에 선택적으로 이동부(20)를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10)를 설치하여 이동부(20)를 레일(11)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부(20)에 연결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40)를 가이드부(1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11)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레일(11)에는 원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캡(12)이 씌워지는데, 상기 캡(12)은 레일(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비교적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일(11)은 양측에 폭 방향으로 결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캡(12)은 결합홈(11a)에 대응되도록 양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결합돌기(12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a)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20)는 폴딩도어(1)의 상·하부에 연결되어 레일(1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22)가 결합된 몸체(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부(20)는 폴딩도어(1)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되, 절첩된 폴딩도어(1)에서 창틀(F)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창틀(F)에 밀착된 폴딩도어(1)의 가장자리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조절부(30)의 하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고정홈(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롤러(22)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몸체(21)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11)에 씌워지는 캡(12)과 롤러(22)가 스테인레스의 동일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롤러(2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레일(11)과 롤러(22)의 마찰에도 레일(11)과 롤러(22)의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되어 그 사용기간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레일(11)과 롤러(22)의 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레일(11) 및 롤러(22)의 마모 또는 긁힘에 따른 롤러(22)가 레일(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22)는 몸체(21)에 결합되되, 상기 롤러(22)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21)의 좌·우측에 한 쌍씩 결합되고, 상기 몸체(2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씩 결합된 롤러(22)는 몸체(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롤러(22)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21)의 좌측과 우측의 롤러(22) 한 쌍이 각각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러(22)의 슬라이드 이동이 더욱 견고해지고, 상기 롤러(22)의 이동이 견고해 짐에 따라 폴딩도어(1)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롤러(22)는 외주면이 레일(11)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몸체(21)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테이퍼되는 경사부(22a)와, 상기 경사부(22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2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22)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레일(11)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경사부(22a)와 수평부(22b)로 구성됨으로써 롤러(22)의 외주면이 레일(11)의 외주면에 안착되기 위한 만곡된 홈의 형상을 이루게 되어 롤러(22)가 레일(11)의 외주면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롤러(22)의 외주면이 레일(11)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홈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유리가 끼워져 상당한 무게를 갖는 폴딩도어(1)의 하중에도 양측에 롤러(22)가 결합된 몸체(21)가 레일(11) 사이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롤러(22)의 안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22)가 레일(11)의 외주면 상단에 견고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롤러(22)가 레일(11) 상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어지게 되어 폴딩도어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됨으로써 폴딩도어 설치 시공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부(30)는 하부가 몸체(21)의 고정홈(23)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부(40)와 체결 결합되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이동부(20)와 결합부(40)를 연결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술할 상기 결합부(40)의 체결공(43)과 조절부(30) 상부와의 나사 결합을 통해 폴딩도어(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40)는, 폴딩도어(1)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결합편(4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41)에 연결되어 조절부(30) 상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43a)이 내주에 형성된 체결공(43)이 형성되는 연결체(4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편(41)은 폴딩도어(1)의 상·하부에 결합되되, 절첩된 폴딩도어(1)에서 창틀(F)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창틀(F)에 밀착된 폴딩도어(1)의 가장자리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41)은 폴딩도어(1)와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42)는 조절부(30)의 나사산(31)과 체결 결합되는 나사산(43a)이 내주에 형성된 체결공(43)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43)과 인접한 연결체(42)의 단부에 고정공(44)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공(44)은 체결공(43)의 내주까지 천공되어 고정나사(44a)가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연결체(42)의 체결공(43)과 조절부(30)의 상부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공(44)에 고정나사(44a)를 결합시켜 연결체(42)와 조절부(30)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더욱이, 폴딩도어(1)에 결합편(41)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부(30)와 연결체(42)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이동부(20)와 결합부(40)를 연결 결합시킴과 동시에 설치 장소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도록 폴딩도어(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이, 창틀(F)의 상·하부에 가이드부(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캡(12)을 결합시키고 그 위에 롤러(22)가 안착되도록 이동부(20)를 위치시킨 다음, 폴딩도어(1)의 상·하부에 결합편(41)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41)이 결합된 폴딩도어(1)를 창틀(F)의 상·하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조절부(30)를 체결공(43)에 삽입시켜 이동부(20) 몸체(21)의 고정홈(23)에 하부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조절부(30) 상부의 나사산(31)이 체결공(4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조절부(30)를 회전시켜 조절부(30)의 나사산(31)과 체결공(43)의 나사산(43a)이 체결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30)의 하부가 고정홈(23)에 완전하게 끼움 고정된 상태가 되면, 상기 조절부(30)의 나사산(31)과 체결공(43) 나사산(43a)의 결합도 완료되어 조절부(30)의 회전이 정지되는 상태가 되고, 자연스럽게 창틀(F)의 상·하부 사이의 높이에 맞춰져 폴딩도어(1)가 설치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체(42)의 고정공(44)에 고정나사(44a)를 결합시켜 폴딩도어(1)의 설치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시공 과정을 통하여 창틀(F)의 상·하부 사이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도록 폴딩도어(1)의 설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의 및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고, 상기 롤러(22)가 레일(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조절부(30)의 끼움 및 나사 결합과 고정나사(44a)의 결합을 통해 폴딩도어(1)를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사용 중에 폴딩도어(1)의 설치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되어 시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레일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씌우고, 롤러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레일과 롤러가 비교적 강도가 강한 스테인레스의 동일 재질로 마찰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레일과 롤러의 마모 또는 긁힘 등의 손상이 방지되고, 레일 상에 안착되는 롤러가 레일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되는 경사부와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레일 상에 견고하게 안착됨에 따라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조절부를 이동부에 끼움 결합시킴과 동시에 결합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롤러와 폴딩도어가 연결 결합되는 것은 물론 설치 장소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도록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폴딩도어 설치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폴딩도어 10 : 가이드부
11 : 레일 11a : 결합홈
12 : 캡 12a : 결합돌기
20 : 이동부 21 : 몸체
22 : 롤러 22a : 경사부
22b : 수평부 23 : 고정홈
30 : 조절부 31 : 나사산
40 : 결합부 41 : 결합편
42 : 연결체 43 : 체결공
43a : 나사산 44 : 고정공
44a : 고정나사 F : 창틀

Claims (5)

  1. 삭제
  2. 창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절첩되는 폴딩도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에 있어서,
    창틀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구비한 가이드부;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가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중앙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부;
    하부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및
    폴딩도어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연결되고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연결체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캡이 씌워지되, 상기 레일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양측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레일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몸체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테이퍼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공과 인접한 연결체의 단부에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공은 체결공의 내주까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폴딩도어와 결합된 상기 결합부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통하여 폴딩도어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KR1020140146272A 2014-10-27 2014-10-27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KR10152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72A KR101525361B1 (ko) 2014-10-27 2014-10-27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72A KR101525361B1 (ko) 2014-10-27 2014-10-27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361B1 true KR101525361B1 (ko) 2015-06-02

Family

ID=5349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272A KR101525361B1 (ko) 2014-10-27 2014-10-27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3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62B1 (ko) 2015-07-31 2016-02-26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일체형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폴딩도어
KR101726717B1 (ko) * 2016-08-18 2017-04-13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폴딩도어의 프레임 구조
KR101816218B1 (ko) * 2017-10-25 2018-01-09 임경원 폴딩도어
KR101817571B1 (ko) 2016-03-28 2018-01-11 신일공영(주) 양방향 폴딩도어
KR2018004796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CN113338765A (zh) * 2021-06-28 2021-09-03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折叠门装置
KR102317097B1 (ko) * 2021-04-08 2021-10-22 박병태 양방향 프리격납이 가능한 폴딩도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55A (ja) * 1993-04-12 1994-10-25 Shinkansai Bearing Kk 戸 車
KR200176121Y1 (ko) * 1998-08-03 2000-03-15 표철수 폴딩도어의 상부로울러 구조
KR20130099659A (ko) * 2012-02-29 2013-09-06 안중식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센터가이드장치
KR20130136664A (ko) * 2012-06-05 2013-12-13 홍성주 폴딩도어용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55A (ja) * 1993-04-12 1994-10-25 Shinkansai Bearing Kk 戸 車
KR200176121Y1 (ko) * 1998-08-03 2000-03-15 표철수 폴딩도어의 상부로울러 구조
KR20130099659A (ko) * 2012-02-29 2013-09-06 안중식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센터가이드장치
KR20130136664A (ko) * 2012-06-05 2013-12-13 홍성주 폴딩도어용 롤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62B1 (ko) 2015-07-31 2016-02-26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일체형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폴딩도어
KR101817571B1 (ko) 2016-03-28 2018-01-11 신일공영(주) 양방향 폴딩도어
KR101726717B1 (ko) * 2016-08-18 2017-04-13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폴딩도어의 프레임 구조
KR2018004796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101866539B1 (ko) *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101816218B1 (ko) * 2017-10-25 2018-01-09 임경원 폴딩도어
KR102317097B1 (ko) * 2021-04-08 2021-10-22 박병태 양방향 프리격납이 가능한 폴딩도어시스템
CN113338765A (zh) * 2021-06-28 2021-09-03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折叠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361B1 (ko) 폴딩도어의 이동장치
KR101550547B1 (ko)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NL2020963B1 (en)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US9549643B2 (en) Adjustable curved door assembly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US10986921B2 (en) Cabinet
KR101823363B1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US20210345809A1 (en) Electric curtain
JP2019082105A (ja) 遮蔽装置
KR101774469B1 (ko)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US20120305203A1 (en) Privacy screen
KR2016012275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팅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CN104641066A (zh) 具有改进气密性的滑窗
KR10191147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출입문과 조립형 출입문 수용장치
KR101012061B1 (ko)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TW201601663A (zh) 抽屜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US8579003B2 (en)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al shade covering a window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903826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블록조립체
JP6802007B2 (ja) 内開き扉の遮蔽構造
KR101234865B1 (ko) 자동문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1951898B1 (ko)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