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54B1 -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54B1
KR101524954B1 KR1020137002161A KR20137002161A KR101524954B1 KR 101524954 B1 KR101524954 B1 KR 101524954B1 KR 1020137002161 A KR1020137002161 A KR 1020137002161A KR 20137002161 A KR20137002161 A KR 20137002161A KR 101524954 B1 KR101524954 B1 KR 10152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switch
unit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921A (ko
Inventor
히로타다 히가시하마
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particular circuits having a special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LED전구 등의 부하가 접속되었을 경우라도 새는 전류에 의한 부하의 오작동, 예컨데, LED전구의 오발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2선식의 부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2선식 부하 제어 장치는 상용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부하가 오프한 상태일 때에 내부 전원을 확보하기 위한 오프 전원부를 갖고, 상기 오프 전원부가 입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직렬과 병렬로 전환할 수 있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반복시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방전에 의한 전력을 상기 내부 전원으로 한다. 이로써, 부하가 오프 되는 동안, 부하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내부 전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2선식 부하 제어 장치{LOA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2선식의 부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조명 장치나 환기팬 등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접점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2선식 스위치 대신에, 트라이액 등의 무접점 스위치 소자를 이용한 부하 제어 장치(전자 스위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특허문헌1 참조). 이와 같은 부하 제어 장치는, 배선을 줄이기 위해 2선식 연결선의 구성이 일반적이며, 상용 전원(교류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렇게 상용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부하 제어 장치에서는, 자신의 회로 전원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이슈가 된다.
도 10은 상용 전원(2)과 부하(3)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종래의 2선식의 부하 제어 장치(5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이 부하 제어 장치(50)는 부하(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주개폐부(51) 및 보조 개폐부(57)과, 주개폐부(51) 및 보조 개폐부 (57)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어부(53)와, 제어부(53)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는 정류부(52)와 제어부(53)에의 전력 공급을 안정시키는 제 1 전원부(54)와 부하(3)에의 전력 정지시에 제 1 전원부 (5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55)와, 부하(3)에의 전력 공급시에 제 1 전원부(5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 전원부(56)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개폐부(57)는, 예컨대, 사이리스터(57a)를 구비하고 있고, 이 사이리스터(57a)는, 부하(3)의 용량이 작고 주개폐부(51)의 트라이액(주스위치 소자) (51a)의 도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전류보다도 작은 전류 밖에 흐르지 않을 경우에, 이 부하(3)에 주 회로 전류를 흘리는 역할을 한다.
제 2 전원부(55)는, 예컨대,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과 전압을 클리프하는 제너 다이오드(정전압 다이오드) (55a) 등으로 구성된 정전압 회로이며, 정류부(52)에 의해 전파 정류된 맥류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맥류의 전압값이 제너 다이오드(55a)의 제너 전압보다도 높을 때만 전류가 흐른다. 전류의 일부는 제 1 전원부(54)에 흘러 제어부(53)의 전력으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제 1 전원부(54)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버퍼 캐패시터(54a)를 충전한다. 정류부(52)에 의해 전파 정류된 맥류의 전압이 제너 전압보다도 낮을 때는, 버퍼 캐패시터(54a)가 전원이 되어서 제 1 전원부(54)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때문에 버퍼 캐패시터(54a)는 충 방전을 반복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래 부하(3)가 오프 상태여도 제너 다이오드(55a) 및 정류부(52)를 거쳐서 부하(3)에 전류가 흐른다. 그 때에 부하(3)에 흐르는 전류는 부하(3)가 오동작하지 않는 정도의 적은 전류여야 하며, 제어부(53)의 소비 전류를 작게, 제 2 전원부(55)의 임피던스를 높게 유지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또한, 제 1 전원부(54)는 전압 안정화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부하(3)를 기동시키기 위한 조작 핸들(SW)(4)이 조작되면 제어부(53)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것에 의해서 제 3 전원부(56)의 스위치 소자(56c)가 도통하여, 그 결과로서 버퍼 캐패시터(54a)를 충전한다. 버퍼 캐패시터(54a)가 충전되면, 전류는 제너 다이오드(56a), 보조 개폐부 (57)의 사이리스터(57a), 주개폐부(51)의 트라이액(51a)의 순서대로 통과한다. 트라이액(51a)이 온 되면, 정류부(52)의 정류 전압이 거의 0이 되므로 제 2 전원부(55)는 비도통 상태가 되고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제 3 전원부(56)도 마찬가지이다.
제 2 전원부(55) 및 제 3 전원부(56)이 비도통인 동안, 제 1 전원부(54)에는 버퍼 캐패시터(54a)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므로 제 1 전원부(54)의 입력 전압, 즉, 버퍼 캐패시터(54a)의 단자 전압이 서서히 저하한다. 그리고 트라이액(51a)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면, 자기 소호(自己消弧)에 의해 트라이액(51a)이 열린 상태(비도통)가 되고 정류부(52)에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이 버퍼 캐패시터(54a)의 단자 전압보다도높아지면 버퍼 캐패시터(54a)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제 2 전원부(55)의 임피던스는 제 3 전원부(56)의 임피던스 보다도 충분히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부하(3)가 온하고 있을 때 제 2 전원부(55)은 부하 제어 장치(50)의 동작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일단 주개폐부(51)가 도통(닫힌 상태)하면 전류를 계속해서 흘리지만, 상용 전류가 제로 크로스 점에 도달했을 때에 트라이액(51a)은 자기 소호하고, 주개폐부(51)가 비도통(열린 상태)이 된다. 주개폐부(51)가 비도통이 되면, 다시 정류부(52)로부터 제 3 전원부(56)를 거쳐서 제 1 전원부(54)에 전류가 흘러 부하 제어 장치(50)의 자기 회로 전원을 확보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즉, 교류의 1/2주기마다, 부하 제어 장치(50)의 자기 회로 전원 확보, 보조 개폐부(57)의 도통 및 주개폐부(51)의 도통 동작이 반복된다.
그러나, 소비 전력 저감의 관점에서 LED 전구 등으로의 교환이 진척되어 있다. LED 소자는 직류에 의해 발광하기 때문에 LED 전구의 내부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가 마련되어 있지만, 저렴한 LED전구 등 일부의 부하의 전원 회로에는 노이즈 대책 (예컨대, 전원 회로의 단자 간에 캐패시터 등을 병렬 접속하는 등)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도 존재한다. 상기 2선식의 부하 제어 장치(50)에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LED전구 등이 부하로서 접속되었을 경우, 본래 부하가 오프의 상태이어야 할 때라도 부하 제어 장치(50)의 자기 회로 전원 확보 때문에 부하에 전류가 흐르고, 그것에 의해서 부하의 오동작 (예컨대, LED전구의 점멸 등)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부하 제어 장치(50)에서는 제너 다이오드(55a)에 의해 전압을 강하시키기 때문에, 전압 강하 만큼의 에너지가 열 변환 등에 의해 소비되어 에너지 효율의 개선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8-9753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하를 오프한 상태에서 부하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내부 전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적게 하고,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LED전구 등의 부하가 접속되었을 경우라도 누설 전류에 의한 부하의 오작동(LED전구의 오발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2선식의 부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는, 상용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를 오프한 상태시에 내부 전원을 확보하기 위한 오프 전원부를 갖고, 상기 오프 전원부가 입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직렬과 병렬로 전환할 수 있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반복시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방전에 의한 전력을 상기 내부 전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는 상용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주스위치 소자의 주전극이 상기 상용 전원 및 상기 부하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부하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주개폐부와 상기 주스위치 소자의 주전극 간에 접속된 정류부와,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부하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안정해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전원부와, 상기 주개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정류부를 거쳐서 전력 공급되고 상기 부하를 오프로 한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와, 상기 주개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정류부를 거쳐서 전력 공급되고 상기 부하를 온으로 한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원부는 입력된 직류 전류를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도 낮아지도록 강압하는 DC/DC 컨버터이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에 전환하는 직/병렬 전환 회로와,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원부에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도 높을 때는,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직렬 접속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열린 상태)로하고, 상기 제 2 전원부에의 입력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전압 이하인 때는,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병렬 접속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닫힌 상태)로 하여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상기 정류부에서의 입력 전압을 소정 레벨로 강압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부하를 오프한 상태에서의 부하 제어 장치의 내부 전원이 되는 제 2 전원부(오프 전원부)에 있어서, 직렬 접속되는 캐패시터의 수에 따라 입력 전압(맥류)의 피크 전압이 강압된다. 제 2 전원부(오프 전원부)에 의한 강압일 때, 열 변환 등에 의한 에너지 로스는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할 경우에 비교해서 훨씬 적으므로 부하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내부 전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하의 오프 상태에서 제 2 전원부(오프 전원부)를 거쳐서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더욱 적어지므로, 가령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LED전구 등의 부하가 접속되었을 경우라도 부하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작아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클램프하는 전압 클램프 회로를 더욱 구비하고, 직렬 접속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에 상기 소정의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을 전환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부는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가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의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여도 좋다.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다이오드와, 충전시와는 역의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도록 접속된 제 2 다이오드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적어도 1개와 병렬로 접속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을 제어하는 제 3 스위치 제어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을 제어함으로써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의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3 스위치에 의해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여도 좋다.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량을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 소자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제한 소자는 전류량을 가변하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제 2 전원부에서 상기 제 1 전원부에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전류 제한 소자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 제한 소자 제어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한 소자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 2 전원부에서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전류 제한 소자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의 오픈 시간을 제어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도통하는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정류부에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반도체 소자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입력 함으로써 도통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2 전원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의 오픈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의 중간 접속점이 상기 제 1 전원부의 입력부에 접속되어,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를 상기 제 1 전원부 측에 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 및 적어도 1개의 정전압 다이오드에 병렬 접속된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제어 장치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을 제어하는 제 4 스위치 제어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4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의 전압을 가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와 같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각 부의 전압 및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각 부의 전압 및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종래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A)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A)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2은 각 부의 전압 및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다. 이 부하 제어 장치(1A)는 상용 전원(2)과 부하(3)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다. 부하 제어 장치(1A)은 상기 종래 예와 같이, 부하(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주 개폐부(11) 및 보조 개폐부(17)와, 주 개폐부(11) 및 보조 개폐부(17)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어부(13)와, 제어부(13)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는 정류부(12)와, 제어부(13)에의 급전을 안정시키는 제 1 전원부(14)과, 부하(3)에의 전력 정지시에 제 1 전원부(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15)와, 부하(3)에의 전력 공급시에 제 1 전원부(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 전원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개폐부(17)은, 예컨대, 사이리스터(17a)를 구비하고 있어 주 개폐부(11)의 트라이액(주스위치 소자)(11a)를 도통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크기의 전류를 주스위치 소자(11a)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제 1 전원부(14)은 입력된 직류 전류를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도 낮아지도록 강압하는 DC/DC 컨버터이다. 또한, 제 2 전원부(15) 이외의 구성은 상기 종래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전원부(15)는 복수 (예컨대, 3개)의 캐패시터(151a)∼(151c)와 각 캐패시터(151a)∼(151c)의 단자 간에 접속된 복수의 다이오드(152a)∼(152g)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전원부(15)의 출력 단자(15b)에는 제 1 스위치(FET)(153)가 접속되어 있고, 제 1 스위치(153)의 제어 전극(FET의 게이트 전극)에는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이 인가된다. 정류부(12)로부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파 정류된 맥류 (즉,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이 출력되므로, 초기에 제 1 스위치(153)는 온(닫힌 상태)이며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은 0V 전압으로 가정한다.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의 상승에 따라, 전류가 다이오드(152a) 및 제 1 스위치(153)를 통하여 제 1 전원부(14)에 흐른다.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도 높아지면 제 1 스위치(153)은 오프(열린 상태)가 되고 제 1 전원부(14)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버퍼 캐패시터(14a)로부터 제 1 전원부(14)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1 스위치(153)이 오프(열린 상태)가 되면 다이오드(152a), 캐패시터(151a), 다이오드(152b), 캐패시터(15lb), 다이오드(152c), 캐패시터(151c)가 직렬 접속되고, 전류는 이것들의 직렬 회로를 거쳐서 그라운드에 흐른다. 그 동안 캐패시터(151a)∼(151c)은 각각 충전되어, 각 캐패시터(151a)∼(151c)의 단자 전압은, 같은 규격의 캐패시터(부품)을 이용하는 조건하에서,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캐패시터의 수로 나눈 전압이 된다. 다이오드(152a), (152b) 및 다이오드(152c)는 캐패시터(151a)∼(151c)을 직렬 접속하는 제 1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가 되면 다시 제 1 스위치(153)는 온(닫힌 상태)이 되고, 전류가 전류 제한 저항 다이오드(152a) 및 제 1 스위치(153)를 통하여 제 1 전원부(14)에 흐른다.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이 캐패시터(151a)∼(151c)의 단자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각 캐패시터(151a)∼(151c)에 수전된 전하가 방전되기 시작하고 제 1 스위치(153)를 통하여 제 1 전원부(14)에 흐른다. 즉,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의 저하에 의한 전력부족이 캐패시터(151a)∼(151c)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보완되고, 도 1에 나타내는 제 2 전원부(15)의 회로 구성은 이른바 굴곡 매립 회로(valley fill circuit)가 된다. 또한,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이 복수의 캐패시터(151a)∼(151c)의 직렬 회로에 의해 분압 됨과 동시에, 제 1 스위치(153)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압 이상의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제 2 전원부(15)는 강압 회로로서 기능한다. 다이오드(152a)∼(152g)는 캐패시터(151a)∼(151c)를 병렬 접속함과 함께, 충전시와 역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제 2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다이오드(152a)∼(152g) 및 제 1 스위치(153)는 캐패시터(151a)∼(151c)의 직렬과 병렬을 전환하기 위한 직/병렬 전환 회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1 스위치(153)의 제어 전극(FET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전원부(15)의 입력 전압은, 제 1 스위치(153)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2 전원부(15)의 캐패시터의 수는 2 이상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스위치 및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제 2 전원부(15)에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도 높을 때에 제 1 스위치를 오프(열린 상태)로 해서 제 2 전원부(15)에의 입력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전압 이하의 때에, 제 1 스위치를 온(닫힌 상태)으로 할 수 있으면 좋고, 상기 FET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등 이어도 좋다.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로 구성된 종래 예에 비교해서, 열 변환 등에 의한 에너지 로스는 훨씬 적으므로, 부하 제어 장치(1A)의 대기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하(3)를 오프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전원부(15)를 거쳐서 부하(3)에 흐르는 전류가 더욱 적어지고, 노이즈 대책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LED전구 등의 부하가 접속되었을 경우라도 부하의 오작동(LED전구의 오발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B)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B)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4는 각 부의 전압 및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다. 이 부하 제어 장치(1B)의 제 2 전원부(15)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다이오드의 (151a)∼(151c)의 앞단에, 입력 전압을 클램프하기 위해서, 제너 다이오드(정전압 다이오드)(154)와 반도체 스위치 소자(155)로 구성된 전압 클램프 회로(정전압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는 제너 다이오드(154)의 제너 전압에 근거한 구형파 전압이 출력되고, 제 1 스위치(153)는 이 구형파와 대략 동기해서 온/오프 된다. 제 1 스위치(153)가 온(닫힌 상태)일 때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거의 0V이므로, 캐패시터(151a)∼(151c)으로부터 방전된 전하만이 제 1 전원부(14)에 공급된다. 제 2 전원부(15)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캐패시터 수로 나눈 전압을 피크 전압으로 하는 대략 구형파가 된다.
제 2 실시 형태의 제 2 전원부(15)는 종래 예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154)와 반도체 스위치 소자(155)로 구성된 전압 클램프 회로(정전압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오직 캐패시터(151a)∼(151c)만을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직접 제 1 전원부(14)에는 흐르지 않으므로 클램프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은 매우 작다. 또한, 전압 클램프 회로의 출력 전압은 복수의 캐패시터(151a)∼(151c)에 의해 분압되어 강압된다. 따라서, 종래 예에 비교하여 제너 다이오드(154)의 제너 전압을 높게 할 수 있고 열 변환 등에 의한 에너지 로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달리 캐패시터나 다이오드 등의 부품에 인가되는 전압이 전압 클램프 회로에 의해 강압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의 부품의 내압을 보증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C에 대해서 도 5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C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스위치(153) 및 복수의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을 전환하는 직/병렬 전환 회로 및 그것들의 제어부를 IC(집적회로)로 구현한 것이다. 직/병렬 전환 회로는 캐패시터(151a)∼(151c)의 단자에 접속되어,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을 전환하는 제 2 스위치(156)와 제 2 스위치(156)의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 제어부(157)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스위치 제어부(157)는 제 1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제어부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캐패시터가 3개 이상의 경우, 제 2 스위치 제어부(157)는 직렬 접속되는 캐패시터의 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상용 전원(2) 또는 정류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158)를 마련하고, 예컨대,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에 따라 직렬 접속되는 캐패시터의 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주지와 같이, 상용 전원(2)의 전압으로서 100∼120V 계와 200∼240V 계가 병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같은 부하 제어 장치(1C)를 상용 전원 100V 계와 200V 계 등 전압이 다른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치 제어부(157)가 제 1 스위치 제어부를 겸할 경우, 피크 전압 검출부(158)에 의해 검출된 피크 전압에 따라 제 1 스위치(153)의 오픈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는, 제 2 전원부(15)로부터 제 1 전원부(14)에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162)(도 7 참조)를 마련하고, 제 2 전원부(15)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제 1 스위치(153)의 오픈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컨대, 제 2 전원부(15)에의 입력 전압 또는 제 2 전원부(15)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을 경우, 제 1 스위치(153)의 오픈 시간이 줄어들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2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크 전압에 따라 임계값을 변경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기타의 변형예)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D)의 구성을 나타내고, 직렬 접속된 캐패시터가 3개 이상의 경우에 복수의 캐패시터(151a)∼(151c)의 최소 1개와 병렬로 제 3 스위치(159)를 병렬 접속함과 함께, 제 3 스위치(159)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를 제어하는 제 3 스위치 제어부(160)를 마련한 것이다. 그것에 의하여,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용 전원(2) 또는 정류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158)를 마련하고,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에 따라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도 좋다.
도 7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E)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E)에서는 복수의 캐패시터(151a)∼(151c)의 직렬 회로에 저항기 등의 전류 제한 소자(161)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제한 소자(161)에 의해, 캐패시터(151a)∼(151c)에 충전할 때의 충전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한 소자(161)로서 가변 저항기 등을 이용하여 전류량을 가변으로 하고, 제 2 전원부(15)로부터 제 1 전원부(14)에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162) 및 전류 제한 소자(161)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 제한 소자 제어부(163)를 마련해도 좋다. 그것에 의하여, 제 2 전원부(15)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전류 제한 소자(161)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제 2 실시 형태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전류 제한 소자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특별한 모순이 없는 한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또한,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F)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F)에서는, 전압 클램프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로서 복수(2개에 한정되지 않음)의 제너 다이오드(154a), (154b)...를 직렬 접속하고, 제너 전압의 중간 전압이 제 2 전원부(15)의 출력 단자(15b)에 입력된다. 전압 클램프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가 그라운드를 거쳐서 부하(3)에도 흐르지만, 그 일부를 제 1 전원부(14)에 흘리는 것에 따라 부하(3)에 흐르는 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9는, 또한,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G)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F)에서는, 전압 클램프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로서 복수(2개에 한정되지 않음)의 제너 다이오드(154a), (154b)...를 직렬 접속함과 함께, 최소 1개의 제너 다이오드(예컨대, 154b)에 병렬 접속된 스위치 소자(164)와 스위치 소자(164)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를 제어하는 제 4 스위치 제어부(16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선식 부하 제어 장치(1G)가 접속되는 상용 전원(2)의 피크 전압에 따라 제너 전압을 전환함으로써,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한 임의의 값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압 클램프 회로로서 제너 다이오드와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 구성된 정전압 회로를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스나 캐패시터 등을 이용한 그 밖의 강압 회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캐패시터의 직렬 회로를 복수의 조로 준비하고, 복수 조의 캐패시터의 직렬 회로의 직/병렬을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정류부(12)는 전파 정류 회로일 필요는 없고, 반파 정류 회로이어도 좋다. 정류부(12)가 반파 정류 회로일 경우, 반파 정류 회로와 제 2 전원부를 2조 준비하고 2조의 반파 정류 회로와 제 2 전원부를 병렬 접속시켜, 각각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을 1/2주기 비켜놓도록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 2 전원부를 직렬 접속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상용 전원과 부하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로서,
    주스위치 소자의 주전극이 상기 상용 전원 및 상기 부하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부하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주개폐부와,
    상기 주스위치 소자의 주전극 간에 접속된 정류부와,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부하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안정하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전원부와,
    상기 주개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정류부를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부하를 오프로 한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와,
    상기 주개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정류부를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부하를 온으로 한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원부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도 낮아지도록 입력된 직류 전류를 강압하는 DC/DC 컨버터이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으로 전환하는 직/병렬 전환 회로, 상기 제 1 전원부에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전원부에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도 높을 때는,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직렬 접속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충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열린 상태)로 하고, 상기 제 2 전원부에의 입력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전압 이하의 때는,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병렬 접속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방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닫힌 상태)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반복시킴으로써,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소정 레벨로 강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클램프하는 전압 클램프 회로를 더욱 구비하고, 직렬 접속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에 상기 소정의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을 전환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부는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가변으로 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병렬 전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다이오드와, 충전시와는 역의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도록 접속된 제 2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최소 1개와 병렬로 접속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닫힌 상태) 및 오프(열린 상태)을 제어하는 제 3 스위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3 스위치에 의해 직렬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의 수를 변경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량을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 소자를 더 구비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소자는 전류량 가변이며,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제 2 전원부에서 상기 제 1 전원부에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전류 제한 소자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 제한 소자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한 소자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 2 전원부에서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전류 제한 소자에 의한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의 오픈 시간을 제어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도통하는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정류부에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반도체 소자에 입력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도통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입력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상기 제 2 전원부에서 상기 제 1 전원부에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2 전원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의 오픈 시간을 제어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의 중간 접속점이 상기 제 1 전원부의 입력부에 접속되어, 상기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상기 제 1 전원부 측으로 흐르도록 되는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클램프 회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 및 최소 1개의 정전압 다이오드에 병렬 접속된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제어 장치는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전압 검출부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제 4 스위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크 전압에 따라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의 전압을 가변으로 하는 것인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KR1020137002161A 2010-07-27 2011-02-24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KR101524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8349 2010-07-27
JP2010168349A JP5645109B2 (ja) 2010-07-27 2010-07-27 2線式負荷制御装置
PCT/IB2011/000373 WO2012014020A1 (ja) 2010-07-27 2011-02-24 負荷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921A KR20130041921A (ko) 2013-04-25
KR101524954B1 true KR101524954B1 (ko) 2015-06-01

Family

ID=455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161A KR101524954B1 (ko) 2010-07-27 2011-02-24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6496B2 (ko)
EP (1) EP2600697A1 (ko)
JP (1) JP5645109B2 (ko)
KR (1) KR101524954B1 (ko)
CN (1) CN103026794B (ko)
TW (1) TWI423003B (ko)
WO (1) WO2012014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2281B2 (ja) * 2011-02-25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JP5830659B2 (ja) * 2011-03-18 2015-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
US9572206B2 (en) * 2013-05-14 2017-02-14 Atmel Corporation Active valley fill power factor correction
US9713207B2 (en) 2013-11-18 2017-07-18 Tridonic Gmbh & Co. Kg Driver module for driving LEDs
GB2536851B (en) * 2013-11-18 2020-12-02 Tridonic Uk Ltd Driver module for driving LEDs
JP6195200B2 (ja) * 2014-04-03 2017-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光装置
CN104079160B (zh) * 2014-06-18 2016-09-21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填谷电路
KR101792540B1 (ko) * 2014-12-29 2017-11-02 주식회사 효성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용 전원제어장치
US10680436B2 (en) * 2015-08-24 2020-06-09 Nec Corporation Constant current supply device, constant current supply system, and constant current supply method
CN105792474B (zh) * 2015-11-23 2018-06-15 厦门兴恒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led电源的宽电压交流驱动电路
CN106208310B (zh) * 2016-07-27 2018-10-12 深圳佰维存储科技股份有限公司 多电容分级控制系统及其方法
CN108594022A (zh) * 2018-05-25 2018-09-28 杭州得诚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容器自动化测试系统及方法
JP7199011B2 (ja) * 2018-11-30 2023-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
CN111029184B (zh) * 2019-12-16 2022-03-08 广东瑞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及具有该开关装置的烘烤装置、家用电器
CN112087222B (zh) * 2020-09-09 2024-06-25 上海京硅智能技术有限公司 钳位降压的固态电子开关及混合开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73A (ja) * 1998-10-30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2線式配線器具
JP2002334799A (ja) * 2001-03-05 2002-11-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6033497A (ja) * 2004-07-16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8097535A (ja) * 2006-10-16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2線式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777A (en) * 1978-02-24 1979-09-11 Instrumentation Specialties Company Switching-mode regulator
US5331234A (en) 1992-06-12 1994-07-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olid state switch
JP3351088B2 (ja) * 1994-03-28 2002-11-2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源装置
CN2255697Y (zh) * 1995-08-08 1997-06-04 袁九如 交流触发电子自动控制器
JP3425299B2 (ja) * 1996-07-01 2003-07-14 東京電力株式会社 分散型電源装置
JPH1023762A (ja) * 1996-07-03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装置
FR2754655B1 (fr) * 1996-10-11 1998-12-24 Legrand Sa Interrupteur electronique a alimentation deux fils
JP3562251B2 (ja) * 1997-08-15 2004-09-0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源装置
JP3533928B2 (ja) * 1998-02-20 2004-06-07 松下電工株式会社 2線式配線器具
US6262565B1 (en) * 1999-05-07 2001-07-17 Mytech Corporation Electrical load switch
US7009858B2 (en) * 2001-01-29 2006-03-07 Seiko Epson Corporation Adjustable current consumption power supply apparatus
US7091672B2 (en) * 2003-06-10 2006-08-15 Lutron Electronics Co., Inc. High efficiency off-line linear power supply
US7907429B2 (en) * 2007-09-13 2011-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and method for a fully integrated switched-capacitor step-down power converter
US7872886B2 (en) * 2008-02-20 2011-01-18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Quasi-parallel voltage regulator
JP5294903B2 (ja) 2008-08-21 2013-09-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負荷制御システム
US8975785B2 (en) * 2009-08-26 2015-03-10 Panasonic Corporation Load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73A (ja) * 1998-10-30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2線式配線器具
JP2002334799A (ja) * 2001-03-05 2002-11-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6033497A (ja) * 2004-07-16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8097535A (ja) * 2006-10-16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2線式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5109B2 (ja) 2014-12-24
EP2600697A1 (en) 2013-06-05
CN103026794A (zh) 2013-04-03
KR20130041921A (ko) 2013-04-25
TW201222184A (en) 2012-06-01
CN103026794B (zh) 2015-05-27
US20130128641A1 (en) 2013-05-23
JP2012029529A (ja) 2012-02-09
TWI423003B (zh) 2014-01-11
US9166496B2 (en) 2015-10-20
WO2012014020A1 (ja)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954B1 (ko) 2선식 부하 제어 장치
TWI428057B (zh) 具有動態性負載與提升功率因素之發光驅動電路與相關的動態負載模組
KR101626694B1 (ko) 2선식 조광 스위치
EP2745368B1 (en) Start-up circuit
CN107736080B (zh) 调光装置
CN108243545B (zh) 负载控制装置
JP2011160654A (ja) スイッチモード・パワー・コンバータ
EP3595414A1 (en) Light-dimming device
CN103167690A (zh) 点亮装置以及包括点亮装置的照明设备
CN103124456A (zh) Led点亮装置
CN108243538B (zh) 负载控制装置
US20140062323A1 (en) Linear Light-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with Voltage-Lowering Serial Capacitor
CN113597052B (zh) 一种芯片驱动电路、芯片、线性恒流驱动电路及控制方法
JP5830659B2 (ja) 負荷制御装置
TWI590710B (zh) Dimming device
JP201919497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3109641A (ja) 2線式負荷制御装置
JP2022151888A (ja) 調光装置
GB2520963A (en) Power suppl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