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809B1 -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809B1
KR101524809B1 KR1020120131042A KR20120131042A KR101524809B1 KR 101524809 B1 KR101524809 B1 KR 101524809B1 KR 1020120131042 A KR1020120131042 A KR 1020120131042A KR 20120131042 A KR20120131042 A KR 20120131042A KR 101524809 B1 KR101524809 B1 KR 10152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ction
public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means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103A (ko
Inventor
최상진
박성규
박건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프 filed Critical (주)케이에프
Priority to KR102012013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8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운행 관련정보와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 정보를 이용하여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통신부와, 대중교통수단의 전자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통신부와, 상기 단말 통신부가 획득한 정류장의 정보에 따른 구간별로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정류장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한다.

Description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PREDETERMINED SECTIONS}
본 발명은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운행 관련정보와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정류장 정보로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은 운행할 노선을 설정하고, 설정한 노선에 존재하는 정류장에서 정차하여 탑승객들을 탑승 또는 하차시키게 된다.
이러한 대중교통수단이 노선을 따라 운행함에 있어서,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은 거리가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평균 운행시간, 평균 공회전율, 평균 운행속도, 평균 연비 및 온실가스 배출량 등과 같은 운행 정보가 상이하고, 또한 상기 운행 정보는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하는 운전자별 및 시간대별 및 운전자별 등에 따라 상이하다.
그러므로 대중교통수단의 노선을 최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지 않고, 대중교통수단이 운행하는 노선 전체에 대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대중교통수단이 최적의 상태로 운행할 수 있는 노선을 선정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함에 있어서, 운전자별 및 시간대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상태가 상이하고, 또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은 대중교통수단의 평균 연비가 나쁘게 되고,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은 검출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운행 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운행 관련정보 및 구간정보로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중교통수단을 운전하는 운전자별 및 시간대별로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별로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을 정확하게 획득하여 운전자 자신에게 적합한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전자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속도 정보, 구동력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가속 정보 및 감속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오비디(OBD) 커넥터와 차량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차량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의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통신부가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GPS 수신부가 획득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로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를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을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시간대별 및 운전자별로 상기 정류장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방법은, 오비디 커넥터(OBD) 및 차량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대중 교통 수단의 속도 정보, 구동력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가속 정보 및 감속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단말기로부터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은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은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급출발 정보, 급가속 정보 또는 급감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획득하는 단계는,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급출발 정보, 급가속 정보 또는 급감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은 상기 급출발 정보, 급가속 정보 또는 급감속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장의 정보에 따른 구간별로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이 미리 설정된 노선에 따라 운행함에 있어서,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되는 운행 관련정보와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정류장 정보를 분석하여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할 최적의 노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수단을 운전하는 운전자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급출발, 급가속 및 급감속을 획득하므로 운전자별로 맞춤형의 안전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는 차량 통신부(110), 메모리(120), 표시부(130), 명령 입력부(14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150), 단말 통신부(160), 데이터 통신부(170), 무선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통신부(110)는 예를 들면,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인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OBD(ON-board Diagonsis) 커넥터(112)와, 차량 통신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BD 커넥터(112)는, 대중교통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OBD 진단단자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전자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K-line 핀과, CAN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 통신모듈(114)은,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 통신모듈(114)은,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의 근거리 통신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 Band) 통신 및 지그비(ZigBee)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통신모듈(114)로 근거리 통신모듈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인터넷 모듈이나 원거리 통신 모듈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차량 통신부(110)가 OBD 커넥터(112) 및 차량 통신모듈(114)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OBD 커넥터(112) 및 차량 통신모듈(114)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 구비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전자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이 운행하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에는,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및 급출발 등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에는, 대중교통수단이 정류하여 탑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 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에는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CF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획득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130)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 분석장치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석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 전용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명령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140)는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명령 입력부(140)는 운전자의 키 조작에 따라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되어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중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GPS 수신부(150)는 복수 개의 GPS 위성이 주기적으로 각기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들 중에서 적어도 4개 이상의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항법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단말 통신부(160)는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단말기(예를 들면, BIS(Bus Information System)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통신부(160)는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 도착하였을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서 출발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대중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상기 단말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대중교통수단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70)는 외부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등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갱신장치 등이 제공하는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 갱신된 대중교통수단 정류장의 위치정보 및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및 급출발 등을 판단하기 위한 갱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 갱신된 대중교통수단 정류장의 위치정보 및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및 급출발 등을 판단하기 위한 갱신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20)에 갱신 저장된다.
상기 무선 통신부(180)는 대중교통수단의 관리회사 등에 설치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 등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어부(190)는,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통신부(110)로부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BIS 통신부(160)로부터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GPS 수신부(150)가 획득하는 대중교통수단의 현재위치 정보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운행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대중교통수단의 관리회사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한 대중교통수단의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대중교통수단 회사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 분석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먼저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하는 운전자 정보를 입력한다(S200).
여기서, 상기 운전자 정보의 입력은 예를 들면, 운전자가 명령 입력부(140)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정보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 운전자가 별도로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차량 통신부(110)의 OBD 커넥터(112) 또는 차량 통신모듈(114)을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S202),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차량 통신부(110)를 통해, 운전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함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S204).
여기서,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속도정보, 구동력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가속정보 및 감속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206). 여기서, 정류장에 대한 정보의 획득은 단말 통신부(160)가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 통신부(160)가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로 대중교통수단이 현재 위치하는 정류장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단말 통신부(160)가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GPS 수신부(150)가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대중교통수단의 현재위치 정보와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된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대중교통수단이 현재 위치하는 정류장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가 획득되고, 대중교통수단이 위치하는 정류장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수단의 구간별 운행 정보를 획득한다(S208).
상기 제어부(190)가 획득한 대중교통수단의 구간별 운행 정보는 평균 운행시간, 평균 공회전율, 평균 운행속도, 평균 연비 및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운행시간은,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을 운행한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운전자가 해당 구간을 복수 회 운행하였을 경우에 해당 구간을 운행한 전체 시간을 운행 횟수로 나누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평균 공회전율은,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에서 주행속도가 0㎞로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운전자가 해당 구간을 복수 회 운행하였을 경우에 해당 구간에서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전체 시간을 운행 횟수로 나누어 평균 정차시간을 획득하며, 획득한 평균 정차시간을 상기 평균 운행시간으로 나누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운행속도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 거리를 상기 평균 운행시간으로 나누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연비는,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을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연료 분사량 정보의 연료 분사량을 모두 합하고,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 거리를 상기 합한 연료 분사량으로 나누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연료 분사량 정보, 속도 정보 및 구동력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획득된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대중교통수단회사의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가속정보가 획득될 경우에 급가속 또는 급출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감속정보가 획득될 경우에 급감속인지의 여부를 분석한다(S212).
여기서, 상기 급가속은, 대중교통수단의 단위시간당 주행속도 증가 값이 미리 설정된 증가 값 이상일 경우에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급출발은, 대중교통수단이 정차된 상태에서 설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할 때까지 대중교통수단의 단위시간당 주행속도 증가 값이 미리 설정된 증가 값 이상일 경우에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급감속은, 대중교통수단의 단위시간당 주행속도 증가 값이 미리 설정된 감소 값 이상일 경우에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판단된 급가속, 급감속 또는 급출발의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대중교통수단회사의 서버 등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14).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차량 통신부 112 : OBD 커넥터
114 : 차량 통신모듈 120 : 메모리
130 : 표시부 140 : GPS 수신부
150 : 단말 통신부 160 : 데이터 통신부
170 : 무선 통신부 180 : 제어부

Claims (19)

  1.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전자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속도 정보, 구동력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가속 정보 및 감속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오비디(OBD) 커넥터와 차량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차량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의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통신부가 상기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GPS 수신부가 획득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로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를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을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갱신된 운영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에 갱신 저장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급출발 정보, 상기 급가속 정보 및 상기 급감속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대별 및 운전자별로 상기 정류장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분석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11. 오비디 커넥터(OBD) 및 차량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대중 교통 수단의 속도 정보, 구동력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가속 정보 및 감속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단말기로부터 정류장에 대한 정보인 정류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정류장의 정보에 따른 구간별로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운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간별 급출발 정보, 상기 구간별 급가속 정보 및 상기 구간별 급감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급출발 정보, 상기 구간별 급가속 정보, 상기 구간별 급감속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정보와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최적의 노선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운전자별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간 구간별 정보인 구간별 평균 운행 시간 정보, 구간별 공회전율 정보, 구간별 평균 운행 속도 정보, 구간별 평균 연비 정보, 구간별 급출발 정보, 구간별 급가속 정보, 구간별 급감속 정보 및 구간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운행 정보 분석장치에서의 구간별 운행 정보 분석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131042A 2012-11-19 2012-11-19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KR10152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2A KR101524809B1 (ko) 2012-11-19 2012-11-19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2A KR101524809B1 (ko) 2012-11-19 2012-11-19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03A KR20140064103A (ko) 2014-05-28
KR101524809B1 true KR101524809B1 (ko) 2015-06-03

Family

ID=5089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42A KR101524809B1 (ko) 2012-11-19 2012-11-19 구간별 운행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8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877A (ko) * 1998-04-10 1999-11-05 이동률 정기운행 차량의 정류장 안내장치
KR20040086678A (ko) * 2003-04-03 2004-10-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교통정보의 생성기능을 구비한 차량단말장치 및 교통정보생성방법
KR100467260B1 (ko) * 2002-07-02 2005-01-24 주식회사 로티스 버스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교통 정보 수집 방법
KR101139959B1 (ko) * 2010-01-11 2012-04-30 김효상 버스 운행기록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877A (ko) * 1998-04-10 1999-11-05 이동률 정기운행 차량의 정류장 안내장치
KR100467260B1 (ko) * 2002-07-02 2005-01-24 주식회사 로티스 버스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교통 정보 수집 방법
KR20040086678A (ko) * 2003-04-03 2004-10-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교통정보의 생성기능을 구비한 차량단말장치 및 교통정보생성방법
KR101139959B1 (ko) * 2010-01-11 2012-04-30 김효상 버스 운행기록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03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8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S9501929B2 (en) Movement assistance device and movement assistance method
CN104442826B (zh) 为车辆驾驶员提供支持的车辆中装置、车辆和方法
US10260896B2 (en) Route plann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10580085B1 (en) Detecting transportation company trips in a vehicle based upon on-board audio signals
US7783416B2 (en) Navigation server
JP5717878B2 (ja) センター側システム及び車両側システム
US2013031103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N205665897U (zh) 一种车辆行驶前方路口检知和引导通过的系统
CN104468140A (zh) 用于在一组车辆之间共享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CN106575480B (zh) 信息处理系统、终端装置、程序、移动终端装置、计算机可读取的非易失性的有形记录介质
CN106871922A (zh) 电子设备
US20130288206A1 (en) Driving evaluation system and vehicle-mounted device
US11900471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using data indicative of driver characteristics based on sensors
CN110431376B (zh) 信息分析装置和路径信息分析方法
US20130304333A1 (en) Method for reducing a traffic jam risk
US11527153B1 (en) Systems for analyzing vehicle traffic between geographic regions
JP2005180986A (ja) ナビ装置及びナビサーバ
US20170162052A1 (en) Report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040050550A (ko) 차량에서 예상 소요시간 알림장치 및 방법
JP2007094703A (ja) 車両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9035615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装置、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Park et al. Glossary of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terms
CN115143976A (zh) 路线规划方法、设备、系统及程序产品
JP6280299B2 (ja) 運行情報収集システムの情報管理方法、及び、運行情報収集システム用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